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0112B1 -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112B1
KR102450112B1 KR1020170162114A KR20170162114A KR102450112B1 KR 102450112 B1 KR102450112 B1 KR 102450112B1 KR 1020170162114 A KR1020170162114 A KR 1020170162114A KR 20170162114 A KR20170162114 A KR 20170162114A KR 102450112 B1 KR102450112 B1 KR 10245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protective film
adhesive strength
release forc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504A (ko
Inventor
오명훈
강석주
김상철
손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12B1/ko
Priority to CN201811432929.6A priority patent/CN109835559B/zh
Publication of KR2019006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보호필름 박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는, 보호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제 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박리부를 지지하며, 박리부의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박리각도 설정부, 박리부에 의하여제 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이형력측정부; 및 이형력측정부에서 측정된 이형력을 기초로 박리각도 설정부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PROTECTING FILM 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SP(Touch Screen Panel) 등 최근의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 분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패널이나 광학필름을 사용한다.
이러한 패널이나 광학필름은 공정 수행 중에 다양한 공정 공간을 이동하면서 공정이 이루어지는데, 공정 공간 이동 중에 패널이나 광학필름의 표면이 오염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이나 광학필름의 표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보호필름은 패널이나 광학필름에 대한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이종 재료간 부착된 경우, 예를 들어 패널이나 광학필름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경우에 패널이나 광학필름과 보호필름 사이의 접착 강도는 매우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패널이나 보호필름의 전면과 배면에 전면 보호필름과 배면 보호필름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패널이나 광학필름으로부터 전면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동작 시 전면 보호필름이 박리 되지 않고 패널이나 광학필름이 배면 보호필름과 함께 박리되는 원인으로 불량이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패널이나 광학필름의 일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의 접착강도만을 측정함으로써 불량의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패널이나 광학필름의 일면에 부착된 보호필름의 접착강도가 패널이나 광학필름 자체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높지 않지만 부분 박리 등의 박리불량이 발생할 정도로 높은 경우나 박리각도를 잘못 설정한 경우, 박리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박리부(1)의 박리 각도를 재설정할 경우, 변곡점(2) 지점에서 보호필름의 구겨짐이 발생하여 도 1c와 같이 변곡점 없이 박리할 수 밖에 없어 박리 모션을 다양화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5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호필름의 이형력에 기초하여 박리모션을 다양화할 수 있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는, 보호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제 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상기 박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박리부의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박리각도 설정부;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이형력 측정부; 및 상기 이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이형력을 기초로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보호부재의 타면에 도포된 제 2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 2 접착강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형력을 상기 제 1 접착강도 및 상기 제 2 접착강도와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동작중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제 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박리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에 출력한다.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는,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에서 회전하는 캠 샤프트; 및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캠 샤프트를 클램핑하거나 클램핑 해제하는 한 쌍의 암;
상기 한 쌍 암에 형성되어 클램핑 시 상기 캠 샤프트를 고정하는 캠 팔로워; 및 상기 한 쌍의 암이 동작하도록 하는 에어 척;을 포함한다.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는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박리부는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그립하는 그립 홀더(Grip holder)를 포함한다.
