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083B1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Google Patents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0083B1 KR102450083B1 KR1020210163985A KR20210163985A KR102450083B1 KR 102450083 B1 KR102450083 B1 KR 102450083B1 KR 1020210163985 A KR1020210163985 A KR 1020210163985A KR 20210163985 A KR20210163985 A KR 20210163985A KR 102450083 B1 KR102450083 B1 KR 1024500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ringe
- fixing
- groove
- present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61M2005/3139—Finger grip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syringe barrel, e.g. using adapter with finger gr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사기 보조기구는 주사기가 삽입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주사기 고정부, 상기 주사기 고정부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주사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사기 고정부의 제1 홈의 일측에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주사기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A syringe auxiliary devic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syringe fixing part in which the first groove into which the syringe is inserted is formed, the both sides of the syringe fixing part, and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yringe fixing part. A holding devic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yring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on one side of the first groove of the syringe fixing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yrin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사기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주사기를 사용함에 있어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도와주고, 주사기를 쉽게 탈착 가능하게 하면서 고정력은 높여주고, 주사기의 피스톤 가압을 엄지손가락 또는 엄지 두덩 등 편의에 따라 선택 가능하여 반복 주사에도 손에 부담을 감소시키는 주사기 보조기구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ringe auxilia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help a user more easily grip the syringe when using the syringe,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while making the syringe easily detachable, and to press the piston of the syringe with the thumb or thumb It is a syringe auxiliary device that reduces the burden on the hand even with repeated injections as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convenience such as the head.
일반적으로, 주사기형 실린더는 용액이 충전된 주사용기와 배럴에 충전된 용액을 밀어 배출하도록 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주사기형 실린더는 대체로 병원에서 환자의 치료목적을 위해서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미용을 위하여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syringe-type cylinder consists of a syringe filled with a solution and a piston that pushes the solution filled out into the barrel. Such a syringe-type cylinder is gener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in hospitals, but recently, it is not only used for cosmetic purposes, but also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종래의 기술에서는 보조그립을 주사기 플랜저에 결합하여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엄지손가락을 통해 가압하여 주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the prior art, it was common to attach the auxiliary grip to the syringe plunger, fix it using the index and middle fingers, and pressurize it through the thumb to inject.
또한, 주사기를 고정함에 있어서 이탈방지부재를 추가 구비해야 했다.In addition, in fixing the syringe, it was necessary to additionally provide an anti-separation member.
이러한, 종래기술은 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의료진이 수십, 수백건의 백신을 주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 들에 피로도가 누적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when the medical staff injects dozens or hundreds of vaccines due to the current coronavirus, fatigue in the joints of the user's fingers is often accumulated.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주사기를 사용함에 있어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도와주고, 주사기를 쉽게 탈착 가능하게 하면서 고정력은 높여주고, 주사기의 피스톤 가압을 엄지손가락 또는 엄지 두덩 등 편의에 따라 선택 가능하여 반복 주사에도 손에 부담을 감소시키는 주사기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o help the user more easily grip the syringe when using the syringe,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while making the syringe easily detachable, and to press the piston of the syringe with the thumb or two thumbs,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ringe auxiliary device tha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convenienc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hand even for repeated injec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사기 보조기구는 주사기가 삽입되는 제1 홈이 형성되는 주사기 고정부, 상기 주사기 고정부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주사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사기 고정부의 제1 홈의 일측에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주사기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The syringe auxiliary devic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syringe fixing part in which the first groove into which the syringe is inserted, and both sides of the syringe fixing part, and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holding part and the syringe in which the second groove is formed, one side of the first groove of the syringe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device for wrapping and fix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yring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보조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yring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가 주사기를 보다 편하게 파지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반복적으로 주사기를 사용하여도 피로감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First, by allowing the user to more comfortably grip the syringe, there is an effect of relieving fatigue even when the syringe is used repeatedly.
둘째, 사용자가 주사기를 탈착함에 있어 보다 간편하게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주사기 교체의 시간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time for replacing the syringe by allowing the user to detach the syringe more conveniently.
