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191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0191B1 KR102450191B1 KR1020170144063A KR20170144063A KR102450191B1 KR 102450191 B1 KR102450191 B1 KR 102450191B1 KR 1020170144063 A KR1020170144063 A KR 1020170144063A KR 20170144063 A KR20170144063 A KR 20170144063A KR 102450191 B1 KR102450191 B1 KR 102450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rdation
- layer
- light emitting
- retardation plate
- organic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 H01L51/5293—
-
- H01L27/3232—
-
- H01L51/5284—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OLED의 편광판이 플랫특성을 가지며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가 포함된 위상차판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위상차판은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게 되어, OLED의 블랙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딥블랙(deep black)을 구현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비싼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역분산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위상차값이 서로 다른 두 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합지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2장의 위상차필름을 사용함에 따라 광학특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contrast by minimiz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larizing plate of the OLED has a flat characteristic and includes a retardation plate contain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Through this, the retardation plate has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ack color of the OLED, thereby improving the contrast,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eep black,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trast.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retardation plate having an expensiv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process cost can be reduced, 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re is no need to laminate and use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having different retardation values. , the simplification of the process and the cost of the process can also be reduced, and also the problem that the opt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due to the use of two retardation film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contrast by minimiz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최근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경량 및 박형의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Recently, as society enters the information age in earnest, interest in information displays that process and displa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heightened, and as the demand to use portable information media increases, the display field has developed rapidly. In response to this, various light and thin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in the spotlight.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etc. are mentioned. These flat panel display devices show excellent performance of thinness,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CRT) is rapidly being replaced.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이하, OLED라 함)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Among the above flat panel display devic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is a self-luminous device, and sinc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non-light emit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have a light weight and thin shape.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irect current low voltage driving is possible, the response speed is fast, and since the internal components are solid,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s and has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t has advantages.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러한 특성을 갖는 OLED는 크게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passive matrix type)과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으로 나뉘어 지는데,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은 신호선을 교차하면서 매트릭스 형태로 소자를 구성하는 반면,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은 화소영역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화소영역 별로 위치하도록 한다. OLEDs having these characteristics are largely divided into a passive matrix type and an active matrix type. In the passive matrix type, a device is formed in a matrix form while crossing signal lines, whereas in the active matrix type, the pixels are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a switching element for turning on/off regions, is positioned for each pixel region.
최근,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은 해상도나 소비전력, 수명 등에 많은 제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 고해상도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OLED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the passive matrix type has many limiting factors such as resolution, power consumption, lifespan, etc., so research on active matrix type OLED capable of realizing high resolution or a large scree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a typical active matrix type OLED.
도시한 바와 같이, OLED(1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14)가 형성된 기판(1)이 보호필름(1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As shown, in the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기판(1)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SP)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는 제 1 전극(11)과 제 1 전극(11)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13)과, 유기발광층(13)의 상부에는 제 2 전극(15)이 구성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11, 15)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13)은 발광다이오드(14)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OLED(10)는 제 1 전극(11)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15)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The first and
이때, 각 화소영역(SP)마다 적(R), 녹(G), 청(B), 백(W)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되며, 유기발광층(13)에서 구현되는 백색광은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각각의 화소영역(SP)은 적(R), 녹(G), 청(B), 백(W) 컬러를 발하게 된다.At this time, a separate color filter emitting red (R), green (G), blue (B), and white (W) colors is provided for each pixel area SP, and the white light implemented in the organic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14)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보호필름(12)이 형성되어, OLED(10)는 보호필름(12)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A protective film 12 in the form of a thin film is formed o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한편, 이러한 OLED(10)는 외부광의 세기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빛이 출사되는 기판(1)의 상부로 외부광 반사 차단용 편광판(20)을 부착한다.On the other hand, the OLED 10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trast is greatly reduc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external light.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a decrease in contrast due to external light, a polarizing
즉, OLED(10)는 유기발광층(13)을 통해 발광된 빛의 투과방향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편광판(20)을 위치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게 된다. That is, the OLED 10 improves the contrast by locating the polarizing
이러한 편광판(20)은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원편광판으로, 기판(1)의 외면에 부착된 위상차판(미도시)과 선편광판(미도시)으로 구성된다. The polarizing
여기서, 위상차판(미도시)은 파장분산 특성에 따라 정파장 분산(normal wavelength dispersion) 특성, 플랫파장 분산(flat wavelength dispersion) 특성, 역파장 분산(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정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미도시)은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이방성이 감소하게 되며, 플랫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미도시)은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이방성이 일정한 특성을 갖게 된다. Here, the retardation plate (not shown) can be divided into those having a normal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a fla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a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a constan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decreases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as the wavelength increases, and the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a fla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has a constant refractive index anisotropy as the wavelength increases. do.
