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1021B1 -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 - Google Patents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021B1
KR102451021B1 KR1020207024496A KR20207024496A KR102451021B1 KR 102451021 B1 KR102451021 B1 KR 102451021B1 KR 1020207024496 A KR1020207024496 A KR 1020207024496A KR 20207024496 A KR20207024496 A KR 20207024496A KR 102451021 B1 KR102451021 B1 KR 10245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aling device
axis
seal lip
annu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259A (ko
Inventor
유토 마나카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8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36Pressing means
    • F16J15/3452Pressing means the pressing force resulting from the action of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저속으로 회전하는 축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봉장치를 제공한다. 밀봉장치(1)의 씰 립(21)은,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하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밀봉측면(22)과, 밀봉측면(22)에서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접속하는, 외부 측을 향하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외부측면(23)을 가지고 있다. 밀봉측면(22)은, 밀봉장치(1)가 부착 대상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씰 립(21)이 축에 맞닿고, 축선(x)에 직교하는 면보다 외부 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
본 발명은,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속장치에 이용되는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립 작업을 실시하는 산업용 로봇과 같은 산업 기계에는, 관절부를 통하여 링크가 접속되어 구동 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관절부에는 링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모터 등의 출력원으로부터의 입력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감속장치는 다수의 톱니바퀴나 베어링 등의 구동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관절부에는 감속장치의 구동부재의 원활한 구동이나 마모방지를 위해서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봉입되어 있다. 관절부에 윤활제를 봉입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밀봉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속장치의 밀봉장치에는, 내주 측에 씰 립이 형성된 환형상의 탄성체부를 가지고 있어, 관절부의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출력축으로서의 샤프트와 이 관통구멍과의 사이의 환형상의 간극을 밀봉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밀봉장치는 하우징의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탄성체부가 관통구멍에 접촉하여 관통구멍과 밀봉장치와의 사이를 밀봉하고, 씰 립이 샤프트에 접촉하여 샤프트와 밀봉장치와의 사이를 밀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11-89609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은 산업 기계의 관절부에 있어서의 샤프트는 저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감속장치의 밀봉장치에 있어서는, 내연 기계의 오일 씰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이용되는 오일 씰 등과는 달리, 펌프 작용에 의한 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전술한 감속장치의 밀봉장치에 있어서는, 씰 립의 조임력을 높여 밀봉성능을 높이고 있었지만, 그리스를 장시간 봉지하지 못하고, 씰 립과 샤프트와의 사이부터의 그리스의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산업 기계의 관절부의 감속장치 등의 저속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이용되는 밀봉장치에 대해서는,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속으로 회전하는 축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는, 부착대상에 있어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축과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로서,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과, 상기 보강환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탄성체로 형성된 탄성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부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축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축에 맞닿는 환형상의 씰 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씰 립은,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밀봉측면과,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에 접속하고, 상기 밀봉 대상물 측과는 반대쪽인 외부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외부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측면은, 부착상태에 있어서 상기 씰 립이 상기 축에 맞닿을 때, 또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상 내의 윤활제가 상기 축에 맞닿은 상기 씰 립을 가압할 때,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또는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보다 외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평행하게, 또는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보다 외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보다 상기 밀봉 대상물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상기 축선에 대해서, 60° 이상 90° 미만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평탄한 면, 또는 상기 밀봉 대상물 측으로부터 상기 외부 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상기 외부 측으로부터 상기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씰 립을 상기 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가터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씰 립은, 상기 밀봉측면 및 상기 외부측면에 배향하는 위치에 내주 측으로 오목한 홈인 환형상의 수용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터 스프링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은, 부착대상에 있어서의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축과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로서, 상기 밀봉장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과, 상기 보강환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탄성체로 형성된 탄성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부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축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축에 맞닿는 환형상의 씰 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씰 립은,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밀봉측면과, 상기 밀봉측면에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접속하고 상기 밀봉 대상물 측과는 반대쪽인 외부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외부측면을 