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5421B1 - 맨홀 주변블록 - Google Patents

맨홀 주변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421B1
KR102445421B1 KR1020200186859A KR20200186859A KR102445421B1 KR 102445421 B1 KR102445421 B1 KR 102445421B1 KR 1020200186859 A KR1020200186859 A KR 1020200186859A KR 20200186859 A KR20200186859 A KR 20200186859A KR 102445421 B1 KR102445421 B1 KR 10244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eparation
material layer
weigh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036A (ko
Inventor
장정식
Original Assignee
장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식 filed Critical 장정식
Priority to KR102020018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4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4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06Pressing by atmospheric pressure, as a result of vacuum generation or by gas or liquid pressure acting directly upon the material, e.g. jets of compresse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뚜껑 주변으로 안착되며, 중량이 가볍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공기정화효과를 제공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주변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맨홀 주변블록{Block around manhole}
본 발명은 맨홀 주변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시스템의 주변블록은 고강도 콘크리트로 제조되며, 원형 또는 사각으로 제조되고, 중량이 가볍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블록화되어 시공이 용이하며 암모니아 가스냄새를 절감시켜주는 효과와 공기정화효과를 제공하는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변이나 보도 등에는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맨홀이 설치되며, 상기 맨홀에는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통공을 갖는 맨홀 뚜껑과 이러한 맨홀 뚜껑을 받치고 있는 맨홀 받침틀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맨홀뚜껑 및 맨홀 받침틀은 대부분 중량을 갖는 금속주물로 제작된다.
종래와 같이 금속주물로 제조된 맨홀뚜껑 및 맨홀 받침틀은 대게 검정색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므로 도시 미관이 어두워 질 뿐아니라 소재자체의 단가가 고가이므로 생산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맨홀 뚜껑 및 맨홀 받침틀은 주물작업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형틀에 채워진 주물사에 맨홀 뚜껑 및 맨홀 받침틀과 같은 주형을 뜨고 이에 용융된 주물을 부어 주입시킨 후 이를 식혀 맨홀 뚜껑 및 맨홀 받침틀을 얻은 후에, 이를 다시 연마공정하여 완전한 성형물로 제조한다.
그러나, 주물작업을 통해 제조되는 맨홀 뚜껑 및 맨홀 받침틀은 휘어짐과 비틀림 및 크랙 등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중량이 무거워 맨홀 작업시에 작업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을 뿐만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금속재료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맨홀 뚜껑이 도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89851호
본 발명은 중량이 가볍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시공이 용이하도록 블록화되고, 암모니아 가스냄새를 절감시켜주며, 공기정화효과를 갖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시공 또는 지진 등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주변블록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크기 및 시공 환경에 따라 주변블록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발광물질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의 조도에 따라 맨홀시스템의 위치를 알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 맨홀뚜껑 주변으로 안착되며, 중량이 가볍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공기정화효과를 제공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주변블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블록부는, 제1분리원료층과 제1분리섬유층과 제2분리원료층과 분리타공철편과 제3분리원료층과 제2분리섬유층을 순차로 적재하여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15 내지 25분 동안 압축하며, 압축후 상온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경화함으로 형성되는 분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블록은, 분리블록의 강도를 높여 충격 및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블록 외주면에 폴리우레아를 50℃ ~ 100℃로 용융하여 1.5 ~ 2m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리블록은, 맨홀뚜껑 일측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1블록; 맨홀뚜껑 일측 하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2블록; 맨홀뚜껑 타측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3블록; 맨홀뚜껑 타측 하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4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블록은, 분리블록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1분리원료층; 제1분리원료층 상부로 형성되는 제1분리섬유층; 제1분리섬유층 상부로 형성되는 제2분리원료층;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제2원료층 상부로 형성되는 분리타공철편; 직교로 교차 형성되는 분리타공철편 상부로 형성되는 제3분리원료층; 제3분리원료층 상부로 형성되는 제2분리섬유층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분리원료층은, 합성수지 15 내지 22 중량부, 규사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제1분리섬유층은, 750 내지 4400 TEX의 유리섬유사 또는 탄소섬유사 중 어느 하나의 섬유사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분리원료층은, 합성수지 15 내지 22 중량부, 규사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분리타공철편은,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천공으로 형성되며, 철편의 폭이 2cm 내지 5cm의 폭으로 복수의 철편이 직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분리원료층은, 합성수지 15 내지 