상기 박리부는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감아 올려 초기 박리시키는 점착롤러 및 초기 박리된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그립하는 그립퍼(Gripper)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는, 보호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제 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에서 회전하는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를 클램핑하거나 클램핑 해제하는 클램핑부;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이형력 측정부; 및 상기 이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이형력을 기초로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보호부재의 타면에 도포된 제 2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동작중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동작중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은, 제1 보호필름으로 접착된 보호부재를 박리부에 대하여 설정 각도로 세팅하는 단계;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그립(Grip)하여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박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보호부재의 타면에 도포된 제2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2 접착강도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2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형력을 기초로 박리각도 설정부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보호부재를 불량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제1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2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와 상기 제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박리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와 제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박리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박리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캠 샤프트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캠 샤프트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박리하는 단계; 및 박리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박리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방향이 주기적으로 교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력과 제1 및 제2 접착강도를 비교하면서 박리를 수행하여, 박리 불량이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불량인지 보호부재의 불량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력에 기초하여 박리 각도를 변경하되 급격한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박리 진행 시 박리 각도가 변경되어도 보호필름의 구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리 모션을 다양화 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필름의 정상 박리와 박리 불량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 및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 모션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각도 설정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각도 설정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c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각도 설정부와 박리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c 내지 도 5d는 박리각도 설정부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 모션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보호필름 박리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박리각도 설정부 회전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박리각도 설정부 회전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의해 박리되는 보호필름과 보호부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a를 참조하면, 보호필름으로 접착된 보호부재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보호부재(P)의 일면에 제1 보호필름(f)가 접착되어 있고, 보호부재(P)의 타면에 제2 보호필름(f')가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박리대상이 되는 보호부재(P)는 패널, 윈도우 글라스, 광학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호부재(P)는 1개의 층으로 한정되어야 한다거나 2개의 층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1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거나 2 개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정상 박리 동작 시 제1 보호필름(f)이 보호부재(P)로부터 박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박리 동작 시 제1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가 제2 보호필름(f')으로부터 동시에 박리되는 박리불량이 종종 발생한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 제1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의 접착강도인 제1 접착강도가 제2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의 접착강도인 제2 접착강도 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제1 접착강도가 4gf이고 제2 접착강도가 10gf인 경우에는 제1 보호필름(f)을 박리할 수 있어 박리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나, 제1 접착강도가 17gf이고 제2 접착강도가 10gf인 경우에는 제1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가 제2 보호필름(f')으로부터 동시에 박리되어 박리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보호필름을 박리 시 보호필름에 가해지는 이형력을 측정하여, 이형력을 접착강도와 비교함으로써 불량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형력에 대응하여 박리각도를 변경하면서 박리 동작을 수행한다.
[보호필름 박리장치]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각도 설정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각도 설정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c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각도 설정부와 박리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c 내지 도 5d는 박리각도 설정부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 모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장치는, 측정부(10), 구동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측정부(10)는 박리부에 의하여 제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이형력 측정부(11),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이동속도 측정부(13)를 포함한다.
이형력 측정부(11)는 제1 보호필름(f) 박리 개시 시부터 제1 보호필름(f) 박리 종료 시까지 이형력을 측정한다.
이형력 측정부(11)는 박리부(200, 200')의 일부에 형성되어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을 그립하는 그립 홀더(Grip holder)에 인가되는 하중이나, 점착롤러에 의해 초기 박리된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을 그립하는 그립퍼(Gripper)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형력 측정부(11)는 박리부(200, 200')의 일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박리부(200, 200')외에 다른 곳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부(200, 200')는 도 4a와 같이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에 구비되어 그립 홀더에 의해 그립되는 풀 탭(Pull Tab)을 그립하여 박리하는 그립 타입(Grip Type)일 수 있고, 도 4c와 같이 풀 탭(Pull Tab) 없이 점착롤러에 의해 초기 박리 후 초기 박리된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을 그립하여 박리하는 롤러 및 그립 타입(Roller & Grip Type)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립 타입(Grip Type)의 경우 이형력 측정부(11)는 그립 홀더(Grip holder)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이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롤러 및 그립 타입(Roller & Grip Type)의 경우 그립퍼(Gripper)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이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형력 측정부(11)는 로드셀(Load Cell) 또는 푸시 풀 게이지(Push Pull Gauge)로 형성될 수 있다.
이형력 측정부(11)에서 측정된 이형력은 제어부(30)로 전송되며, 제1 접착강도 및 제2 접착강도와 비교되어 박리부(200, 20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동속도 측정부(13)는 구동부(20)의 일부에 형성되어,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이동속도 측정부(13)는 예를 들어 박리부(200, 200')의 이동을 위한 미도시된 모터의 회전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속도 측정부(13)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속도 측정부(13)에서 측정한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는 제어부(30)로 전송되어, 이형력에 기초하여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보호부재(P)의 일면에 접착된 제 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200, 200')와 박리부(200, 200')를 지지하며, 박리부(200, 200')의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를 포함한다.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는 박리개시 전 보호부재(P)와 박리부(200, 200')의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며, 이형력에 기초하여 박리각도가 변경되도록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초기 박리 각도 설정 시, 바람직하게는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는 제1 보호필름(f)의 코너 위치를 확인하여 그립위치나 널링위치가 제1 보호필름(f)의 코너위치와 매칭되도록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박리 각도는 설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데, 보호부재(P)의 코너가 수선에 대하여 45도로 양분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다른 각도로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재(P)의 법선과 평행한 축에 대하여 자유 회전하면서 박리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박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1 실시예는,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가이드 브라켓(110), 가이드 브라켓(110)의 내에서 회전하는 캠 샤프트(120)와 캠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클램핑부(130, 140, 150, 160)를 포함한다.