가지고 있는,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 대상물의 밀봉방법으로서, 상기 밀봉장치를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 장착시켜 상기 씰 립이 상기 축에 맞닿았을 때, 또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상 내의 윤활제가 상기 축에 맞닿은 상기 씰 립을 가압하였을 때, 상기 밀봉측면을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밀봉측면을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보다 외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에 의하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축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밀봉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착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장치의 씰 립의 밀봉측면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의 밀봉측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밀봉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축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의 제1 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의 제2 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의 제3 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제2 부착상태의 밀봉장치의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장치의 씰 립의 밀봉측면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제3 부착상태의 밀봉장치의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장치의 씰 립의 밀봉측면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축선(x)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밀봉장치(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는, 서로 상대 회전하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축과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밀봉장치(1)는, 예를 들어, 로봇의 관절부에 있어서, 감속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윤활제의 밀봉을 위해서 이용된다. 밀봉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봇의 관절부에 있어서, 하우징의 관통구멍과 이 하우징의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감속장치의 출력축과의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밀봉장치(1)의 적용대상(부착대상)은 이 구체예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기계에 있어서 회전하는 부재의 밀봉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축선(x)방향에 있어서 화살표 a(도 1 참조)방향을 외부 측(이하, "외측"이라고도 한다.)이라고 하고, 축선(x)방향에 대해 화살표 b(도 1 참조)방향을 밀봉 대상물 측(이하, "내측"이라고도 한다.)이라고 한다. 외측이란 적용대상의 외부를 향하는 쪽이고, 내측이란 적용대상의 내부를 향하는 쪽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이란, 로봇의 관절부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쪽으로서 대기 측이며, 내측이란, 로봇의 관절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쪽이다. 또, 축선(x)에 수직인 방향(이하, "직경방향"이라고도 한다.)에 있어서,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의 화살표 c방향)을 외주측이라고 하고, 축선(x)에 가까워지는 방향(도 1의 화살표 d방향)을 내주측이라고 한다.
밀봉장치(1)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10)과, 보강환(10)에 부착되어 있고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탄성체로 형성된 탄성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체부(20)는, 축선(x)을 따라 연장되고, 부착대상인 축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이 축에 맞닿는 환형상의 씰 립(21)을 가지고 있다. 씰 립(21)은, 밀봉 대상물 측(내측)을 향하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밀봉측면(22)과,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밀봉측면(22)에 접속하고, 밀봉 대상물 측(내측)과는 반대쪽인 외부 측(외측)을 향하는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외부측면(23)을 가지고 있다. 밀봉측면(22)은, 후술하는 밀봉장치(1)의 부착대상으로의 부착상태에 있어서 씰 립(21)이 축에 맞닿고, 축선(x)에 직교하는 면보다 외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밀봉장치(1)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보강환(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x)을 중심 또는 대략 중심으로 하는 환형상의 금속제 부재이며, 축선(x)을 따른 단면(이하, 단지 "단면"이라고도 한다.)의 형상이 L자 형상 또는 대략 L자 형상을 갖는다. 보강환(10)은, 예를 들어, 축선(x)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또는 대략 원통형의 부분인 원통부(11)와, 원통부(11)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주 측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 원반형상 부분인 원반부(12)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봇의 관절부의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밀봉장치(1)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형태와 같이 탄성체부(20) 부분을 통하여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 직접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탄성체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환(10)에 부착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강환(10) 전체를 덮도록 보강환(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씰 립(21)을 가지고 있다. 또, 탄성체부(20)는, 환형상의 립 허리부(25)와 환형상의 더스트 립(26)을 가지고 있다. 립 허리부(25)는, 탄성체부(20)에 있어서, 보강환(10)의 원반부(12)의 내주측 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더스트 립(26)은, 씰 립(21)보다 외측(화살표 a방향 측)에 마련되어 있고 축선(x)을 향해 연장되는 환형상의 립이다. 씰 립(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대상의 축에 이 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더스트 립(26)은, 축에 이 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씰 립(21)은,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 허리부(25)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축선(x)을 중심 또는 대략 중심으로 하는 환형상의 부분이며, 보강환(10)의 원통부(11)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씰 립(21)은, 내측의 단부에, 단면 형상이 내주 측을 향해 볼록한 쐐기형상인 환형상의 립 선단부(21a)를 가지고 있다. 립 선단부(21a)는, 부착대상의 축으로 접촉하여 이 축과 밀봉장치(1)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부분으로서, 밀봉측면(22)과 외부측면(23)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또, 씰 립(21)의 외주 측에는, 밀봉측면(22) 및 외부측면(23)에 배향하는 위치에, 즉 립 선단부(21a)에 배향하는 위치에, 밀봉장치(1)가 구비하는 가터 스프링(30)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가터 스프링(30)은, 씰 립(21)을, 구체적으로는 립 선단부(21a)를 축선(x)을 향하는 방향으로 눌러, 립 선단부(21a)에 축에 대한 소정 크기의 조임력을 준다. 씰 립(21)은, 밀봉측면(22) 및 외부측면(23)에 배향하는 위치에, 즉 립 선단부(21a)에 배향하는 위치에, 환형상의 내주 측으로 오목한 홈인 수용홈(21b)을 가지고 있으며, 가터 스프링(30)은 이 수용홈(21b)에 수용되어 있다.
