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3505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505B1
KR102443505B1 KR1020150176098A KR20150176098A KR102443505B1 KR 102443505 B1 KR102443505 B1 KR 102443505B1 KR 1020150176098 A KR1020150176098 A KR 1020150176098A KR 20150176098 A KR20150176098 A KR 20150176098A KR 102443505 B1 KR102443505 B1 KR 10244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976A (ko
Inventor
정하경
배범식
이진호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505B1/ko
Priority to US15/371,854 priority patent/US10524149B2/en
Publication of KR2017006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5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이하 "AC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인 하이브리드 주파수 쉬프트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FSK, 이하 "FSK"라 칭하기로 한다) 및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이하 "QAM"이라 칭하기로 한다)(hybrid FSK and QAM: FQAM, 이하 "FQAM"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및 슬라이딩 윈도우 중첩 코딩(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SWSC, 이하 " SWS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진보된 액세스 기술인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 carrier: FBMC, 이하 "FBM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비직교 다중 액세스(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이하 "NO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및 성긴 코드 다중 액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이하 "SCM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등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인 5G 통신 시스템의 망은 더 넓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무선 접속 기술을 동시에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접속 기술의 예로는 GSM(Global Systems Mobile), WCDMA(Wideband Channel Division Multiple Access), HSPA(High-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Release 10의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 및 beyond release 기술 포함), IEEE 802.11b/a/g/n/ac/ad/ax/ay, IEEE 802.16a/e, IEEE 802.2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CDMA2000 lx) and cdma2000 Evolution-Data Optimized (cdma200 EV-DO) 등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5G 통신 시스템의 망은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큰 마스터 기지국(Master eNB; MeNB)과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작은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eNB; SeNB)이 커버리지가 중첩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마스터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세컨더리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 어시스팅 기지국, 또는 슬레이브 기지국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마스터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은 같은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커버리지와 용도에 따라 최적화된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5G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은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저주파 대역(예: 6GHz 이하)의 무선 접속 기술인 LTE를 이용하고, 세컨더리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작은 커버리지를 갖지만 더 큰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할 수 있는 초고주파 대역(예: 60 GHz)의 무선 접속 기술인 IEEE 802.11ad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스터 기지국(또는 Master RAT; M-RAT)과 세컨더리 기지국 (또는 Secondary RAT; S-RAT)이 중첩되어 사용되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본적으로 마스터 기지국과 연결을 유지한다. 또한, 단말은 마스터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세컨더리 기지국과 추가적인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스터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세컨더리 기지국과 연결하는 방식은, 단말이 세컨더리 기지국과 연결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도 단말이 세컨더리 기지국과 연결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게 된다.
일 실시 예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연결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단말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통신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측정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의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해 연결된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단말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단말의 제2 RAT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서 제2 RAT에 대한 측정 이벤트를 트리거시키기 위해 만족되어야 할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단말의 통신 요구 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2 RAT을 통한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RAT을 통한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2 RAT의 신호를 측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통신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해 연결된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통신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제2 RAT에 대한 연결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서 제2 RAT에 대한 측정 이벤트를 트리거시키기 위해 만족되어야 할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요구 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2 RAT을 통한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RAT을 통한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2 RAT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RAT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에 연결 중인 단말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단말의 통신요구사항을 기반으로, S-RAT(Secondary RAT)을 통한 세컨더리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 및/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신호 측정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신호 측정이 수행되는 것 및/또는 세컨더리 기지국과의 연결이 수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측정 수행 여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 단말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연결 여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의 상세한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7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는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는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통신 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는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연결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를 지칭하는 용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상태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예: 이벤트(event)),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al Engineers) 802.11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T)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마스터 기지국(Master eNB; MeNB) 100의 커버리지 영역과, 및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eNB; SeNB)들 101 내지 104의 커버리지 영역이 중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마스터 기지국 100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저주파 대역(예: F1 121)의 제1 무선 접속 기술(예: LTE)을 이용하고,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 각각은 상대적으로 좁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면서 데이터 전송률이 높은 초고주파 대역(예: F2 122)의 제1 무선 접속 기술(예: IEEE 802.11ad)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마스터 기지국 100은 제1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고, 세컨더리 기지국은 제1 무선 접속 기술과 제2 무선 접속 기술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기지국 100이 제1 무선 접속 기술(Master RAT, 이하 'M-RAT'이라 칭함)을 이용하고,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 각각이 제2 무선 접속 기술(Secondary RAT, 이하 'S-RAT'이라 칭함)을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M-RAT을 이용하여 단말 110과 무선 연결을 수행한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에 