셋째, 사용자가 주사기를 가압함에 있어 엄지손가락 또는 엄지 두덩을 교체로 사용할 수 있어 반복적으로 사용해도 피로감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Third, when the user pressurizes the syringe, the user can use his or her thumb or two thumbs as an alternative, thereby reducing fatigue even when used repeatedly.
넷째, 주사기를 고정함에 있어 여러가지 방안을 두어 사용자의 사용양태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usage by putting various methods in fixing the syringe.
다섯째,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가락을 선택할 수 있어 장시간 같은 자세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Fifth,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use the same posture for a long time because the user can select the finger to be gripped.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구비한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 및 플랜지 홈이 형성된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보조기구의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aid having a sec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aid having a fixing device and a flange groov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aid hav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auxiliary device showing the use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state of the syringe auxiliary device provided wit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the phrase specifically s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주사기 보조기구의 구성Composition of syringe ai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구비한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aid hav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보조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사기 고정부(100), 파지부(200) 및 고정 장치(5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 the syring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주사기 고정부(100)는 주사기(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주사기 고정부(100)는 전체적으로 소정 높이를 갖는 평판 또는 막대 형상,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 주사기(1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1 홈이 형성된다. 이때, 제1 홈은 사용되는 주사기(10)의 직경을 고려하여 이와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The
파지부(200)는 주사기 고정부(100)의 양측, 바람직하게는 주사기 고정부(100)에 주사기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파지부(200)는 주사기 고정부(100)와 마찬가지로 평판 또는 막대형상,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제2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사기 고정부(100)의 양측 모두에 파지부(200)가 형성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파지부(200)의 두께 및 크기 등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굵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일어질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 및 플랜지 홈이 형성된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yringe aid having a flange groove formed therei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보조기구는 주사기(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주사기 고정부(100) 및 파지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주사기 플랜지(11)가 삽입될 수 있는 플랜지 홈(3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 홈(300)은 주사기(10)의 실린더 종단에 확장 형성되는 플랜지(11)의 일측이 삽입되어 주사기(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플랜지 홈(300)은 주사기 고정부(100) 및 파지부(2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파지부(200)의 일측까지 포함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As shown in FIG. 2, the syring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yring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고정 장치(500)는 일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의 양단을 연결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주사기(10)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 주사기(10)가 제1 홈에 밀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는 제1 홈의 일측에 하나의 고정밴드가 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복수의 고정밴드가 구비되거나, 제1 홈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in an embodiment,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auxiliary device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 장치(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의 일측에 사용되는 주사기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고정링(5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링(510)은 제1 홈의 일측에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고정링(510)의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는 힌지 결합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사기(1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개폐 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고정링(510)이 제1 홈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1 홈의 일측에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고정링(510)이 구비되거나, 제1 홈의 면적과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고정링(510)이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용양태 Aspects of use of syringe aids
