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03B1 - Vessels capable of moving the hull up and down - Google Patents
Vessels capable of moving the hull up and dow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903B1 KR102448903B1 KR1020220005957A KR20220005957A KR102448903B1 KR 102448903 B1 KR102448903 B1 KR 102448903B1 KR 1020220005957 A KR1020220005957 A KR 1020220005957A KR 20220005957 A KR20220005957 A KR 20220005957A KR 102448903 B1 KR102448903 B1 KR 102448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ship
- receiving
- disposed
- bas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15—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trac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capable of moving a hull up and down.
일반적으로 선박은 내연기관 및 전동기와 같은 원동기에서 생성된 동력을 회전축을 통하여 스크류에 전달하여 물을 밀어냄으로써 전진하는 추력을 얻는다.In general, a ship acquires forward thrust by pushing water by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from a prime mover such a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to a screw through a rotating shaft.
스크류의 효율은 비대선의 경우 70~80%, 세장형 고속선의 경우에도 50~60%에 불과하다. 이러한 스크류의 효율을 증가시키려면 기존의 스크류로는 불가능하고, 선속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형을 유선형으로 개량하는 방법을 사용하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고, 통상형 선박에서 유일한 해결책은 엔진의 동력을 증대시켜 스크류를 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The efficiency of the screw is only 70~80% in the case of a large craft and 50~60% in the case of an elongated high-speed craf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ch a screw, it is impossible with the existing screw, and a method of improving the linear shape to improve the ship speed is used. The method of rotating the screw at a higher speed is used by increasing the
그러나 선박용 디젤 엔진의 동력에는 한계가 있고, 수중에서 스크류가 고속 회전하게 되면 주변의 수압이 포화 수증기압보다 떨어져 기포가 발생하기 때문에 즉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power of a marine diesel engine, and when the screw rotates at high speed in water, the surrounding water pressure falls below the saturated water vapor pressure and bubbles are generated, that is, cavitation occurs. .
따라서 통상적 선체 형상과 추진기로 실현할 수 있는 최대선속은 45노트(시속 83.34Km)를 넘지 못하고 있다.Therefore, the maximum ship speed that can be realized with the normal hull shape and thruster does not exceed 45 knots (83.34 km per hour).
기존의 스크류는 어떤 방식이던 1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흡입, 토출을 동시에 하기 위해서는 나선형을 하고 있고, 스큐류의 날개 표면이 매끈해야 했다. 그것은 스크류의 날개 표면에서 생기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나 여전히 마찰저항이 발생하고 물속에서 유체 마찰로 흡입 토출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좋지 못하게 된다.The existing screw had a spiral shape in order to simultaneously inhale and discharge while rotating around one axis in any way, and the surface of the wing of the screw had to be smooth. It is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blade of the screw, but the frictional resistance still occurs and the energy efficiency is not good because it is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riction of the fluid in the water.
기존에 이러한 스크류 방식에서 벗어나 벨트형 추진방식이 도입되었으나, 벨트에 물갈퀴를 고정식으로 달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물갈퀴가 뒤로 물을 밀어내면서 선체가 전진하는 방식이다.In the past, a belt-type propulsion method was introduced instead of the screw method, but it is a method in which the web is rotated by attaching a webbing to the belt.
이러한 방식에서는 물갈퀴가 수면으로 내려오는 시점에서 수면을 내려치면서 선체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어 전진 추력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다. 즉 수면을 내리치면서 발생하는 동력손실이 발생하고, 선체를 들어올려 제대로 된 추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In this way, when the fins come down to the surface, they hit the surface and lift the hull upwards, so it does not help the forward thrust. In other words, power loss caused by hitting the water surface occurs, and proper propulsion is not achieved by lifting the hull.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1941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19989호에는 선체에 무한궤도를 설치하여 추진력을 향상시키거나 쇄빙선의 추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No. 10-1851941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7-0019989 disclose a ship capable of improving propulsion or increasing the propulsion of an icebreaker by installing a caterpillar on the hu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p capable of moving the hull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은, 물과 접촉되는 선체(100); 상기 선체(100)에 결합되고, 선택적 작동을 통해 상기 선체(1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장치(200)는, 상기 선체(1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어 선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1 리프트장치(201); 및 상기 선체(1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어 선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2 리프트장치(202);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선체(100)는, 상기 제 1 리프트장치(201)가 수납되는 제 1 수납공간(311)이 형성된 제 1 수납선체(301); 및 상기 제 2 리프트장치(202)가 수납되는 제 2 수납공간(312)이 형성되는 제 2 수납선체(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리프트장치(201)는,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는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 및 상기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의 하단에 결합되고,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제 1 무한궤도모듈(501);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프트장치(202)는,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는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 및 상기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의 하단에 결합되고,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제 2 무한궤도모듈(5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ifting device 201 may include a
상기 선체(100)는, 바닥을 형성하고 선체공간(115)이 형성된 선저(110); 상기 선저(110)의 좌측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측벽에 해당되는 제 1 선측(121); 상기 선저(110)의 우측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측벽에 해당되는 제 2 선측(122); 상기 선체공간(115)에 배치되고, 상기 선저(110)에 결합되며, 상기 선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늑골(130)과, 상기 선체공간(11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선측(121), 제 2 선측(122) 및 선저(110)을 연결하는 늑판(140); 상기 선저(11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2 선측(122)을 연결하며 상기 선체공간(115);을 커버하는 갑판(150);을 포함하고, The
상기 제 1 수납선체(301)는, 상기 제 1 선측(121)과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수납선측(321);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1 수납선측(321)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1 수납전측(322);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1 수납선측(321)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1 수납후측(323); 상기 제 1 선측(121), 제 1 수납선측(321), 제 1 수납전측(322) 및 제 1 수납후측(323)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 1 수납상측(3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이 상기 제 1 선측(121), 제 1 수납선측(321), 제 1 수납전측(322), 제 1 수납후측(323) 및 제 1 수납상측(324)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이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수납선체(302)는, 상기 제 2 선측(122)과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수납선측(331); 상기 제 2 선측(122) 및 제 2 수납선측(331)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2 수납전측(332); 상기 제 2 선측(122) 및 제 2 수납선측(331)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2 수납후측(333); 상기 제 2 선측(122), 제 2 수납선측(331), 제 2 수납전측(332) 및 제 2 수납후측(333)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 2 수납상측(334);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이 상기 제 2 선측(122), 제 2 수납선측(331), 제 2 수납전측(332), 제 2 수납후측(333) 및 제 2 수납상측(334)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이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The
첫째, 본 발명은 선체에 결합된 리프트장치를 통해 선체를 지면에서 상승시킨 후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after raising the hull from the ground through a lift device coupled to the hull.
