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9164B1 -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164B1
KR102449164B1 KR1020200022898A KR20200022898A KR102449164B1 KR 102449164 B1 KR102449164 B1 KR 102449164B1 KR 1020200022898 A KR1020200022898 A KR 1020200022898A KR 20200022898 A KR20200022898 A KR 20200022898A KR 102449164 B1 KR102449164 B1 KR 10244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hell
shell block
eco
greening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539A (ko
Inventor
여중훈
Original Assignee
(주)호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정산업 filed Critical (주)호정산업
Priority to KR102020002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1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1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13/0268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2Mats; Nets; Sheets or 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는 사면 및 하천 바닥에 시공되어 친환경 녹지를 조성함과 더불어 식물의 뿌리 활착률을 높여 빗물 및 유속이 빠른 하천 바닥 환경에 대해 유실을 방지하며, 특히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조개껍데기, 굴껍질 등)을 보습제 및 천연거름으로 재활용하여 산업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대량 처리하기 위해 식생패각블록(100), 식생매트(20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Eco-friendly Greening System Using Shells}
본 발명은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 및 하천 바닥에 시공되어 친환경 녹지를 조성함과 더불어 식물의 뿌리 활착률을 높여 빗물 및 유속이 빠른 하천 바닥 환경에 대해 유실을 방지하며, 특히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조개껍데기, 굴껍질 등)을 보습제 및 천연거름으로 재활용하여 산업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대량 처리할 수 있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은 사면의 붕괴 및 우천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식생매트 또는 식생블록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식생기반을 조성하는바, 근자에는 자연 생태계의 보존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녹지를 조성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사면 녹화방법을 살펴보면, 특허공개번호 제10-2004-92523호에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외벽이 수직벽으로 구성되고 내벽은 경사진 사각 외곽 틀과 외곽 틀 내부의 공간부를 4등분하는 절두 원추형 단면의 칸막이 틀로 구성되고 내부 칸막이 틀은 외곽 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었으며, 외곽 틀의 모서리 부분에 절각부가 형성되어, 하천의 제방이나 유수지, 해안 등의 경사면 보호에 사용되며 사면침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각틀 공간부에 토사채움과 식재시 식생녹화호안, 석재채움시 친환경 등의 여러가지 호안형태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각틀 환경 블록이 큰크리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 후 몇 년, 몇 십년이 지난 후 반영구적으로 시공현장에 남아 주변환경이 황패해지면서 식물생육환경에 적지 않은 피해를 가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상 녹지 조성용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공간이 축소되어 사면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함과 더불어 녹지 조성이 지연됨에 따라 집중호우 발생시 사각틀 환경 블록 저면에 토사가 빗물에 쉽게 유실되어 사면 전체가 무너져 홍수 피해를 야기하고, 녹화 사면의 잦은 쇄굴과 유실로 보수나 재시공 작업이 반복되는 등 사회경제적으로 손실이 매우 큰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사면 및 하천 바닥에 시공되어 친환경 녹지를 조성함과 더불어 식물의 뿌리 활착률을 높여 빗물 및 유속이 빠른 하천 바닥 환경에 대해 유실을 방지하며, 특히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조개껍데기, 굴껍질 등)을 보습제 및 천연거름으로 재활용하여 산업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대량 처리할 수 있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PLA(Poly Lactic Acid), 패각(貝殼)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하여 내부에 격실(110)이 형성되도록 성형되고, 바닥에 투수구(120)와 상부에 개구부(130)가 구비되는 식생패각블록(100); 상기 식생패각블록(100) 상부에 설치되어 개구부(130)를 마감하고, 내부에 종자층(21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식생매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격실(110) 내부 바닥에는 패각 분쇄물이 충진되어 흡습층(300)을 형성하고, 흡습층(300) 상부에는 흙이 충진되어 토양층(400)이 형성되며, 상기 흡습층(300)은 수분을 흡수 보유하여 가뭄 시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실(110) 내부 바닥에는 흙이 충진되어 토양층(400)이 형성되고, 토양층(400) 상부에는 패각 분쇄물이 충진되어 흡습층(300)을 형성하며, 상기 흡습층(300)은 수분을 흡수 보유하여 가뭄 시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실(110) 내부공간은 격판(112)에 의해 복수의 분할공간(113)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분할공간(113)에 흙, 패각 분쇄물이 분리 충진되어, 패각 분쇄물로 이루어진 흡습층(300)이 격실(110) 내부공간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판(112)은 격실(110) 내부공간 깊이 대비 짧게 형성되어 상부에 확장공간부(114)가 형성되고, 확장공간부(114)에 패각 분쇄물을 충진하여 흡습층(300)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열용착 성형시, PLA(Poly Lactic Acid), 패각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과 함께 패각볼(500)을 