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0541B1 -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541B1
KR102450541B1 KR1020210064087A KR20210064087A KR102450541B1 KR 102450541 B1 KR102450541 B1 KR 102450541B1 KR 1020210064087 A KR1020210064087 A KR 1020210064087A KR 20210064087 A KR20210064087 A KR 20210064087A KR 102450541 B1 KR102450541 B1 KR 10245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lifting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ti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환
Original Assignee
윤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환 filed Critical 윤기환
Priority to KR102021006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6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mounted on a turntable, i.e. on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arallel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29C2045/665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a screw or screws having differently threaded parts arranged in s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서 상부프레임과 유압실린더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유압실린더의 상방향 및 측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턴테이블과 이젝터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하부금형의 정위치 정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TIE BAR LESS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서 상부프레임과 유압실린더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유압실린더의 상방향 및 측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턴테이블과 이젝터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하부금형의 정위치 정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사출물이 주입되는 금형이 사출장치에 대해 수직적인 상, 하로 형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사출재료를 녹여서 금형에 사출하는 사출기장치는 금형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적으로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주입하게 되는 입형식과, 이와는 반대로 금형이 사출장치에 대해 수평적인 좌, 우로 형 개폐되도록 설치되고, 사출기장치가 금형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이동하면서 사출물을 주입하게 되는 횡형식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입형식은 사출장치에 대하여 금형이 수직적인 상, 하로 형 개폐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로 인서트 제품의 사출에 적합하고, 횡형식 사출기장치는 한번의 사출로 완성되는 제품의 성형에 적합한 것이다.
입형식 사출기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알갱이 형태의 사출재료를 녹여서, 금형틀에 사출하는 사출기장치와 상기 사출기장치 및 금형틀을 상, 하부금형으로 분리 및 폐쇄되도록 수직적으로 상, 하 작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 및 사출기장치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종래 입형식 사출기장치의 일 예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1996-026848호 "액체 실리콘 사출기"(공개일자 : 1996.08.17)에 기재된 바와 같이, 3단의 지지체를 설치하고, 하판의 저면에 에어실린더를 설치하여 하부금형을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중판의 저면에 상부금형을 설치하고, 상판의 상부에 에어실린더를 설치하여 실린더로드를 실리콘 저장용기와 고정하여 에어실린더에 의해 저장용기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실리콘을 상부금형의 주입공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 사출기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는 승강몸체가 유압의 누유 등의 고장 원인으로 인해 추락하게 될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별도의 안전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기존 수직 사출성형기는 가동플래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타이바가 마련되고, 상기 타이바는 턴테이블의 외측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타이바가 설치되는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사출 성형품의 성형 크기에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기 자체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바가 사출성형의 중심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출 작업시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 타이바가 있는 사출성형기일 경우에는 복수의 타이바가 몰드플래턴의 테두리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몰드플래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지지하고 있으므로, 각 타이바의 가공 단차가 발생할 경우 복수의 타이바에 의해 지지되는 몰드플래턴의 승강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출 제품에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존 수직 사출성형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미국 등록 특허 06334765호 "C-형태 프레임을 가지는 사출성형기"(등록일자 : 2002.01.0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및 이동 가능한 몰드 플래턴에 의해 지지된 주형 절반부 사이에 생성된 폐쇄력에 의해 개폐되는 C형태 프레임으로, 열가소성 합성 물질을 위한 사출성형기로서, 폐쇄력을 감지하기 위해 거리측정장치는 C형태 프레임의 최소한 하나의 림브의 개구된 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몰드 플래튼중 이동 플래턴은 LM가이드 형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데, 유압실린더의 유압력을 이용한 금형 사출작업시 발생되는 압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프레임의 휨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휨 변형시 금형 전면부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사출제품에 버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동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1282호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등록일자 : 2018.09.