대한 제어 플랜(control plane) 및 데이터 플랜(data plane)을 운영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S-RAT 측정 설정 메시지 130을 단말 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미리 설정된 시점, 또는 주기마다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단말의 통신요구사항, 및/또는 마스터 기지국 100과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미리 설정된 시점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S-RAT 측정 설정 메시지 130을 단말 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스터 기지국 110은 단말의 통신요구사항, 및/또는 마스터 기지국 100과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110의 S-RAT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S-RAT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S-RAT 측정 설정 메시지 130을 단말 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 각각은 S-RAT을 이용하여 단말 110과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 각각은 주기적으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 각각은 단말 110이 마스터 기지국 100과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에 추가 연결한 경우, 단말 110에 대한 데이터 플랜(data plane)을 운영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단말 110은 기본적으로 M-RAT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과 무선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10은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S-RAT 측정 설정 메시지 130을 수신하고, S-RAT 측정 설정 메시지에 따라 인접한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및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 110은 단말의 통신요구사항, 및/또는 마스터 기지국 100과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S-RAT 측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통신요구사항은 단말 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app)'이라 칭할 수 있다)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 110은 S-RAT 측정 결과에 따라 세컨더리 기지국들 101 내지 104 중 어느 하나에 추가적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110의 S-RAT 측정 여부 및/또는 S-RAT 연결 여부는 마스터 기지국 100이 결정할 수도 있고, 단말 110이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S-RAT 측정 여부 및/또는 S-RAT 연결 여부를 마스터 기지국 100이 결정하는 경우와 단말 110이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측정 수행 여부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마스터 기지국 100이 단말의 S-RAT 측정 여부 및/또는 S-RAT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 예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LTE를 지원하는 마스터 기지국 100과 mmW를 지원하는 세컨더리 기지국 101 및 103이 중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단말 111과 제2 단말 112 각각은 LTE를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과 연결을 수행한다.
이후, 제1 단말 111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단말 112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단말 111은 실행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낮은 대역폭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앱 정보 메시지 210을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 112는 실행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대역폭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앱 정보 메시지 220을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또한, 제2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대용량 파일 송수신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상술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낮은 대역폭은 미리 설정된 임계 치보다 낮거나 같은 대역폭을 의미하며, 높은 대역폭은 미리 설정된 임계 치보다 높은 대역폭을 의미한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제1 단말 111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 메시지 210을 분석하여, 제1 단말 111이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제1 단말 111이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므로, 세컨더리 기지국 101 또는 102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단말 111로 mmW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 마스터 기지국 100은 제2 단말 112로부터 수신된 앱 정보 메시지 220을 분석하여, 제2 단말 112가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제2 단말 112가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므로, 세컨더리 기지국 101 또는 102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단말 112로 mmW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 222를 전송한다. 제2 단말 112는 mmW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W를 지원하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마스터 기지국 100은 제2 단말 112의 요구 대역폭에 따라 세컨더리 기지국 101 또는 102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마스터 기지국 10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1 또는 102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단말 112로 mmW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 222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마스터 기지국이 단말에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을 확인하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임계치 이상의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경우에만 단말로 S-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다중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 단말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연결 여부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3 단말 113은 기존 방식의 단말을 의미하며, 제4 단말 1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114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4 단말 114가 S-RAT 측정 여부 및/또는 S-RAT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실시 예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LTE를 지원하는 마스터 기지국 100과 mmW를 지원하는 세컨더리 기지국 101 및 103이 중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3 단말 113과 제4 단말 114 각각은 LTE를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과 연결을 수행한다. 이후, 마스터 기지국 100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제3 단말 113과 제4 단말 114로 S-RAT인 mmW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3 단말 113과 제4 단말 114 각각에서 제1 시점에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 시점에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제3 단말 113은 제1 시점과 제2 시점 각각에 mmW를 통해 세컨더리 기지국 101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보고 메시지 310 및 312를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한다. 즉, 제3 단말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에 관계없이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보고 메시지를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한다. 반면, 제4 단말 114는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제1 시점에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에 대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고,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제2 시점에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에 대한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단말 114는 제1 시점에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에 대한 신호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이에 따라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반면, 제4 단말 114는 제2 시점에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에 대한 신호 측정을 수행하고, 신호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측정 보고 메시지 320을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대역폭을 확인하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임계치 이상의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경우에만 S-RAT에 대한 측정 및/또는 측정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110은 제어부 400, 통신부 410, 및 저장부 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400은 단말 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제어부 4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400은 통신 요구 정보 관리부 401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요구 정보 관리부 401는 단말 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단말 110의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또는 획득한다. 