혼합 투입하고, 상기 패각볼(500)은 패각 분쇄물을 수용성 결합제와 혼합한 상태로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각볼(500) 직경은 식생패각블록(100) 두께 대비 1~10%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 후, 패각볼(500)이 수분에 노출되면 수용성 결합제가 용해되면서 식생패각블록(100) 내외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입도 10~30mm인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도 10~30mm인 자연석 40 ~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PLA 입자와 자연석 입자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바닥판부(101)와, 바닥판부(101) 상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내부에 격실(110)을 형성하고, 입도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패각(貝殼) 분쇄물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벽체부(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의 바닥판부(101)에 PLA(Poly Lactic Acid)은 60 ~ 200일 사이에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 후 60 ~ 200일을 경과하면 벽체부(102) 저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의 바닥판부(101)에 형성되는 투수구(120)를 관통하여 지중으로 삽입 고정되는 위치고정핀(6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부(102)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구(70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700)는 식생패각블록(100) 상부에 시공되는 식생매트(200)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과 대응하는 식생매트(200) 상면에 안착되어 체결수단(830)에 의해 결속되는 식생패각덮개(800)가 구비되고, 상기 식생패각덮개(800)는 PLA(Poly Lactic Acid), 패각(貝殼)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 형성되어 벽체부(102) 상면에 체결되고 내부에 식생공간(812)이 개방되는 외곽틀(810)과, 외곽틀(810) 식생공간(812)을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바(8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생패각덮개(800)의 식생공간을 통하여 식생매트(200)의 종자층(210)에서 성장한 식물이 자라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곽틀(810)은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2개의 경사면(814)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패각덮개(800)를 연설시, 2개의 경사면(814)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식생패각덮개(800) 사이에 멀티식생공간(812')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면 및 하천 바닥에 시공되어 친환경 녹지를 조성함과 더불어 식물의 뿌리 활착률을 높여 빗물 및 유속이 빠른 하천 바닥 환경에 대해 유실을 방지하며, 특히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조개껍데기, 굴껍질 등)을 보습제 및 천연거름으로 재활용하여 산업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대량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의 흡습층 및 토사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의 격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의 패각볼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의 바닥판부 자연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의 위치고정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의 체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의 식생패각덮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는 사면 및 하천 바닥에 시공되어 친환경 녹지를 조성함과 더불어 식물의 뿌리 활착률을 높여 빗물 및 유속이 빠른 하천 바닥 환경에 대해 유실을 방지하며, 특히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조개껍데기, 굴껍질 등)을 보습제 및 천연거름으로 재활용하여 산업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대량 처리하기 위해 식생패각블록(100), 식생매트(20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패각블록(100)은 PLA(Poly Lactic Acid), 패각(貝殼)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하여 내부에 격실(110)이 형성되도록 성형되고, 바닥에 투수구(120)와 상부에 개구부(130)가 구비된다.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부 기준 패각(貝殼) 분쇄물 10~15중량부로 혼합되고, 이때 패각(貝殼) 분쇄물 혼합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식생패각블록(100) 내구성 저하로 이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상부에 개구부(130)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사면 및 하천 바닥에 시공된 상태로 내부 격실(110)에 흙을 충진하여 토양층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200)는 상기 식생패각블록(100) 상부에 설치되어 개구부(130)를 마감하고, 내부에 종자층(21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식생매트(200)는 도 1과 같이 식생패각블록(100) 사이즈 대비 확장 형성되어, 단일의 식생매트(200)에 의해 복수의 식생패각블록(100)이 마감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식생매트(200)는 보습층, 종자층, 종자보호층, 보온층 및 보호망을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호망의 메쉬눈 크기는 후술하는 체결구(700) 외경 사이즈와 같거니 1~10%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체결구(700)가 식생매트(200)를 관통한 상태로 보호망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 2에서, 상기 격실(110) 내부 바닥에는 패각 분쇄물이 충진되어 흡습층(300)을 형성하고, 흡습층(300) 상부에는 흙이 충진되어 토양층(4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각 분쇄물은 0.5~3mm 입도로 형성되고, 흡습층(300)은 격실(110) 내부 공간 대비 10~60% 충진된다.