따라서, 이러한 정파장 분산 특성 또는 플랫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미도시)은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위상지연이 감소하므로, 전압 비인가 상태에서 반사 색감은 블랙이 아닌 특정 색을 나타내게 된다. Therefore, the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such a constan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or a fla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decreases the phase delay as the wavelength increases.
즉, 정파장 분산 특성 또는 플랫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미도시)은 단파장에서와 장파장에서 측정한 입사광의 파장과 위상차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투과도가 불균일해지며, 그 결과 시감이 나빠지고, 보는 방향에 따라 색감이 틀려지게 된다. That is, since the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a normal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or a fla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h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wavelength and the phase difference value of the incident light measured at a short wavelength and a long wavelength, the transmittance becomes non-uniform, and as a result, the visibility becomes poor. The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따라서, OLED(10)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rast of the OLED 10 is lowered.
반면,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이방성이 증가하는 역파장 분산 특성의 위상차판(미도시)의 경우, 입사광의 파장이 커짐에 따라 발생하는 위상차값도 커지기 때문에 투과도가 파장에 상관없이 균일해지므로, 색상 및 시감의 변화가 거의 없어, 전압 비인가 상태에서 반사 색감은 블랙(black)을 나타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ncreases as the wavelength increases, the retardation value generated as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increases as well, so that the transmittance becomes uniform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Since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color and luminance, the reflected color appears black in a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따라서,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미도시)의 경우 딥블랙(deep black)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deep black can be implemented, and thus contrast is further improved.
그러나,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미도시)은 가격이 비싼 문제점을 갖는다. However, a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has a problem of high price.
따라서, 파장분산 특성은 동일하고 위상차값은 상이한 두 장 이상의 위상차필름(미도시)을 특정한 광축각도로 점착제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하여, 2장의 위상차필름(미도시)이 마치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미도시)으로 기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2장의 위상차필름(미도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존재에 의해 광학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며, 또한 적층되는 2개의 위상차필름의 광축이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역파장 분산 특성이 나타나지 않아, 제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Therefore,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not shown) having the sam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retardation values are laminated using an adhesive or adhesive at a specific optical axis angle, so that the two retardation films (not shown) have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Although it is intended to function as a retardation plate (not shown) having If the optical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is not accurately arranged, the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does not appear, which causes a very difficult problem in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 비 인가 상태에서 OLED의 반사색감을 개선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trast by improving the reflected color of the OLED in a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또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제공함으로써, 공정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 second object is to reduce process costs and simplify the process by provi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without using an adhesive or adhesive.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전극과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 방향의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는 선편광판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선편광판 사이에 위치하고,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며,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 linear polarizing plate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and transmitting only linearly polarized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display; Provided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positioned between a panel and the linear polarizer,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includ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이때, 상기 위상차판은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는 제 1 위상차층과,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제 2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투명수지 내에 상기 광흡수제가 포함된다. At this time, the retardation plate is composed of a first retardation layer having a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a second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and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is a transparent resin. absorbents are included.
그리고, 상기 위상차판은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or cyclic olefinpolymer: COP) 필름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광흡수제는 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Hydroxy benzotriazole, HB), 트리스-레조르시놀-트리아진 크로모포어(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 TRTC),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크로모포어(Hydroxylphenyl-benzotriazole chromophore, HBC) 계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And, the retardation plate is made by stretching a cyclo-olefin polymer or cyclic olefinpolymer (COP) film, and the light absorber is hydroxy benzotriazole (HB), tris-resorcinol-tri It consists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 (TRTC) and hydroxyphenyl-benzotriazole chromophore (HBC) series.
그리고, 상기 투명 수지는 폴리에스터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멜라민계, 폴리비닐알콜계 및 옥사졸린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편광판은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TAC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선편광판의 외측으로는 표면처리층이 구비된다. And, the transparent resin is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based, acrylic-based, polyurethane-based, melamine-based, polyvinyl alcohol-based and oxazoline-based binder resins, and the linear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ing layer and the polarizing layer.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TAC films positioned on both sides, and a surface treatment laye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inear polarizing plate.
그리고,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위상차판 사이와, 상기 위상차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로는 접착제가 개재된다.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linearly polarizing plate and the retardation plate and between the retardation plate and the display panel.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OLED의 편광판이 플랫특성을 가지며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가 포함된 위상차판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위상차판은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게 되어, OLED의 블랙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딥블랙(deep black)을 구현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OLED has flat characteristics and includes a retardation plate contain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so that the retardation plate has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ack color of the OLED, so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trast.
또한, 비싼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역분산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위상차값이 서로 다른 두 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합지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retardation plate having an expensiv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rocess cost. Since there is no need to do this,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process and reducing the cost of the process.
또한, 2장의 위상차필름을 사용함에 따라 광학특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ls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optical properties are lowered by using the two retardation films.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OLE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
도 4b는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5a는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
도 5b는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7a는 정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
도 7b는 정분산 특성을 가지며, 내부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가 포함된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
도 8은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며 내부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580 ~ 600nm인 광흡수제가 포함된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typical active matrix type OL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L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ure 2;
4A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FIG. 4B is a graph of measurement of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FIG.