예를 들어, 통신 요구 정보 관리부 401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 스크린 방향, 사업자 정책, 및 활성 플로우 정보 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요구 정보 관리부 401은 배터리 잔량, 및 배터리 충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요구 정보 관리부 401은 결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 4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는 단말의 S-RAT 연결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는 대역폭, 혹은 지연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는 대역폭, 혹은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구분되는 클래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410은 제어부 400의 제어에 따라 마스터 기지국 100과의 통신 및 세컨더리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 410은 M-RAT을 지원하는 제1 통신 모듈 411과 S-RAT을 지원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410은 제1 통신 모듈 411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과 기본적인 연결을 수행하고, 제2 통신 모듈 412을 통해 세컨더리 기지국과 추가적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 410은 제어부 4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1 통신 모듈 411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 410은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S-RAT 측정 설정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2 통신 모듈 412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키거나,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통신부 410은 온 상태(혹은 활성 상태)의 제2 통신 모듈 412를 이용하여 세컨더리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수신 결과를 제1 통신 모듈 411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 410은 제1 통신 모듈 411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S-RAT 측정 설정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 4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S-RAT 측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 410은 S-RAT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2 통신 모듈 412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키거나,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통신부 410은 온 상태(혹은 활성 상태)의 제2 통신 모듈 412를 이용하여 세컨더리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수신 결과를 제1 통신 모듈 411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 410은 S-RAT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2 통신 모듈 412의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비활성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 410은 제1 통신 모듈 411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연결을 지시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제2 통신 모듈 412를 통해 세컨더리 기지국과의 연결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 420은 단말 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 420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 어플리케이션 요구 대역폭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 방향에 따른 요구 대역폭 정보,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Service Function)에 의해 획득된 사업자 정책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지국 100은 제어부 500, 통신부 510, 및 저장부 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500은 단말 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제어부 5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500은 SRAT 연결 제어부 5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통신부 100를 통해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110의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110의 S-RAT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는 단말 110의 S-RAT 연결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는 단말 110의 요구 대역폭, 지연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단말의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단말 110이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말 110의 S-RAT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단말의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단말 110이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말 110의 S-RAT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단말 110의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와 무선 자원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단말 110의 S-RAT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자원 정보는 마스터 기지국 100의 부하 정보, 인접한 세컨더리 기지국들 각각의 부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자원 정보는 단말 110과 마스터 기지국 100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 및 단말 10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2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단말 110의 S-RAT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통신부 100을 통해 단말 110으로 S-RAT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단말 110으로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을 결정하고, 통신부 510을 통해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S-RAT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 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단말 110의 통신요구사항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단말 110이 S-RAT 측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단말 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SRAT 연결 제어부 501은 단말 110으로부터 S-RAT 측정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측정 보고 메시지, 무선 자원 정보, 및 단말의 버퍼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110과 S-RAT의 연결 필요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버퍼 상태 정보는 단말 110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예: 큐 길이)와, 단말 110의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10의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는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T 연결 제어부 501는 단말 110에서 측정된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부하가 임계치보다 작고, 하향링크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와 상향링크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SRAT 연결 제어부 501는 단말 110에서 측정된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지만,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부하가 임계치보다 크고, 하향링크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와 상향링크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RAT 연결 제어부 501는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S-RAT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 110과 해당 세컨더리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S-RAT 연결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 510은 제어부 500의 제어에 따라 단말과의 통신 및 인접한 세컨더리 기지국들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 510은 M-RAT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 110과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510은 백홀을 통해 인접한 세컨더리 기지국들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 51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 5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510은 제어부 500의 제어에 따라 이벤트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S-RAT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 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51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보고메시지를 제어부 5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 520은 기지국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520은 단말 110의 S-RAT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 520은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을 저장할 수 있고,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520은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520은 하향링크 버퍼 상태 정보에 대한 임계치 및, 단말 110의 상향링크 버퍼 상태 정보에 대한 임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520은 세컨더리 기지국 102으로부터 수신된 세컨더리 기지국의 부하 정보, 및 마스터 기지국의 부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의 상세한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밀접하게 연관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혹은 