22 중량부, 규사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 발광물질 1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제2분리섬유층은, 750 내지 4400 TEX의 유리섬유사 또는 탄소섬유사 중 어느 하나의 섬유사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분리원료층과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은, 강도를 높이기 위해 메타카올린 10 내지 15 중량부, 무기질현무암 미분말 15 내지 20 중량부, 천매암 분말 5 내지 10 중량부, 크로마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블록부는, 분리블록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 제4블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돌기; 체결돌기가 결착 되도록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 제4블록 타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블록부는, 맨홀뚜껑 직경에 따라 분리블록 간의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유격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격조정수단은, 분리블록 일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유격고정판; 유격조절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타측의 분리블록을 밀어주도록 타측의 분리블록과 밀착 형성되는 유격조절판; 유격고정판을 기준으로 유격조절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유격고정판과 유격조절판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조절스크류; 유격조절스크류를 회전시켜주기 위해 유격조절스크류와 수직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유격조절기어; 유격조절기어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조절바가 삽입되도록 유격조절기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기어홈; 유격조절기어를 회전시켜주기 위해 조절기어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절바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블록부는,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의 결속력을 높여주기 위해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고정바; 복수의 수직고정바가 연결되도록 수직고정바 간의 연결 형성되는 수평고정바를 포함하는 주변블록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볍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시공이 용이하도록 블록화되어 시공성과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제공하며, 암모니아 가스냄새를 절감시켜 공기정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시공 또는 지진 등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맨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주변블록의 체결력을 높여주며, 크기 및 시공 환경에 따라 주변블록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블록의 크기와 관계없이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주변블록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체결수단을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유격조정수단을 적용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고정수단을 적용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돌기를 적용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10)의 주변블록부(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주변블록부(100)에 대한 원료를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변블록부(100)는 복수의 블록이 맨홀뚜껑(200) 주변을 감싸 지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변블록은 맨홀뚜껑(200)의 형태가 원형인 경우 맨홀뚜껑(200)이 안착되는 주변블록부(10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맨홀뚜껑(200)의 형태가 사각인 경우 맨홀뚜껑(200)이 안착되는 주변블록부(100)가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변블록부(100)는 분리블록(110)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블록(110)은 제1분리원료층(120a)과 제1분리섬유층(120b)과 제2분리원료층(120c)과 분리타공철편(120d)과 제3분리원료층(120e)과 제2분리섬유층(120f)을 순차적으로 적재하여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블록(110)은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15분 내지 25분 동안 압축시켜 성형한 후 상온에서 4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경화시킴으로 분리블록(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블록(110)은 제1블록(111), 제2블록(112), 제3블록(113), 제4블록(114)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1블록(111)은 맨홀뚜껑(200)을 정면으로 위치하는 경우, 맨홀뚜껑(200)의 일측 상부로 지면에 안착 형성되며, 상기 제2블록(112)은 맨홀뚜껑(200)의 일측 하부로 지면에 안착 형성되고, 상기 제3블록(113)은 맨홀뚜껑(200)의 타측 상부로 지면에 안착 형성되며, 제4블록(114)은 타측 하부로 지면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블록(110)은, 분리블록(110)의 강도를 높여 충격 및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블록(110) 외주면에 폴리우레아를 50℃ ~ 100℃로 용융하여 1.5 ~ 2m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융된 폴리우레아는 2회 내지 4회에 거쳐 반복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블록(110)은 제1분리원료층(120a), 제1분리섬유층(120b), 제2분리원료층(120c), 분리타공철편(120d), 제3분리원료층(120e), 제2분리섬유층(120f)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분리원료층(120a)은 분리블록(110)(의 가장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맨홀뚜껑(200) 성형시 유압프레스의 성형틀 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리원료층(120a)은 합성수지, 규사, 백운석, 맥반석, 경화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리섬유층(120b)은 제1분리원료층(120a)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분리섬유층(120b)은 내열 및 강도가 우수하도록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의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분리원료층(120c)은 제1분리섬유층(120b)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분리2원료층은 합성수지, 규사, 백운석, 맥반석, 