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062B1 - Display Devic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062B1 KR102448062B1 KR1020150167625A KR20150167625A KR102448062B1 KR 102448062 B1 KR102448062 B1 KR 102448062B1 KR 1020150167625 A KR1020150167625 A KR 1020150167625A KR 20150167625 A KR20150167625 A KR 20150167625A KR 102448062 B1 KR102448062 B1 KR 1024480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signal
- internal clock
- signal
- register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의 안정적인 구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시스템과 체결된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에도 강건하고, 안정적인 듀티 구동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내부 클록생성부를 제어하여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that is robust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ock a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due to ESD) that may occur in an interface connected to a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table image implementation capability and can support stable duty driving will be.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clock signal is recovered by controlling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in a section where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come in.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 가상현실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 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양자점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QD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market for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rowing. Accordingly,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quantum dot display (QDD),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DP), etc. The use of the same display device is increasing.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및 표시패널 및 구동부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등이 포함된다.Th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a driving unit output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power to be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driving unit.
표시장치는 텔레비젼,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영상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웨어러블, 홈시어터, 모바일폰 및 가상현실 표시장치(Virtual reality; VR) 등과 같이 소형, 중형 또는 대형으로 구현된다.Display devices are implemented in small, medium or large sizes such as TVs, set-top boxes, navigation devices, video players, Blu-ray players, personal computers (PCs), wearables, home theaters, mobile phones, and virtual reality (VR) display devices. do.
한편, 가상현실 표시장치는 현실을 그대로 모방 재현한 환경 속에 사용자를 몰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고글, 헤드세트, 장갑, 특수복 등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시스템(예: 컴퓨터 등)이 만들어낸 가상의 환경을 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can immerse the user in an environment that reproduces reality as it is. To this end, the user wears equipment that can exchange information, such as goggles, headsets, gloves, and special clothes, and is exposed to the virtu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system (eg, a computer, etc.).
그런데 종래에 제안된 가상현실 표시장치는 화상의 안정적인 구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시스템과 체결된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에도 강건한 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ly proposed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device that is robust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ock a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due to ESD) that may occur in the interface connected to th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table image implementation capability. have.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의 안정적인 구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시스템과 체결된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에도 강건하고, 안정적인 듀티 구동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robust and stable to environmental problems (eg, clock a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due to ESD) that may occur in the interface connected to th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table image implementation capability. It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duty driving.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패널 및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하며, 외부 클록신호를 기반으로 내부에 마련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클록생성부와,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내부 클록생성부를 제어하여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킨다.As a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drives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n internal clock generator that generates an internal clock signal for driving a device provided therein based on an external clock signal, and an internal clock generator in a section where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come in. Control to recover the internal clock signal.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표시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 동안 외부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 하고,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표시패널이 영상을 비표시하는 블랭크 구간 동안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킬 수 있다.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compares and counts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during the display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during the blank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oes not display an image in the period in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is not normally received. signal can be restored.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레지스터값들을 갖는 레지스터부와, 외부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하고,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레지스터값들 중 하나로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신호 비교 및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compares and counts the register unit having register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information,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recovers the internal clock signal to one of the register values in a section where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come in. It may include a signal comparison and compensating unit.
레지스터부는 고정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1레지스터값과 변동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2레지스터값을 가질 수 있다.The register unit may have a first register value composed of fixed frequency information and a second register value composed of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 시스템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시스템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시스템은 MIPI 송신부를 갖는다. 패널 구동부는 MIPI 송신부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MIPI 수신부를 가지며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패널 구동부는 MIPI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외부 클록신호를 기반으로 내부에 마련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클록생성부와,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내부 클록생성부를 제어하여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 system, and a panel driver including a display panel, a system, and a panel driver.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The system has a MIPI transmitter. The panel driver has a MIPI receiver that receives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IPI transmitter and drives the display panel. The panel driver includes an internal clock generator that generates an internal clock signal for driving an internally provided device based on the external c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PI transmitter, and controls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in a section where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come in. and a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for recovering the clock signal.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표시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 동안 외부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 하고,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표시패널이 영상을 비표시하는 블랭크 구간 동안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킬 수 있다.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compares and counts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during the display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during the blank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oes not display an image in the period in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is not normally received. signal can be restored.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레지스터값들을 갖는 레지스터부와, 외부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하고,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레지스터값들 중 하나로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신호 비교 및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compares and counts the register unit having register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information,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recovers the internal clock signal to one of the register values in a section where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come in. It may include a signal comparison and compensating unit.