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측 상면에 턴테이블이 마련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면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가지며 측벽의 전면에 몰드플래턴의 양측 테두리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측벽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플래턴의 상,하 승강을 지지하여 금형을 개폐하는 클램핑유닛과, 하측면에 상부금형이 장착되고 상기 클램핑유닛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며 좌,우 양측에 홈부가 형성된 몰드플래턴과, 상기 몰드플래턴의 상측에 탑재되고 액상의 사출원료가 공급되는 배럴어셈블리와, 상기 배럴어셈블리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몰드플래턴에 탑재되는 인젝션유닛과, 상기 몰드플래턴의 좌,우 양측에 측방향으로 핀 결합되는 링크핀, 및 상부가 상기 클램핑유닛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몰드플래턴의 홈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링크핀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안착되며 하부가 조립볼트로 몰드플래턴에 결합되고 휨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중간 부위에 상측과 하측의 두께보다 얇은 플렉시블부가 형성된 무빙블록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무빙블록을 승강시키는 중에 사출 압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에 대한 반작용에 의한 반발 하중을 감쇄시키는 유용한 이점을 갖고 있으나, 상부프레임에 결합된 유압실린더가 반발 하중에 의해 상측으로 움직이거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 금형 코어와 제품을 분리시키도록 제품을 취출하는 이젝터는 단순히 제품 취출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하부금형의 고정 및 정위치 정렬 기능을 구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1996-026848호 "액체 실리콘 사출기"(공개일자 : 1996.08.17) 미국 등록 특허 06334765호 "C-형태 프레임을 가지는 사출성형기"(등록일자 : 2002.01.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1282호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등록일자 : 2018.09.1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서 상부프레임과 유압실린더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유압실린더의 상방향 및 측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턴테이블과 이젝터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하부금형의 정위치 정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턴테이블 및 이젝터가 마련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체를 가지며, 상,하로 승강가능한 몰드플래턴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몰드플래턴을 상,하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가 구비된 복수의 승강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승강유니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플래턴의 상측에 배치되어 액상의 사출원료를 공급하는 배럴어셈블리; 및 상기 승강유니트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중앙의 제1이젝터 구멍과, 상기 제1이젝터 구멍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형성된 제2,3이젝터 구멍과, 상기 제2,3이젝터 구멍의 상부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된 제1,2단턱부와, 상기 제1,2단턱부 상측에 각각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턴테이블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부금형에 형성된 핀결합공에 끼워지는 이젝터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승강유니트의 유니트 몸체에 상기 결합홈부 내로 진입가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유니트 몸체를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체결볼트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승강유니트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단턱진 걸림턱이가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승강유니트의 좌,우측에 각각 상기 결합판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판의 좌,우측을 감싸는 연장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유니트는 유압실린더가 일체로 지지되는 유니트 몸체와, 상기 유니트 몸체에 지지되어 몰드플래턴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이젝터 연결구는 상기 제1,2단턱부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제1,2단턱부와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중앙에 이젝터 핀이 출몰 가능하게 출몰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 돌출부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2단턱부로부터 이젝터 연결구를 인양시키는 인양볼트가 체결되도록 인양공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서 상부프레임과 승강유니트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출 성형 작업중에 발생되는 사출 압력에 대한 반발 하중에 의해 승강유니트의 상방향 및 좌,우 측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젝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젝터 연결구의 상부가 턴테이블의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게 되어 하부금형과의 결합시 턴테이블의 상측에서 하부금형의 정위치 정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중에 하부금형의 흔들림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스톱퍼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스톱퍼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턴테이블에 결합되는 이젝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이젝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상,하부금형과 이젝터 연결구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면에 턴테이블(150) 및 이젝터(700)가 마련되는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체를 가지며, 상,하로 승강가능한 몰드플래턴(30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가 마련된 상부프레임(200)과; 상기 상부프레임(200)에 결합되고 상기 몰드플래턴(300)을 상,하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450)가 구비된 복수의 승강유니트(400)와; 상기 복수의 승강유니트(40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플래턴(3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액상의 사출원료를 공급하는 배럴어셈블리(500); 및 상기 승강유니트(400)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100)은 상측에 턴테이블(150)이 로테이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턴테이블(150)에 이젝터 핀(740)의 출몰이 가능한 이젝터(700)가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젝터(700)의 상측에는 하부금형(20)이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부금형(10)의 상측에서 몰드플래턴(300)이 하강동작된 후에 배럴어셈블리(500)를 통해 액상의 사출원료가 상,하부금형(10,20)이 형합된 캐비티의 내부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상측에는 벽체에 의해 상부프레임(200)이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의 유압실린더(450)를 갖는 승강유니트(400)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승강유니트(400)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50)가 일체로 지지되는 유니트 몸체(410)와, 상기 유니트 몸체(410)에 지지되어 몰드플래턴(30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450)로 구성된다.