경화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타공철편(120d)은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는 철편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타공철편(120d)은 제2분리원료층(120c) 상부로 형성되어 유압프레스에 의한 압축시 천공으로 원료가 유입되도록 하여 결속력을 높여며, 교차됨으로 교차시 발생되는 홈에 원료가 유입되어 결속력을 극대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분리원료층(120e)은 분리타공철편(120d)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분리원료층(120e)은 합성수지, 규사, 백운석, 맥반석, 경화제, 발광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분리섬유층(120f)은 제3분리원료층(120e)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분리섬유층(120f)은 내열 및 강도가 우수하도록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의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리원료층(120a)과 제2분리원료층(120c)의 조성물은 합성수지, 규사, 백운석, 맥반석, 경화제로 형성되어 오수 또는 우수 관 내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를 제거해주는 효과를 제공하며, 공기중의 초미세먼지를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리원료층(120a)과 제2분리원료층(120c)의 조성물은 합성수지 15 내지 22중량부, 규상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혼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분리원료층(120e)의 조성물은 합성수지 15 내지 22중량부, 규상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혼합되는 조성물에 발광물질 1 내지 2.5 중량부가 추가 혼합되어 주변환경이 어두운 경우 예를 들어 밤이나 장마철 등에 분리블록(110)의 위치를 주변에 알려주기 위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리섬유층(120b)과 제2분리섬유층(120f)은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분리블록(110)을 제공하기 위해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의 섬유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1분리섬유층(120b)과 제2분리섬유층(120f)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사 또는 탄소섬유사는 750 내지 4400 TEX로 직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타공철편(120d)은 폭이 2 내지 5cm 로 형성되어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타공철편(120d)은 직교로 겹쳐 배치시킴으로 원료가 홀에 유입되어 원료간의 결속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1분리원료층(120a)과 제2분리원료층(120c)과 제3분리원료층(120e)은, 분리블록(1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메타카올린 10 내지 15 중량부, 무기질현무암 미분말 15 내지 20 중량부, 천매암 분말 5 내지 10 중량부, 크로마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10)에 체결수단(130)을 적용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130)은 분리블록(110) 간의 연결을 통한 탈부착시 결착력을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수단(130)은 체결클립(131), 체결바(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클립(131)은 제1블록(111) 일측과 제2블록(112) 일측, 제3블록(113) 일측과 제4블록(114) 일측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클립(131)은 제1블록(111) 타측과 제2블록(112) 타측, 제3블록(113) 타측과 제4블록(114) 타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바(132)에 결착됨으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클립(131)은 결착을 위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바(132)는 제1블록(111) 타측과 제2블록(112) 타츠, 제3블록(113) 타측과 제4블록(114)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클립(131)이 회전되어 결착됨으로 체결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10)에 유격조정수단(140)을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격조정수단(140)은 맨홀뚜껑(200) 직경에 따라 분리블록(110) 간의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정수단(140)은 유격고정판(141), 유격조절판(142), 유격조절스크류(143), 유격조절기어(144), 조절기어홈(145), 조절바(146)를 포함한다.
상기 유격고정판(141)은 분리블록(110) 일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밀착고정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형성되거나, 접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절판(142)은 유격고정판(141)을 기준으로 유격을 조절할 경우 유격조절판(142)이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유격조절판(142)은 유격고정판(141)과 상호 대응되는 위치의 분리블록(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절판(142)은 유격조절스크류(143)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절스크류(143)는 유격고정판(141)을 기준으로 유격조절판(142)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격조절스크류(143)는 일측이 유격고정판(141)에 고정되며, 베어링과 함께 고정되어 공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나사결합을 통해 유격조절판(14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유격조절스크류(143)는 조절바(146)의 회전으로 회전되며, 이때, 나사결합되는 유격조절판(142)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절기어(144)는 유격조절스크류(143)와 수직으로 맞물려 유격조절스크류(143)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격조절기어(144)는 일측으로 유격조절스크류(143)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격조절기어(144)의 수직 회전시 유격조절스크류(143)가 수평회전됨으로 유격조절판(142)이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기어홈(145)은 유격조절판(14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유격조절기어(144)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바(14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바(146)는 조절기어홈(145)에 삽입되어 유격조절기어(144)를 회전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절바(146)는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조절기어홈(145)에 삽입하여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 맨홀 주변블록(10))의 주변블록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고정수단(150)을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150)은 