이에 상기 흡습층(300)은 패각 분쇄물에 형성된 기공에 의해 격실(110) 내부 바닥에서 수분을 흡수 보유하여 가뭄 시 뿌리 깊은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시공후 수개월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어 식물 생장에 필요한 거름으로 이용된다.
도 3에서, 상기 격실(110) 내부 바닥에는 흙이 충진되어 토양층(400)이 형성되고, 토양층(400) 상부에는 패각 분쇄물이 충진되어 흡습층(300)을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각 분쇄물은 0.5~3mm 입도로 형성되고, 흡습층(300)은 격실(110) 내부 공간 대비 10~60% 충진된다.
이에 상기 흡습층(300)은 패각 분쇄물에 형성된 기공에 의해 격실(110) 내부 상부에서 수분을 흡수 보유하여 가뭄 시 뿌리 발육이 짧은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시공 후 수개월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어 식물 생장에 필요한 거름으로 이용된다.
도 4에서, 상기 격실(110) 내부공간은 격판(112)에 의해 복수의 분할공간(113)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분할공간(113)에 흙, 패각 분쇄물이 분리 충진되어, 패각 분쇄물로 이루어진 흡습층(300)이 격실(110) 내부공간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습층(300) 하부는 도 5 (a)처럼 격실(110) 내부 바닥에 형성되는 투수구(120)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우천시 흡습층(300)에서 수분을 흡수 보유함과 더불어 가뭄시 지중 습기를 투수구(120)를 통하여 흡수하여 격실(110) 상부에 식재된 식물 뿌리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판(112)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격실(110) 내부 공간을 2분할 하거나, '+'형으로 형성되어 격실(110) 내부 공간을 4분할하거나, '+'형 중앙에 중앙 관체를 형성하여 격실(110) 내부 공간을 5분할 하도록 구비되며, 이때 격판(112)은 타공판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분할된 공간에 수분이 서로 공유되도록 구성된다.
도 5 (b)에서, 상기 격판(112)은 격실(110) 내부공간 깊이 대비 짧게 형성되어 상부에 확장공간부(114)가 형성되고, 확장공간부(114)에 패각 분쇄물을 충진하여 흡습층(300)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격판(112)에 의해 흡습층(300)이 격실(110) 내부 공간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확장공간부(114)에 충진되는 패각 분쇄물에 의해 상면 전체가 흡습층(300)을 형성하므로, 종방향 흡습층(300)을 통하여 지중에서 흡수되는 수분이 확장공간부(114)에 충진되는 흡습층(300)을 타고 식새매트(200) 저면으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도 6에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열용착 성형시, PLA(Poly Lactic Acid), 패각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과 함께 패각볼(500)을 혼합 투입하고, 상기 패각볼(500)은 패각 분쇄물을 수용성 결합제와 혼합한 상태로 압축 성형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각볼(500) 직경은 식생패각블록(100) 두께 대비 1~10%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패각볼(500)은 식생패각블록(100) 성형시 PLA(Poly Lactic Acid), 패각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과 함께 금형 내부로 투입되어 일체로 성형된다.
이에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 후, 패각볼(500)이 수분에 노출되면 수용성 결합제가 용해되면서 식생패각블록(100) 내외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을 통하여 식물 뿌리 활착, 배수 및 수분 공급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입도 10~30mm인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도 10~30mm인 자연석 40 ~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PLA 입자와 자연석 입자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바닥판부(101)와, 바닥판부(101) 상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내부에 격실(110)을 형성하고, 입도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패각(貝殼) 분쇄물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벽체부(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바닥판부(101)에 혼합된 자연석 함량으로 인해 식생패각블록(100) 무게 중심이 하부로 편중되어 시공 안전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PLA 입자와 자연석 입자 사이에 공극으로 인해 배수 및 수분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의 바닥판부(101)에 PLA(Poly Lactic Acid)은 60 ~ 200일 사이에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 후 60 ~ 200일을 경과하면 벽체부(102) 저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즉,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 후 60 ~ 200일을 경과한 시점에 식물이 뿌리 활착이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이 시점에 바닥판부(101)가 우선 자연 분해되어 격실(110) 하부가 지중으로 개방됨에 따라 식물 뿌리가 보다 깊이 활착되고, 또 바닥판부(101)가 개방된 상태로 벽체부(102)에 의해 사면 등의 시공면 지반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8에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의 바닥판부(101)에 형성되는 투수구(120)를 관통하여 지중으로 삽입 고정되는 위치고정핀(600)이 구비된다. 위치고정핀(600)은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면에 배치한 후에 체결되고, 이후 격실(110) 내부로 토양층(400) 및 흡습층(300)이 투입된다. 이에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이 위치고정핀(600)에 의해 고정되어 식물 뿌리가 활착되기 전까지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9에서, 상기 벽체부(102)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구(70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700)는 식생패각블록(100) 상부에 시공되는 식생매트(200)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체결구(700)는 쐐기타입으로 박히거나, 볼트타입으로 나사체결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700) 상측 외주면에는 후크날이 형성되어 식생매트(200)에 천공된 상태로 결속되거나, 후술하는 식생패각덮개(800)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고정력이 전달된다.
