KR102451363B1 - Speed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Speed contro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1363B1 KR102451363B1 KR1020200138859A KR20200138859A KR102451363B1 KR 102451363 B1 KR102451363 B1 KR 102451363B1 KR 1020200138859 A KR1020200138859 A KR 1020200138859A KR 20200138859 A KR20200138859 A KR 20200138859A KR 102451363 B1 KR102451363 B1 KR 102451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speed
- speed control
- drive shaf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5—B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 상기 복수 개의 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 상기 속도 제어부가 설치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부는 소정 광원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원의 광량에 따라 동작하는 조도 센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조도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광량 조절판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항값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원단의 공급 속도가 제어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d control device, and 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a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eed speed of the fabric transferred through the plurality of rollers; a driving shaft on which the speed control unit is installed, wherein the speed control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light source; an illuminance sens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quantity adjusting plate install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illuminance sensor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wherein the illuminance sensor is configured to change a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flowing through the light quantity adjusting plate, an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rive shaft,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the supply speed of the far end is contro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을 이용한 기계 장치에 있어 속도 조절을 통해 안정적으로 원단의 공급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속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d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ed control device capable of stably controlling the feed speed of a fabric through speed control in a mechanical device using a roll.
종래의 롤을 이용한 기계 장치에 있어서 속도 조절 장치에서는, 일본 특허 공개공보 평10-250888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롤 사이에서 반송재를 안정하게 또한 미리 정한 장력을 주어서 반송하기 위해, 각 롤에 대응하여 롤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기를 구비하고, 라인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 지령을 각 속도 제어기에 준다. 그것과 아울러 2개의 롤 사이의 반송재의 장력을 장력 제어량 검출기로 검출하고, 장력 검출값이 장력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PI(Proportional-Integral) 제어 혹은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제어를 행하는 장력 제어기가 연산하고, 상기 2개의 롤 중 한쪽의 축인 장력축에 대한 속도 지령을, 전술한 장력 제어기의 출력으로 수정한다.In a conventional mechanical device using rolls, in a speed adjusting device,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50888 (Patent Document 1), the conveying material is stably conveyed between two rolls and a predetermined tension is applied. In order to do this, a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ll rotation speed corresponding to each roll is provided, and a speed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line speed is given to each speed controller. In addition, a tension controller that detects the tension of the conveyed material between the two rolls with a tension control amount detector, and performs PI (Proportional-Integral) control or PID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so that the detected tension value matches the tension set value is calculated, and the speed command for the tension shaft, which is one of the two rolls, is corrected with the output of the tension controller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의 롤간 반송 제어 장치가 안정하게 반송재를 반송하기 위해서는, 장력 제어를 안정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고, 장력 제어기의 이득(gain)을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통상의 롤간 반송 제어 장치에서는, 조작자가 롤간 반송을 실행하면서 장력의 변동을 관찰하고, 시행착오에 의해 제어 이득(gain)을 변경하기 때문에, 조정에 노력 또는 시간이 걸리고, 또한 조작자의 숙련도에 따라 안정성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Here, in order for the said inter-roll conveyance control apparatus to convey a conveyed material stably, it is necessary to perform tension|tensile_strength control stably, and it is necessary to set the gain of a tension|tensile_strength controller appropriately. In an ordinary roll-to-roll conveyance control apparatus, since the operator observes the change in tension while carrying out the inter-roll conveyance and changes the control gain by trial and error, it takes effort or time to adjust, and also depends on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is different.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모델 식별부를 구비하여 장력 제어계의 제어 대상 모델을 식별하고, 그 제어 대상 모델을 이용하여 제어 게인을 후보의 값으로 변경했을 때의 응답의 모의와 평가를 반복하면서, 제어 게인의 최적값을, 유전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탐색하는 것에 의해, 장력 제어 연산부의 제어 이득의 조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With respect to such a problem,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model identification unit is provided to identify a control target model of the tension control system, and the control gain is used to simulate a response when the control gain is changed to a candidate value by using the control target model.