상기 유니트 몸체(410)는 상부프레임(200)에 복수의 볼트로 체결되는 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스톱퍼수단(600)의 걸림턱(625)과 간섭되도록 후면 상부에 고정턱(615)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유니트(400)의 좌,우 외측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커버(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수단(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수단(600)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610)와, 상기 승강유니트(400)의 유니트 몸체(410)에 상기 결합홈부(610) 내로 진입가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부(620), 및 상기 상부프레임(200)과 유니트 몸체(410)를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체결볼트(6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결합홈부(610)는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중간부위 높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620)는 상기 결합홈부(610) 내로 진입되도록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체결볼트(630)는 상기 결합홈부(610) 내에 결합돌부(620)가 진입되어 요철방식으로 결합된 후에, 상기 상부프레임(200)과 유니트 몸체(410)를 관통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결합홈부(610)와 결합돌부(620)의 요철 결합구조와 병행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00)과 유니트 몸체(4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스톱퍼수단(600)의 변형 실시 예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상부에 단턱진 걸림턱(625)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유니트(400)의 유니트 몸체(410)의 상부에 상기 걸림턱(625)이 안착되는 고정턱(615)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배럴어셈블리(500)는 상기 몰드플래턴(300)의 상측에 연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몰드플래턴(300)의 하측이 상부금형(10)의 상측에 도달하도록 하강동작됨에 따라 노즐을 통해 액상의 사출 원료를 상,하부금형(10,20)의 캐비티 내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150)의 상측으로 이젝터 핀(740)이 출몰 가능하게 마련된 이젝터(7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제1이젝터 구멍(702)과, 상기 제1이젝터 구멍(702)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형성된 제2,3이젝터 구멍(704,706)과, 상기 제2,3이젝터 구멍(704,706)의 상부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된 제1,2단턱부(710,720)와, 상기 제1,2단턱부(710,720)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150)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부금형(20)에 형성된 핀결합공(25)에 끼워지는 이젝터 연결구(750)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730"은 턴테이블(150)에 오목하게 형성된 "T"자 형태의 가이드홈(73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젝터 연결구(7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단턱부(710,7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제1,2단턱부(710,720)와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복수의 체결공(753)이 형성된 플랜지부(752)와, 상기 플랜지부(752)의 중앙에 이젝터 핀(740)이 출몰 가능하게 출몰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15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 돌출부(754)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1,2단턱부(710,720)의 상측에는 이젝터 연결구(750)가 안착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턴테이블(150)의 상면에는 이젝터 연결구(750)가 각각 안착된 제1,2단턱부(710,720)의 높이보다 제1이젝터 구멍(702)이 형성된 중간의 높이가 낮게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제1,2,3이젝터 구멍(702,704,706)에 대해 높낮이를 갖는다.
상기 이젝터 연결구(750)는 턴테이블(150)의 상측에 하부금형(20)이 안착될 경우, 이젝터핀(74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하부금형(20)의 핀결합공(25)에 끼워지게 되어 하부금형(20)이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사출 성형 중에 하부금형(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752)는 상기 제1,2단턱부(710,720)로부터 이젝터 연결구(750)를 인양시키는 인양볼트(760)가 체결되도록 복수의 인양공(755)이 형성된다.
상기 인양공(755)은 일 예로 아이볼트 형태의 인양볼트(760)가 체결되고, 상기 인양볼트(760)측에 상측으로 당기는 힘을 전달할 경우, 이젝터 연결구(750)를 제1,2단턱부(710,720)로부터 상방향으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100)의 상면에 로테이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턴테이블(150) 상에 하부금형(20)을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에 상부금형(10)을 형합시켜 상,하부금형(10,20)의 내부에 액상의 사출 원료가 공급되도록 캐비티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몰드플래턴(300) 및 배럴어셈블리(500)의 승강동작은 승강유니트(400)의 유압실린더(450)에 의해 승강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캐비티가 닫히거나 개방동작된다.
상기한 승강유니트(400)는 상부프레임(200)의 좌,우측 전면에 각각 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더라도 유압실린더(450)의 사출 성형 압력에 대한 반발 하중에 의해 유압실린더(450)가 상측이나 측면으로 밀리는 것을 스톱퍼수단(600)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젝터(700)는 제1,2단턱부(710,720)의 상측에 이젝터 연결구(750)가 안착되어 체결부재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젝터 연결구(750)가 좌,우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턴테이블(15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부금형(20)의 핀결합공(25) 내부로 진입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하부금형(20)의 정위치 정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요철구조로 결합되는 하부금형(20)의 구조적 특성상 사출 성형 중의 압력이 전달되더라도 하부금형(20)의 흔들림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에서 상부프레임(200)과 승강유니트(400)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사출 성형 작업중에 발생되는 사출 압력에 대한 반발 하중에 의해 승강유니트(400)의 상방향 및 좌,우 측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젝터(700)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젝터 연결구(750)의 상부가 턴테이블(150)의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게 되어 하부금형(20)과의 결합시 턴테이블(150)의 상측에서 하부금형(20)의 정위치 정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중에 하부금형(20)의 흔들림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부금형 20 : 하부금형