레지스터부는 고정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1레지스터값과 변동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2레지스터값을 가질 수 있다.The register unit may have a first register value composed of fixed frequency information and a second register value composed of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제공한다.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외부 클록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하는 단계, 및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내부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레지스터값들 중 하나로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 method of driving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includes: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n external clock signal; Comparing and counting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resto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to one of the register values stored in the internal register unit in a s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enter.
주파수를 회복시키는 단계는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고정된 주파수 정보 또는 변동된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recovering the frequency, the internal clock signal may be recovered based on the fixed frequency information or the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gister unit.
본 발명은 듀티 가변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제작하므로 시감적 응답속도 또는 동영상 응답속도(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를 높일 수 있어 가상의 환경 구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의 안정적인 구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시스템과 체결된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에도 강건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듀티 구동을 지원하기 위한 클록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based on a display device capable of variable du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visual response speed or 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to implement a virtu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device that is robust to environmental problems (eg, clock a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due to ESD) that may occur in an interface connected to th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table image implement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clock signal for supporting stable duty driving by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험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시스템과 패널 구동부의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과 패널 구동부 간의 클록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패킷 파형도.
도 6은 실험예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게이트신호 파형도.
도 7은 실험예의 문제점에 따른 표시패널의 표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시스템과 패널 구동부의 블록도.
도 9는 패널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선점을 설명하기 위한 게이트신호 파형도.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개선점에 따른 표시패널의 표시 상태도.
도 1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동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ub-pixel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4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nd a panel driving unit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FIG. 5 is a packet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lock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 system of FIG. 4 and a panel driver;
6 is a gate signal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blems of the experimental example.
7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oblem in an experimental example;
8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nd a panel driver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panel driving unit;
10 is a gate signal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rovement p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2 is a driving flowchar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panel driv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ub-pixel shown in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호스트 시스템(100), 타이밍 제어부(170), 데이터 구동부(130), 전원 공급부(140), 게이트 구동부(150) 및 표시패널(110)을 포함한다.1 , the display device basically includes a
호스트 시스템(100)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를 포함하며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패널(11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의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호스트 시스템(100)은 데이터신호와 함께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제어부(170)에 공급한다.The
타이밍 제어부(170)는 호스트 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메인 클록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구동부(130)와 게이트 구동부(15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타이밍 제어부(170)는 호스트 시스템(10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영상 처리(데이터 보상 등)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에 공급한다.The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1구동신호(DDC) 등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데이터 구동부(130)는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감마부의 감마전압에 대응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n)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The
게이트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2구동신호(GDC) 등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게이트 구동부(150)는 게이트 하이 전압이나 게이트 로우 전압의 게이트신호(또는 스캔신호)를 출력한다.The
게이트 구동부(150)는 게이트신호를 순방향으로 순차 출력하거나 역방향으로 순차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50)는 표시패널(110)의 게이트 라인들(GL1 ~ GLm)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The
전원 공급부(140)는 데이터 구동부(130)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제1전압원(VCC, GND)과 표시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제2전압원(EVDD, EVSS)을 출력한다. 이 밖에, 전원 공급부(140)는 게이트 구동부(150)에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 하이 전압이나 게이트 로우 전압 등 표시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한다.The
표시패널(110)은 서브 픽셀들(SP), 서브 픽셀들(SP)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들(DL1 ~ DLn), 서브 픽셀들(SP)에 연결된 게이트 라인들(GL1 ~ GLm)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은 게이트 구동부(150)로부터 출력된 게이트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110)은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게이트 라인(G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또는 교차부에 형성된)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2 , one sub-pixel is supplied through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W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W connected to (or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gate line GL1 and the data line DL1. A pixel circuit PC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data signal DATA is included.
표시패널(110)은 서브 픽셀들(SP)의 픽셀회로(PC)의 구성에 따라 액정표시패널로 구현되거나 유기발광표시패널 등으로 구현된다. 일례로, 표시패널(110)이 액정표시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이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The
다른 예로, 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이는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또는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전기영동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등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패널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을 갖는 표시장치를 일례로 한다.As the display panel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or the like may be selected.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panel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exemplified.