가이드 브라켓(110)은 일단부가 박리 하우징부(미도시)에 결합되며, 가이드 브라켓(110)의 타단부에는 캠샤프트(120)와 클램핑부(130, 140, 150, 160)가 구비되어, 클램핑부(130, 140, 150, 160)를 통해 박리부(200, 200')와 결합한다.
즉, 박리부(200, 200')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캠 샤프트(120)와 결합되어 클램핑부(130, 140, 150, 160)의 클램핑(Clamping) 또는 클램핑 해제(Unclamping)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그립 타입(Grip Type) 박리부(200)는 도 5a와 같이 연결 브라켓(210)에 의해 캠 샤프트(110)의 하부와 연결되며, 롤러 및 그립 타입(Roller & Grip Type) 박리부(200')는 도 5b와 같이 연결 브라켓(210')에 의해 캠 샤프트(110)의 하부와 연결된다.
캠 샤프트(120)는 그 축이 가이드 브라켓(110)의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베어링(160)에 의해 회전 자유도가 부여될 수 있다.
캠 샤프트(120)는 한 쌍의 암(150)에 의해 클램핑 되거나 클램핑 해제되며, 한 쌍의 암(150)은 에어 척(13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한 쌍의 암(150)에는 회전 가능한 다수 개의 캠 팔로워(140)가 구비되어 캠 샤프트(120) 클램핑(Clamping) 또는 클램핑 해제(Unclamping) 시 충격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캠 샤프트(120)는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클램핑력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암(150)의 일단은 에어 척(130)에 구비되어, 에어 척(130)의 동작에 의해 캠 샤프트(120)를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한다.
즉, 에어척(130)이 한 쌍의 암(150)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캠 샤프트(120)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캠 샤프트(120)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에어척(130)이 한 쌍의 암(15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구동하면, 캠 샤프트(120)가 클램핑 되어 캠 샤프트(120)의 회전이 구속된다.
한 쌍의 암(150)의 내측은 캠 샤프트(12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c와 같이, 한 쌍의 암(150)이 캠 샤프트(120)를 클램핑 한 상태에서, 박리부(200, 200')는 회전하지 않고 초기 박리 각도로 제1 보호필름(f)를 박리하게 된다.
또한, 도 5d와 같이, 한 쌍의 암(150)이 서로 멀어지도록 에어척(130)을 구동시키면, 캠 샤프트(120)가 클램핑 해제되어, 박리부(200, 200')는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제1 보호필름(f)를 박리하게 된다.
또한, 박리 완료 후 한 쌍의 암(15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에어척(130)을 구동시키면, 도 5c와 같이 박리부(200, 200')는 초기 박리 각도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2 실시예는,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가이드 브라켓(110'), 가이드 브라켓(110')의 내에서 회전하는 캠 샤프트(120')와 캠 샤프트(120')를 회동시키는 모터(130')를 포함한다.
가이드 브라켓(110')은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캠 샤프트(120')는 가이드 브라켓(110')의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캠 샤프트(120')는 박리부(200, 200')의 일단과 결합하여 캠 샤프트(120')의 회전에 의해 박리 동작 시 박리부(200, 200')가 회전하면서 박리를 수행할 수 있다.
캠 샤프트(120')는 모터(130')에 연결되어, 모터(130')의 회전동작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모터(130')는 제어부(3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제어부(30)는 이형력이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박리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모터(130')에 출력할 수 있다.
모터(13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인 시계반대 방향일 수 있다.