씰 립(21)에 있어서, 밀봉측면(22) 및 외부측면(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립 선단부(21a)를 형성하는 부분이며, 밀봉측면(22) 및 외부측면(23)은 내주 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서로 접속하고 있으며, 이 접속하는 부분에 부착대상인 축과 접촉하는 부분인 립 선단(24)을 형성하고 있다. 밀봉측면(22)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대상물 측(내측)을 향하는 면이며, 축선(x)에 직교하는 면(평면(p)) 상에서 연장되는 링 형상의 평면이다. 즉, 밀봉측면(22)은 평면(p)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밀봉측면(22)과 축선(x)이 이루는 각도는 90°가 된다. 외부측면(23)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측면(22)의 내주측 가장자리(립 선단(24))에서 외측으로 축선(x)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환형상의 면이며, 축선(x)을 따라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고 있다. 외부측면(23)은, 예를 들어 원추면 형상 또는 대략 원추면 형상의 면이다. 외부측면(23)은, 축선(x)을 따라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고 있는 곡면일 수도 있고, 그 밖에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이 확대되는 면일 수도 있다.
더스트 립(26)은, 립 허리부(25)로부터 외측으로 축선(x)을 향해 연장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 허리부(25)로부터 외측 및 내주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더스트 립(26)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립 선단부(21a) 방향으로의, 오수나 모래, 먼지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더스트 립(26)은, 축에 맞닿지 않고 근접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탄성체부(20)는, 개스킷부(27)와, 후방 커버부(28)와, 라이닝부(29)를 가지고 있다. 개스킷부(27)는, 탄성체부(20)에 있어서, 보강환(10)의 원통부(11)를 외주측에서 덮는 부분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대상에 있어서 축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에 밀봉장치(1)가 압입되었을 때, 이 관통구멍과 보강환(10)의 원통부(11)와의 사이에 있어서 직경방향으로 압축되어, 직경방향을 향하는 힘인 끼워맞춤력이 소정의 크기로 발생하도록, 직경방향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후방 커버부(28)는 보강환(10)의 원반부(12)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부분이며, 라이닝부(29)는 보강환(10)을 내측 및 내주측으로부터 덮는 부분이다.
또한, 탄성체부(20)는 탄성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씰 립(21), 립 허리부(25), 더스트 립(26), 개스킷부(27), 후방 커버부(28), 및 라이닝부(29)는, 탄성재로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부(20)의 각각의 부분이다.
보강환(10)의 금속재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SPCC(냉간압연강)가 있다. 또, 탄성체부(20)의 탄성체로서는, 예를 들어, 각종 고무재가 있다. 각종 고무재로서는,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수소 첨가 니트릴 고무(H-NBR), 아크릴 고무(ACM), 불소 고무(FKM) 등의 합성고무가 있다. 보강환(10)은,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이나 단조에 의해 제조되고, 탄성체부(20)는 성형 틀을 이용하여 가교(가류)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이 가교 성형시에, 보강환(10)은 성형 틀 안에 배치되고, 탄성체부(20)가 가교 접착에 의해 보강환(10)에 접착되어, 탄성체부(20)가 보강환(10)과 일체로 성형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밀봉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부착대상의 일례인 로봇의 관절부(50)에 부착된 부착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장치(1)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관절부(50)의 밀봉장치(1)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축선(x)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부착대상인 로봇은, 예를 들어 산업용 로봇이며, 관절부에 의해 암을 구성하는 링크를 회동시켜 작업을 행한다. 밀봉장치(1)는, 관절부(50)의 하우징(51)에 형성된 관통구멍(52)과, 관통구멍(52)을 관통하는 축으로서의 출력축(53)과의 사이의 환형상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서 관통구멍(52)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출력축(53)은, 도시하지 않은 관절부(50)의 감속장치의 출력축이며, 관통구멍(52)으로부터 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링크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축(53)은, 감속장치에 의해 감속된 힘을 링크에 전달한다. 감속장치는, 다수의 톱니바퀴나 베어링 등의 구동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감속장치의 구동부재의 원활한 구동이나 마모 방지를 위해서 구동부재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적용되어 있다. 밀봉장치(1)는, 하우징(51) 내에 그리스를 담고 있다. 관절부(50)는 공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고,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밀봉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상태에 있어서 관절부(50)의 하우징(51)에 형성된 관통구멍(52)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관통구멍(52)에는 감속장치의 출력축(53)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53)은, 감속장치의 제어에 의해, 축선(x) 주위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출력축(53)은, 차량의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액슬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지는 않고, 저속으로 회전한다. 출력축(53)의 원주속도는, 예를 들어, 2m/초 이하이다.