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ontrol gain of a tension control calculating unit by searching for an optimum value of the control gain using a genetic algorithm while repeating the evalua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격한 속도의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원단의 공급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속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ed control device capable of stably adjusting the feed speed of a fabric without a sudden change in speed.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 상기 복수 개의 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제어부; 상기 속도 제어부가 설치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부는 소정 광원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원의 광량에 따라 동작하는 조도 센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조도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광량 조절판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항값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원단의 공급 속도가 제어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a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eed speed of the fabric transferred through the plurality of rollers; a driving shaft on which the speed control unit is installed, wherein the speed control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light source; an illuminance sens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quantity adjusting plate install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illuminance sensor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wherein the illuminance sensor is configured to change a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flowing through the light quantity adjusting plate, an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rive shaft,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the supply speed of the far end is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상기 광량 조절판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원판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광통과부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통과하는 광량이 변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and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and at least one light passage portion formed in the disk is formed, and the light passage portion passes as the drive shaft rotates. It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o that the amount of light is chan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상기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구동축이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구동축의 동작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원단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bric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abric; and a support on which the drive shaft is installed,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feed rate of the far end by moving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shaf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상기 속도 제어부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가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동작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a form in which the speed control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rake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unit and operating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상기 속도 제어부는 상기 광량 조절판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 상기 광량 조절판 일측 형성되되,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상기 중공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바;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control unit is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around the hollow; Includes; rotation control unit coupled through the hollow, the rotatio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drive shaft; a first extension bar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 second extension bar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돌출부 소정 간격 위쪽으로 상기 제1 연장바가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 소정 간격 위쪽으로 상기 제2 연장바가 위치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ee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tension bar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extension bar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coupl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속도 제어부의 자동적인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급격한 속도의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원단의 공급 속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In the spee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control the feed speed of the fabric without a sudden change in speed by the automatic control mechanism of the speed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원단의 공급 속도의 제어를 위해 별도의 복잡한 알고리즘이나 연산 동작이 필요하지 않고, 물리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자동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기존 속도 조절 장치들에 비해 오류 발생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 들며, 한번 설치 이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mplicated algorithm or calculation operation to control the feed speed of the fabric, and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physical mechanism, so that the existing speed control devices Possibility of error occurrence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at,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fter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의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제어부의 