도 10에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과 대응하는 식생매트(200) 상면에 안착되어 체결수단(830)에 의해 결속되는 식생패각덮개(800)가 구비되고, 상기 식생패각덮개(800)는 PLA(Poly Lactic Acid), 패각(貝殼)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 형성되어 벽체부(102) 상면에 체결되고 내부에 식생공간(812)이 개방되는 외곽틀(810)과, 외곽틀(810) 식생공간(812)을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바(820)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각(貝殼) 분쇄물은 식생패각덮개(800)에 사용되는 혼합물 총 중량 대비 15%미만으로 설정된다. 이때 패각(貝殼) 분쇄물 혼합비율이 15%를 초과하면 식생패각덮개(800) 내구성이 저하되고, 15%미만 일수록 패각(貝殼) 분쇄물 사용량 감소 즉, 산업폐기물 처리량이 줄어든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830)은 식생패각블록(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체결핀으로 형성되어 식생패각블록(100)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상기 식생패각덮개(800)에 의해 식생매트(200) 상면이 가압 지지되어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시공 후 유실이 방지됨과 더불어 식생공간(812)을 통하여 식생매트(200)의 종자층(210)에서 성장한 식물이 자라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을 하천 바닥에 시공시, 식생패각덮개(8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식생공간(812)으로 하천 바닥을 타고 이동하는 자연석이 충진되므로 식생매트(2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자연석에 의해 식생매트(200) 상부가 마감되어 친환경적인 자연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저면에 외곽틀(810) 및 복수의 분할바(820) 형상을 따라 하부음각 홈이 형성되는바, 즉 종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음각 홈이 구비되어, 시공후 시간이 흐르면 하부 음각 홈으로 자연석, 흙, 식물 뿌리가 활착되어 공간이 메워지면서 식생패각블록(100) 고정력이 향상된다.
도 10 (b)에서, 상기 외곽틀(810)은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2개의 경사면(814)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식생패각덮개(800)를 연설시, 2개의 경사면(814)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식생패각덮개(800) 사이에 멀티식생공간(812')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식물 생육 면적이 확대되고, 또 이웃하는 식생패각덮개(800)의 경사면(814)이 서로 접하도록 시공시 식생패각덮개(800)를 간에 견고하게 맞물려 체결수단(830) 설치 수량을 줄이더라도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100: 식생패각블록 200: 식생매트
300: 흡습층 400: 토양층
500: 패각볼 600: 위치고정핀
700: 체결구 800: 식생패각덮개

Claims (12)

  1. PLA(Poly Lactic Acid), 패각(貝殼)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하여 내부에 격실(110)이 형성되도록 성형되고, 바닥에 투수구(120)와 상부에 개구부(130)가 구비되는 식생패각블록(100);
    상기 식생패각블록(100) 상부에 설치되어 개구부(130)를 마감하고, 내부에 종자층(21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식생매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열용착 성형시, PLA(Poly Lactic Acid), 패각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과 함께 패각볼(500)을 혼합 투입하고, 상기 패각볼(500)은 패각 분쇄물을 수용성 결합제와 혼합한 상태로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각볼(500) 직경은 식생패각블록(100) 두께 대비 1~10%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 후, 패각볼(500)이 수분에 노출되면 수용성 결합제가 용해되면서 식생패각블록(100) 내외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110) 내부 바닥에는 패각 분쇄물이 충진되어 흡습층(300)을 형성하고, 흡습층(300) 상부에는 흙이 충진되어 토양층(400)이 형성되며, 상기 흡습층(300)은 수분을 흡수 보유하여 가뭄 시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110) 내부 바닥에는 흙이 충진되어 토양층(400)이 형성되고, 토양층(400) 상부에는 패각 분쇄물이 충진되어 흡습층(300)을 형성하며, 상기 흡습층(300)은 수분을 흡수 보유하여 가뭄 시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110) 내부공간은 격판(112)에 의해 복수의 분할공간(113)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분할공간(113)에 흙, 패각 분쇄물이 분리 충진되어, 패각 분쇄물로 이루어진 흡습층(300)이 격실(110) 내부공간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12)은 격실(110) 내부공간 깊이 대비 짧게 형성되어 상부에 확장공간부(114)가 형성되고, 확장공간부(114)에 패각 분쇄물을 충진하여 흡습층(300)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은, 입도 10~30mm인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도 10~30mm인 자연석 40 ~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PLA 입자와 자연석 입자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바닥판부(101)와, 바닥판부(101) 상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내부에 격실(110)을 형성하고, 입도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패각(貝殼) 분쇄물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하여 형성되는 