하우징(51)의 관통구멍(52)에 있어서, 출력축(53)의 외주면(53a)과 관통구멍(52)의 내주면(52a)과의 사이는, 밀봉장치(1)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밀봉장치(1)는 관통구멍(52)에 끼워맞춰지고, 보강환(10)의 원통부(11)와 관통구멍(52)의 내주면(52a)과의 사이에 탄성체부(20)의 개스킷부(27)가 압축되어 개스킷부(27)가 관통구멍(52)의 내주면(52a)에 밀착되고, 외주 측에 있어서 밀봉장치(1)와 관통구멍(52)과의 사이가 밀봉되어 있다. 또, 탄성체부(20)의 씰 립(21)의 립 선단부(21a)는,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출력축(5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씰 립(21)은, 립 선단부(21a)에 있어서 소정의 간섭 마진을 갖고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가터 스프링(30)의 조임력에 의해, 출력축(53)에 접촉되어 있는 립 선단부(21a)는,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지고 있다.
부착상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씰 립(21)의 립 선단부(21a)가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소정의 간섭 마진을 갖고 접촉하고 있어, 씰 립(21)은 변형 또는 이동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측면(22)은 외측으로 기울어져, 밀봉측면(22)은 축선(x)에 직교하는 평면(p)에 대해서 외측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태가 된다. 결국,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 선단(24)에 접촉하는 평면(p)에 외측으로부터 밀봉측면(22)이 대향하여, 립 선단(24)에 접촉하는 평면(p)과 밀봉측면(22)과의 사이에 각도(경사각(θ))가 형성된다. 경사각(θ)은 0보다 큰 값이 된다. 예를 들어, 씰 립(21)이, 립 허리부(25)에 대해서 경사지는 것에 의해, 또는 립 허리부(25) 근방의 부분에 있어서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밀봉측면(22)은 기울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장치(1)에 있어서는, 립 선단부(21a)가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소정의 간섭 마진을 갖고 접촉하고, 또, 가터 스프링(30)에 의해 립 선단부(21a)가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지고, 이것에 의해, 내주 측에 있어서 밀봉장치(1)와 출력축(53)과의 사이가 밀봉되어, 하우징(51)의 내부에 저장된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 더스트 립(26)은, 그 선단 가장자리가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출력축(53)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맞닿아 있어, 하우징(51)의 외부로부터 이물이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더스트 립(26)은, 출력축(53)에 맞닿아 있지 않아도 된다.
종래의 밀봉장치도, 전술한 립 선단부(21a)와 마찬가지로, 씰 립이 출력축에 접촉하고, 또, 가터 스프링에 의해 출력축에 밀어붙여져, 그리스의 외부로의 누출이 방지되고 있지만,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낮고, 또, 관절부의 감속장치의 구동부재의 운동에 의해 그리스가 밀리기 때문에, 그리스가 씰 립을 넘어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있었다. 이것에 비해서, 밀봉장치(1)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22)이 평면(p)에 대해서 경사각(θ)을 갖고 외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도 4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장치에 의해 밀린 그리스가 씰 립(21)의 밀봉측면(22)에 접촉하여, 밀봉측면(22)을 유동압력(F)의 힘으로 밀지만, 유동압력(F)은 밀봉측면(2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리는 힘이며, 직경방향에 있어서 내주 측을 향하는 분력(가압력(Fx))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 가압력(Fx)에 의해 밀봉측면(22)은 내주 측으로 밀리고, 립 선단부(21a)는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진다. 이 가압력(Fx)이 립 선단부(21a)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립 선단부(21a)는, 종래의 밀봉장치의 씰 립보다 강한 힘으로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지고, 이 때문에, 그리스의 누출이 더욱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에 의하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출력축(53)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씰 립(21)(립 선단부(21a))이 출력축(53)에 맞닿을 때, 밀봉측면(22)을 축선(x)에 직교하는 면(평면(p))에 대해서 외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에 의한 밀봉방법에 의하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출력축(53)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의 밀봉측면(2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축선(x)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밀봉장치(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측면(22)은, 축선(x)에 직교하는 평면(p)을 따라 연장되지 않고, 평면(p)으로부터 외측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면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밀봉측면(22)은, 평면(p)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α°) 기울어져 있다. α는 0보다 큰 