결합도 및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판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제어부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coupling view and an exploded view of a speed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eed contro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speed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의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제어부의 결합도 및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판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제어부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a speed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upling and exploded views,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eed contro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a speed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를 구비하여 비닐, 종이 등의 원단을 가공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100); 복수 개의 롤러(100)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200); 속도 제어부(200)가 설치되는 구동축(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속도 제어부(200)는 소정 광원을 발생시키는 광원부(210); 광원부(210)로부터 발생되는 광원의 광량에 따라 동작하는 조도 센서(220); 광원부(210) 및 조도 센서(2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pee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fabrics such as vinyl and paper by having a plurality of rollers. 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spee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본 발명에서 광원부(210)는 LED와 같이 빛을 발생시키는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LED 이외에도 OLED, QLED 등 다른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빛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소자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조도 센서(220)는 주변의 빛을 감지하는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Cds 센서와 같은 소자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400); 및 구동축(300)이 설치되는 지지대(500);를 포함하고, 지지대(500)가 구동축(300)의 동작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원단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00)에는 구동축(300)이 설치되고, 이 지지대(500)는 구동축(30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500)에는 복수 개의 롤러(100) 중 일부 롤러가 설치될 수 있고, 나머지 롤러는 원단의 이송을 위해 지지대(500)의 반대편(도 1을 참고하면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이러한 구성에서, 속도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구동축(300)이 회전하고, 구동축(300)이 회전함에 따라 지지대(500)가 구동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지지대(500)에 설치된 롤러(100)가 구동축(300)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이동) 하거나 위쪽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원단을 팽팽하게 당기거나, 반대로 원단을 느슨하게 하여 원단의 공급 속도를 제어(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도 1을 참조하면 원단 공급부(400)가 상측에 설치되고, 구동축(300) 및 지지대(500)가 하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축(300)을 중심으로 지지대(500)가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원단을 팽팽하게 당겨 장력을 증가시키고, 구동축(300)을 중심으로 지지대(500)가 위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원단을 느슨하게 하여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since the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원단 공급부(400), 구동축(300) 및 지지대(500)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본 발명에서 조도 센서(210)는 광량 조절판(23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항값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300)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원단의 원단의 공급 속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조도 센서(210)는 유입되는 광량이 많으면 저항값이 작아지고, 유입되는 광량이 적으면 저항값이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입되는 광량이 많아 저항값이 작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여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며, 많은 양의 전류를 흐르게 하여 구동축(300)이 회전하는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유입되는 광량이 적어 저항값이 커지면 전류가 적게 흐르게 되며, 적은 양의 전류를 흐르게 하여 구동축(300)이 회전하는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 조절판(230)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축(300)에 설치되고, 상기 원판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통과부(231)가 형성되며, 광통과부(231)는 구동축(300)이 회전함에 따라 통과하는 광량이 변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in 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참고적으로 도 5에는 3개의 광통과부(231)가 형성되어 있는데, 광통과부(231)는 1개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광통과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re are three light-passing
실제 광량 조절판(230) 설치 이후에는 1개의 광통과부(231)만 사용하게 되며, 광통과부(231)를 복수 개로 형성하는 이유는 여러 타입으로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여러 타입으로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광통과부(231)의 크기나 모양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actual light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광통과부(231)가 형성된 경우, 현재 위치한 좌측의 광통과부(231)를 제1 광통과부, 상측의 광통과부(231)를 제2 광통과부, 우측의 광통과부(231)를 제3 광통과부라고 가정하면, 최초 제1 광통과부를 사용하다가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기 위해 광량 조절판(230)을 회전시켜 다시 결합하는 방식으로 좌측에 원래 위치했던 광통과부(231)와는 다른 광통과부(23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광량 조절판(230)을 통해 여러 타입으로 광량의 조절이 가능해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when three l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속도 제어부(200)가 제1 베이스(241) 및 제2 베이스(242)가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 베이스부(240); 베이스부(240)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축(3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동작하는 