또한,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는 텔레비젼,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영상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웨어러블, 홈시어터, 모바일폰 및 가상현실 표시장치(Virtual reality; VR) 등과 같이 소형, 중형 또는 대형으로 구현 가능하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갖는 표시장치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구현할 때 더 큰 이점이 있는바 이를 일례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s described above are small, medium-sized, such as a TV, a set-top box, a navigation system, an image player, a Blu-ray player, a personal computer (PC), a wearable, a home theater, a mobile phone, and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VR). Or it can be implemented in a large format. However,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below has a greater advantage when realizing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based on a display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도 3은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표시장치에는 좌안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좌안 표시 구동부(180L, 150L, LAA)와 우안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우안 표시 구동부(180R, 150R, RAA)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3 ,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includes left
좌안 표시 구동부(180L, 150L, LAA)와 우안 표시 구동부(180R, 150R, RAA)에는 패널 구동부(180L, 180R), 게이트 구동부(150L, 150R) 및 표시부(LAA, RAA)가 포함된다.The left-
패널 구동부(180L, 180R)는 게이트 구동부(150L, 150R)를 제어하며 표시부(LAA, RAA)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 구동부(180L, 180R)는 도 1의 타이밍 제어부(170)와 데이터 구동부(130)가 통합된 집적회로(IC)이다. 패널 구동부(180L, 180R)에는 도 1의 전원공급부(15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한편, 도 3에서는 좌안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좌안 표시 구동부(180L, 150L, LAA)와 우안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우안 표시 구동부(180R, 150R, RAA)가 분리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in FIG. 3 , the lef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상현실 표시장치는 현실을 그대로 모방 재현한 환경 속에 사용자를 몰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고글, 헤드세트, 장갑, 특수복 등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고 시스템(예: 컴퓨터 등)이 만들어낸 가상의 환경을 접하게 된다.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can immerse the user in an environment that mimics and reproduces reality as it is. To this end, the user wears equipment that can exchange information, such as goggles, headsets, gloves, and special clothes, and is exposed to the virtu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system (eg, a computer, etc.).
이하, 종래에 제안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실험예를 제작 실험하고 이를 기반으로 장치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by making an experiment, and based on this, the cap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will be described.
도 4는 실험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시스템과 패널 구동부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시스템과 패널 구동부 간의 클록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패킷 파형도이며, 도 6은 실험예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게이트신호 파형도이고, 도 7은 실험예의 문제점에 따른 표시패널의 표시 상태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a panel driver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FIG. 5 is a packet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lock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 system of FIG. 4 and a panel driver, and FIG. 6 is a problem of the experimental example is a gate signal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 and FIG. 7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oblem of the 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에서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구현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게이트 라인(또는 스캔라인) 단위 또는 프레임 단위로 서브 픽셀의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ON) 또는 비발광(OFF)할 수 있는 구동 특성이 있다.In the experimental example,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bas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s a driving characteristic of emitting light (ON) or non-emission (OFF)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f a sub-pixel in units of gate lines (or scan lines) or frames.
이와 같은 구동 특성에 의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 구현시, 시감적 응답속도 또는 동영상 응답속도(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다른 장치 대비 가상의 환경 구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Due to such driving characteristic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increase the visual response speed or the 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 when realizing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as a result, the ability to implement a virtual environment compared to other devices has been shown to be able to improve
하지만,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ON) 또는 비발광(OFF)하기 위해서는 듀티(Duty)를 가변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듀티 가변이 가능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기반으로 제작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표시패널이 영상을 비표시하는 블랭크(Blank) 구간 동안 게이트 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가 지속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 화질 불량이 야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However, in order to emit light (ON) or non-emission (OF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function capable of varying the duty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as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variable duty, a signal capable of driving the gate driver is continuously output during a blank section in which the display panel does not display an image. Failure to do so may result in poor image quality.