모터(130')는 스텝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에 따라 다른 종류의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박리부(200)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그립 타입(Grip Type)에 의해 박리를 수행하며, 박리부(200')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및 그립 타입(Roller & Grip Type)에 의해 박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할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200)는 연결 브라켓(210), 실린더(220), 그립 홀더(230), 링크(240), 로드 셀(Load cell, 250),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260)를 포함한다.
연결 브라켓(210)은 박리각도 설정부(100)와 연결되는 것이며, 실린더(220)는 그립 홀더(230)의 그립 동작을 하기 위한 것이며, 그립 홀더(230)는 제1 보호필름(f)의 풀 탭(Pull Tab)을 그립 후 실린더(220)에 의해 힘이 인가되어 박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링크(240)는 그립 홀더(230)가 제1 보호필름(f)의 풀 탭(Pull Tab)을 그립 하거나 그립 해제하기 위해 한 쌍의 롤러를 접촉시키거나 이격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로드 셀(250)은 연결 브라켓(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 4b와 같이 박리 시 박리부(200)에 의하여 보호부재(미도시)로부터 벗겨지는 제1 보호필름(f)에 인가되는 이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리니어 가이드(260)는 박리부(2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박리부(200')는 연결 브라켓(210'), 실린더(220'), 점착롤러(230'), 그립 실린더(240'), 로드 셀(Load cell, 250'),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260') 및 그립퍼(Gripper, 270')를 포함한다.
연결 브라켓(210'), 로드 셀(Load cell, 250'),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26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210), 로드 셀(Load cell, 250),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260)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린더(220')는 점착롤러(2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점착롤러(230')는 1 보호필름(f)의 일단을 감아 올려 초기 박리시키는 것이며, 그립 실린더(240')는 그립퍼(27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그립퍼(270')는 초기 박리된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을 그립하는 것이다.
로드 셀(250')은 연결 브라켓(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 4d와 같이 박리 시 박리부(200')에 의하여 보호부재(미도시)로부터 벗겨지는 제1 보호필름(f)에 인가되는 이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로드 셀(250, 250') 로드 셀(250, 250')을 적용할 수 있으나, 로드 셀(250, 250') 대신 푸시 풀 게이지(Push Pull Gauge)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이형력 측정부(11)에서 측정된 이형력을 기초로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30)는 저장부(31)와 비교부(33)를 포함한다.
저장부(31)는 보호부재(P)와 제 1 보호필름(f)의 제 1 접착강도와 보호부재(P)의 타면에 도포된 제 2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 사이의 제 2 접착강도를 저장한다.
즉, 제1 접착강도는 보호부재(P)에 제 1 보호필름(f)이 소정의 강도로 부착되는 것으로, 미리 측정되어 저장부(31)에 저장되는 값이다. 또한, 제2 접착강도는 보호부재(P)에 제2 보호필름(f')이 소정의 강도로 부착되는 것으로, 미리 측정되어 저장부(31)에 저장되는 값이다. 제2 접착강도는 제1 접착강도 보다 큰 값이다.
제1 및 제2 접착강도는 공지된 접착강도 측정용 시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는 박리 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이형력을 저장하며, 미 도시된 표시부를 통하여 박리 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이형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이형력을 측정함으로써 이형력을 기초로 박리각도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이형력을 빅데이터(Big data)로 분석함으로써 박리 시의 문제점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저장부(31)에 저장된 제1 및 제2 접착강도와 이형력은 비교부(33)에 전송된다.
비교부(33)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이형력을 상기 제 1 접착강도 및 상기 제 2 접착강도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에, 비교부(33)에서 비교한 이형력과 제1 및 제2 접착강도를 통해 제어부(30)는 박리부(200, 200')가 박리각도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이형력이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동작중지신호를 출력한다.