기능 블록)만을 도시하였으며, 단말 및 마스터 기지국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모듈이라 할지라도, 실시 예와 직접 관련 없는 구성 요소들은 생략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110은 AP 600(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AP 600과 CP 620은 SoC(System on Chip)과 같은 하나의 통합된 칩(integrated chip)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oC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CP 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PU 및 GPU는 AP 600에 대응될 수 있다. AP 600은 단말의 전반적인 기능의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이고, CP 620은 단말의 통신을 담당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SW architecture) 관점에서, 안드로이드(Android), iOS, 리눅스(Linux), 또는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는 AP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AP 600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 601 내지 603,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 트래픽 검사부 611, 앱 관리부 612, 데이터베이스 613,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클라이언트 614, 네트워크 관리부 615, 스크린 관리부 616, 및 배터리 관리부 6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 610 내지 617은 AP 600에서 수행되는 기능적인 동작들을 고려하여 구분된 것으로서, 각 구성 요소들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AP 6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고,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을 통해 운영체제 상에서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요구사항을 확인한다. AP 600은 확인된 통신요구사항을 CP 620의 제어부 631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트래픽 검사부 611, 앱 관리부 612, 데이터베이스 613, ANDSF 클라이언트 614, 네트워크 관리부 615, 스크린 관리부 616, 및 배터리 관리부 617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통신요구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트래픽 검사부 611로 현재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예: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제공하고, 트래픽 검사부 611로부터 현재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스크린 관리부 616으로부터 단말의 스크린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크린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600은 단말의 스크린 방향이 세로(PORTRAIT)인 경우, 단말의 스크린 방향이 가로(LANDSCAPE) 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의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단말의 스크린 방향을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예: 안드로이드 OS의 패키지 네임)를 앱 관리부 612로 요청하고, 앱 관리부 612로부터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어플리케이션 고유 식별자를 키(Key)로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613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앱 관리부 612로부터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가 "com.samsung.radio"인 것을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 613으로부터 고유 식별자가 "com.samsung.radio"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요구사항이 192kbps 대역폭임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앱 관리부 612로부터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가 “com.samsung.milkvr”인 것을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 613으로부터 고유 식별자가 “com.samsung.milkvr”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요구사항이 32Mbps 대역폭임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ANDSF 클라이언트 614로부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책에 따른 IP 플로우별 RAT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관리부 615로부터 현재 활성화된 IP 플로우의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책에 따른 IP 플로우별 RAT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활성화된 IP 플로우의 RAT 정보를 확인한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는 현재 활성화된 IP 플로우의 RAT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현재 S-RAT 연결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업자 정책은 위치 및 시간에 따른 IP 플로우 별 RAT 정보를 나타내는 ISRP (Inter-System Routing Policy)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IP 플로우는 소스 IP 주소, 목적지 IP주소, 프로토콜 유형, 소스 포트번호, 목적지 포트번호 등의 조합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ANDSF 클라이언트 614에 현재 시간과 위치에서의 사업자 정책을 질의하고, ANDSF 클라이언트 614로부터 현재 시간과 현재 위치에서 각 IP 플로우에 대한 RAT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IP 플로우에 대한 RAT 우선순위는 현재 시간과 현재 위치에서 각각의 IP 플로우에 대한 선호 RAT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IP 플로우에 대한 RAT 우선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활성화된 IP 플로우에 대한 선호 RAT이 S-RAT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배터리 관리부 617로부터 배터리 레벨, 및 배터리 충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배터리 레벨은 배터리 잔량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배터리 레벨, 혹은 배터리 충전 여부를 기반으로 S-RAT 연결 필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배터리 레벨이 기준 레벨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S-RAT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다른 정보들(예: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 사업자 정책에 의한 IP 플로우의 선호 RAT 등)이 S-RAT 연결이 필요함을 나타내더라도 배터리 레벨이 임계 레벨 이하인 경우, 단말의 전원 관리를 위해 S-RAT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배터리 레벨이 기준 레벨 보다 큰 경우, 다른 정보들을 기반으로 S-RAT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배터리를 충전 중인 상태인 경우, 배터리 레벨에 관계없이 S-RAT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배터리를 충전 중인 상태인 경우, 다른 정보들을 기반으로 S-RAT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트래픽 검사부 611은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부터 현재 운영체제 상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트래픽을 모니터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트래픽 검사부 611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예: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종래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수신되는 사용자 트래픽을 모니터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 비디오 스트리밍 방식의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비디오 재생이 요청되면, AP 600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HTTP GET 메시지를 기반으로 비디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요청 메시지(예: Variant Playlist 파일 요청 메시지)를 비디오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P 600은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에 대한 정보 파일(예: Variant Playlist)을 포함하는 HTTP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비디오에 대한 정보 파일은 재생이 요청된 비디오의 화질 정보(예: 대역폭, 및 해상도 등)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AP 600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채널 상태에 대응되는 화질의 비디오 청크(Video Chunk)를 서버로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해당 화질의 비디오 청크를 수신한 후, 수신된 비디오 청크를 재생 처리한다. 여기서, AP 600은 요청하는 비디오 청크 번호, 및 화질 정보를 포함하는 HTTP GET 메시지를 비디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화질의 비디오 청크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AP 600의 트래픽 검사부 611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수신되는 트래픽을 모니터하여, 상기와 같은 HTTP 메시지들로부터 비디오의 화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검사부 6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TP 응답 메시지로부터 MPEG-DASH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 722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MPEG-DASH MPD 파일 722로부터 비디오의 최고 대역폭이 최고 대역폭이 6860000인 것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이 최대 6.86Mbps 임을 인지할 수 있다. 트래픽 검사부 611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트래픽을 모니터함으로써 획득되는 통신요구사항을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검사부 611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요구사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통신 요구사항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통신요구사항을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보고할 수 있다.