값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밀봉측면(22)은, 축선(x)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확대되고 있어, 예를 들어, 원추면 또는 대략 원추면이며, 그 외 곡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밀봉측면(22)은, 축선(x)에 직교하는 선(평면(p)이 그리는 선)에 대해서 외측으로 경사지는 직선을 그리는 것이 아닐 수도 있고, 축선(x)에 직교하는 선에 대해서 외측으로 경사지는 곡선을 그리는 것일 수도 있고,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선을 그리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밀봉측면(22)을 가지는 밀봉장치(1)도, 부착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밀봉장치(1)와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그리스의 가압력(Fx)이 립 선단부(21a)에 가해지도록 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축선(x)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에 비해서, 밀봉측면의 구조가 상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에 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는, 밀봉장치(1)의 밀봉측면(22) 대신에 밀봉측면(40)을 가지고 있다. 밀봉측면(40)은, 축선(x)에 직교하는 평면(p)에 대해서 밀봉 대상물 측(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또, 밀봉측면(40)은, 부착상태에 있어서, 또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씰 립(21)이 부착대상 내의 그리스에 의해 가압되어, 평면(p)에 대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밀봉측면(40)은, 부착상태에 있어서, 또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씰 립(21)이 부착대상 내의 그리스에 의해 가압되어, 평면(p)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측면(40)은, 립 선단(24)을 통과하는 평면(p)에 대해서, 내측(화살표 b방향 측)으로 소정의 각도(각도(β))를 갖고 기울어져 연장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밀봉측면(40)은, 립 선단(24)을 통과하는 평면(p)에 대해서 각도(β)를 갖고 경사져 있는 부분인 경사부(41)와, 경사부(41)의 외주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외주부(42)를 가지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는, 축선(x)에 직교하는 선(평면(p)이 그리는 선)에 대해서 내측으로 기울어진 직선을 그리는 것이 아닐 수도 있고, 축선(x)에 직교하는 선에 대해서 내측으로 기울어진 곡선을 그리는 것일 수도 있고,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선을 그리는 것일 수도 있다. 경사부(41)는, 원추면 형상 또는 대략 원추면 형상의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면이며, 평면(p)에 대해서 내측으로 각도(β)를 갖고 경사져 있다. 외주부(42)는, 중공 원반형상의 축선(x) 주위에서 환형상인 면이며, 평면(p)을 따라 또는 평면(p)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고 있다. 외주부(42)는, 평면일 수도 있고, 곡면일 수도 있다. 밀봉측면(40)은, 외주부(42)를 가지지 않고, 경사부(41)만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경사부(41)의 각도(β)는, 60° 이상 90°보다 작은 값(60° ≤ β < 90°)으로 설정되어 있다. 각도(β)가 60° ≤ β < 90°이면,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를, 전술한 밀봉장치(1)의 밀봉측면(22)과 마찬가지로, 평면(p)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평면(p)과 평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가, 평면(p)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거나, 또는 평면(p)과 평행이 되지 않아도, 각도(β)가 60° ≤ β < 90°이면, 사용상태에 있어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가 그리스에 밀려, 경사부(41)가, 평면(p)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평면(p)과 평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할 수 있는 각도(β)라면, 경사부(41)의 각도(β)는 60° ≤ β < 90°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밀봉장치(2)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의 각각의 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밀봉장치(2)가 전술한 밀봉장치(1)와 같이 로봇의 관절부(50)에 부착된 부착상태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 립(21)의 립 선단부(21a)는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소정의 간섭 마진을 갖고 접촉하며, 씰 립(21)은 변형 또는 이동하여,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는 도 6에 나타내는 자유상태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기울어진다.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는, 자유상태에 있어서의 경사부(41)의 각도(β)의 값에 따라서, 제1 부착상태, 제2 부착상태, 및 제3 부착상태의 3개의 부착상태로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는, 축선(x)에 직교하는 평면(p)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상태로 된다.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 선단(24)에 접촉하는 평면(p)에 외측으로부터 경사부(41)가 대향하고, 립 선단(24)에 접촉하는 평면(p)과 경사부(41)와의 사이에 각도(경사각(θ))가 형성된다. 경사각(θ)은 0보다 큰 값이 된다.