이하, 실험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문제점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blem of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에는 시스템(100) 및 도 1의 타이밍 제어부(170, T-CON)와 데이터 구동부(130, Source)가 통합된 패널 구동부(18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4 , in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 the
시스템(100) 내에는 MIPI 송신부(101)가 포함되고 패널 구동부(180) 내에는 MIPI 수신부(181)가 포함된다. 즉, 시스템(100, Master)과 패널 구동부(180, Peripheral)는 MIPI 기반의 통신 인터페이스(이하 MIPI로 약기함)가 체결된다.The
시스템(100)은 MIPI를 통해 정극성 및 부극성으로 조합된 차분 또는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 형태로 클록신호(CLK P/N)와 데이터신호(DATA P/N)를 송신하고 패널 구동부(180)는 이를 수신한다.The
패널 구동부(180)에는 MIPI 수신부(181), 내부 클록생성부(183), 타이밍 제어부(170), 게이트 제어부(185) 및 데이터 구동부(130)가 포함된다.The
MIPI 수신부(181)는 MIPI 송신부(101)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원하여 패널 구동부(180)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예: 내부 클록생성부, 타이밍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내부 클록생성부(183)는 MIPI 수신부(181)로부터 전달된 MIPI 클록신호를 공급받고 이를 기반으로 패널 구동부(180)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예: 타이밍 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생성한다.The
타이밍 제어부(170)는 내부 클록생성부(183)로부터 전달된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기반으로 MIPI 수신부(18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동기화 등을 수행한다.The
타이밍 제어부(170)는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기반으로 게이트 제어부(185) 및 데이터 구동부(130)의 구동 타이밍을 동기화하여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신호 및 데이터 타이밍 신호 등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내부에 마련된 로직 블록을 기반으로 데이터신호를 보상하거나 내부 클록생성부(183)의 분주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Control) 등을 생성한다.The
게이트 제어부(185)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된 게이트 타이밍 신호 등과 같은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하이 전압(VGH), 게이트 로우 전압(VGL) 및 클록신호(CLK) 등을 출력한다.The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타이밍 신호 등과 같은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DATA)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과 패널 구동부(180) 간에 체결된 MIPI는 클록신호를 전송하는 클록레인(Clock lane)(1개의 클록라인 사용)과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레인(Data lane)(1 ~ 4개의 데이터라인 사용)을 포함한다. MIPI를 이용한 신호의 전송 방식에는 2가지의 클록 모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5 , the MIPI coupled between the
도 5의 (a)에 도시된 클록레인(Clock lane)을 참조하면, 연속 모드(Continuous mode)는 표시패널이 영상을 비표시하는 블랭크(Blank) 구간 동안에도 MIPI 클록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한다.Referring to the clock lane shown in (a) of FIG. 5 , in the continuous mode, the MIPI clock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even during a blank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oes not display an image.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된 클록레인(Clock lane)을 참조하면,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는 블랭크(Blank) 구간 동안 MIPI 클록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LPS(Low power Stop state; LPS)로 전환한다. LPS는 데이터를 모두 보내고 남은 구간에 소비전력 절감을 위해 대기하는 모드이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clock lane shown in (b) of FIG. 5, the non-continuous mode does not output the MIPI clock signal during the blank period, and LPS (Low Power Stop) state (LPS). LPS is a mode in which all data is sent and the remaining section wait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기타, 도 5의 파형에서 SOT(Start of Transmission)와 EOT(End of Transmission)는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packet)의 처음과 끝을 구분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HS(high speed)(HS transmission 구간)는 데이터 패킷을 고속 모드로 전송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HS 모드와 달리 저소비전력 모드로 전송하는 LP(Low power) 모드도 있다.In addition, in the waveform of FIG. 5, SOT (Start of Transmission) and EOT (End of Transmission) mean a section separating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n actually transmitted data packet, and HS (high speed) (HS transmission section). ) means a section in which data packets are transmitted in high-speed mode. Although not shown, unlike the HS mode, there is also an LP (Low power) mode for transmitting in a low power consumption mode.
도 5의 파형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실험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MIPI 신호전송 체계 중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를 사용할 경우 블랭크(Blank) 구간 동안 표시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없다.As can be seen from the waveform of FIG. 5, when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example uses the non-continuous mode among the MIPI signal transmission system, the signal required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during the blank section is provided. It cannot be created continuously.
시뮬레이션 결과, 이 방식으로 게이트 구동부의 듀티를 가변할 경우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으로 인하여 표시패널의 화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만 지원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화질 불량은 물론 화상의 안정적인 구현을 어렵게 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when the duty of the gate driver is varied in this way,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may be deteriorated due to a clock unsynchronization problem. That is, when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is based on a system that supports only a non-continuous mode,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stable image quality as well as poor image quality.