전술한 구성을 갖는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용 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The aspect of use of the injector auxiliar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invention,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전술한 내용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위한 예시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사용양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it should be construed that chang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a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limit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주사기 보조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보조기구의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ringe auxiliary device showing the use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ing state of the syringe auxiliary device equipped wit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보조기구는 주사기 고정부(100)에 주사기(1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양측에 형성된 파지부(200)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되는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한다. 도 5에서는 사용자의 중지와 약지가 파지부(200)에 삽입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검지와 약지, 검지와 중지 등 다양한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syringe auxiliary device is fixed by inserting the
또한, 주사기 고정부(100)의 일측에 하나의 파지부(200)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된 손가락을 파지부(200)에 삽입하여 파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only one
이렇게 주사기 고정부(100) 및 파지부(200)에 각각 주사기(10) 및 손가락을 삽입한 후 사용자는 주사기 피스톤 상단부(12)를 엄지 손가락 또는 손바닥의 엄지 두덩(22)을 통해 가압하여 주사기(10) 내부에 수용된 주사액을 주사할 수 있다. After inserting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보조기구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엄지 손가락 또는 엄지 두덩(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주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 두덩(22)에 가해지는 부담감을 분산하여 피로감을 감소할 수 있다. As such, through the syring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thumb or the
플랜지 홈(300)은 사용자가 주사기 플랜지(11)를 검지와 중지 혹은 중지와 약지 등으로 반복적으로 장시간 파지하면서 오는 피로감이나 통증을 줄여 주기 위해 주사기 플랜지(11)를 플랜지 홈(300)에 삽입하여 고정하여 주사기 플랜지(11)를 직접 파지하지 않고, 파지부(200)를 통해 파지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감이나 통증을 줄여줄 수 있다. The
주사기 고정부(100)의 일측에 고정 장치(500)를 추가 구비하여 주사기(1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주사기(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additionally providing a
여기서, 고정 장치(500)는 고정밴드, 회전하는 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밴드는 양쪽이 주사기 고정부(100)와 연결되어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주사기(10)를 삽입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 중 한 쪽은 경첩형식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은 후크 형식으로 이루어져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주사기(10)를 안착시켜서 고정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ixing
또한, 주사기 고정부(100)에서 주사기(10)가 삽입되는 면과 주사기(10)가 삽입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고정링(510)를 추가 구비하여 주사기(10)를 삽입할 때 삽입된 주사기(1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고정하여 주사기(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내용은 모든 면에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주사기
11: 주사기 플랜지
12: 주사기 피스톤 상단부
100: 주사기 고정부
200: 파지부
300: 플랜지 홈
500: 고정 장치
510: 고정링
22: 엄지 두덩10: syringe
11: Syringe Flange
12: upper end of syringe piston
100: syringe fixing unit
200: grip part
300: flange groove
500: fixture
510: retaining ring
22: thumbs up
Claims (1)
상기 주사기 고정부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주사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사기 고정부의 제1 홈의 일측에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주사기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상기 주사기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 상기 주사기가 제1 홈에 밀착되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홈의 양측 측면 일측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지는 주사기 보조기구.A syringe fixing portion in which a first groove into which the syringe is inserted is formed;
a grip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yringe fixing part and having a second groove into which a user's finger is inserted;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yring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on one side of the first groove of the syringe fixing part to prevent the syringe from being detached;