이와 같이, 제1 부착상태가 되는 밀봉장치(2)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부착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장치(1)와 마찬가지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가 평면(p)에 대해서 경사각(θ)을 갖고 외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밀봉장치(1)와 마찬가지로(도 4 참조), 사용상태에 있어서 감속장치에 의해 밀린 그리스가 씰 립(21)의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에 접촉하고, 경사부(41)를 경사부(41)에 직교하는 방향의 유동압력(F)의 힘으로 누른다. 이 유동압력(F)에 의해, 직경방향 내주 측을 향하는 분력인 가압력(Fx)이 발생하고, 이 가압력(Fx)에 의해 립 선단부(21a)는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진다. 이 가압력(Fx)이 립 선단부(21a)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립 선단부(21a)는, 종래의 씰 립보다 강한 힘으로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지고, 이 때문에, 그리스의 누출이 더욱 억제된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는, 축선(x)에 직교하는 평면(p)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41)의 축선(x)에 대한 경사각(θ)은 0°가 된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는, 립 선단(24)을 통과하는 평면(p)에 대해서 내측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 선단(24)에 접촉하는 평면(p)에 내측으로부터 경사부(41)가 배향되어, 평면(p)과 경사부(41)와의 사이에 각도(경사각(θ))가 형성된다. 경사각(θ)은 0보다 작은 마이너스의 값(평면(p)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각도)이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제2 부착상태로 된 밀봉장치(2), 및, 도 9에 나타내는 제3 부착상태로 된 밀봉장치(2)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씰 립(21)이 그리스에 의해 유동압력(F)의 힘으로 밀려 그리스의 누출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는,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가 평면(p)에 대해서 외측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상태에 있어서, 경사부(41)는 유동압력(F)으로 그리스에 의해 밀리고, 이 유동압력(F)에 의해 경사부(41)는 외측으로 넘어가 경사부(41)의 경사각(θ)은 0 이상의 값으로 되어, 경사부(41)는, 립 선단(24)에 접촉하는 평면(p)에 대해서 외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평면(p)에 평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제2 부착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장치(2)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그리스의 유동압력(F)을 수직으로 받아, 결국 축선(x)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동압력(F)을 받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에 의해 밀린 경사부(41)는 외측으로 기울어져, 경사부(41)는 평면(p)보다 외측으로 경사지고, 경사부(41)의 경사각(θ)은 0보다 커진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제3 부착상태에 있어서의 밀봉장치(2)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그리스의 유동압력(F)을 받아, 구체적으로는 유동압력(F)의 축선(x)에 평행한 방향의 분력인 가압력(Fy)을 받고,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에 의해 밀린 경사부(41)는 외측으로 기울어져, 경사부(41)는 평면(p)보다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경사부(41)는 평면(p)과 평행하게 되어, 경사부(41)의 경사각(θ)은 0 이상이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그리스의 유동압력(F)에 의해, 경사부(41)가 평면(p)보다 외측으로 경사진 상태(경사각(θ) > 0)가 되면, 전술한 도 7의 부착상태에서와 같이, 유동압력(F)의 직경방향 내주 측을 향하는 분력인 가압력(Fx)이 발생되고, 이 가압력(Fx)에 의해 립 선단부(21a)는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진다. 이 가압력(Fx)이 립 선단부(21a)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립 선단부(21a)는, 종래의 씰 립보다 강한 힘으로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지고, 이 때문에, 그리스의 누출이 더욱 억제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그리스의 유동압력(F)에 의해, 경사부(41)가 평면(p)과 평행한 상태(경사각(θ) = 0)가 되면, 경사부(41)에는 축선(x)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유동압력(F)이 걸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립 선단부(21a)를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이는 힘(가압력(Fx))이 경사부(41)에 가해지지 않지만, 립 선단부(21a)를 출력축(53)의 외주면(53a)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직경방향 외주 측을 향한 가압력(Fx)도 경사부(41)에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그리스의 누출이 더욱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의 부착상태(제1 부착상태) 또는 사용상태(제2 부착상태에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밀봉측면(40)이 직경방향의 가압력(Fx)을 그리스로부터 받아, 립 선단부(21a)가 출력축(53)에 밀어붙여진다. 이 가압력(Fx)이 립 선단부(21a)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립 선단부(21a)는, 종래의 씰 립보다 강한 힘으로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지고, 이 때문에 그리스의 누출이 더욱 억제된다.