둘째, 본 발명은 선체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리프트장치 및 선체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리프트장치를 통해 선체의 좌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left and right heights of the hull can be adjusted through the first lifting devic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the second lifting devic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셋째, 본 발명은 제 1 리프트장치의 프론트어셈블리 또는 리어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선체 좌측의 전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front and rear heights of the left side of the hull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front assembly or the rear assembly of the first lifting device.
넷째, 본 발명은 제 2 리프트장치의 프론트어셈블리 또는 리어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선체 우측의 전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height of the right side of the hull by controlling the front assembly or the rear assembly of the second lifting device.
다섯째, 본 발명은 선체에 조립된 제 1 리프트장치를 통해 제 1 무한궤도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 2 리프트장치를 통해 제 2 무한궤도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의 형태 또는 경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Fif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first caterpillar modul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first lift device assembled to the hull,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caterpillar modul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econd lift device, so the shape of the ground or It can easily respond to incl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무한궤도모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3 .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1 ;
FIG. 6 is a rear view of FIG. 1 ;
FIG. 7 is a left side view of FIG. 1 .
FIG. 8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
FIG. 9 is a plan view of FIG. 1 .
FIG. 10 is a bottom view of FIG. 1 ;
1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5 .
12 is a right sectional view of FIG. 8 .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assembly shown in FIG. 1 ;
FIG. 14 is a left side view of FIG. 13 .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terpillar module shown in FIG. 1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5의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조인트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좌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무한궤도모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side of FIG. 1 ,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6 is a rear view of Fig. 1, Fig. 7 is a left view of Fig. 1, Fig. 8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Fig. 9 is a top view of Fig. 1 , Fig. 10 is a bottom view of Fig. 1, Fig. 1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5, Fig. 12 is a right sectional view of Fig. 8,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assembly shown in Fig. 1, Fig. 14 is Fig. 13 is a left side view of ,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terpillar module shown in FIG. 1 .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물과 접촉되는 선체(100)와, 상기 선체(100)에 결합되고, 선택적 작동을 통해 상기 선체(1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200)를 포함한다. The shi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리프트장치(200)를 통해 선체(100)를 지면에서 상승시킨 후 이동할 수 있다.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move after raising the
상기 선체(100)는 선박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선체(10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 및 중량이 큰 오일탱크, 청수탱크 같은 탱크류가 설치되며, 그 후단에는 엔진 및 이의 동력으로 추진력을 발휘하는 프로펠러와 방향조정을 위한 조타장비 등의 드라이브 유닛이 설치된다. The
상기 선체(100)는, 바닥을 형성하고 선체공간(115)이 형성된 선저(110)와, 상기 선저(110)의 좌측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측벽에 해당되는 제 1 선측(121)과, 상기 선저(110)의 우측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측벽에 해당되는 제 2 선측(122)과, 상기 선체공간(115)에 배치되고, 상기 선저(110)에 결합되며, 상기 선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늑골(130)과, 상기 선체공간(11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선측(121), 제 2 선측(122) 및 선저(110)을 연결하는 늑판(140)과, 상기 선저(11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2 선측(122)을 연결하며 상기 선체공간(115)을 커버하는 갑판(150)을 포함한다. The
상기 선저(110)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선저(111)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선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선저(111) 및 제 2 선저(112)는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고,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The
제 1 선저(111) 및 제 2 선저(112)의 사이각이 90도 이상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ngle between the
상기 제 1 선저(111) 및 제 2 선저(112)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 1 선저(111) 및 제 2 선저(112)가 선체의 최하단(109)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선측(121)이 상기 제 1 선저(111)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선측(121)에서 상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선측(122)이 상기 제 2 선저(112)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선측(122)에서 상측으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hip side 122 may be coupled to the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2 선측(122)의 각 상단(121a)(122a)이 갑판(150)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상기 갑판(150)의 상측에 갑판공간(155)이 형성된다. 상기 갑판공간(155)이 상기 선체공간(115)의 상측에 형성된다. Each of the
상기 제 1 선측(121)의 하단(121b)이 제 1 선저(111)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선측(122)의 (122b)이 제 2 선저(11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선체(100)의 측부에 리프트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트장치(200)는 상기 제 1 선측(12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리프트장치(201)와, 상기 제 2 선측(12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리프트장치(202)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리프트장치만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lifting device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리프트장치(201) 및 제 2 리프트장치(202)를 포함하기 때문에, 좌우 높낮이가 달라도 선체를 평형으로 유지 또는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lifting device 201 and the second lifting device 202 are included, the hull can be maintained or formed in equilibrium even if the left and right heights are different.