수직고정바(151), 수평고정바(15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고정바(151)는 제2분리원료층(100c)과 제3분리원료층(100e)의 접합시 결속력을 높여주며, 일정 탄성을 같도록 하여 원료층 간의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고정바(151)의 상부와 하부로는 홀이 형성되어 제2분리원료층(100c)의 원료와 제3분리원료층(100e)의 원료가 관통되어 압착 경화됨으로 결속력을 극대화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수평고정바(152)는 복수의 수직고정바(151)를 연결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고정바(152)는 수직고정바(151)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평고정바(152)는 직사각의 판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돌기를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주변블록 상면에 복수의 제1돌기(160) 또는 제2돌기(161)가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돌기(160) 또는 제2돌기(161)가 주변블록의 성형시 성형틀에 형성되도록 하여 주변블록의 성형시 제1분리원료층(100a) 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맨홀시스템
100 : 주변블록부 110 : 분리블록
111 : 제1블록 112 : 제2블록
113 : 제3블록 114 : 제4블록
120a : 제1분리원료층 120b : 제1분리섬유층
120c : 제2분리원료층 120d : 분리타공철편
120e : 제3분리원료층 120f : 제2분리섬유층
130 : 체결수단 131 : 체결클립
132 : 체결바
140 : 유격조정수단 141 : 유격고정판
142 : 유격조절판 143 : 유격조절스크류
144 : 유격조절기어 145 : 조절기어홈
146 : 조절바
150 : 고정수단 151 : 수직고정바
152 : 수평고정바
160 : 제1돌기 161 : 제2돌기
200 : 맨홀뚜껑

Claims (2)

  1. 맨홀뚜껑 주변으로 안착되며, 중량이 가볍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공기정화효과를 제공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주변블록부를 포함하는 맨홀 주변블록에 있어서,
    상기 주변블록부는,
    제1분리원료층과 제1분리섬유층과 제2분리원료층과 분리타공철편과 제3분리원료층과 제2분리섬유층을 순차로 적재하여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15 내지 25분 동안 압축하며, 압축후 상온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경화함으로 형성되는 분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블록은,
    분리블록의 강도를 높여 충격 및 하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블록 외주면에 폴리우레아를 50℃ ~ 100℃로 용융하여 1.5 ~ 2m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리블록은,
    맨홀뚜껑 일측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1블록;
    맨홀뚜껑 일측 하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2블록;
    맨홀뚜껑 타측 상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3블록;
    맨홀뚜껑 타측 하부로 안착 형성되는 제4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블록은,
    분리블록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1분리원료층;
    제1분리원료층 상부로 형성되는 제1분리섬유층;
    제1분리섬유층 상부로 형성되는 제2분리원료층;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제2원료층 상부로 형성되는 분리타공철편;
    직교로 교차 형성되는 분리타공철편 상부로 형성되는 제3분리원료층;
    제3분리원료층 상부로 형성되는 제2분리섬유층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분리원료층은,
    합성수지 15 내지 22 중량부, 규사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제1분리섬유층은,
    750 내지 4400 TEX의 유리섬유사 또는 탄소섬유사 중 어느 하나의 섬유사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분리원료층은,
    합성수지 15 내지 22 중량부, 규사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분리타공철편은,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천공으로 형성되며, 철편의 폭이 2cm 내지 5cm의 폭으로 복수의 철편이 직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분리원료층은,
    합성수지 15 내지 22 중량부, 규사 12 내지 18 중량부, 백운석 55 내지 65 중량부, 맥반석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 발광물질 1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제2분리섬유층은,
    750 내지 4400 TEX의 유리섬유사 또는 탄소섬유사 중 어느 하나의 섬유사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분리원료층과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은,
    강도를 높이기 위해 메타카올린 10 내지 15 중량부, 무기질현무암 미분말 15 내지 20 중량부, 천매암 분말 5 내지 10 중량부, 크로마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변블록부는,
    분리블록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 또는
    맨홀뚜껑 직경에 따라 분리블록 간의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유격조정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이 선택되어 설치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 제4블록 일측으로 형성되는 체결돌기;
    체결돌기가 결착 되도록 제1블록, 제2블록, 제3블록, 제4블록 타측으로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유격조정수단은,
    분리블록 일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유격고정판;
    유격조절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타측의 분리블록을 밀어주도록 타측의 분리블록과 밀착 형성되는 유격조절판;
    유격고정판을 기준으로 유격조절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유격고정판과 유격조절판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조절스크류;
    유격조절스크류를 회전시켜주기 위해 유격조절스크류와 수직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유격조절기어;
    유격조절기어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조절바가 삽입되도록 유격조절기어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기어홈;
    유격조절기어를 회전시켜주기 위해 조절기어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조절바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블록부는,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의 결속력을 높여주기 위해 제2분리원료층과 제3분리원료층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고정바;
    복수의 수직고정바가 연결되도록 수직고정바 간의 연결 형성되는 수평고정바를 포함하는 맨홀 주변블록.