이형력이 제1 및 제2 접착강도 보다 크면 제1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가 동시에 제2 보호필름(f')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이에,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가 일정하면서 이형력이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제어부(30)는 동작중지 신호를 출력하여 보호부재(P)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30)는 이동속도 측정부(13)에서 측정한 박리부(200, 200')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여 보호부재(P)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제어부(30)는 이형력이 제1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형력이 제1 접착강도 보다 커야 제1 보호필름(f)이 보호부재(P)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데, 제어부(30)는 이형력을 증가시켜 박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실린더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이형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형력을 증가시키도록 구동하는 것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형력의 증가에 의해 이형력이 제1 접착강도 보다 커지면, 제어부(30)는 박리 각도를 변경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이형력이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박리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에 출력한다.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재(P)의 법선과 평행한 축에 대하여 캠 샤프트(120)가 자유 회전하면서 박리 각도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130')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박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형력이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제2 보호필름(f')이 박리되지 않고 제1 보호필름(f)만이 박리되는 경우이다.
제1 보호필름(f)만이 박리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에 의해 도 6과 같이 박리각도를 변경하면서 박리를 수행할 수 있으나, 종전과 같이 박리각도의 변경 없이 초기 박리각도롤 박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호필름 박리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보호필름 박리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박리각도 설정부 회전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박리각도 설정부 회전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 박리방법은, 제1 보호필름(f)으로 접착된 보호부재(P)를 박리부(200, 200')에 대하여 설정 각도로 세팅하는 단계(S100),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을 그립(Grip)하여 제1 보호필름(f)의 박리를 개시하는 단계(S200), 박리부(200, 200')에 의하여 제1 보호필름(f)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S300), 이형력이 보호부재(P)의 타면에 도포된 제2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 사이의 제2 접착강도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400), 이형력이 제2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이형력을 기초로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면서 제1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세팅하는 단계(S100)는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여, 보호부재(P)를 박리부(200, 200')에 대하여 초기 설정 각도로 세팅하는 단계이다. 초기 박리 각도 설정 시, 바람직하게는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는 제1 보호필름(f)의 코너 위치를 확인하여 그립위치나 널링위치가 제1 보호필름(f)의 코너위치와 매칭되도록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박리를 개시하는 단계(S200)는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에 구비되어 그립 홀더에 의해 그립되는 풀 탭(Pull Tab)을 그립하여 박리를 개시하거나, 풀 탭(Pull Tab) 없이 점착롤러에 의해 초기 박리 후 초기 박리된 제1 보호필름(f)의 일단을 그립하여 박리를 개시하는 것이다.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S300)는, 제 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그립 타입(Grip Type)의 경우 이형력 측정부(11)는 그립 홀더(Grip holder)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이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롤러 및 그립 타입(Roller & Grip Type)의 경우 그립퍼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이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형력 측정부(11)는 제1 보호필름(f) 박리 개시 시부터 제1 보호필름(f) 박리 종료 시까지 이형력을 측정한다.
또한, 미도시 하였지만, 이형력을 측정하면서 박리부 이동속도 측정부(13)에 의해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형력이 보호부재(P)의 타면에 도포된 제2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 사이의 제2 접착강도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이형력이 제2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이형력에 대응하여 제1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단계(S500)를 거치게 된다.
또한, 이형력이 보호부재(P)의 타면에 도포된 제2 보호필름(f')과 보호부재(P) 사이의 제2 접착강도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이형력이 제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보호부재(P)를 불량으로 판단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즉, 박리 초기부터 이형력이 제2 접착강도 보다 커지면 박리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이므로 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불량이 아닌 보호부재(P)가 불량인 경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형력을 기초로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면서 제1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단계(S500)는,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S510), 이형력이 보호부재(P)와 제1 보호필름(f)의 제1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520), 이형력이 제1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이형력이 제2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530), 이형력이 제1 접착강도와 제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박리각도를 변경하는 단계(S560)를 포함한다.
이형력이 보호부재(P)와 제1 보호필름(f)의 제1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520)에서, 이형력이 제1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S570)를 거치게 된다.
즉, 이형력이 제1 접착강도 보다 커야 제1 보호필름(f)이 보호부재(P)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데, 제어부(30)는 이형력을 증가시켜 박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박리부(200, 20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S570) 후 다시 이형력이 보호부재(P)와 제1 보호필름(f)의 제1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520)를 거치게 된다.