벽체부(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의 바닥판부(101)에 PLA(Poly Lactic Acid)은 60 ~ 200일 사이에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을 시공 후 60 ~ 200일을 경과하면 벽체부(102) 저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의 바닥판부(101)에 형성되는 투수구(120)를 관통하여 지중으로 삽입 고정되는 위치고정핀(6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2)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구(70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700)는 식생패각블록(100) 상부에 시공되는 식생매트(200)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패각블록(100)과 대응하는 식생매트(200) 상면에 안착되어 체결수단(830)에 의해 결속되는 식생패각덮개(800)가 구비되고, 상기 식생패각덮개(800)는 PLA(Poly Lactic Acid), 패각(貝殼) 분쇄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열융착 형성되어, 벽체부(102) 상면에 체결되고 내부에 식생공간(812)이 개방되는 외곽틀(810)과, 외곽틀(810) 식생공간(812)을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바(8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생패각덮개(800)의 식생공간을 통하여 식생매트(200)의 종자층(210)에서 성장한 식물이 자라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틀(810)은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2개의 경사면(814)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패각덮개(800)를 연설시, 2개의 경사면(814)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식생패각덮개(800) 사이에 멀티식생공간(812')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KR1020200022898A 2020-02-25 2020-02-25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Active KR10244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98A KR102449164B1 (ko) 2020-02-25 2020-02-25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98A KR102449164B1 (ko) 2020-02-25 2020-02-25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39A KR20210108539A (ko) 2021-09-03
KR102449164B1 true KR102449164B1 (ko) 2022-09-30

Family

ID=7778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898A Active KR102449164B1 (ko) 2020-02-25 2020-02-25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34B1 (ko) * 2012-02-28 2012-10-08 (주)호정산업 패각을 이용한 식생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577972B1 (ko) * 2015-03-23 2015-12-16 (주)호정산업 게비온 철망용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675B1 (ko) * 2015-12-03 2017-10-25 (주)호정산업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934B1 (ko) * 2012-02-28 2012-10-08 (주)호정산업 패각을 이용한 식생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577972B1 (ko) * 2015-03-23 2015-12-16 (주)호정산업 게비온 철망용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39A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166B1 (ko) 식생패각덮개를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EP0704009B1 (de) Schutzaufbau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WO2017052473A1 (en) A ba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653374B1 (ko)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KR102449164B1 (ko)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KR101187934B1 (ko) 패각을 이용한 식생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N207109721U (zh) 一种河道生态绿化景观结构
KR20080014176A (ko)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200469646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944269B1 (ko) 광산지역 사면 녹화처리용 직물 매트
KR101035264B1 (ko) 연속섬유보강토를 활용한 식생호안의 조성방법
CN210917225U (zh) 一种阶梯状生态护坡
KR20160128560A (ko) 구조용 프레임과 철망에 의한 블록형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213203979U (zh) 河道重力式混凝土防洪墙生态改造结构
CN109235488A (zh) 一种多功能景观环保挡土墙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20140080597A (ko) 현장 조립용 프리캐스트 섬유대 및 이를 이용한 식생공 시공 방법
CN114319395A (zh) 生态袋改性膨胀土柔性生态护坡结构与施工方法
CN114277815A (zh) 土工格栅反包改性膨胀土柔性生态护坡结构及施工方法
JPH10183636A (ja) 護岸法面などの緑化工法
CN218880907U (zh) 一种格宾石笼生态护坡
KR20190103759A (ko) 폐갱도 복구 시공방법
CN217217553U (zh) 一种用于矿山修复工程的植生槽结构
KR20140048765A (ko) 친환경 녹화모듈
KR101812292B1 (ko) 사면 녹화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 보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