상기 선체(100)는 상기 제 1 리프트장치(201)가 수납되는 제 1 수납공간(311)이 형성된 제 1 수납선체(301)와, 상기 제 2 리프트장치(202)가 수납되는 제 2 수납공간(312)이 형성되는 제 2 수납선체(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납선체(301)가 상기 선체(100)의 좌측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납선체(302)가 상기 선체(100)의 우측에 연결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1 수납선체(301) 및 제 2 수납선체(302)는 좌우 대칭일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납선체(301)는 제 1 선측(121)에 연결되어 제 1 리프트장치(201)가 수납되는 제 1 수납공간(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납선체(302)는 제 2 선측(122)에 연결되어 제 2 리프트장치(202)가 수납되는 제 2 수납공간(312)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2 선측(122)의 구조를 이용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어 제 1 선측(121) 또는 제 2 선측(122)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선체(100)는 상기 제 1 선저(111)에서 좌측으로 더 연장된 제 1 선저연장부(113)와, 상기 제 2 선저(112)에서 우측으로 더 연장된 제 2 선저연장부(114)를 더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선저연장부(113)는 제 1 선저(111) 보다 수평하게 배치되고, 제 2 선저연장부(114)는 상기 제 2 선저(112) 보다 수평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ship-
상기 제 1 선저연장부(113) 및 제 2 선저연장부(114)는 선체(100)의 바닥을 형성하고, 물과 접촉되며 부력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ship-
상기 제 1 수납공간(311) 및 제 2 수납공간(312)은 선체(100)의 바닥을 향하여 개구되다. The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은 상기 제 1 선저(111) 또는 제 1 선저연장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은 상기 제 2 선저(112) 또는 제 2 선저연장부(11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은 상기 제 1 선저(111) 및 제 1 선저연장부(113)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은 상기 제 2 선저(112) 및 제 2 선저연장부(114)에 걸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1 수납선체(301)는 상기 제 1 선측(121)과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수납선측(321)과,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1 수납선측(321)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1 수납전측(322)과,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1 수납선측(321)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1 수납후측(323)과, 상기 제 1 선측(121), 제 1 수납선측(321), 제 1 수납전측(322) 및 제 1 수납후측(323)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 1 수납상측(324)을 포함한다. The first
상기 제 1 선측(121), 제 1 수납선측(321), 제 1 수납전측(322), 제 1 수납후측(323) 및 제 1 수납상측(324) 사이에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이 형성된다. The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은 전/후/좌/우/상 측이 각각 폐쇄되고, 하측만 개구된다.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에 공기가 저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수납선체(302)는 상기 제 2 선측(122)과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수납선측(331)과, 상기 제 2 선측(122) 및 제 2 수납선측(331)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2 수납전측(332)과, 상기 제 2 선측(122) 및 제 2 수납선측(331)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2 수납후측(333)과, 상기 제 2 선측(122), 제 2 수납선측(331), 제 2 수납전측(332) 및 제 2 수납후측(333)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 2 수납상측(334)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제 2 선측(122), 제 2 수납선측(331), 제 2 수납전측(332), 제 2 수납후측(333) 및 제 2 수납상측(334) 사이에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이 형성된다. The second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은 전/후/좌/우/상 측이 각각 폐쇄되고, 하측만 개구된다.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에 공기가 저장될 수 있다. The front/rear/left/right/upper side of the
상기 선체(100)는, 상기 제 1 선저연장부(113)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 1 선측연장부(117)와, 상기 제 2 선저연장부(114)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 2 선측연장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선측연장부(117) 및 제 2 선측연장부(118)의 각 상단이 상기 갑판(150)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선측연장부(117) 및 제 2 선측연장부(118) 사이에 상기 갑판공간(155)이 형성될 수 있다. Each upper end of the
상기 제 1 선측연장부(117)는 상기 제 1 수납선측(32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1 선측연장부(117a)와, 상기 제 1 수납선측(3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1-2 선측연장부(117b)를 포함한다. The first
상기 제 1-1 선측연장부(117a), 제 1 수납선측(321) 및 제 1-2 선측연장부(117b)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The 1-1 ship
상기 제 2 선측연장부(118)는 상기 제 2 수납선측(3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2-1 선측연장부(118a)와, 상기 제 2 수납선측(33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2 선측연장부(118b)를 포함한다. The second ship-
상기 제 2-1 선측연장부(118a), 제 2 수납선측(331) 및 제 2-2 선측연장부(118b)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The 2-1 th ship side extension part 118a, the second
상기 선체(100)는, 상기 갑판(1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해치도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해치도어(160)는 갑판(150)의 후단(15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갑판공간(155)를 후방 측으로 개폐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해치도어(160)는 제 1 선저연장부(113) 및 제 2 선저연장부(114)와 힌지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해치도어(160)가 회전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고, 개방된 상기 해치도어(160)를 통해 사람 또는 물건이 상기 갑판공간(150)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해치도어(160)의 좌측단이 상기 제 1 선측연장부(117)에 밀착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선측연장부(118)에 밀착되며, 상기 갑판공간(155)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The left end of the
상기 제 1 선측연장부(117) 및 제 2 선측연장부(118)는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해치도어(160)가 상기 제 1 선측연장부(117) 및 제 2 선측연장부(118)에 밀착되어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hip-
상기 갑판공간(155) 폐쇄 시, 상기 해치도어(160)의 전단이 전방 하측에 배치되고, 후단이 후방 상측에 배치되어 경사를 형성한다. When the
상기 해치도어(160)는 상기 갑판공간(155)을 향하는 내측면(161)과, 선박 외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외측면(162)을 포함한다. The
상기 해치도어(160)의 후단(165)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사다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상기 리프트장치(200)를 통해 선체(100)가 상측으로 리프트된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170)를 통해 갑판(150)에 오를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limb to the
상기 해치도어(160)의 내측면(161)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레일바(163) 및 제 2 레일바(16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일바(163) 및 제 2 레일바(164)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상기 제 1 레일바(163) 및 제 2 레일바(164) 사이에 상기 사다리(17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사라디(170)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레일바(163) 및 제 2 레일바(164)에 위치시킨 후, 상기 해치도어(16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갑판공간(155)을 닫을 수 있다. The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해치도어(160)를 상기 제 1 선측연장부(117) 또는 제 2 선측연장부(1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할 수 있는 락레버(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lock lever (not shown) capable of fixing the