5A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in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s.
FIG. 5b is a graph of measurement of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in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s; FIG.
6A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the retar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graph of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the retardation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positive dispersion characteristics.
FIG. 7b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having a positive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including a retarder contain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therein.
8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a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contain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580 to 600 nm therein.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L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2 .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발광방식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는 영역을 비발광영역(DA), 그리고 발광다이오드(114)가 형성되는 영역을 발광영역(EA)이라 정의한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area in which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is defined as a non-emission area DA, and an area in which the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크게, OLED 표시패널(110)과, 편광판(200)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OLED 표시패널(110)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114)가 형성된 기판(101)이 보호필름(120)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As shown, the
여기서, OLED 표시패널(110)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기판(101) 상의 각 화소영역(SP)의 비발광영역(DA)에는 반도체층(103)이 위치하는데,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3a) 그리고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다. Here, looking at the
이러한 반도체층(103)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4)이 위치한다. A
게이트절연막(104) 상부로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5)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미도시)이 구비된다.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게이트전극(105)과 게이트배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상부로는 제 1 층간절연막(109a)이 위치하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9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4)은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a, 106b)이 구비되어 있다. Nex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06a, 106b)과 두 전극(106a, 106b)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 제 2 층간절연막(109b)이 위치한다. A second
이때,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a, 106b)과 이들 전극(106a, 106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3)과 반도체층(103)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104) 및 게이트전극(105)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화소영역(S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위치하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ata line (not shown) that intersects the gate line (not shown) and defines the pixel area SP is located,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is the sam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s a structure, 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3)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 또는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을 예로써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써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게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for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e top gate type in which the
그리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광에 의해 문턱전압이 쉬프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체층(103)의 하부로 차광층(미도시)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may have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threshold voltage is shifted by light. In order to prevent this, a light blocking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under the
차광층(미도시)은 기판(101)과 반도체층(103) 사이에 마련되어 기판(101)을 통해서 반도체층(103) 쪽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문턱 전압 변화를 최소화 내지 방지한다. A light blocking layer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그리고, 기판(101)은 주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구부리거나 휠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예로서, 폴리이미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플라스틱 재질을 기판(101)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기판(101) 상에서 고온의 증착 공정이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1)의 전면(前面)으로 버퍼층(미도시)을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버퍼층(미도시)은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의 제조 공정 중 고온 공정시 기판(101)에 함유된 물질이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buffer layer (not shown) blocks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또한, 버퍼층(미도시)은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발광다이오드(114)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퍼층(미도시)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ffer layer (not shown) may also serve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또한, 각 화소영역(SP)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는 제 2 층간절연막(109b) 상부로는 파장변환층(107)이 위치하는데, 파장변환층(107)은 발광다이오드(114)로부터 기판(101) 쪽으로 방출되는 백색광 중 화소영역(SP)에 설정된 색상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즉, 파장변환층(107)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파장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위 화소는 인접한 제 1 내지 제 3 화소영역(SP)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화소영역에 마련된 파장변환층(107)은 적색 컬러필터, 제 2 화소영역에 마련된 파장변환층(107)은 녹색 컬러필터, 및 제 3 화소영역에 마련된 파장변환층(107)은 청색 컬러필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하나의 단위 화소는 파장변환층(107)이 형성되지 않은 백색 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unit pixel may further include a white pixel in which the
다른 예에 따른 파장변환층(107)은 발광다이오드(114)로부터 기판(101)쪽으로 방출되는 백색광에 따라 재발광하여 각 화소영역(SP)에 설정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크기를 갖는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자점은 CdS, CdSe, CdTe, ZnS, ZnSe, GaAs, GaP, GaAs-P, Ga-Sb, InAs, InP, InSb, AlAs, AlP, 또는 AlSb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제 1 화소영역의 파장변환층(107)은 CdSe 또는 InP의 양자점, 제 2 화소영역의 파장변환층(107)은 CdZnSeS의 양자점, 및 제 3 화소영역의 파장변환층(107)은 ZnSe의 양자점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장변환층(107)이 양자점을 포함하는 OLED(100)는 높은 색재현율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 다른 예에 따른 파장변환층(107)은 양자점을 함유하는 컬러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OLED(100)는 각 화소영역(SP) 별로 R, G, B, W 컬러를 발하게 되어, 고휘도의 풀컬러를 구현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러한 파장편환층(107) 상부로는 제 2 층간절연막(109b)과 함께 드레인전극(106b)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117)을 갖는 오버코팅층(108)이 위치하며, 오버코팅층(108) 상부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06b)과 연결되며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114)의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위치한다. An
제 1 전극(111)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와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혼합물,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 wi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화소영역(SP) 별로 위치하는데, 각 화소영역(SP) 별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111)은 뱅크(119)를 각 화소영역(SP) 별 경계부로 하여 화소영역(SP)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갖게 된다. The
그리고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이 위치하는데,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nd the organic
그리고, 유기발광층(113)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제 2 전극(115)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인 A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금속과 M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금속이 일정 비율로 구성된 합금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OLED 표시패널(110)은 선택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광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이때, 발광된 광은 투명한 제 1 전극(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OLED 표시패널(110)은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emitted light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114)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보호필름(120)이 형성되어, OLED 표시패널(110)은 보호필름(120)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In addition, a
여기서, 보호필름(120)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OLED 표시패널(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보호필름을 적어도 2장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2장의 무기보호필름 사이에는 무기보호필름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보호필름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이러한 유기보호필름과 무기보호필름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에서는 유기보호필름의 측면을 통해서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무기보호필름이 유기보호필름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tructure in which such an organic protective film and an inorganic protective film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lamin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 completely encloses the organic protective film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vent moisture and oxygen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of the organic protective film. do.