브레이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pee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241)와 제2 베이스(242)는 서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241) 및 제2 베이스(242)의 결합면에는 광량 조절판(230)이 내입되도록 제1 내입홈(241a) 및 제2 내입홈(242a)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그리고 제1 베이스(241)의 타측브레이크부(250)가 설치되는 반대측에는 광원부(210)가 내입되어 설치될 수 있고, 제2 베이스(242)의 타측브레이크부(250)가 설치되는 반대측에는 조도 센서(220)가 내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부(210)에서 발생된 빛이 제1 내입홈(241a) 및 제2 내입홈(242a)에 내입되는 광량 조절판(230)의 광통과부(231)를 통과하여 조도 센서(240)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241)의 타측브레이크부(250)가 설치되는 반대측에는 광원부(210)가 설치되며, 전기적으로 케이블 또는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의 제1 설치홀(241b)이 형성되고, 제1 설치홀(241b)은 제1 내입홈(241a)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베이스(242)의 타측브레이크부(250)가 설치되는 반대측에는 조도 센서(220)가 설치되며, 전기적으로 케이블 또는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의 제2 설치홀(242b)이 형성되고, 제2 설치홀(242b)은 제2 내입홈(242a) 연통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 조도 센서(220)는 광량 조절판(23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광량에 따라 원단의 공급속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By this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속도 제어부(200)가 광량 조절판(230)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232); 광량 조절판(230) 일면에 형성되되, 중공(232)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돌출부(233) 및 제2 돌출부(234); 중공(232)을 통해 구동축(300)과 결합되는 회전 조절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low 232 in which the
즉, 광량 조절판(230)에의 중심에는 중공(232)이 형성되고, 광량 조절판(230) 일면에 제1 돌출부(233) 및 제2 돌출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hollow 23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ght
이때 회전 조절부(310)는 구동축(300)에 결합되는 결합부(313); 결합부(313)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바(311); 결합부(313)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바(312);를 포함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에서 광량 조절판(230)은 제1 베이스(241) 및 제2 베이스(242)의 결합면에 설치되면서도, 내입홈에 설치되기 때문에 주변으로 공간이 확보되며제1 베이스(241) 및 제2 베이스(242)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며, 중공(232)에 구동축(300)이 결합되기는 하지만, 중공(232)과 구동축(300) 사이에는 베어링과 같은 구조가 형성되어 구동축(300)이 회전하더라도 광량 조절판(230)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광량 조절판(230)은 구동축(300) 상에 연결되기는 하지만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른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원단이 복수 개의 롤러(100)를 통해 이송됨에 따라롤러(100)를 통해 항상 일정한 속도로 원단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구동축(300)에 연결된 롤러(100)가 상/하 방향으로 약간씩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구동축(300)이 미세하게 회전하게 된다.Looking at the mechanism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the fabric is transpo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이렇게 구동축(300)이 미세하게 회전하게 되는데, 구동축(300)의 끝단에 결합된 회전 조절부(310)도 같이 미세하게 회전하게 된다. 회전 조절부(310)는 구동축(300)에 결합되는 결합부(313); 결합부(313)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바(311); 결합부(313)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바(312);를 포함여 구성되고, 광량 조절판(230)에의 중심에는 중공(232)이 형성되고, 광량 조절판(230) 일면에 제1 돌출부(233) 및 제2 돌출부(234)가 형성되며, 제1 돌출부(233) 소정 간격 위쪽으로 제1 연장바(311)가 위치하고, 제2 돌출부(234) 소정 간격 위쪽으로 제2 연장바(312)가 위치한다. In this way, the
따라서, 제1 연장바(311) 및 제2 연장바(312)가 결합부(31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제1 연장바(311)가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소정 간격 떨어진 제1 돌출부(233)에 접촉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1 연장바(311)가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도는 소정 간격 떨어진 제1 돌출부(233)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제1 연장바(311)가 제1 돌출부(233)에 접촉하게 되면, 제1 돌출부(233)에 위에서 아래로(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고, 이러한 힘에 의해 광량 조절판(2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광량 조절판(230)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축(300)에 설치되고, 상기 원판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통과부(231)가 형성되며, 광통과부(231)는 구동축(300)이 회전함에 따라 통과하는 광량이 변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위와 같은 회전에 의해 광통과부(231)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광원부(210)로부터 조도 센서(220)로 유입되는 광량이 변하게 된다.The light
구체적인 예로 도 5와 같이 광통과부(231)가 형성되는 경우, 광량 조절판(2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광통과부(231)도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광원부(210)로부터 조도 센서(220)로 유입되는 광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값이 커지면 전류가 적게 흐르게 되며, 적은 양의 전류가 됨에 따라 구동축(300)이 회전하는 정도를 작게 한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light-passing
반대로, 제2 연장바(312)가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소정 간격 떨어진 제2 돌출부(234)에 접촉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2 연장바(312)가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도는 소정 간격 떨어진 제2 돌출부(234)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the