또한, 이형력이 보호부재(P)와 제1 보호필름(f)의 제1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520)에서,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와 제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S550)하거나 박리동작을 중지(S540)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박리 동작 중 이형력이 다시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제어부(30)는 동작중지 신호를 출력하여 보호부재(P)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동작 중 이형력이 다시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제어부(30)는 이동속도 측정부(13)에서 측정한 박리부(200, 200')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여 보호부재(P)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박리각도 설정부 회전방법의 제1 실시예는, 캠 샤프트(120)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단계(S561), 캠 샤프트(120)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박리하는 단계(S563) 및 박리를 완료하는 단계(S565)를 포함한다.
도 5d와 같이 캠 샤프트(120)의 클램핑을 해제하게 되면, 박리부(200, 200')는 미리 설정된 회전각의 한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박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30)는 이형력이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박리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박리각도 설정부(100, 100')에 출력하여 보호부재(P)의 법선과 평행한 축에 대하여 캠 샤프트(120)가 자유 회전하면서 박리 각도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박리를 완료하는 단계(S565) 후 도 5c와 같이 캠 샤프트(120)를 클램핑 하여 캠 샤프트(1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S567, S5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호필름 박리방법 중 박리각도 설정부 회전방법의 제2 실시예는,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561'), 모터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563')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30)는 이형력이 제 1 접착강도와 제 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박리각도 설정부(100')의 모터(130')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박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력과 제1 및 제2 접착강도를 비교하면서 박리를 수행하여, 박리 불량이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불량인지 보호부재의 불량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력에 기초하여 박리 각도를 변경하되 급격한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박리 진행 시 박리 각도가 변경되어도 보호필름의 구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리 모션을 다양화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측정부
11: 이형력 측정부
13: 박리부 이동속도 측정부
20: 구동부
100, 100': 박리각도 설정부
200, 200': 박리부
30: 제어부
31: 저장부
33: 비교부

Claims (20)

  1. 보호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제 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상기 박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박리부의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박리각도 설정부;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이형력 측정부; 및
    상기 이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이형력을 기초로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보호부재의 타면에 도포된 제 2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 2 접착강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형력을 상기 제 1 접착강도 및 상기 제 2 접착강도와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동작중지신호를 출력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제 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박리 각도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에 출력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는,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에서 회전하는 캠 샤프트; 및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캠 샤프트를 클램핑하거나 클램핑 해제하는 한 쌍의 암;
    상기 한 쌍 암에 형성되어 클램핑 시 상기 캠 샤프트를 고정하는 캠 팔로워; 및
    상기 한 쌍의 암이 동작하도록 하는 에어 척;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각도 설정부는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그립하는 그립 홀더(Grip holder)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감아 올려 초기 박리시키는 점착롤러 및 초기 박리된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그립하는 그립퍼(Gripper)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1. 보호부재의 일면에 접착된 제 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
    초기 박리 각도를 설정하는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에서 회전하는 캠 샤프트;
    상기 캠 샤프트를 클램핑하거나 클램핑 해제하는 클램핑부;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이형력 측정부; 및
    상기 이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이형력을 기초로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 1 보호필름의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보호부재의 타면에 도포된 제 2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동작중지신호를 출력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 1 접착강도와 상기 제 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동작중지신호를 출력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4. 제1 보호필름으로 접착된 보호부재를 박리부에 대하여 설정 각도로 세팅하는 단계;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일단을 그립(Grip)하여 상기 제1 보호필름의 박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박리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보호필름에 가해진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보호부재의 타면에 도포된 제2 보호필름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의 제2 접착강도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2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형력을 기초로 박리각도 설정부의 박리각도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보호부재를 불량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제1 보호필름의 제1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2 접착강도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와 상기 제2 접착강도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박리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와 제2 접착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감속하거나 박리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력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형력이 상기 제1 접착강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박리부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캠 샤프트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캠 샤프트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박리하는 단계; 및