따라서, OLED 표시패널(110)은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가 OLED 표시패널(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산소나 수분으로 인해, 전극층의 산화 및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기발광층(113)의 발광특성이 저하되고, 유기발광층(113)의 수명이 단축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oxidation and corrosion of the electrode layer from occurring due to oxygen or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thus the light emitting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또한, 전류 누설 및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화소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휘도나 화상 특성의 불균일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current leakage and short circuit are prevented, and pixel defect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is way, the problem of non-uniformity in luminance or image characteristics is prevented.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광이 투과되는 OLED 표시패널(110)의 기판(101)의 외면으로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편광판(200)이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즉, OLED(100)는 OLED 표시패널(110)이 화상을 구현하는 구동모드일 때 유기발광층(113)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편광판(200)을 위치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게 된다. That is, the
이때, 편광판(200)과 기판(101) 사이에는 투명하며 접착특성을 갖는 제 1 접착층(230a)이 개재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transparent first
편광판(200)은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원편광판으로, 기판(101)의 외면에 부착된 위상차판(210)과 선편광판(220)으로 구성된다.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Here, the structure of the
즉, 편광판(200)은 크게 선편광판(220)과 위상차판(210)으로 이루어지며, 편광판(200)을 OLED 표시패널(110)의 기판(101) 상에 부착하기 위한 제 1 접착층(230a)과 위상차판(220)과 선편광판(210)을 부착하기 위한 제 2 접착층(230b)을 포함한다. That is, the
이때, 선편광판(220)과 위상차판(210)의 적층 순서는 외부광의 입사방향에 가깝도록 선편광판(220)을 배치시키고 그 안쪽으로 위상차판(210)을 배치시키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the order of stacking the linear
선편광판(220)은 빛의 편광특성을 변화시키는 편광층(221)과, 편광층(22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편광층(221)을 보호 및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TAC 필름(223a, 223b)으로 구성된다. The
이러한 선편광판(220)은 편광층(221)의 흡수축에 평행한 선편광은 흡수하고, 흡수축과 수직한 선편광, 즉, 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은 투과시킨다.The
편광층(221)은 요오드 이온(iodine ions)이나 이색성 염료(dichroic dyes)가 염착되어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편광층(221)은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 RM)과 이색성 염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 편광층(221)은 반응성 메조겐과 이색성 염료의 배열을 위해 배향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위상차판(210)은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를 포함하며, 플랫파장 분산(flat wavelength dispersion, 이하 플랫분산이라 함)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위상차판(210)은 λ/2의 위상지연을 가져 입사되는 빛의 편광 방향을 변화시키는 반파장판(half wave plate: HWP)일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판(210)을 통과한 선편광은 90도 회전된 선편광으로 바뀐다.The
일예로,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210)은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or cyclic olefinpolymer: COP)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광흡수제(210)는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이며, 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Hydroxy benzotriazole, HB), 트리스-레조르시놀-트리아진 크로모포어(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 TRTC),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크로모포어(Hydroxylphenyl-benzotriazole chromophore, HBC) 계열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편광판(200)의 위상차판(210)이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해 추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rough this, in the
이러한 편광판(200)의 외측, 즉 선편광판(220) 외측으로는 표면처리층(24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표면처리층(240)은 실리카 비드(silica bead : 미도시)가 포함된 눈부심방지(anti-glare)층 이거나, 편광판(200)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한 하드 코팅(hard coating)층 일 수 있다. A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편광판(200)을 통해 외부광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특히, 편광판(200)의 위상차판(210)이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를 포함하며,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므로, 역분산 특성을 나타나게 되어, OLED(100)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게 되며, 또한,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정의 간소화 또한 가져오게 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이 역분산 특성을 구현하는 원리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Here, the principle of implementing the in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of the
위상차판(210)의 "면내 위상차(Re)"는 하기의 (식1)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식 1)(Equation 1)
Re = ( nx - ny )×DRe = ( nx - ny )×D
(여기서, nx 는 위상차판(210)의 면내에서 최대 굴절률을 나타내는 축(지상축) 방향의 굴절율이고, ny 는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율이며, D 는 위상차판(210)의 두께(nm)를 의미함).(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axis (slow axis) direction representing the maximum refractive index in the plane of the
또한, 위상차판(210)의 면내 위상차(Re)는 투과광의 파장에 의존하여 분산되며, 위상차판(210)의 "파장 분산비"는 하기 (식 2)에 의해 중심파장 5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Re) 값에 대한 각 분광 파장에서의 면내 위상차(Re) 분율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in-plane retardation (Re) of the
(식 2)(Equation 2)
파장 분산비 = Re / Re(550) Wavelength dispersion ratio = Re / Re (550)
(여기서, Re 는 각 분광 파장에서의 위상차판(210) 면내 위상차(nm)이고, Re(550)는 550nm 파장에서의 위상차판(210) 면내 위상차(nm)를 의미함.)(Here, Re is the