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의 제3 부착상태에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립 선단부(21a)는 축선(x)에 직경방향 외주 측을 향하는 가압력(Fx)을 그리스로부터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립 선단부(21a)는, 종래의 씰 립보다 강한 힘으로 출력축(53)의 외주면(53a)에 밀어붙여져, 그리스의 누출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에 의하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출력축(53)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씰 립(21)(립 선단부(21a))이 출력축(53)에 맞닿은 부착상태(제1 부착상태)에 있어서,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를 립 선단(24)으로부터 평면(p)보다 외부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에 의한 밀봉방법에 의하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출력축(53)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씰 립(21)(립 선단부(21a))이 출력축(53)에 맞닿은 부착상태(제2 또는 제3 부착상태)의 밀봉장치(2)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그리스의 유동압력(F)이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에 걸리게 하여,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를 평면(p)보다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밀봉측면(40)의 경사부(41)를 평면(p)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2)에 의한 밀봉방법에 의하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출력축(53)에 대한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 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개념 및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태양을 포함한다. 또, 상술한 과제 및 효과 중 적어도 일부를 거둘 수 있도록, 각각의 구성을 적절히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형상, 재료, 배치, 사이즈 등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 태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 2)의 적용대상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적용대상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대상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로봇, 범용 기계, 산업 기계 등, 본 발명이 거둘 수 있는 효과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구성에 대해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 2: 밀봉장치, 10: 보강환, 11: 원통부, 12: 원반부, 20: 탄성체부, 21: 씰 립, 21a: 립 선단부, 21b: 수용홈, 22, 40: 밀봉측면, 23: 외부측면, 24: 립 선단, 25: 립 허리부, 26: 더스트 립, 27: 개스킷부, 28: 후방 커버부, 29: 라이닝부, 30: 가터 스프링, 41: 경사부, 42: 외주부, 50: 관절부, 51: 하우징, 52: 관통구멍, 52a: 내주면, 53: 출력축, 53a: 외주면, F: 유동압력, Fx, Fy: 가압력, p: 평면, θ: 경사각

Claims (9)

  1. 부착대상에 있어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축과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로서,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과,
    상기 보강환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탄성체로 형성된 탄성체부와,
    가터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부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축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축에 맞닿는 환형상의 씰 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터 스프링은 상기 씰 립을 상기 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며,
    상기 씰 립은,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밀봉측면과,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에 접속하고, 상기 밀봉 대상물 측과는 반대쪽인 외부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외부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측면은, 부착상태에 있어서 상기 씰 립이 상기 축에 맞닿을 때, 또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상 내의 윤활제가 상기 축에 맞닿은 상기 씰 립을 가압할 때,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대해, 상기 내주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외부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다만, 자유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의 전체가 상기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일 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제외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유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대해, 상기 내주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외부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유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대해, 상기 내주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착상태 또는 상기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이 상기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상기 내주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외부 측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도록, 상기 자유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밀봉측면의 상기 직교하는 면에 대한 각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평탄한 면, 또는 상기 밀봉 대상물 측으로부터 상기 외부 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6.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은, 상기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 립은, 상기 밀봉측면 및 상기 외부측면에 배향하는 위치에 내주 측으로 오목한 홈인 환형상의 수용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터 스프링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8. 부착대상에 있어서의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축과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로서, 상기 밀봉장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보강환과, 상기 보강환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인 탄성체로 형성된 탄성체부와, 가터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부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축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상기 축에 맞닿는 환형상의 씰 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터 스프링은 상기 씰 립을 상기 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며, 상기 씰 립은, 밀봉 대상물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밀봉측면과, 상기 밀봉측면에 내주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접속하고 상기 밀봉 대상물 측과는 반대쪽인 외부 측을 향하는 축선 주위에서 환형상의 면인 외부측면을 가지고 있는,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 대상물의 밀봉방법으로서,