including,
The fixing devic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wraps around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yring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so that the syringe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roove at both ends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A syringe auxiliary device consisting of a fixing band connected to eac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3985A KR102450083B1 (en) | 2021-08-17 | 2021-11-25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7871A KR102421848B1 (en) | 2021-08-17 | 2021-08-17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63985A KR102450083B1 (en) | 2021-08-17 | 2021-11-25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7871A Division KR102421848B1 (en) | 2021-08-17 | 2021-08-17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0083B1 true KR102450083B1 (en) | 2022-10-12 |
Family
ID=8198768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7871A Active KR102421848B1 (en) | 2021-08-17 | 2021-08-17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63979A Active KR102408491B1 (en) | 2021-08-17 | 2021-11-25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63985A Active KR102450083B1 (en) | 2021-08-17 | 2021-11-25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68734A Active KR102465174B1 (en) | 2021-08-17 | 2021-11-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68744A Active KR102427992B1 (en) | 2021-08-17 | 2021-11-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92697A Active KR102427993B1 (en) | 2021-08-17 | 2021-12-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92689A Active KR102421934B1 (en) | 2021-08-17 | 2021-12-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7871A Active KR102421848B1 (en) | 2021-08-17 | 2021-08-17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63979A Active KR102408491B1 (en) | 2021-08-17 | 2021-11-25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734A Active KR102465174B1 (en) | 2021-08-17 | 2021-11-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68744A Active KR102427992B1 (en) | 2021-08-17 | 2021-11-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92697A Active KR102427993B1 (en) | 2021-08-17 | 2021-12-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KR1020210192689A Active KR102421934B1 (en) | 2021-08-17 | 2021-12-30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7) | KR102421848B1 (en) |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6701A (en) * | 1994-11-01 | 1996-05-21 | Terumo Corp | Mounting means for outside cylinder, mounting means for plunger, mounting means for syringe, and syringe |
JPH09103486A (en) * | 1995-09-22 | 1997-04-22 | Becton Dickinson & Co | Back stop apparatus for flangeless injector |
JP2010515505A (en) * | 2007-01-09 | 2010-05-13 | フォヴェア ファルマシューティカル | Intraocular injection device |
US20120220948A1 (en) * | 2008-04-18 | 2012-08-30 | Ipsyrng Capital Development, Llc | Ergonomic syringe |
US20130116624A1 (en) * | 2010-06-15 | 2013-05-09 | Csl Behring Gmbh | Holder for an injection syringe |
KR200473092Y1 (en) * | 2014-03-05 | 2014-06-16 | 권무형 |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
KR101810886B1 (en) * | 2017-08-21 | 2017-12-20 | (주)풍림파마텍 | finger-grip holder for Syringe |
KR101841557B1 (en) * | 2017-08-21 | 2018-03-23 | (주)풍림파마텍 | finger-grip for Syringe with slip prevention |
US20180117256A1 (en) * | 2016-11-03 | 2018-05-03 | Abbott Medical Optics Inc. | Syringe finger grip |
KR20180059421A (en) | 2018-05-28 | 2018-06-04 | 김기주 | The method of sns group purchase |
KR20180003584U (en) * | 2017-06-12 | 2018-12-21 | 주식회사 엘엠 | Applicator for prefilled syringe |
KR20190137252A (en) * | 2018-06-01 | 2019-12-11 | 비덴샤 주식회사 | Grip for syringe |
KR20200039512A (en) * | 2018-10-07 | 2020-04-16 | 장민석 | Syringe assist device for collecting blood with one hand |
JP2020531230A (en) * | 2017-08-22 | 2020-11-05 | ケービー メディカル, エルエルシー | External structure to assist accurate syringe injection |
KR20210059951A (en) * | 2019-11-18 | 2021-05-26 | 윤영진 | Safety Device for a syring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65478A (en) * | 1982-10-14 | 1984-08-14 | Collagen Corporation | Syringe force amplification device |
US6616634B2 (en) * | 2001-09-21 | 2003-09-09 | Semler Technologies, Inc. | Ergonomic syringe |
US7611495B1 (en) * | 2005-10-07 | 2009-11-03 | Gianturco Michael C | Device for manually controlling delivery rate of a hypodermic syringe and syringe having same |