여기서, 위상차판(210)의 광학 특성은 파장 분산비의 증감정도에 따라 역분산 특성, 플랫분산 특성, 정분산 특성의 파장 분산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He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즉, 가시광선(400~800nm) 영역에 내에서 파장이 장파장이 됨에 따라, 면내 위상차(Re)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동시에 파장 분산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1±0.1의 범위를 벗어나면 역분산(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특성, 면내 위상차(Re)가 완만히 단조 감소하면서 동시에 파장 분산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1±0.1의 범위 이내에 있거나 또는 면내 위상차(Re)가 완만히 단조 증가하면서 동시에 파장 분산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1±0.1의 범위 이내에 있으면 플랫분산(flat wavelength dispersion) 특성, 그리고 면내 위상차(Re)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동시에 파장 분산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1±0.1의 범위를 벗어나면 정분산(normal wavelength dispersion)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That is, as the wavelength becomes longer in the visible ray (400-800 nm) region, the in-plane retardation (Re) rapidly de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maximum or minimum value of the wavelength dispersion ratio is out of the range of 1±0.1, the reverse dispersion ( Reverse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while the in-plane retardation (Re) is gently monotonically decreased, the maximum or minimum value of the wavelength dispersion ratio is within the range of 1±0.1, or the in-plane retardation (Re) is gently monotonically increased and the maximum wavelength dispersion ratio is at the same time If the value or the minimum value is within the range of 1±0.1, flat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the in-plane retardation (Re) increase rapidly, and at the same time, if the maximum or minimum value of the wavelength dispersion ratio is outside the range of 1±0.1, normal dispersion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normal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
역분산 특성은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이방성이 증가하게 되며, 정분산 특성은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이방성이 감소하게 되며, 플랫분산 특성은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이방성이 일정한 특성을 갖게 된다. In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ncreases as the wavelength increases, in the positiv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decreases as the wavelength increases, and in the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s constant as the wavelength increases.
따라서, 정분산 특성 또는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은 단파장에서와 장파장에서 측정한 입사광의 파장과 위상차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투과도가 불균일해지며, 그 결과 시감이 나빠지고, 보는 방향에 따라 색감이 틀려지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velength and the phase difference value of the incident light measured at a short wavelength and a long wavelength is large for a retardation plate having a normal dispersion characteristic or a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transmittance becomes non-uniform, and as a result, the visibility becomes worse,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color will be wrong.
따라서, OLED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rast of the OLED is lowered.
반면, 파장이 증가함에 따라 굴절률 이방성이 증가하는 역분산 특성의 위상차판의 경우, 입사광의 파장이 커짐에 따라 발생하는 위상차값도 커지기 때문에 투과도가 파장에 상관없이 균일해지므로, 색상 및 시감의 변화가 거의 없어, 전압 비인가 상태에서 반사 색감은 블랙(black)을 나타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etardation plate having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increases as the wavelength increases, the retardation value generated as the wavelength of incident light increases as the wavelength increases, so that the transmittance becomes uniform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so the color and luminance change is almost absent, so that the reflection color appears black in a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따라서,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의 경우 딥블랙(deep black)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retardation plate having an in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eep black, so that the contrast is further improved.
첨부한 도 4a ~ 4b는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과 그래프이며, 도 5a ~ 5b는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과 그래프이다. 4A to 4B are spectra and graphs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FIGS. 5A to 5B are black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s. It is a spectrum and graph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of the state.
먼저, 도 4a와 도 5a를 비교하면,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는 정면에서와 측면에서 모두 반사 휘도가 균일하지 않으며, 특히 블랙 휘도 구현 시 반사광에 의해 블랙이 아닌 푸른빛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rst, comparing FIGS. 4A and 5A ,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has non-uniform reflected luminance from bot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can be seen to stand out.
이에 반해,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는 정면에서와 측면에서 모두 반사 휘도가 균일하여, 균일한 블랙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OLED including the retardation plate having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has uniform reflective luminance from bot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thereby showing a uniform black appearance.