    상기 밀봉장치를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 장착시켜 상기 씰 립이 상기 축에 맞닿을 때, 또는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상 내의 윤활제가 상기 축에 맞닿은 상기 씰 립을 가압할 때,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 대해, 상기 밀봉측면을, 상기 내주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외부 측을 향하도록 경사시키는 (다만, 상기 밀봉장치로서, 자유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측면의 전체가 상기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일 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씰 립은, 상기 밀봉측면 및 상기 외부측면에 배향하는 위치에 내주 측으로 오목한 홈인 환형상의 수용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터 스프링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KR1020207024496A 2018-06-13 2019-05-29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 Active KR102451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3178 2018-06-13
JP2018113178 2018-06-13
PCT/JP2019/021254 WO2019239891A1 (ja) 2018-06-13 2019-05-29 密封装置及び密封装置による密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259A KR20200130259A (ko) 2020-11-18
KR102451021B1 true KR102451021B1 (ko) 2022-10-06

Family

ID=6884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496A Active KR102451021B1 (ko) 2018-06-13 2019-05-29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18099A1 (ko)
EP (1) EP3809024A4 (ko)
JP (1) JP7042909B2 (ko)
KR (1) KR102451021B1 (ko)
CN (1) CN111788418B (ko)
WO (1) WO2019239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5149B3 (de) 2020-02-27 2021-05-06 Carl Freudenberg Kg Dichtring und dessen Verwend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753A (ja) 2003-12-22 2005-07-07 Nok Corp 圧力開放弁
JP2011089609A (ja) 2009-10-23 2011-05-06 Nabtesco Corp ロボットの関節駆動装置
US20190003595A1 (en) 2017-07-03 2019-01-03 Aktiebolaget Skf Radial Fluid Sea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7603A (en) * 1936-11-06 1939-07-25 Victor Mfg & Gasket Co Grease retainer with unitary diaphragms and supports
US2797944A (en) * 1952-12-05 1957-07-02 Gen Motors Corp Fluid seal
US2736584A (en) * 1952-12-05 1956-02-28 Gen Motors Corp Fluid seal
US2695801A (en) * 1953-10-23 1954-11-30 Victor Mfg & Gasket Co Fluid seal
US3554561A (en) * 1966-09-06 1971-01-12 Gen Motors Corp Unidirectional pumping seal
US3504919A (en) * 1966-10-25 1970-04-07 Angus George Co Ltd Shaft seals
JPS4610366B1 (ko) * 1967-07-06 1971-03-16
US4844484A (en) * 1988-06-28 1989-07-04 Dana Corporation Floating lip seal with reinforced flexible portion
US6513812B1 (en) * 1997-05-05 2003-02-04 Arvinmeritor Technology, Llc Combined lip seal and turbine seal
JP2003035373A (ja) * 2001-07-23 2003-02-07 Toyota Industries Corp 軸封装置及び該軸封装置を備えた圧縮機、軸封方法
JP2004190844A (ja) * 2002-12-13 2004-07-08 Eagle Ind Co Ltd シール装置
DE10325254C5 (de) * 2003-06-03 2011-03-31 Carl Freudenberg Kg Montageschutzring
US8734022B2 (en) * 2010-04-21 2014-05-27 Aktiebolaget Skf Sealing device for a hub and a bearing assembly including the sealing device
JP2012127463A (ja) 2010-12-17 2012-07-05 Toyota Motor Corp シールリング
JP2017089803A (ja) 2015-11-12 2017-05-25 光洋シーリングテクノ株式会社 密封装置
JP6868983B2 (ja) 2016-08-23 2021-05-12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6807684B2 (ja) * 2016-09-08 2021-01-0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シール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753A (ja) 2003-12-22 2005-07-07 Nok Corp 圧力開放弁
JP2011089609A (ja) 2009-10-23 2011-05-06 Nabtesco Corp ロボットの関節駆動装置
US20190003595A1 (en) 2017-07-03 2019-01-03 Aktiebolaget Skf Radial Fluid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9891A1 (ja) 2019-12-19
JP7042909B2 (ja) 2022-03-28
CN111788418B (zh) 2023-05-09
EP3809024A1 (en) 2021-04-21
CN111788418A (zh) 2020-10-16
KR20200130259A (ko) 2020-11-18
US20210018099A1 (en) 2021-01-21
EP3809024A4 (en) 2022-03-02
JPWO2019239891A1 (ja)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1968B2 (en) Sealing device for differential mechanism
KR102451021B1 (ko)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에 의한 밀봉방법
JP2016196928A (ja) 密封装置
JP6566384B2 (ja) 密封装置
JP6650742B2 (ja) 密封装置
WO2021039839A1 (ja) 密封装置
EP3779246A1 (en) Seal device
CN110630745B (zh) 密封装置
CN112204278B (zh) 密封装置
JP6628207B2 (ja) 密封装置
CN221723405U (zh) 密封装置
JP2018028326A (ja) 密封装置
JP2024056552A (ja) 密封構造
JP2020183774A (ja) 密封装置、及び、密封構造
JPH0559056U (ja) オイルシール
JP2021188623A (ja) 密封装置
CN111902662A (zh) 密封装置
KR20080062453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오일 씰
KR20190002037A (ko) 오일 씰
JP2015232363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