제2 연장바(312)가 제2 돌출부(234)에 접촉하게 되면, 제2 돌출부(234)에 위에서 아래로(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고, 이러한 힘에 의해 광량 조절판(2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구체적인 예로 도 5와 같이 광통과부(231)가 형성되는 경우, 광량 조절판(2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광통과부(231)도 시계 반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광원부(210)로부터 조도 센서(220)로 유입되는 광량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저항값이 작아지면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며, 많은 양의 전류가 됨에 따라 구동축(300)이 회전하는 정도를 크게 한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에서, 광량 조절판(230)과 회전 조절부(310)는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을 구동축(300)으로 공유하면서도 광량 조절판(230)은 구동축(300)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연장바(311)가 제1 돌출부(233)를 가압하여 광량 조절판(230)이 회전하면 제2 돌출부(234)가 제2 연장바(312)에 가깝게 위치하게 되고, 제1 연장바(311)와 제1 돌출부(233) 사이는 멀어지게 된다. 즉, 제1 연장바(311)와 제1 돌출부(233) 사이의 간격보다 제2 연장바(312)와 제2 돌출부(234)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된다.In the spee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따라서, 제1 연장바(311)가 제1 돌출부(233)를 가압하여 광량 조절판(230)이 어느 정도 회전된 후에는 다시 제1 연장바(311)가 제1 돌출부(233)를 가압하는데 더 많은 구동축(300)의 회전을 필요로 하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구동축(300)이 일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는 것이 점점 어렵게 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점점 쉬워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축(300)이 한 쪽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며, 다른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이 용이해진다. That is, in the spee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for the
본 발명에서는 구동축(300)이 회전함에 따라 원단의 공급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는데, 위와 같은 원리에 의해 원단이 이송되는 동안, 원단의 공급 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원단의 공급 속도가 증가하면 감소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원단의 공급 속도가 감소하면 증가 가능성을 향상시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riving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원단의 공급 속도가 증가하면 감소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원단의 공급 속도가 감소하면 증가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작을 물리적으로 반복 구현하기 때문에 속도 제어를 위해 별도의 복잡한 알고리즘이나 연산 동작이 필요하지 않고, 물리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자동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기존 속도 조절 장치들에 비해 오류 발생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한번 설치 이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when the supply speed of the fabric is increas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and physically repeats the operation of improving the possibility of increase when the supply speed of the fabric decreases, so a separate complex algorithm for speed control is implemented. However, no calculation operation is required, and automatic control is possible by a physical mechanism, so the possibility of error occurrence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existing speed control devices,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fter installation.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조절 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100)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의 장력에 따라 구동축(300)이 최초로 회전하게 되면, 이후 장력 제어를 구동축(300) 회전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게 되며, 속도 제어부(200)의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급격한 속도의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원단의 공급 속도 제어가 가능해진다.As such, in the spee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that is combin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filing.
100: 롤러 200: 속도 제어부
210: 광원부 220: 조도 센서
230: 광량 조절판 231: 광통과부
232: 중공 233: 제1 돌출부
234: 제2 돌출부 240: 베이스부
241: 제1 베이스 241a: 제1 내입홈
241b: 제1 설치홀 242: 제2 베이스
242a: 제2 내입홈 242b: 제2 설치홀
250: 브레이크부 300: 구동축
310: 회전 조절부 311: 제1 연장바
312: 제2 연장바 313: 결합부
400: 원단 공급부 500: 지지대100: roller 200: speed control unit
210: light source 220: illuminance sensor
230: light intensity control panel 231: light passing unit
232: hollow 233: first protrusion
234: second protrusion 240: base portion
241:
241b: first installation hole 242: second base
242a: second
250: brake unit 300: drive shaft
310: rotation control unit 311: first extension bar
312: second extension bar 313: coupling part
400: fabric supply 500: support
Claims (6)
상기 복수 개의 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
상기 속도 제어부가 설치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부는
소정 광원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원의 광량에 따라 동작하는 조도 센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조도 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광량 조절판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항값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원단의 공급 속도가 제어되며,
상기 속도 제어부는
상기 광량 조절판 중심에 형성되는 중공;
상기 광량 조절판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상기 중공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바;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장치.a plurality of rollers;
a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eed speed of the fabric transferred through the plurality of rollers;
Including; a drive shaft on which the speed control unit is installed;
The speed control unit
a light source un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light source;
an illuminance sens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install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illuminance sensor to adjust the light quantity.
The illuminance sensor is configured to change a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flowing through the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and the supply speed of the far end is controlled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which rotates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The speed control unit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around the hollow;
Includes; rotation control unit coupled through the hollow;
The rotation control unit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drive shaft;
a first extension bar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 speed control device comprising a; a second extension bar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art.