반사 휘도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시감이 나빠지고, 보는 방향에 따라 색감이 틀려지게 되어, 콘트라스트가 낮아지게 된다. If the reflected luminance is not uniform, the visual perception is deteriorated, the colo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and the contrast is lowered.
여기서, 도 4b와 도 5b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는 420 ~ 440nm의 파장대에서 반사 휘도가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ere, looking at the graphs of FIGS. 4B and 5B, it can be seen that the OLED including the retardation plate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has higher reflective luminance in the wavelength band of 420 to 440 nm compared to the OLED including the retardation plate having in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s. have.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은 플랫특성을 가지면서, 내부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은 역분산 특성을 갖게 된다. Through this, the
도 6a ~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을 포함하는 OLED(100)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과 그래프로,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을 포함하는 OLED(100)는 정면에서와 측면에서 모두 반사 휘도가 균일하여, 균일한 블랙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6A to 6B are spectra and graphs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the black state of the
특히, 도 5b의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와 비교하면, 동일한 블랙 휘도 특성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b와 도 5b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me black luminance characteristic is implemented when compared with the OLED including the retardation plate having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of FIG. 5B , which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FIGS. 6B and 5B .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은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나, 내부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를 포함함으로써, 역분산 특성을 구현하게 된다. That is, the
따라서, OLED(100)의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면서도, 또한, 비싼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the contrast of the
또한, 역분산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위상차값이 서로 다른 두 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합지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2장의 위상차필름을 사용함에 따라 광학특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laminate and use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having different retardation values in order to realize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ss and reduce the cost of the process. In particular, two retardation films are used. As a result, the problem that the opt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can also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에 포함된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는 420 ~ 450nm 범위의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게 된다. Meanwhile, the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이 플랫분산 특성이 아닌 정분산 특성을 가질 경우, 위상차판 내부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가 포함되더라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위상차판(210)과 같이 역분산 특성이 구현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when the
즉, 첨부한 도 7a는 정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이며, 도 7b는 정분산 특성을 가지며, 내부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가 포함된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이다. That is, the attached FIG. 7a is a spectrum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a black state of an OLED including a retardation plate having a normal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FIG. 7b is a normal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the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therein is 420 to 450 nm. This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of the black state of the OLED including the retardation plate containing the light absorber.
여기서, 도 7b를 참조하면,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가 포함되더라도 정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은 정면에서와 측면에서 모두 반사 휘도가 균일하지 않으며, 특히 블랙 휘도 구현 시 반사광에 의해 블랙이 아닌 푸른빛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 7B , even if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is included, the retardation plate having a positive dispersion characteristic has non-uniform reflected luminance at bot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especially when black luminance is implemented.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is blue instead of black.
특히, 도 5b의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과 비교하면, 도 7b의 정분산 특성을 가지며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은 균일한 블랙을 구현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particular, compared with the spectrum measured in the black state of the reflection luminance of the OLED including the retarder having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of FIG. 5B, the light absorber having the positive dispersion characteristic of FIG. 7B and the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It can be seen that the included retardation plate does not implement uniform black.
한편, 주 흡수 파장대역이 580 ~ 600nm인 광흡수제는 580 ~ 600nm 범위의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580 to 600 nm absorbs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580 to 600 nm.
이러한 주 흡수 파장대역이 580 ~ 600nm인 광흡수제를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에 포함시키더라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위상차판과 같이 역분산 특성이 구현되지 않는다. Even if the light absorber having the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580 to 600 nm is included in the retardation plate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s are not implemented as in the retardation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첨부한 도 8은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며 내부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580 ~ 600nm인 광흡수제가 포함된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으로, 주 흡수 파장대역이 580 ~ 600nm인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은 플랫분산 특성을 가짐에도, 정면에서와 측면에서 모두 반사 휘도가 균일하지 않으며, 특히 블랙 휘도 구현 시 반사광에 의해 블랙이 아닌 푸른빛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accompanying FIG. 8 is a spectrum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lected luminance in black state of an OLED having a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 and including a retarder contain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580 to 600 nm therein, and the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Although the retardation plate containing the light absorber of 580 ~ 600 nm has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the reflected luminance is not uniform both from the front and the side. can
이는, 도 5b의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OLED의 블랙상태의 반사 휘도를 측정한 스펙트럼과 비교하면, 도 8의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며 주 흡수 파장대역이 580 ~ 600nm인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위상차판은 균일한 블랙을 구현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is compared with the spectrum measured in the black state of the OLED including the retarder having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of FIG. 5B, the light absorber having the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 of FIG. 8 and the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580 to 600 nm It can be seen that the included retardation plate does not implement uniform black.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판(210)은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며,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를 포함함으로써, 역분산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를 통해, OLED(100)의 블랙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딥블랙(deep black)을 구현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ack color of the
또한, 비싼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역분산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위상차값이 서로 다른 두 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합지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retardation plate having an expensiv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process cost can be reduced, 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re is no need to laminate and use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having different retardation values. , process simplification and process cost can also be reduced.