이와 달리, 연속 모드(Continuous mode)는 블랭크(Blank) 구간 동안에도 MIPI 클록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어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 대비 화상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연속 모드(Continuous mode)의 경우 블랭크(Blank) 구간 동안 외부 충격 발생시 MIPI 클록신호가 순간적으로 불안정(unstable)한 상태가 된다.Contrary to this, the continuous mode can continuously output the MIPI clock signal even during the blank sec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in stably realizing an image compared to the non-continuous mod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mode,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during the blank section, the MIPI clock signal is momentarily unstable.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는 외부 충격(예: 정전기=ESD) 발생시 MIPI 클록신호는 순간적으로 불안정(unstable)한 상태가 되고 내부 클록생성부(183)는 타이밍 제어부(170) 등에 공급할 내부 클록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없게 된다(비정상 상태).As shown in FIGS. 4 and 6, in the experimental example, when an external shock (eg, static electricity = ESD) occurs, the MIPI clock signal momentarily becomes unstable, and the
이 영향으로, 타이밍 제어부(170) 또한 게이트 타이밍 신호 등과 같은 동기신호를 정상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게이트 구동부는 외부 충격(예: 정전기=ESD)이 발생한 이후 게이트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없게 된다.Due to this influence, the
도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실험예의 장치에는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에 대한 대비가 없는 상태이다.As can be seen from FIG. 6 , in the device of the experimental example, there is no preparation for an environmental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interface (eg, a problem of clock 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due to ESD).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는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 또한 대비가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 및 연속 모드(Continuous mode)의 구분없이 실험예와 같은 방식은 게이트 구동부 등의 신호 생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Environmental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interface are non-continuous mode and there is no contrast. Therefore, the method as in the experimental exampl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non-continuous mode and the continuous mode, affects the signal generation of the gate driver and the like.
그 결과, 실험예는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에 의하여, 도 7과 같이 표시패널(110)에 비정상적인 영상(Abnormal Display)이 표시되거나, 순간적으로 특정 라인에 줄이 생기거나, 깜빡이는 등의 화질 불량이 발생할 경우 이를 빠른 시간 내에 회복할 수 없다.As a result, in the experimental example, an abnormal image is displayed on the
이상 실험예는 듀티 가변이 가능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제작하므로 시감적 응답속도 또는 동영상 응답속도(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다른 장치 대비 가상의 환경 구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n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 since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is manufactured bas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variable duty, the visual response speed or 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 can be increased. It has been shown that the ability to implement the environment can be improved.
하지만, 실험예는 화상의 안정적인 구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시스템과 체결된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에도 강건한 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험예는 듀티 구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클록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the experimental exampl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device that is robust to environmental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interface connected to the system (eg, clock asynchronization problem between devices due to ESD) in order to improve the stable image implementation capability. In addition, in the experimental exampl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device capable of independently generating a clock signal to stably support duty driving.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시스템과 패널 구동부의 블록도이고, 도 9는 패널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선점을 설명하기 위한 게이트신호 파형도이고,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개선점에 따른 표시패널의 표시 상태도이며, 도 1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동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a panel driv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anel driving unit, and FIG. 10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ate signal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rovement p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1 is a display state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p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2 is a driving flowchar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anel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에는 시스템(100) 및 도 1의 타이밍 제어부(170, T-CON)와 데이터 구동부(130, Source)가 통합된 패널 구동부(18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8 ,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시스템(100) 내에는 MIPI 송신부(101)가 포함되고 패널 구동부(180) 내에는 MIPI 수신부(181)가 포함된다. 즉, 시스템(100, Master)과 패널 구동부(180, Peripheral)는 MIPI 기반의 통신 인터페이스(이하 MIPI로 약기함)가 체결된다.The
시스템(100)은 MIPI를 통해 정극성 및 부극성으로 조합된 차분 또는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 형태로 클록신호(CLK P/N)와 데이터신호(DATA P/N)를 송신하고 패널 구동부(180)는 이를 수신한다.The
패널 구동부(180)에는 MIPI 수신부(181), 내부 클록생성부(183),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 레지스터부(188), 타이밍 제어부(170), 게이트 제어부(185) 및 데이터 구동부(130)가 포함된다.The
MIPI 수신부(181)는 MIPI 송신부(101)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원하여 패널 구동부(180)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예: 내부 클록생성부, 타이밍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내부 클록생성부(183)는 MIPI 수신부(181)로부터 전달된 MIPI 클록신호를 공급받고 이를 기반으로 패널 구동부(180)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예: 타이밍 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생성한다.The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는 MIPI 수신부(181)로부터 전달된 MIPI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생성부(183)로부터 출력되는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공급받는다.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는 MIPI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회복(복구)시키는 보상 동작을 수행한다.The signal comparison and