    박리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방향이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KR1020170162114A 2017-11-29 2017-11-29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Active KR10245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14A KR102450112B1 (ko) 2017-11-29 2017-11-29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CN201811432929.6A CN109835559B (zh) 2017-11-29 2018-11-28 保护膜剥离装置及保护膜剥离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14A KR102450112B1 (ko) 2017-11-29 2017-11-29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504A KR20190063504A (ko) 2019-06-10
KR102450112B1 true KR102450112B1 (ko) 2022-10-05

Family

ID=6684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14A Active KR102450112B1 (ko) 2017-11-29 2017-11-29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112B1 (ko)
CN (1) CN1098355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2646B1 (ko) 2020-02-03 2025-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CN111776384B (zh) * 2020-07-22 2022-03-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膜层剥离装置
KR20220058688A (ko) 2020-10-29 2022-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76313B1 (ko) * 2021-02-04 2022-12-13 (주)미래컴퍼니 보호 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 방법
CN113277190B (zh) * 2021-05-10 2023-06-23 株洲中车时代半导体有限公司 撕膜方法及撕膜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832A (ja) 2001-03-29 2002-10-02 Ricoh Co Ltd 粘着部品の剥離工具、剥離工法および剥離装置
KR101698644B1 (ko) * 2014-08-14 2017-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이를 이용한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6514B2 (ja) * 2006-07-20 2011-04-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KR20080071337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보호 필름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5305604B2 (ja) * 2007-03-16 2013-10-02 株式会社東芝 粘着フィルムの剥離装置及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CN201610914U (zh) * 2009-09-04 2010-10-20 顾林 气动刹车桃形凸轮装置
TW201250215A (en) * 2011-06-10 2012-12-16 Yu-Pu Chiu A substrate peeling position testing device
KR101287754B1 (ko) * 2011-10-05 2013-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의 필름 박리 장치 및 기판의 필름 박리 방법
JP5806185B2 (ja) * 2012-09-07 2015-11-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剥離システム
KR101438541B1 (ko) 2012-09-11 2014-09-12 안성룡 보호필름 박리장치
CN103029072A (zh) * 2012-12-09 2013-04-10 重庆寿丰科技有限公司 一种凸轮夹紧装置
KR102057921B1 (ko) * 2013-04-23 2019-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패널의 보호필름 박리장치
JP6378910B2 (ja) * 2014-03-19 2018-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CN204398474U (zh) * 2014-11-13 2015-06-17 深圳市腾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剥离光学元件上保护膜的剥离设备
CN106183359B (zh) * 2016-08-30 2018-09-25 深圳市兴图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撕膜机构及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832A (ja) 2001-03-29 2002-10-02 Ricoh Co Ltd 粘着部品の剥離工具、剥離工法および剥離装置
KR101698644B1 (ko) * 2014-08-14 2017-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로부터 편광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바, 이를 이용한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35559B (zh) 2022-03-25
KR20190063504A (ko) 2019-06-10
CN109835559A (zh)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112B1 (ko)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US9283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tially laminating optical film including polarizing film, to rectangular-shaped panel
CN102896876B (zh) 撕膜机台与撕膜方法
US9744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optical panel assemblies
TWI645222B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CN106458490B (zh) 片体送出系统以及用于该片体送出系统的片体送出方法
US84497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 substrate from a carrier substrate
US20150059488A1 (en) Film Adhes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US9550351B2 (en) Corner peeling device, film peeling apparatus and film peeling method
CN105390415A (zh) 粘合带剥离方法和粘合带剥离装置
CN106463078A (zh) 贴合装置、贴合方法、光学显示器件的生产系统以及光学显示器件的生产方法
CN104620172A (zh) 光学显示面板的连续制造方法及光学显示面板的连续制造系统
TWI465781B (zh) 偏光薄膜、偏光薄膜之製造方法、及偏光板之製造方法
KR101747559B1 (ko) 편광판
TWI647111B (zh) 剝離裝置及剝離方法
US20160347032A1 (en) Laminated film and film attachment method
KR20140007553A (ko) 보호필름 박리 방법 및 장치
KR102378964B1 (ko) 점착 테이프 박리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박리 장치
CN108461443B (zh) 膜材分离机和膜材分离方法
TW201636656A (zh) 偏光板的製造方法及偏光膜的保管方法
CN205665494U (zh) 一种夹具及剥膜设备
JP6258736B2 (ja) 剥離用部材、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KR102288929B1 (ko) 웨이퍼 분리 방법 및 웨이퍼 분리 장치
JP4735443B2 (ja) 小型部品取出装置
TW201022109A (en) Auto pos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