앱 관리부 61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작 여부를 감지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작이 감지될 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실행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앱 관리부 612는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부터 현재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를 요청받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현재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앱 관리부 612는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부터의 명시적인 요청 없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전면(foreground)에서 실행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613은 AP 60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와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6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 외부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613은 AP 600과 연결되는 별도의 메모리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613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통신요구사항을 질의하는 메시지를 통신요구 사항 관리부 610으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통신요구사항을 통신요구 사항 관리부 6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ANDSF 클라이언트 614는 ANDSF 서버(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사업자의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ANDSF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이 주변 액세스 네트워크를 탐색 및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사업자의 정책을 전달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예컨대, ANDSF 클라이언트는 위치 및 시간에 따른 IP 플로우의 RAT 정보를 나타내는 ISRP(Inter-System Routing Policy) 규칙을 ANDSF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부 615는 현재 활성화된 IP 플로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부 615는 활성화된 IP 플로우의 정보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 관리부 616은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부터 스크린 방향에 대한 정보가 요청될 경우, 단말의 스크린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스크린 방향 정보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관리부 616은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의 요청없이, 단말의 스크린 방향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 변경된 스크린 방향에 대한 정보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 617은 배터리 잔량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여부를 감지한다. 배터리 관리부 617은 은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배터리 잔량 및 배터리 충전 상태 여부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부 617은 배터리 레벨이 변경되거나, 혹은 배터리 충전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레벨 혹은 상태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CP 620은 M-RAT 통신모듈 630과 하나 이상의 S-RAT 통신모듈 640을 포함할 수 있다. CP 620은 AP 600으로부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요구사항을 획득하고, 획득된 통신요구사항을 기반으로 S-RAT 측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CP 620은 획득된 통신요구사항을 기반으로 S-RAT 통신모듈 6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M-RAT 통신모듈 630은 제어부 631 및 통신상태 관리부 632를 포함할 수 있다. M-RAT 통신모듈 630의 제어부 631은 마스터 기지국 100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 631은 AP 600의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로부터 획득되는 통신요구사항을 기반으로 S-RAT 통신 모듈 640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M-RAT 통신모듈 630의 통신상태 관리부 632는 제어부 631의 제어에 따라 S-RAT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 및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631는 획득된 통신요구사항이 S-RAT 연결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경우, S-RAT 통신 모듈 640이 온 상태로 동작해야 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통신상태 관리부 632로 제공하고, 통신상태 관리부 632는 S-RAT 통신모듈640이 온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상태 관리부 632는 S-RAT 통신모듈 640이 오프상태인 경우, S-RAT 통신모듈 640이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상태 관리부 632는 S-RAT 통신모듈 640이 온상태인 경우, S-RAT 통신모듈 640이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631은 획득된 통신요구사항이 S-RAT 연결이 필요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S-RAT 통신 모듈 640이 오프 상태로 동작해야 함을 지시하는 신호를 통신상태 관리부 632로 제공하고, 통신상태 관리부 632는 S-RAT 통신모듈640이 오프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상태 관리부 632는 S-RAT 통신모듈 640이 오프상태인 경우, S-RAT 통신모듈 640이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상태 관리부 632는 S-RAT 통신모듈 640이 온상태인 경우, S-RAT 통신모듈 640이 오프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631은 통신상태 관리부 632를 통해 S-RAT 통신모듈 640로부터 S-RAT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S-RAT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S-RAT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631은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수신된 측정 설정 메시지로부터 측정 보고에 대한 조건을 확인한다. 제어부 631은 S-RAT 측정 결과가 측정 보고 조건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RAT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S-RAT 측정 보고 메시지를 M-RAT 통신모듈 630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S-RAT 통신모듈 640은 M-RAT 통신모듈 630 내 제어부 631의 결정에 따라 온/오프된다. S-RAT 통신모듈 640은 온 상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S-RAT 통신모듈 640은 측정된 신호 수신 세기를 나타내는 S-RAT 측정 결과를 M-RAT 통신모듈 630으로 제공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CP 620의 하위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CP 6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문서에서 정의하는 CP 620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된 것이므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의한 동작이 CP 6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연하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 100의 M-RAT 통신 모듈 650은 단말 110의 M-RAT 통신모듈 630과 통신한다. M-RAT 통신 모듈 650의 제어부 652는 단말 110으로 S-RAT 측정을 요구하는 S-RAT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S-RAT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 110이 S-RAT 측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트리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트리거 조건은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조건일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652는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요구사항이 이벤트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통신요구사항이 이벤트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 110으로 S-RAT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652는 단말110으로부터 수신되는 S-RAT 측정 보고 메시지를 기반으로, 단말 110의 세컨더리 기지국 102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652는 마스터 기지국 100에서 단말 110으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버퍼의 상태, 단말 110의 상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버퍼의 상태, 및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셀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 110의 세컨더리 기지국 102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652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부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부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S-RAT 통신 모듈 660은 단말 110의 S-RAT 통신모듈 640과 통신한다. 