레지스터부(188)는 패널 구동부(180)의 내부에 마련된 장치 또는 표시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레지스터값들을 갖는다. 레지스터부(188)는 예컨대, 하기 표 1과 같은 레지스터값들을 가질 수 있다.The
타이밍 제어부(170)는 내부 클록생성부(183)로부터 전달된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기반으로 MIPI 수신부(181)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신호를 동기화한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기반으로 게이트 제어부(185) 및 데이터 구동부(130)의 구동 타이밍을 동기화하여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신호 및 데이터 타이밍 신호 등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내부에 마련된 로직 블록을 기반으로 데이터신호를 보상하거나 내부 클록생성부(183)의 분주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Control) 등을 생성한다.The
게이트 제어부(185)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된 게이트 타이밍 신호 등과 같은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하이 전압(VGH), 게이트 로우 전압(VGL) 및 클록신호(CLK) 등을 출력한다.The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타이밍 신호 등과 같은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DATA)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한편, 앞서 설명한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 및 레지스터부(188)는 내부 클록생성부(183)가 자체적으로 클록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보상하는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comparison and compensating
도 8,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PI 송신부(101)로부터 MIPI 클록신호 등이 송신(S110)되면, MIPI 수신부(181)는 이를 수신한다(S120).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는 N-1 번째 프레임(N-1 th)의 M 시간(M은 1초 이상의 특정 단위 시간) 동안 MIPI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비교 및 카운팅한다(S130).8, 9 and 12, when the MIPI clock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IPI transmitter 101 (S110), the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는 표시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활성(Active) 구간(또는 표시 구간) 동안 두 신호를 비교하고 결과를 레지스터부(188)에 저장한다. 레지스터부(188)는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의 결과에 대응하여 특정 주파수 정보를 내부 클록생성부(183)에 출력 및 전달한다.The signal comparison and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는 표시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활성(Active) 구간(또는 표시 구간) 동안 MIPI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비교 및 카운팅(Counting) 하고 비교한 주파수 값을 레지스터부(188)에 저장한다.The clock signal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는 MIPI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블랭크(Blank) 구간 동안 이전의 주파수가 회복(복구)되도록 내부 클록생성부(183)를 제어하는 보상 동작을 수행한다(S140).The clock signal
예컨대,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는 내부 클록생성부(183)가 이전의 주파수를 회복할 수 있도록 레지스터부(188)의 내부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ICLK)(현재 구성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주파수 정보)를 내부 클록생성부(183)에 전달한다.For example, the clock signal
내부 클록생성부(183)는 레지스터부(188)로부터 전달된 주파수 정보(ICLK)를 기반으로 이전의 주파수를 회복하게 된다. 그 결과, 내부 클록생성부(183)는 표시패널이 영상을 비표시하는 블랭크(Blank) 구간에도 타이밍 제어부(170) 등에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지속적 및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즉, 타이밍 제어부(170)는 블랭크 구간 동안에도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를 기반으로 표시패널을 구동할 수 있는 신호를 지속적 및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한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MIPI 신호전송 체계를 사용하도록 구현된다. 도 5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를 사용할 경우 블랭크(Blank) 구간 동안 표시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없다.Meanwhil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mplemented so that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uses the MIPI signal transmission system. As can be seen from the description of FIG. 5 , when a non-continuous mode is used, a signal necessary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cannot be continuously generated during a blank section.
이와 달리, 연속 모드(Continuous mode)는 블랭크(Blank) 구간 동안에도 MIPI 클록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어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 대비 화상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연속 모드(Continuous mode)의 경우 블랭크(Blank) 구간 동안 외부 충격 발생시 MIPI 클록신호가 순간적으로 불안정(unstable)한 상태가 된다.Contrary to this, the continuous mode can continuously output the MIPI clock signal even during the blank sec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in stably realizing an image compared to the non-continuous mod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mode,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during the blank section, the MIPI clock signal is momentarily unstable.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180)의 내부에는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외부 충격(예: 정전기=ESD) 발생시 MIPI 클록신호는 순간적으로 불안정(unstable)한 상태가 될 수 있다.8 to 10 , clock signal
하지만,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의 보상 동작에 의해 내부 클록생성부(183)는 이전의 주파수를 회복하게 되고, 내부 클록생성부(183)는 타이밍 제어부(170) 등에 공급할 내부 클록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However, by the compensation operation of the clock signal
이 영향으로, 타이밍 제어부(170) 또한 게이트 타이밍 신호 등과 같은 동기신호를 정상적인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게이트 구동부는 외부 충격(예: 정전기=ESD)이 발생한 이후에도 게이트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effect, the
도 10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장치에는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를 대비할 수 있는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가 존재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10 ,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lock signal
그러므로 비연속 모드(Non-Continuous mode) 및 연속 모드(Continuous mode)의 구분없이 게이트 구동부 등의 신호 생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내부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internally for problems affecting signal generation, such as the gate driver, without distinction between non-continuous mode and continuous mode.