그리고 상기 해치도어(160)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도어스토더(17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70)는 선체(100)의 후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addition, a
상기 도어스토퍼(170)는 상기 제 1 선저연장부(113) 또는 제 2 선저연장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 1 도어스토퍼(171)와, 상기 해치도어(160)의 후면(162)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 2 도어스토퍼(172)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도어스토퍼(171) 및 제 2 도어스토퍼(172) 사이에 상기 해치도어(160)의 회전을 위한 힌지(173)가 배치될 수 있다. A hinge 173 for rotation of the
상기 제 1 도어스토퍼(171) 및 제 2 도어스토퍼(172)는 제 1 선저연장부(113) 및 제 2 선저연장부(114)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A plurality of the first door stoppers 171 and the second door stoppers 172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first ship-
상기 도어스토퍼(170)는 상기 해치도어(160)가 중력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치도어(160)의 내측면(161)에 하중이 가해질 때, 해치도어(16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The
상기 리프트장치(200)는,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어 선체(100)를 지지하는 제 1 리프트장치(201)와,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에 배치되는 제 2 리프트장치(202)를 포함한다. The
제 1 리프트장치(201) 및 제 2 리프트장치(202)의 구성이 동일고, 제 1 리프트장치(201) 및 제 2 리프트장치(202)의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 1" 또는 "제 2"의 접두어를 붙여 구분한다.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lifting device 201 and the second lifting device 202 is the same a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lifting device 201 and the second lifting device 202, “first” Alternatively, a prefix of "second" is added to distinguish.
상기 제 1 리프트장치(201)는, 제 1 수납공간(311)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는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와, 상기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의 하단에 결합되고,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제 1 무한궤도모듈(501)을 포함한다. The first lifting device 201 includes a first
상기 제 2 리프트장치(202)는, 제 2 수납공간(312)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는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와, 상기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의 하단에 결합되고,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제 2 무한궤도모듈(502)을 포함한다. The second lifting device 202 includes a second
상기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 및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는 설치 위치 상의 구분일 뿐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제 1 무한궤도모듈(501) 및 제 2 무한궤도모듈(502) 역시 설치 위치 상의 구분일 뿐 구성이 동일하다. The first
상기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 및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조인트어셈블리(400)라 정의하고, 상기 제 1 무한궤도모듈(501) 및 제 2 무한궤도모듈(502)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무한궤도모듈(500)이라 정의한다. The first
상기 조인트어셈블리(400)는, 선체에 고정되는 조인트베이스(410)와,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선체(100)의 전방 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폴딩 및 전개되는 프론트어셈블리(420)와,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선체(100)의 후방 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폴딩 및 전개되는 리어어셈블리(142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조인트베이스(410)는, 선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와,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를 연결하는 커넥트플레이트(419)와,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가 조립되는 제 1 프론트연결부(413)와, 상기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와 조립되는 제 2 프론트연결부(414)와,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가 조립되는 제 1 리어연결부(415)와, 상기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와 조립되는 제 2 리어연결부(416)를 포함한다. The joint base 410 includes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가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가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가 좌우로 이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는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수납공간(311)(312)에 은닉되어 배치된다. The
상기 커넥트플레이트(419)는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트플레이트(419)는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의 상측을 연결한다. The
상기 커넥트플레이트(419)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커넥트플레이트를 통해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A plurality of the
복수개의 커넥트플레이트(419)가 배치될 경우, 배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When a plurality of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또는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선측(121) 또는 제 2 선측(122)에 결합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상기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의 경우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가 제 1 선측(121)에 결합되고,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의 경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가 제 2 선측(122)에 결합된다. In the case of the first
상기 제 1 프론트연결부(413)가 제 1 리어연결부(415)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제 2 프론트연결부(414)가 상기 제 2 리어연결부(416)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리어연결부(415)가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리어연결부(416)가 상기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프론트연결부(413) 및 제 2 프론트연결부(414)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리어연결부(415) 및 제 2 리어연결부(416)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프론트연결부들(413)(414) 및 리어연결부들(415)(416)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그 사이에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가 배치되어 폴딩/전개될 수 있다. The
상기 리어연결부들(415)(416) 후방 측에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가 배치되어 폴딩/전개될 수 있다. The