세컨더리 기지국 102는 S-RAT 통신 모듈 660을 통해 주기적으로 기준 신호를 방송한다. 또한, 세컨더리 기지국 102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 부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는 예시들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상술한 도 6의 구성요소들을 기반으로, 단말 110이 통신요구 사항을 수집하는 구체적인 예시들을 설명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앱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110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인 밀크 VR 앱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앱 관리부 612는 실행된 특정 앱의 고유 식별자인 "com.samsung.milkvr"을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통지한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앱의 고유 식별자인“com.samsung.milkvr”에 대응되는 통신요구사항을 앱별 통신요구사항 데이터베이스 710에 질의함으로써, 상기 밀크 VR 앱의 요구대역폭이 32Mbps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앱별 통신요구사항 데이터베이스 710은 도 6의 데이터베이스 613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스크린 관리부 616으로부터 단말의 현재 스크린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크린 방향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스크린 방향이 세로인 상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HTTP 비디오 스트리밍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단말 110은 스크린 방향이 가로인 경우에 비해 낮은 비디오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스크린 방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앱의 고유 식별자와 함께 현재 스크린 방향에 대응되는 통신요구사항을 앱별 통신요구사항 데이터베이스 710에 질의함으로써, 현재 스크린 방향에서 현재 실행 중인 앱이 요구하는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앱의 속성 정보에 앱의 통신요구사항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앱별 통신요구사항 데이터베이스 710으로의 질의 없이, 앱 관리부 612로부터 현재 전면(foreground)에서 실행되는 앱의 통신요구사항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트래픽을 모니터하여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검사부 611은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수신되는 요청 신호 및/또는 응답 신호를 모니터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HTTP 비디오 스트리밍 방식의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비디오 재생이 요청되면, 단말 110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해 HTTP GET 메시지를 기반으로 비디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요청 메시지(예: Variant Playlist 파일 요청 메시지)를 비디오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에 대한 정보 파일(예: Variant Playlist)을 포함하는 HTTP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트래픽 검사부 611은 HTTP Response 메시지로부터 MPEG-DASH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 722을 획득할 수 있다. 트래픽 검사부 611은 MPEG-DASH MPD파일 722로부터 대역폭이 6800000이고 해상도가 1920×1080인 영상, 대역폭이 3200000이고 해상도가 1280×720인 영상, 및 대역폭이 1475000이고 해상도가 854×480인 영상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비디오의 최고 대역폭이 68600000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트래픽 검사부 611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이 최대 6.86Mbps 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보고할 수 있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이 6.86Mbps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스크린 관리부 616으로부터 단말의 현재 스크린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스크린 방향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스크린 방향이 세로인 상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HTTP 비디오 스트리밍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단말 110은 스크린 방향이 가로인 경우에 비해 낮은 비디오 해상도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스크린 방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이 6.86Mbps인 상태에서 현재 스크린 방향이 가로인 경우, 요구 대역폭이 6.86Mbps 임을 인지할 수 있다. 반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이 6.86Mbps인 상태에서 현재 스크린 방향이 세로인 경우, 요구 대역폭이 6.86Mbps 보다 임계치 만큼 낮은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7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사업자 정책을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네트워크 관리부 615로부터 현재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IP 플로우의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현재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현재 시간 및 위치 정보는 단말 내에 포함된 별도의 구성요소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현재 시간 및 위치에 대응되는 사업자 정책을 ANDSF 클라이언트 614로 질의한다. ANDSF 클라이언트 614는 ANDSF 서버 730으로부터 ISRP를 포함하는 사업자 정책 740을 미리 수신할 수 있으며, 미리 수신된 사업자 정책을 기반으로, 현재 시간 및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IP 플로우별 RAT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NDSF 클라이언트 614는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현재 시간 및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IP 플로우별 RAT 우선순위 정보를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IP 플로우별 RAT 우선순위 정보는 현재 시간 및 위치에서 각 IP 플로우가 선호하는 RAT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IP 플로우별 RAT 우선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활성화 상태에 있는 IP 플로우의 선호 RAT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610은 현재 활성화 상태에 있는 IP 플로우의 선호 RAT이 S-RAT인 경우, 통신요구사항으로 S-RAT에 대한 연결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현재 활성화 상태에 있는 IP 플로우의 선호 RAT이 M-RAT인 경우, 통신요구사항으로 S-RAT에 대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110의 CP 620은 802단계에서 AP 600으로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통신요구사항 전달을 위한 트리거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AP 600이 주기적으로 통신요구사항을 전달하도록 하거나, 통신요구사항이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될 시에 통신요구사항을 전달하도록 하는 트리거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S-RAT의 유형, S-RAT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요구 대역폭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앱 클래스, 혹은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앱 클래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10의 AP 600은 804단계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한다. 예컨대, AP 600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한다. AP 600은 실시 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트래픽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사업자 정책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 사항을 결정하거나,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P 600은 나열된 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806단계에서, 단말 110의 AP 600은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을 CP 620으로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S-RAT의 필요 여부를 참 혹은 거짓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단말 110의 요구 대역폭, 및 지연 시간 등과 같은 메트릭을 직접 명시할 수 있다. 