특히, 2장의 위상차필름을 사용함에 따라 광학특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optical properties are lowered by using the two retardation films.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OLE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9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OLED(100)는 OLED 표시패널(110)과, OLED 표시패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판(20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여기서, OLED 표시패널(110)은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이러한 OLED 표시패널(110)의 제 1 기판(도 3의 101)의 외면으로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편광판(200)이 위치하게 된다. A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은 위상차판(210)과 위상차판(210) 상부에 위치하는 선편광판(220)으로 구성된다. Here, the
즉, 편광판(200)은 크게 선편광판(220)과 제 1 및 제 2 위상차층(213, 215)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210)으로 구분되는데, 편광판(200)을 OLED 표시패널(110)의 기판(도 3의 101) 상에 부착하기 위한 제 1 접착층(230a)과 위상차판(210)과 선편광판(220)을 부착하기 위한 제 2 접착층(230b)을 포함한다. That is, the
이때, 선편광판(220)과 위상차판(210)의 적층 순서는 외부광의 입사방향에 가깝도록 선편광판(220)을 배치시키고 그 안쪽으로 위상차판(210)을 배치시키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the order of stacking the linear
선편광판(220)은 빛의 편광특성을 변화시키는 편광층(221)과, 편광층(22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편광층(221)을 보호 및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TAC 필름(223a, 223b)으로 구성된다. The
이러한 선편광판(220)은 편광층(221)의 흡수축에 평행한 선편광은 흡수하고, 흡수축과 수직한 선편광, 즉, 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은 투과시킨다.The
편광층(221)은 요오드 이온(iodine ions)이나 이색성 염료(dichroic dyes)가 염착되어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편광층(221)은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 RM)과 이색성 염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 편광층(221)은 반응성 메조겐과 이색성 염료의 배열을 위해 배향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이러한 선편광판(220)의 상부로 위치하는 제 2 위상차층(215)과 제 1 위상차층(213)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위상차판(210)이 위치하는데, 제 2 위상차층(215)은 투명한 수지 내에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제 1 위상차층(213)은 플랫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제 1 위상차층(213)은 λ/2의 위상지연을 가져 입사되는 빛의 편광 방향을 변화시키는 반파장판(half wave plate: HWP)일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판(210)을 통과한 선편광은 90도 회전된 선편광으로 바뀐다.Here,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3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may be a half wave plate (HWP) that has a phase delay of λ/2 to change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incident light. Accordingly,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assing through the
일예로,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제 1 위상차층(213)은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or cyclic olefinpolymer: COP) 필름을 연신시켜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3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may be formed by stretching a cyclo-olefin polymer or cyclic olefin polymer (COP) film.
그리고, 제 2 위상차층(215)의 투명수지는 바인더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멜라민계, 폴리비닐알콜계 및 옥사졸린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transparent resin of the
그리고, 제 2 위상차층(215)에 포함되는 광흡수제(211)는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이며, 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Hydroxy benzotriazole, HB), 트리스-레조르시놀-트리아진 크로모포어(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 TRTC),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크로모포어(Hydroxylphenyl-benzotriazole chromophore, HBC) 계열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여기서, 제 2 위상차층(215)은 투명수지 내에 광흡수제(211)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제 1 위상차층(213) 상부로 코팅 또는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어, 제 1 위상차층(213)과 제 2 위상차층(215) 사이로 별도의 점착제나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는다. Here, the
그리고, 제 1 위상차층(213)과 제 2 위상차층(215)의 위치는 선편광판(220)과 OLED표시패널(110) 사이 내에서 자유롭게 설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retardation layer 213 and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200)은 위상차판(210)이 플랫분산 특성을 갖는 제 1 위상차층(213)과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211)가 포함된 제 2 위상차층(215)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게 된다. The
이를 통해, OLED(100)의 블랙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딥블랙(deep black)을 구현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ack color of the
또한, 비싼 역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역분산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위상차값이 서로 다른 두 장 이상의 위상차필름을 합지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retardation plate having an expensiv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 process cost can be reduced, 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there is no need to laminate and use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having different retardation values. , process simplification and process cost can also be reduced.