프론트연결부들(413)(414) 및 리어연결부들(415)(416)의 높이(H) 내에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 및 리어어셈블리(1420)가 폴딩되어 수납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연결부들(413)(414) 및 리어연결부들(415)(416)의 높이(H)가 같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H of th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프론트연결부들(413)(414) 또는 리어연결부들(415)(416) 중 어느 하나가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ny on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 및 리어어셈블리(1420)의 구성이 동일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가 상기 제 1 프론트연결부(413) 및 제 2 프론트연결부(414)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가 상기 제 1 리어연결부(415) 및 제 2 리어연결부(416)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는 상하 방향으로 폴딩/전개되고, 회전평면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도 동일하다. The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는,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어퍼프레임(430)과,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로어프레임(440)과, 상단이 상기 제 1 프론트연결부(413) 및 제 2 프론트연결부(414)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암(450)과, 상단이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액추에이터(460)를 포함한다. The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은 상단이 조인트베이스(41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The upper end of the front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 및 조인트베이스(410)는 프론트어퍼축(43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 및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은 제 1 프론트로어축(43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front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어퍼축(432)이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 조립된다. Specifically, the front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은 프론트어퍼축(432)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어퍼축(432)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조인트베이스(41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The front
상기 프론트어퍼축(432) 및 제 1 프론트로어축(434)이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이 조인트베이스(4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로어축(434)이 프론트어퍼축(43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프론트어셈블리(420)가 전개될 수 있다.When the front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의 상단은 제 1 프론트로어축(434)을 통해 프론트어퍼프레임(43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의 하단은 제 2 프론트로어축(444)을 통해 무한궤도모듈(50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upper end of the front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의 중간에 상기 프론트암(45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프론트미들축(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의 중간에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프론트미들축(미도시)이 배치된다. A first front middle shaft (not shown)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론트미들축(454)이 상기 프론트암(450) 및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하단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암(450) 및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하단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In this embodiment, one front
상기 프론트암(450)의 상단은 프론트암어퍼축(452)을 통해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암어퍼축(452)은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 조립된다. The upper end of the
상기 프론트암(450)은 다단 구조로 구성되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암(450)은 2개의 암이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작동에 의해 서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프론트암(450)은 상기 프론트암어퍼축(452)에 조립되는 어퍼암과 상기 프론트미들축(454)에 조립되는 로어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암이 어퍼암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상기 프론트암어퍼축(452)은 제 1 프론트연결부(413) 및 제 2 프론트연결부(414)에 조립된다. 상기 프론트암어퍼축(452)이 상기 프론트어퍼축(432) 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어퍼축(43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The front arm
상기 프론트암어퍼축(452)의 상측에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액추에이터어퍼축(462)이 배치된다. A front actuator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어퍼축(462)이 프론트암어퍼축(452)의 수직방향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어퍼축(432)의 수평방향 전방에 배치된다. The front actuator
프론트액추에이터어퍼축(462)을 기준으로 프론트암어퍼축(452) 및 프론트어퍼축(432)이 형성하는 사이각은 45도 이상 13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An angle between the front arm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어퍼축(462)을 기준으로 프론트암어퍼축(452) 및 프론트어퍼축(432)이 직교하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arm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하단은 프론트미들축(454)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프론트미들축(454)은 프론트액추에이터어퍼축(462)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The low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액추에이터(460)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실린더가 프론트액추에이터어퍼축(462)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피스톤이 프론트미들축(454)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의 구성은 프론트어셈블리(420)의 구성과 동일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는,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리어어퍼프레임(1430)과, 상기 리어어퍼프레임(143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리어로어프레임(1440)과, 상단이 상기 제 1 리어연결부(415) 및 제 2 리어연결부(416)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리어로어프레임(1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리어암(1450)과, 상단이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리어로어프레임(1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리어액추에이터(1460)를 포함한다. The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는, 리어어퍼축(1432), 제 1 리어로어축(1434), 리어미들축(1454), 제 2 리어로어축(1444), 리어암어퍼축(1452), 리어액추에이터어퍼축(1462)을 포함한다. The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 및 리어액추에이터(1460)가 동시에 동기화되어 작동될 수 있고, 이 경우 무한궤도모듈(50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The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 및 리어액추에이터(1460)가 서로 다르게 작동될 경우, 상기 무한궤도모듈(500)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예를 들어, 프론트액추에이터(460)를 리어액추에이터(1460) 보다 더 작동시킬 경우, 프론트어셈블리(420)가 더 길게 전개되고, 이를 통해 선체(100)의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게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반대로, 리어액추에이터(1460)를 프론트액추에이터(460) 보다 더 작동시킬 경우, 리어어셈블리(1420)가 더 길게 전개되고, 이를 통해 선체(100)의 전방이 낙고 후방이 높게 배치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또한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 또는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를 각기 다르게 제어하여 선체의 좌우 높낮이 또는 경사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first