또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단말 110의 요구 대역폭, 및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 클래스를 간접적으로 명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클래스는 해당 단말 11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대역폭의 레벨, 혹은 지연시간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CP 620은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을 816단계에서 마스터 기지국(MeNB) 100으로 전송한다. 이때, CP 620은 MRAT 통신모듈을 통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혹은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혹은 MAC CE (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기지국 100은 810단계에서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의 셀 부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세컨더리 기지국의 셀 부하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 100은 812단계에서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마스터 기지국의 셀 부하 정보, 세컨더리 기지국의 셀 부하 정보를 나타내는 무선 자원 관리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마스터 기지국 100은 814단계에서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의 수신을 대기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현재 마스터 기지국 100에 무선 연결된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810단계 내지 814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810단계 내지 814단계는 순차적 혹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818단계에서 단말의 통신요구사항 및 무선 자원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S-RAT 측정 필요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무선 자원 정보는 마스터 기지국 100의 부하 정보, 인접한 세컨더리 기지국들 각각의 부하 정보, 단말 110과 마스터 기지국 100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 및 단말 10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2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 정보가 S-RAT 필요 여부를 참으로 명시한 경우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 정보가 S-RAT 필요 여부를 거짓으로 명시한 경우,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 정보가 대역폭, 혹은 지연 시간 등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거나, 혹은 대역폭, 혹은 지연 시간에 대한 클래스를 나타내는 경우, 마스터 기지국 100은 M-RAT으로 해당 대역폭 혹은 지연 시간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M-RAT으로 해당 대역폭 혹은 지연 시간을 지원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RAT으로 해당 대역폭 혹은 지연 시간을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에 관계 없이, 마스터 기지국 10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부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마스터 기지국 100의 셀 부하가 임계치보다 높고,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셀 부하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마스터 기지국 100은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820단계에서 단말 110으로 S-RAT에 대한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측정 설정 메시지는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 110이 측정해야 할 S-RAT의 주파수, S-RAT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한 조건(예: 임계값), S-RAT에 대한 보고 주기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마스터 기지국 100이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 경우, 마스터 기지국 100은 무선 자원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단말 110의 통신요구사항을 수신하는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00으로부터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110은 S-RAT 통신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한다. 이후, 단말 110은 S-RAT을 지원하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기준 신호를 S-RAT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기준 신호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은 822단계에서 기준 신호에 대한 수신 세기를 나타내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측정 보고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824단계에서 측정 보고 메시지 및 단말의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 110의 S-RAT 연결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버퍼 상태 정보는 단말 110의 하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하향링크 버퍼 상태 정보(예: 큐 길이)와, 단말 110의 상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10의 상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버퍼 상태 정보는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에서 측정된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단말 110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량과 상향링크 데이터 량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에서 측정된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지만, 하향링크 데이터 량 및 상향링크 데이터 량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은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셀 부하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 110 및 세컨더리 기지국 102 중 적어도 하나로 S-RAT 연결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11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2는 826단계에서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지국 100은 900단계에서 단말 110으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측정 설정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으며, 단말 110이 측정해야 할 S-RAT의 주파수, S-RAT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한 조건(예: 임계값), 및 측정 결과에 대한 보고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 110의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 110이 S-RAT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만족해야 할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한 예로,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의 통신요구 사항이 20Mbps를 초과하는 경우에 S-RAT 측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이 "통신요구사항 > 20Mbps"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의 요구 대역폭 3레벨인 경우에 S-RAT 측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이 "통신요구사항 > 3(app class)"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110의 CP 620은 902단계에서 AP 600으로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통신요구사항 전달을 위한 트리거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AP 600이 주기적으로 통신요구사항을 전달하도록 하거나, 통신요구사항이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될 시에 통신요구사항을 전달하도록 하는 트리거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S-RAT의 유형, S-RAT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요구 대역폭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앱 클래스, 혹은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앱 클래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110의 AP 600은 904단계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한다. 예컨대, AP 600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한다. AP 600은 실시 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트래픽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사업자 정책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 사항을 결정하거나,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P 600은 나열된 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의 AP 600은 906단계에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을 CP 620으로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S-RAT의 필요 여부를 참 혹은 거짓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단말 110의 요구 대역폭, 및 지연 시간 등과 같은 메트릭을 직접 명시할 수 있다. 