상기 광량 조절판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원판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통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광통과부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통과하는 광량이 변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quantity control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and is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At least one light passing portion formed in the disk is formed,
The speed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passing portion has a shape that is narrow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o tha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is changed as the driving shaft rotates.
상기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구동축이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구동축의 동작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원단의 공급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abric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abric;
Including; a support on which the drive shaft is installed;
By moving the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e shaft, the speed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upply speed of the fabric.
상기 속도 제어부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가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동작하는 브레이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peed control unit
a base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the first base and the second base are coupled;
a brak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se unit and operating to limit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 speed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상기 제1 돌출부 소정 간격 위쪽으로 상기 제1 연장바가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 소정 간격 위쪽으로 상기 제2 연장바가 위치하며,
상기 제1 연장바 및 상기 제2 연장바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xtension bar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extension bar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peed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xtension bar and the second extension bar rotates about the drive sha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8859A KR102451363B1 (en) | 2020-10-26 | 2020-10-26 | Speed contro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8859A KR102451363B1 (en) | 2020-10-26 | 2020-10-26 | Speed control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4928A KR20220054928A (en) | 2022-05-03 |
KR102451363B1 true KR102451363B1 (en) | 2022-10-05 |
Family
ID=8159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8859A Active KR102451363B1 (en) | 2020-10-26 | 2020-10-26 | Speed contro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136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7421A (en) | 2004-10-25 | 2006-05-11 | Sato Corp | Continuous paper winding device and continuous paper winding method |
JP2016011173A (en) | 2014-06-27 | 2016-01-21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Tape tension control method and tape wind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0888B1 (en) | 1997-12-30 | 2000-04-01 | 윤종용 | Network check device of distributed control system |
KR100313033B1 (en) * | 1999-07-27 | 2001-11-07 | 서성운 | A system of processing rolling film for package |
-
2020
- 2020-10-26 KR KR1020200138859A patent/KR1024513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7421A (en) | 2004-10-25 | 2006-05-11 | Sato Corp | Continuous paper winding device and continuous paper winding method |
JP2016011173A (en) | 2014-06-27 | 2016-01-21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Tape tension control method and tape wind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4928A (en) | 2022-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3133B1 (en) | Heating conveyor apparatus | |
KR102451363B1 (en) | Speed control device | |
JP5598746B2 (en) | Drying apparatus, drying system, dry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substrate with coating | |
US11279575B2 (en) | Sheet fee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heet feeding device | |
KR2016009433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nonwoven web | |
EP0023225B1 (en) | False twist crimping machine | |
US20180141768A1 (en) | Sheet Convey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625622A (en) | Device for finishing denim woven fabric | |
EP0900866A2 (en) | Heating arrangement | |
JP6801313B2 (en) | Paper feed device and paper feed method | |
JP3549152B2 (en) | Ventilation type fiber opening device equipped with a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bending level of aggregate fiber | |
JPH073688A (en) | Fibrous web transferring device | |
CN113445287A (en) | Ironing module and ironing machine | |
CN104944193B (en) | Open-width heat-setting machine deviation rectifying device and open-width heat-setting machine deviation rectifying system | |
US20130126578A1 (en) | Substrate aligning unit,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ligning substrate using the same | |
US3265271A (en) | Multiple web feeding system | |
JP2018104130A (en) | Paper feeder | |
KR102388574B1 (en) | Turning conveyor | |
JP6277799B2 (en) |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 |
KR970004649B1 (en) | Storage and conveying device for stretchable circulation tape and magnetic tape copying method using the device | |
US3551969A (en) | Apparatus for slitting,opening and processing tubular knitted fabric | |
US5644379A (en) | Passive belt guidance by fabric weave orientation | |
JP7342314B2 (en) | heat treatment equipment | |
KR20060088355A (en) | Tensionless coating equipment | |
KR102161524B1 (en) | Ccontrol uni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