상기 무한궤도어셈블리(50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되는 궤도하우징(510)과, 상기 궤도하우징(510)의 외측을 감싸는 트랙슈(550)와, 상기 궤도하우징(5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트랙슈(550)의 전방 또는 후방 내측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궤도모터(520)와, 상기 궤도모터(520)의 반대편인 상기 궤도하우징(510)의 후방 또는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트랙슈(550)의 후방 또는 전방 내측면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아이들롤러(530)와, 상기 궤도하우징(510)에 소정각도 각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트랙슈(55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540)를 포함한다. The
상기 궤도하우징(510)이 상기 조인트어셈블리(400)와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어셈블리(400)를 지지한다. The
상기 궤도하우징(510)은, 조인트베이스(410)의 제 1 프론트연결부(413)와 조립되는 제 1 궤도브라켓(513)과,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의 제 2 프론트연결부(414)와 조립되는 제 2 궤도브라켓(514)과,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의 제 1 리어연결부(415)와 조립되는 제 3 궤도브라켓(515)과,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의 제 2 리어연결부(416)와 조립되는 제 4 궤도브라켓(516)을 포함한다. The
제 1 궤도브라켓(513) 및 제 2 궤도브라켓(514)이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 3 궤도브라켓(515) 및 제 4 궤도브라켓(516)도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궤도브라켓(513) 및 제 3 궤도브라켓(515)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궤도브라켓(514) 및 제 4 궤도브라켓(516)도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제 1 궤도브라켓(513), 제 2 궤도브라켓(514), 제 3 궤도브라켓(515) 및 제 4 궤도브라켓(516)이 궤도하우징(510)의 측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궤도브라켓(513) 및 제 2 궤도브라켓(514) 사이에 트랙슈(550)가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
상기 제 3 궤도브라켓(515) 및 제 4 궤도브라켓(516) 사이에 트랙슈(550)가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
제 1 궤도브라켓(513) 및 제 2 궤도브라켓(514)의 높낮이가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제 3 궤도브라켓(515) 및 제 4 궤도브라켓(516)의 높낮이가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에 조립된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를 통해 제 1 무한궤도모듈(50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를 통해 제 2 무한궤도모듈(50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의 형태 또는 경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The shi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 선체 110 : 선저
130 : 늑골 140 : 늑판
150 : 갑판 200 : 리프트장치
201 : 제 1 리프트장치 202 : 제 2 리프트장치
301 : 제 1 수납선체 302 : 제 2 수납선체
311 : 제 1 수납공간 312 : 제 2 수납공간
400 : 조인트어셈블리 401 : 제 1 조인트어셈블리
402 : 제 2 조인트어셈블리 410 : 조인트베이스
420 : 프론트어셈블리 1420 : 리어어셈블리
500 : 무한궤도모듈 501 : 제 1 무한궤도모듈
502 : 제 2 무한궤도모듈100: hull 110: bottom
130: rib 140: floor plate
150: deck 200: lift device
201: first lift device 202: second lift device
301: first storage hull 302: second storage hull
311: first storage space 312: second storage space
400: joint assembly 401: first joint assembly
402: second joint assembly 410: joint base
420: front assembly 1420: rear assembly
500: caterpillar module 501: first caterpillar module
502: second caterpillar module
Claims (5)
상기 선체(100)에 결합되고, 선택적 작동을 통해 상기 선체(1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장치(200)는,
상기 선체(1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어 선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1 리프트장치(201); 및
상기 선체(1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어 선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2 리프트장치(20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프트장치(201)는,
상기 선체의 좌측에 조립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는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 및 상기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의 하단에 결합되고,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제 1 무한궤도모듈(501);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프트장치(202)는,
상기 선체의 우측에 조립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폴딩 또는 전개되는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 및 상기 제 2 조인트어셈블리(402)의 하단에 결합되고, 선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제 2 무한궤도모듈(50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조인트어셈블리(401)는,
상기 선체에 고정되는 조인트베이스(410);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선체(100)의 전방 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폴딩 및 전개되는 프론트어셈블리(420);
상기 조인트베이스(4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선체(100)의 후방 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폴딩 및 전개되는 리어어셈블리(14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베이스(410)는,
상기 선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를 연결하는 커넥트플레이트(419);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가 조립되는 제 1 프론트연결부(413);
상기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와 조립되는 제 2 프론트연결부(414);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가 조립되는 제 1 리어연결부(415);
상기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어어셈블리(1420)와 조립되는 제 2 리어연결부(416);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어셈블리(420)는,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어퍼프레임(430);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로어프레임(440);
상단이 상기 제 1 프론트연결부(413) 및 제 2 프론트연결부(414)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암(450);
상단이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액추에이터(4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를 연결하고,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의 상측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어퍼축(432);
상기 제 1 베이스플레이트(411) 및 제 2 베이스플레이트(412)를 연결하고,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상측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액추에이터어퍼축(462);
상기 제 1 프론트연결부(413) 및 제 2 프론트연결부(414)를 연결하고, 상기 프론트암(450)의 상측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암어퍼축(452)과,
상기 프론트어퍼프레임(430)의 하측 및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의 상측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프론트로어축(434);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의 하측 및 무한궤도모듈(50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프론트로어축(444);
상기 프론트로어프레임(440)의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암(450) 및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하단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암(450) 및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하단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미들축(454);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암(450)은,
상기 프론트암어퍼축(452)에 조립되는 어퍼암과, 상기 프론트미들축(454)에 조립되는 로어암을 포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액추에이터(4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어퍼암 및 로어암이 서로 상대이동되는 선박.