JP3149239U (en) * | 2008-12-16 | 2009-03-19 | 株式会社メディテック ジャパン | Syringe that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auxiliary device for syringe and syringe set |
USD675317S1 (en) * | 2011-02-11 | 2013-01-29 | Baxter James R | Ergonomic syringe adapter |
KR101251149B1 (en) * | 2011-08-12 | 2013-04-04 | 조희민 | A detachable grip for syringe |
US10064997B2 (en) * | 2014-10-09 | 2018-09-04 |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 Rotatable finger flange for a syringe |
US20160166770A1 (en) * | 2014-12-11 | 2016-06-16 | Rafael Emerick Salas | Ergonomic Syringe Gripper Apparatus |
-
2021
- 2021-08-17 KR KR1020210107871A patent/KR102421848B1/en active Active
- 2021-11-25 KR KR1020210163979A patent/KR102408491B1/en active Active
- 2021-11-25 KR KR1020210163985A patent/KR102450083B1/en active Active
- 2021-11-30 KR KR1020210168734A patent/KR102465174B1/en active Active
- 2021-11-30 KR KR1020210168744A patent/KR102427992B1/en active Active
- 2021-12-30 KR KR1020210192697A patent/KR102427993B1/en active Active
- 2021-12-30 KR KR1020210192689A patent/KR1024219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6701A (en) * | 1994-11-01 | 1996-05-21 | Terumo Corp | Mounting means for outside cylinder, mounting means for plunger, mounting means for syringe, and syringe |
JPH09103486A (en) * | 1995-09-22 | 1997-04-22 | Becton Dickinson & Co | Back stop apparatus for flangeless injector |
JP2010515505A (en) * | 2007-01-09 | 2010-05-13 | フォヴェア ファルマシューティカル | Intraocular injection device |
US20120220948A1 (en) * | 2008-04-18 | 2012-08-30 | Ipsyrng Capital Development, Llc | Ergonomic syringe |
US20130116624A1 (en) * | 2010-06-15 | 2013-05-09 | Csl Behring Gmbh | Holder for an injection syringe |
KR200473092Y1 (en) * | 2014-03-05 | 2014-06-16 | 권무형 | Gripping Device and Case Apparatus hav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
US20180117256A1 (en) * | 2016-11-03 | 2018-05-03 | Abbott Medical Optics Inc. | Syringe finger grip |
KR20180003584U (en) * | 2017-06-12 | 2018-12-21 | 주식회사 엘엠 | Applicator for prefilled syringe |
KR101810886B1 (en) * | 2017-08-21 | 2017-12-20 | (주)풍림파마텍 | finger-grip holder for Syringe |
KR101841557B1 (en) * | 2017-08-21 | 2018-03-23 | (주)풍림파마텍 | finger-grip for Syringe with slip prevention |
JP2020531230A (en) * | 2017-08-22 | 2020-11-05 | ケービー メディカル, エルエルシー | External structure to assist accurate syringe injection |
KR20180059421A (en) | 2018-05-28 | 2018-06-04 | 김기주 | The method of sns group purchase |
KR20190137252A (en) * | 2018-06-01 | 2019-12-11 | 비덴샤 주식회사 | Grip for syringe |
KR20200039512A (en) * | 2018-10-07 | 2020-04-16 | 장민석 | Syringe assist device for collecting blood with one hand |
KR20210059951A (en) * | 2019-11-18 | 2021-05-26 | 윤영진 | Safety Device for a syrin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5174B1 (en) | 2022-11-10 |
KR102427993B1 (en) | 2022-08-02 |
KR102427992B1 (en) | 2022-08-02 |
KR102421934B1 (en) | 2022-07-15 |
KR102421848B1 (en) | 2022-07-19 |
KR102408491B1 (en) | 2022-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6102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medication | |
US11097065B2 (en) | Needle-shield remover | |
US11337892B2 (en) | Grasping facilitators and uses thereof and kits involving the same | |
WO2004045681A3 (en) | Prefilled syringe | |
HK1252507A1 (en) | Syringe | |
US9468724B2 (en) | Needle shield removal tool | |
KR102450083B1 (en) | Auxiliary Utensils for Syringe | |
US20160166770A1 (en) | Ergonomic Syringe Gripper Apparatus | |
CA2798847A1 (en) | Asymmetric-torque phacoemulsification needle wrench | |
CN217118476U (en) | Inserter | |
CN222324041U (en) | Insulin needle removal device | |
CN215131474U (en) | Micro-shaping needle for eye beautifying lifting | |
CN221130617U (en) | Injector device capable of being operated stably | |
JP4910075B1 (en) | Injector aids and injectors | |
CN222172443U (en) | Eye drops auxiliary component | |
CN222488420U (en) | Insulin syringe needle picking forceps | |
CN206228460U (en) | A kind of animal injection sterile glove | |
CN215690617U (en) | A connection kit and syringe | |
US20220168511A1 (en) | Pen needle | |
CN200984217Y (en) | Vein pressing forceps | |
CN203539671U (en) | Acupoint clamp | |
CN210232916U (en) | Pneumatic nail gun handle according with human engineering | |
KR200491392Y1 (en) | medical staple remover | |
JP1675082S (en) | Outer cylinder assister | |
JPH0548916U (en) | Dental instru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81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10787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