특히, 2장의 위상차필름을 사용함에 따라 광학특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optical properties are lowered by using the two retardation films.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OLED, 101 : 기판, 102 : 보호필름
103 : 반도체층(103a : 액티브영역, 103b, 103c : 소스 및 드레인영역)
104 : 게이트절연막, 105 : 게이트전극
106a, 106b : 소스 및 드레인전극
107 : 파장변환층, 108 : 오버코팅층, 109a, 109b : 제 1 및 제 2 층간절연막
110 : OLED 표시패널
111 : 제 1 전극, 113 : 유기발광층, 115 : 제 2 전극
119 : 뱅크, 120 : 보호필름
200 : 편광판(210 : 위상차판(211 : 광흡수제), 220 : 선편광판(221 : 편광층, 223a, 223b : 제 1 및 제 2 TAC 필름))
230a, 230b : 제 1 및 제 2 접착층
240 : 표면처리층
DTr :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E : 발광다이오드 100: OLED, 101: substrate, 102: protective film
103: semiconductor layer (103a: active region, 103b, 103c: source and drain regions)
104: gate insulating film, 105: gate electrode
106a, 106b: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07: wavelength conversion layer, 108: overcoat layer, 109a, 109b: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s
110: OLED display panel
111: first electrode, 113: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5: second electrode
119: bank, 120: protective film
200: polarizing plate (210: retardation plate (211: light absorber), 220: linear polarizing plate (221: polarizing layer, 223a, 223b: first and second TAC films))
230a, 230b: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240: surface treatment layer
DTr: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E: light emitting diode
Claims (10)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 방향의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는 선편광판과;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선편광판 사이에 위치하고,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며,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위상차판
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 linear polarizing plate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and transmitting only linearly polarized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retardation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linear polarizer, has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includes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상기 위상차판은 플랫분산 특성을 가지는 제 1 위상차층과, 주 흡수 파장대역이 420 ~ 450nm인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제 2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ardation plate includes a first retardation layer having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a second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light absorber having a main absorption wavelength band of 420 to 450 nm.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투명수지 내에 상기 광흡수제가 포함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absorber in a transparent resin.
상기 위상차판은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or cyclic olefinpolymer: COP) 필름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ardation plate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by stretching a cyclo-olefin polymer or cyclic olefin polymer (COP) film.
상기 광흡수제는 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Hydroxy benzotriazole, HB), 트리스-레조르시놀-트리아진 크로모포어(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 TRTC),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크로모포어(Hydroxylphenyl-benzotriazole chromophore, HBC) 계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absorbing agent is hydroxy benzotriazole (HB), 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 (Tris-Resorcinol-Triazine chromophore, TRTC), hydroxyphenyl-benzotriazole chromophore (Hydroxylpheny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enzotriazole chromophore, HBC) series.
상기 투명수지는 폴리에스터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멜라민계, 폴리비닐알콜계 및 옥사졸린계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nsparent resin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based, acrylic-based, polyurethane-based, melamine-based, polyvinyl alcohol-based and oxazoline-based binder resins.
상기 선편광판은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TAC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선편광판의 외측으로는 표면처리층이 구비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ear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olarizing layer and first and second TAC film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layer, and a surface treatment layer is provided outside the linear polarizing plate.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위상차판 사이와, 상기 위상차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로는 접착제가 개재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linear polarizing plate and the retardation plate and between the retardation plate and the display panel.
상기 위상차판은 1장의 위상차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상차필름의 일면은 제 1 접착층을 통해 상기 표시패널의 발광면에 부착되고, 상기 위상차필름의 타면은 제 2 접착층을 통해 상기 선편광판에 부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ardation plate consists of one retardation film, on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is attach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rough a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is attached to the linear polarizer through a second adhesive lay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상기 제 2 위상차층은, 접착제나 점착제 없이 상기 제 1 위상차층의 일면에 코팅된 형태로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retardation layer is formed in a form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tardation layer without an adhesive or an adhesiv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063A KR102450191B1 (en) | 2017-10-31 | 2017-10-3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063A KR102450191B1 (en) | 2017-10-31 | 2017-10-3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828A KR20190048828A (en) | 2019-05-09 |
KR102450191B1 true KR102450191B1 (en) | 2022-09-30 |
Family
ID=6654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4063A Active KR102450191B1 (en) | 2017-10-31 | 2017-10-3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01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1420B2 (en) | 2019-05-14 | 2022-12-0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with an optical senso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4787B1 (en) * | 2011-05-23 | 2017-07-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KR102458598B1 (en) * | 2015-12-30 | 2022-10-2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KR102027567B1 (en) * | 2016-02-19 | 2019-10-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Functional optical film an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2017
- 2017-10-31 KR KR1020170144063A patent/KR10245019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828A (en) | 2019-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427859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1383551B1 (en) | Quantum rod luminescent display device | |
US9853236B2 (en)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US10401677B2 (en) |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CN109979966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10644253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102079557B1 (en) | Polarizer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cluding the same | |
KR101868476B1 (en) | Oled display inculding polarizer | |
KR10245859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CN111200079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 |
KR10183750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10245019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57243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 |
KR10273379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 |
KR10188843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KR10259892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panel | |
CN108121104A (en) | Polarizer,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with its display device | |
KR101830612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52056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 |
KR20160066400A (en) | Color polarization pl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
JP2005201934A (en) | Display device | |
KR20190023404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 |
US20230180566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20170079633A (en) | Both-Sides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KR10245989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