Hull 100 in contact with water;
It is coupled to the hull 100, and a lift device 200 for moving the hull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selective operation; includes;
The lift device 200 is
a first lift device 201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100 and folded or deplo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ull; and
A second lift device 202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100 and folded or deplo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ull; includes;
The first lift device 201,
a first joint assembly 401 assembled on the left side of the hull and folded or deplo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applied power; and a first caterpillar module 50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joint assembly 401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hull 100;
The second lift device 202,
a second joint assembly 402 assembled on the right side of the hull and folded or deplo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applied power; and a second caterpillar module 50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joint assembly 402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hull 100;
The first joint assembly 401,
a joint base 410 fixed to the hull;
a front assembly 420 that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joint base 41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ull 100, and is folded and deplo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rear assembly 1420 that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joint base 4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hull 100, and is folded and deplo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s;
The joint base 410 is
a first base plate 411 and a second base plate 41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ull 100;
a connect plate (419) connecting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the second base plate (412);
a first front connection part 41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to which the front assembly 420 is assembled;
a second front connection part 414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base plate 412 and assembled with the front assembly 420;
a first rear connection part 415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to which the rear assembly 1420 is assembled;
a second rear connection part 416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econd base plate 412 and is assembled with the rear assembly 1420;
The front assembly 420,
a front upper frame 430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the second base plate 412;
a front lower frame 440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front upper frame 430;
a front arm 450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front connection part 413 and the second front connection part 414 and whose lower end is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front lower frame 440;
a front actuator 460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the second base plate 412, and the lower end is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front lower frame 440;
a front upper shaft 432 connecting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the second base plate 412 and rotatably assembled with an upper side of the front upper frame 430;
a front actuator upper shaft 462 connecting the first base plate 411 and the second base plate 412 and rotatably assembled with an upper side of the front actuator 460;
a front arm upper shaft 452 that connects the first front connection part 413 and the second front connection part 414 and is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front arm 450;
a first front lower shaft 434 to which a lower side of the front upper frame 430 and an upper side of the front lower frame 440 are rotatably assembled;
a second front lower shaft 444 to which the lower side of the front lower frame 440 and the caterpillar module 500 are rotatably assembled;
It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front lower frame 440 ,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rm 450 and the front actuator 460 , and rotates with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rm 450 and the front actuator 460 , respectively. Including; a front middle shaft 454 that is possibly assembled;
The front arm 450 is
and an upper arm assembled to the front arm upper shaft 452 and a lower arm assembled to the front middle shaft 454, wherein the upper arm and the lower arm ar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front actuator (460). Vessels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선체(100)는,
상기 제 1 리프트장치(201)가 수납되는 제 1 수납공간(311)이 형성된 제 1 수납선체(301); 및
상기 제 2 리프트장치(202)가 수납되는 제 2 수납공간(312)이 형성되는 제 2 수납선체(302);를 더 포함하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ll 100 is
a first accommodating hull 301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space 311 in which the first lifting device 201 is accommodated; and
A ship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ccommodation hull 302 in which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312 in which the second lift device 202 is accommodated is formed.
상기 선체(100)는,
바닥을 형성하고 선체공간(115)이 형성된 선저(110); 상기 선저(110)의 좌측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측벽에 해당되는 제 1 선측(121); 상기 선저(110)의 우측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측벽에 해당되는 제 2 선측(122); 상기 선체공간(115)에 배치되고, 상기 선저(110)에 결합되며, 상기 선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늑골(130)과, 상기 선체공간(11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선측(121), 제 2 선측(122) 및 선저(110)을 연결하는 늑판(140); 상기 선저(11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2 선측(122)을 연결하며 상기 선체공간(115);을 커버하는 갑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납선체(301)는,
상기 제 1 선측(121)과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수납선측(321);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1 수납선측(321)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1 수납전측(322);
상기 제 1 선측(121) 및 제 1 수납선측(321)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1 수납후측(323);
상기 제 1 선측(121), 제 1 수납선측(321), 제 1 수납전측(322) 및 제 1 수납후측(323)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 1 수납상측(3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이 상기 제 1 선측(121), 제 1 수납선측(321), 제 1 수납전측(322), 제 1 수납후측(323) 및 제 1 수납상측(324)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납공간(311)이 하측으로 개구된 선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ull 100 is
A ship bottom 110 that forms a bottom and a hull space 115 is formed; A first ship side 121 connected to the left edge of the ship bottom 110 and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a second ship side 122 connected to the right edge of the ship bottom 110 and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Arranged in the hull space 115, coupled to the ship bottom 110, and the ribs 130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00, and disposed in the hull space 115, the first ship side (121), the second side 122 and the floor plate 140 for connecting the bottom 110; I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hip bottom 110, connects the first ship side 121 and the second ship side 122 and covers the hull space 115; and includes,
The first accommodation hull 301,
a first receiving line side 32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ne side 121 and disposed to face;
a first receiving front side 322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first ship side 121 and the first receiving line side 321;
a first receiving rear side 323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first ship side 121 and the first receiving line side 321;
a first receiving upper side 324 form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hip side 121, the first receiving line side 321, the first receiving front side 322 and the first receiving rear side 323;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311 is surrounded by the first ship side 121 , the first receiving line side 321 , the first receiving front side 322 , the first receiving rear side 323 , and the first receiving upper side 324 . formed,
A vessel in which the first storage space 311 is opened downward.