그 결과,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도 11과 같이 표시패널(110)에 비정상적인 영상(Abnormal Display)이 표시되거나, 순간적으로 특정 라인에 줄이 생기거나, 깜빡이는 등의 화질 불량을 빠른 시간 내에 회복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environmental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interface occurs, an abnormal image is displayed on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터부(188)는 이전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제1레지스터값(R1)과 현재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제2레지스터값(R2)을 갖도록 구분된다. 제1레지스터값(R1)은 고정된 주파수 정보를 갖지만, 제2레지스터값(R2)은 변동된 주파수 정보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3 , the
제1레지스터값(R1)은 표 1과 같이 고정된 레지스터값들을 갖도록 설정된다. 반면, 제2레지스터값(R2)은 사용자의 설정, 장치 요건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주파수 정보가 변경될 경우 이 값을 별도로 저장하고 저장된 레지스터값에 대응하여 내부 클록생성부(183)를 가변 구동할 수 있도록 변동되는 레지스터값들을 갖도록 설정된다.The first register value R1 is set to have fixed register values as shown in Table 1.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gister value R2 stores this value separately when the frequency information is changed by the user's setting, device requirements, or external environment, and variably drives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실시예는 제1레지스터값(R1)만 사용하므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주파수가 결정되면 레지스터값들 중 하나의 레지스터값만 사용하게 된다. 즉, 제1실시예는 외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구동 조건에 대응하는 주파수로만 회복(주파수 고정형)된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first embodiment uses only the first register value R1, when the frequency required for driving the device is determined, only one register value among the register values is used.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n external shock is present, only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preset driving condition is recovered (frequency fixed type).
이와 달리, 제2실시예는 제1레지스터값(R1)뿐만 아니라 제2레지스터값(R2) 또한 사용 가능하므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주파수가 결정된 이후 장치의 소비전력 절감 등의 목적 및 효과를 위해 주파수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레지스터값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실시예는 외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구동 조건 및 변경된 구동 조건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회복(주파수 변동형)된다.In contrast, in the second embodiment, not only the first register value R1 but also the second register value R2 can be used, so after the frequency required for driving the device is determined, the frequency for the purpose and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Even if is changed, the register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frequency can be used. 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an external shock is present,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preset driving condition and a changed driving condition is restored (frequency variation type).
예컨대, 장치의 노말 구동에 필요한 주파수가 60Hz로 설정된 이후 장치의 소비전력 절감 구동으로 인하여 주파수가 30Hz로 변경된다. 그런데 이후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 시스템과 패널 구동부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가 발생한다.For example, after the frequency required for normal driving of the device is set to 60 Hz, the frequency is changed to 30 Hz due to power consumption-saving driving of the device. However, thereafter, an external shock occurs, causing a problem of clock synchroniza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panel driver.
그러나 클록신호 보상회로부(187, 188)는 변경된 주파수인 30Hz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내부 클록생성부(183)를 회복시키는 보상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 등은 변경된 주파수인 30Hz로 장치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clock signal
한편, 도 13에서는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가 MIPI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내부 OSC)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변경된 주파수 정보를 제2레지스터값(R2)에 저장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Meanwhile, in FIG. 13 , the signal comparison and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신호 비교 및 보상부(187)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신호,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등과 MIPI 클록신호를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변경된 주파수 정보를 제2레지스터값(R2)에 저장할 수도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ignal comparison and
이상 본 발명은 듀티 가변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제작하므로 시감적 응답속도 또는 동영상 응답속도(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를 높일 수 있어 가상의 환경 구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의 안정적인 구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시스템과 체결된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ESD에 의한 장치 간의 클록 비동기화 문제 등)에도 강건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듀티 구동을 지원하기 위한 클록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based on a display device capable of variable du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isual response speed or motion picture response time (MPRT),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to implement a virtual environment.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device that is robust to environmental problems (eg, clock a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due to ESD) that may occur in an interface connected to th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table image implement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clock signal for supporting stable duty driving by itself.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to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may be practic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시스템 170: 타이밍 제어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전원 공급부
150: 게이트 구동부 110: 표시패널
183: 내부 클록생성부 187: 신호 비교 및 보상부
188: 레지스터부 170: 타이밍 제어부
185: 게이트 제어부100: system 170: timing control
130: data driver 140: power supply
150: gate driver 110: display panel
183: internal clock generation unit 187: signal comparison and compensation unit
188: register unit 170: timing control unit
185: gate control
Claims (10)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며, 외부 클록신호를 기반으로 내부에 마련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클록생성부와,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상기 내부 클록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레지스터값들을 갖는 레지스터부와,
상기 외부 클록신호와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하고,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상기 레지스터값들 중 하나로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신호 비교 및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부는 고정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1레지스터값과 변동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2레지스터값을 포함하고,
상기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 동안 상기 외부 클록신호와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 하고,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이 영상을 비표시하는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레지스터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변동된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표시장치.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internal clock generator that drives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es an internal clock signal for driving a device provided therein based on an external clock signal, and controls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in a section where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enter a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for recove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a register unit having register values corresponding to frequency information;
and a signal comparison and compensator for comparing and counting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recove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to one of the register values in a s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enter;