  2. 삭제
KR1020200186859A 2020-12-29 2020-12-29 맨홀 주변블록 Active KR10244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859A KR102445421B1 (ko) 2020-12-29 2020-12-29 맨홀 주변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859A KR102445421B1 (ko) 2020-12-29 2020-12-29 맨홀 주변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036A KR20220095036A (ko) 2022-07-06
KR102445421B1 true KR102445421B1 (ko) 2022-09-21

Family

ID=8240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859A Active KR102445421B1 (ko) 2020-12-29 2020-12-29 맨홀 주변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18Y1 (ko) 2001-11-22 2002-02-21 이용교 하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
JP2007077788A (ja) 2005-09-15 2007-03-29 Kikuchi Hideyuki トルマリン鉱石を含有した管材、u字溝、蓋、側溝、マンホール、桝、槽等の下水道設備資材。
JP2010037763A (ja) 2008-08-01 2010-02-18 Availvs Corp 鉄蓋
KR101952639B1 (ko) 2018-05-02 2019-02-27 하상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362B2 (ja) * 1997-12-18 2001-07-11 薮塚建材興業株式会社 マンホール保護枠体
KR20010009508A (ko) * 1999-07-10 2001-02-05 정준모 맨홀 뚜껑 위치 조절장치
KR101388244B1 (ko) * 2012-07-20 2014-05-27 (주)아시아젠트라 맨홀 뚜껑 및 맨홀 받침틀로 이루어진 맨홀
KR20170031505A (ko) * 2015-09-11 2017-03-21 (주)아시아젠트라 지상 개구부 받침블록
KR101689851B1 (ko) 2016-08-18 2016-12-26 박건영 경사도 조절형 우수용 맨홀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18Y1 (ko) 2001-11-22 2002-02-21 이용교 하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
JP2007077788A (ja) 2005-09-15 2007-03-29 Kikuchi Hideyuki トルマリン鉱石を含有した管材、u字溝、蓋、側溝、マンホール、桝、槽等の下水道設備資材。
JP2010037763A (ja) 2008-08-01 2010-02-18 Availvs Corp 鉄蓋
KR101952639B1 (ko) 2018-05-02 2019-02-27 하상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036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227B2 (en) Thermally and electrically insulated composite manhole covers
KR101270727B1 (ko) 카펫형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JP2012532780A (ja) マンホール用蓋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42461A1 (en) Permeable construction material containing waste rubber tyres
US7879921B2 (en) Fluid permeable composite material and process for same
US9068299B2 (en) Tough, water-permeable paver
KR102445421B1 (ko) 맨홀 주변블록
KR20090099507A (ko) 복합재료 맨홀뚜껑과 이를 포함하는 복합재료 맨홀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88244B1 (ko) 맨홀 뚜껑 및 맨홀 받침틀로 이루어진 맨홀
KR101012968B1 (ko) 바텀애쉬 골재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기능을 가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IL272102B1 (en) Building material granulate, method for producing a building material granulate on the basis of mineral grains and use of same
KR100441861B1 (ko) 폐타이어, 폐우레탄 컬러 고무칩을 이용한 투수성 탄성포장재의 시공방법
EP2243621B1 (en) A slab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KR102278710B1 (ko) 맨홀뚜껑
KR102000647B1 (ko) 복층 아스팔트 시공방법
CN202323706U (zh) 一种环氧沥青铺装坑槽修补结构
KR102824444B1 (ko) 조립식 수도 설치대
KR102702694B1 (ko) 투ㆍ배수성 아스콘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JP5813308B2 (ja) 保水性舗装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0975U (ko) 사각 형상의 맨홀 뚜껑 및 맨홀 틀을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
KR200409865Y1 (ko) 탄성 그레이팅
KR20050024535A (ko) 다공성 투수 조립블록
KR200333978Y1 (ko) 다공성 투수 조립블록
KR100655500B1 (ko) 탄성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JP3405931B2 (ja) 透水性筒体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