상기 제 2 수납선체(302)는,
상기 제 2 선측(122)과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수납선측(331);
상기 제 2 선측(122) 및 제 2 수납선측(331)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2 수납전측(332);
상기 제 2 선측(122) 및 제 2 수납선측(331)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2 수납후측(333);
상기 제 2 선측(122), 제 2 수납선측(331), 제 2 수납전측(332) 및 제 2 수납후측(333)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 2 수납상측(334);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이 상기 제 2 선측(122), 제 2 수납선측(331), 제 2 수납전측(332), 제 2 수납후측(333) 및 제 2 수납상측(334)에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312)이 하측으로 개구된 선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accommodation hull 302,
a second receiving line side 331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ine side 122 and disposed to face;
a second receiving front side 332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second ship side 122 and the second receiving line side 331;
a second receiving rear side (333)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second ship side (122) and the second receiving line side (331);
a second receiving upper side 334 forming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ship side 122, the second receiving line side 331, the second receiving front side 332, and the second receiving rear side 333;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312 is surrounded by the second ship side 122 , the second receiving line side 331 , the second receiving front side 332 , the second receiving rear side 333 , and the second receiving upper side 334 . is formed,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312 is opened downw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5957A KR102448903B1 (en) | 2022-01-14 | 2022-01-14 | Vessels capable of moving the hull up and dow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5957A KR102448903B1 (en) | 2022-01-14 | 2022-01-14 | Vessels capable of moving the hull up and dow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8903B1 true KR102448903B1 (en) | 2022-09-30 |
Family
ID=8345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5957A Active KR102448903B1 (en) | 2022-01-14 | 2022-01-14 | Vessels capable of moving the hull up and dow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890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342927A (en) * | 2024-06-18 | 2024-07-16 | 武汉理工大学 | A track-wheeled ice-water amphibious catamaran |
CN119305698A (en) * | 2024-12-16 | 2025-01-14 | 沈阳粼动仿生科技有限公司 | A dual-propulsion water exploration bionic turtle with drug delivery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6992A (en) * | 2011-06-30 | 2014-06-03 | 카일 딕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ssel |
KR20150003376A (en) * | 2012-04-25 | 2015-01-08 | 이귀아나 얏츠 | Amphibious vehicle |
KR20170019989A (en) | 2015-08-13 | 2017-02-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duction of buoyancy resistant and ship having the same |
KR101851941B1 (en) | 2017-12-05 | 2018-04-25 | 최성식 | Amphibious ship carrying cars |
KR102022805B1 (en) * | 2018-07-30 | 2019-09-18 | 최광선 | Amphibious dredge barge |
KR102135784B1 (en) * | 2020-02-26 | 2020-07-20 | 주식회사 신도기업 | Amphibious Boat |
KR102330763B1 (en) * | 2020-12-07 | 2021-11-24 | 주식회사 코알라스튜디오 | Ship with built in HDPE balls |
-
2022
- 2022-01-14 KR KR1020220005957A patent/KR1024489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6992A (en) * | 2011-06-30 | 2014-06-03 | 카일 딕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ssel |
KR20150003376A (en) * | 2012-04-25 | 2015-01-08 | 이귀아나 얏츠 | Amphibious vehicle |
KR20170019989A (en) | 2015-08-13 | 2017-02-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duction of buoyancy resistant and ship having the same |
KR101851941B1 (en) | 2017-12-05 | 2018-04-25 | 최성식 | Amphibious ship carrying cars |
KR102022805B1 (en) * | 2018-07-30 | 2019-09-18 | 최광선 | Amphibious dredge barge |
KR102135784B1 (en) * | 2020-02-26 | 2020-07-20 | 주식회사 신도기업 | Amphibious Boat |
KR102330763B1 (en) * | 2020-12-07 | 2021-11-24 | 주식회사 코알라스튜디오 | Ship with built in HDPE ball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342927A (en) * | 2024-06-18 | 2024-07-16 | 武汉理工大学 | A track-wheeled ice-water amphibious catamaran |
CN118342927B (en) * | 2024-06-18 | 2024-10-18 | 武汉理工大学 | Caterpillar wheel type ice water amphibious catamaran |
CN119305698A (en) * | 2024-12-16 | 2025-01-14 | 沈阳粼动仿生科技有限公司 | A dual-propulsion water exploration bionic turtle with drug delive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8903B1 (en) | Vessels capable of moving the hull up and down | |
US20050126466A1 (en) | Wake control mechanism | |
ES2895057T3 (en) | Catamaran type boat | |
FI84331C (en) | Katamaran-LUFTKUDDEFARTYG. | |
KR860000992A (en) | Marine Engine Unit | |
CN1404452A (en) | Dynamically positioned semi-submersible drilling vessel with slender horizontal braces | |
KR101259129B1 (en) | Lift fin and ship including the same | |
MXPA05004830A (en) | Variable-draft vessel. | |
KR0178068B1 (en) | A ferry boat with a bow door | |
KR102042017B1 (en) | Turbine for Tidal Current Power Plant and Lift euipment for the turbine and fixing device for the turbine | |
US20040089212A1 (en) | Modular floating boat lift having aqueous hydraulic cylinder powered cradle | |
KR20110108701A (en) | Door poo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drill ship having same | |
KR102448906B1 (en) | Vessels capable of accommodating lift devices | |
KR101259134B1 (en) | Fin for directional stability of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 |
FR2746763A1 (en) | CONSTANT PROPULSION NAUTICAL SUSPENSION | |
AU2020271449A1 (en) | Floating-type aquatic support apparatus | |
US20190113018A1 (en) | Ocean wave energy exploiting and storing device | |
EP0794115B1 (en) | Trim adjusting device for planing hull | |
KR101662391B1 (en) | Floating offshore platform for airport | |
JP2009190717A (en) | Container ship | |
KR20210148752A (en) | Variable installation type wave prevention device | |
KR101422173B1 (en) | Floating marine structure | |
RU2127216C1 (en) | Floating cover for reservoir | |
NL2022413B1 (en) | Keel assembly configured for mounting in a hull of a sailing boat for providing stability and directional guidance to said sailing boat | |
KR101378965B1 (en) | Wall hatch structure and ship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