The register unit includes a first register value composed of fixed frequency information and a second register value composed of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The register unit compares and counts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during a display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and during a blank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oes not display an image when the external clock signal is not normally received A display device for recove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based on the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MIPI 송신부를 갖는 시스템; 및
상기 MIPI 송신부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MIPI 수신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MIPI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외부 클록신호를 기반으로 내부에 마련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클록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클록생성부와,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상기 내부 클록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레지스터값들을 갖는 레지스터부와,
상기 외부 클록신호와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하고,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상기 레지스터값들 중 하나로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신호 비교 및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부는 고정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1레지스터값과 변동된 주파수 정보로 이루어진 제2레지스터값을 포함하고,
상기 클록신호 보상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구간 동안 상기 외부 클록신호와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 하고,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패널이 영상을 비표시하는 블랭크 구간 동안 상기 레지스터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변동된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가상현실 표시장치.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system having a MIPI transmitter; and
and a panel driving unit having a MIPI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MIPI transmitting unit and driving the display panel;
The panel driver
an internal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nternal clock signal for driving a device provided therein based on the external c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PI transmitter;
and a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clock generator to recover the internal clock signal in a section where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enter;
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a register unit having register values corresponding to frequency information;
and a signal comparison and compensator for comparing and counting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recove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to one of the register values in a s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enter;
The register unit includes a first register value composed of fixed frequency information and a second register value composed of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The clock signal compensation circuit unit
The register unit compares and counts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during a display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and during a blank period in which the display panel does not display an image when the external clock signal is not normally received A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for recove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based on the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외부 클록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클록신호와 내부 클록신호를 비교 및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내부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레지스터값들 중 하나로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되,
상기 외부 클록신호가 정상적으로 들어오지 않는 구간에서 주파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동된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클록신호를 회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In the driving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claim 5,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n external clock signal;
comparing and counting the external clock signal and the internal clock signal; and
recove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to one of the register values stored in the internal register unit in a s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enter,
and recover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based on the changed frequency information when the frequency is changed in a s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lock signal does not normally en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7625A KR102448062B1 (en) | 2015-11-27 | 2015-11-27 | Display Devic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7625A KR102448062B1 (en) | 2015-11-27 | 2015-11-27 | Display Devic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2153A KR20170062153A (en) | 2017-06-07 |
KR102448062B1 true KR102448062B1 (en) | 2022-09-28 |
Family
ID=5922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7625A Active KR102448062B1 (en) | 2015-11-27 | 2015-11-27 | Display Devic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8062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7192B1 (en) * | 2006-03-06 | 2013-02-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ircuit of Recoverying Clock and Video Signal Rece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1957970B1 (en) * | 2011-12-09 | 2019-03-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oreof |
KR102081131B1 (en) * | 2013-12-30 | 2020-02-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Being Capable Of Driving In Low-Speed |
-
2015
- 2015-11-27 KR KR1020150167625A patent/KR102448062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2153A (en) | 2017-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29503B1 (en) |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
US9767747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US8872808B2 (en) |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1279123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20170111788A (en) |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 |
KR20180010351A (en) | Display device | |
KR101361956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JP2008129576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379188B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
US8456403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02543019B (en) |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KR20210081905A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135923B1 (en) | Apparature for controlling charging time using input video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345091B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10748493B2 (en) | Display device for driving and compensating low latency virtual reality | |
KR102622116B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448062B1 (en) | Display Devic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KR102529502B1 (en) | Display device and data devic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reof | |
KR20180060334A (en) | Gate driv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
JP2018017793A (en) |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2498674B1 (en) |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
KR101633120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EP4250282A1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40143932A (en) |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method and display driver using the same | |
KR20240143931A (en) |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method and display driver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7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