25 : 핀결합공 50 : 차단커버
100 : 하부프레임 150 : 턴테이블
200 : 상부프레임 210 : 가이드부재
300 : 몰드플래턴 400 : 승강유니트
410 : 유니트 몸체 450 : 유압실린더
500 : 배럴어셈블리 600 : 스톱퍼수단
610 : 결합홈부 615 : 고정턱
620 : 결합돌부 625 : 걸림턱
630 : 체결볼트 700 : 이젝트
702,704,706 : 제1,2,3이젝터 구멍
710,720 : 제1,2단턱부 730 : 가이드홈
740 : 이젝터 핀 750 : 이젝터 연결구
752 : 플랜지부 753 : 체결공
754 : 돌출부 755 : 인양공
760 : 인양볼트

Claims (6)

  1. 상면에 턴테이블(150) 및 이젝터(700)가 마련되는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체를 가지며, 상,하로 승강가능한 몰드플래턴(30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가 마련된 상부프레임(200)과;
    상기 상부프레임(200)에 결합되고 상기 몰드플래턴(300)을 상,하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450)가 구비된 복수의 승강유니트(400)와;
    상기 복수의 승강유니트(40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플래턴(3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액상의 사출원료를 공급하는 배럴어셈블리(500); 및
    상기 승강유니트(400)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수단(600);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700)는 중앙의 제1이젝터 구멍(702)과, 상기 제1이젝터 구멍(702)의 좌,우 양측에 이격되게 형성된 제2,3이젝터 구멍(704,706)과, 상기 제2,3이젝터 구멍(704,706)의 상부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된 제1,2단턱부(710,720)와, 상기 제1,2단턱부(710,720) 상측에 각각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턴테이블(150)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부금형(20)에 형성된 핀결합공(25)에 끼워지는 이젝터 연결구(7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수단(600)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부(610)와,
    상기 승강유니트(400)의 유니트 몸체(410)에 상기 결합홈부(610) 내로 진입가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부(620), 및
    상기 상부프레임(200)과 유니트 몸체(410)를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체결볼트(6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수단(600)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상부에 단턱진 걸림턱(625)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유니트(400)의 유니트 몸체(410)의 상부에 상기 걸림턱(625)이 안착되는 고정턱(6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니트(400)는 유압실린더(450)가 일체로 지지되는 유니트 몸체(410)와,
    상기 유니트 몸체(410)에 지지되어 몰드플래턴(30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연결구(750)는 상기 제1,2단턱부(710,7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제1,2단턱부(710,720)와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복수의 체결공(753)이 형성된 플랜지부(752)와,
    상기 플랜지부(752)의 중앙에 이젝터 핀(740)이 출몰 가능하게 출몰공이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턴테이블(15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 돌출부(7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752)는 상기 제1,2단턱부(710,720)로부터 이젝터 연결구(750)를 인양시키는 인양볼트(760)가 체결되도록 인양공(7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KR1020210064087A 2021-05-18 2021-05-18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Active KR10245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87A KR102450541B1 (ko) 2021-05-18 2021-05-18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087A KR102450541B1 (ko) 2021-05-18 2021-05-18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541B1 true KR102450541B1 (ko) 2022-10-05

Family

ID=8359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087A Active KR102450541B1 (ko) 2021-05-18 2021-05-18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848A (ko) 1994-12-29 1996-07-22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6334765B1 (en) 1998-10-21 2002-01-01 Engel Maschinenbau Gesellschaft M.B.H.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C-form frame
KR101497512B1 (ko) * 2013-12-13 2015-03-04 추창오 사출금형용 파팅록
KR101901282B1 (ko) 2017-09-29 2018-09-27 윤기환 타이바레스 사출성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848A (ko) 1994-12-29 1996-07-22 김주용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6334765B1 (en) 1998-10-21 2002-01-01 Engel Maschinenbau Gesellschaft M.B.H.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C-form frame
KR101497512B1 (ko) * 2013-12-13 2015-03-04 추창오 사출금형용 파팅록
KR101901282B1 (ko) 2017-09-29 2018-09-27 윤기환 타이바레스 사출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043675B (zh) 模具和卧式注塑机
US20160214297A1 (en)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EP2769827B1 (en) Blow mold unit and blow-molding machine using same
KR100876934B1 (ko)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KR101901282B1 (ko) 타이바레스 사출성형기
KR102450541B1 (ko) 타이바레스 사출 성형기
KR100436695B1 (ko) 핸드카 타입 팔레트 제조용 금형
US10207441B2 (en) Molding die and die-exchanging method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KR101079434B1 (ko) 금형용 일체형 슬라이드
KR101382603B1 (ko)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EP3305493B1 (en) Injection molding device with mold falling prevention device
CN210999727U (zh) 双色注塑模具
KR102197381B1 (ko) 런너 자동 분리형 용기입구측 사출금형
US6227835B1 (en) Machine for producing parts of foamed plastic material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KR20090120245A (ko) 게이트 자동절단 사출금형
KR200457796Y1 (ko) 립스틱 성형장치
KR100846851B1 (ko) 금형조립체의 밀핀장치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CN119238868B (zh) 一种汽车手套箱的注塑模具
CN107839175B (zh) 一种防止顶出过程中发生碰撞的安全机构
KR20050048403A (ko) 사출 금형 장치
KR101409001B1 (ko) 핸드카 파렛트 제조용 금형장치
CN219133055U (zh) 塑料盖板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