또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단말 110의 요구 대역폭, 및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 클래스를 간접적으로 명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클래스는 해당 단말 11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대역폭의 레벨, 혹은 지연 시간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908단계에서, CP 620은 AP 600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 및 이벤트 트리거 조건을 기반으로 S-RAT 측정 필요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CP 620은 AP 6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수신된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AP 6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수신된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CP 620은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함을 결정할 수 있다. 반면, AP 6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사항이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수신된 S-RAT 측정 이벤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CP 620은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만일, 단말 110의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단말 110의 CP 620은 S-RAT 통신모듈을 온 상태로 변경한다. 이후, 단말 110의 CP 620은 S-RAT을 지원하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기준 신호를 S-RAT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기준 신호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의 CP 620은 910단계에서 기준 신호에 대한 수신 세기를 나타내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측정 보고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마스터 기지국 100은 9200단계에서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부터 세컨더리 기지국의 셀 부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세컨더리 기지국의 셀 부하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 100은 922단계에서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마스터 기지국의 셀 부하 정보, 세컨더리 기지국의 셀 부하 정보를 나타내는 무선 자원 관리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마스터 기지국 100은 924단계에서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의 수신을 대기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현재 마스터 기지국 100에 무선 연결된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920단계 내지 924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920단계 내지 924단계는 순차적 혹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926단계에서 단말의 측정 보고 메시지, 무선 자원 관리 정보. 및 단말의 버퍼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S-RAT 연결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의 버퍼 상태 정보는 단말 110의 하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하향링크 버퍼 상태 정보(예: 큐 길이)와, 단말 110의 상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상향링크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10의 상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버퍼 상태 정보는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에서 측정된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셀 부하가 임계부하보다 작은 경우,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스터 기지국 100은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셀 부하가 임계 부하보다 작고, 마스터 기지국 100의 셀 부하가 임계 부하보다 큰 경우, 마스터 기지국 100의 셀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에서 측정된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단말 110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량과 상향링크 데이터 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에서 측정된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신호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지만, 하향링크 데이터 량 및 상향링크 데이터 량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 110과 S-RAT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 110 및 세컨더리 기지국 102 중 적어도 하나로 S-RAT 연결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110과 세컨더리 기지국 102는 928단계에서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세컨더리 기지국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110의 CP 620 내 제어부 631은 1000단계에서 AP 600으로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통신요구사항 전달을 위한 트리거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AP 600이 주기적으로 통신요구사항을 전달하도록 하거나, 통신요구사항이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될 시에 통신요구사항을 전달하도록 하는 트리거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 요청 메시지는 S-RAT의 유형, S-RAT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요구 대역폭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앱 클래스, 혹은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앱 클래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CP 620의 제어부 631은 1002단계에서 AP 600으로부터 통신요구사항이 수신되기를 대기한다.
단말 110의 AP 600은 1004단계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한다. 예컨대, AP 600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한다. AP 600은 실시 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트래픽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사업자 정책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 사항을 결정하거나,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P 600은 나열된 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의 AP 600은 106단계에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을 CP 620으로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S-RAT의 필요 여부를 참 혹은 거짓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단말 110의 요구 대역폭, 및 지연 시간 등과 같은 메트릭을 직접 명시할 수 있다. 또한, AP에서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은 단말 110의 요구 대역폭, 및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 클래스를 간접적으로 명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클래스는 해당 단말 11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대역폭의 레벨, 혹은 지연 시간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CP 620의 제어부 631은 1006단계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고, 1008단계에서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부터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측정 설정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 110이 측정해야 할 S-RAT의 주파수, S-RAT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한 조건(예: 임계값), 측정 결과에 대한 보고 주기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P 620의 제어부 631은 1010단계에서 M-RAT 통신상태 관리부 632로부터 M-RAT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M-RAT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M-RAT의 처리율(throughput), M-RAT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P 620의 제어부 631은 1012단계에서 통신요구사항 및 M-RAT 통신 상태를 기반으로 S-RAT 측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CP 620의 제어부 631은 MRAT 통신상태 관리부 632로부터 획득된 M-RAT 통신상태가 AP 600으로부터 전달받은 통신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S-RAT 측정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631은 M-RAT의 처리율이 20Mbps이고 통신요구사항이 32 Mbps인 경우, M-RAT의 처리율이 통신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제어부 631은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 631은 M-RAT의 신호세기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통신요구사항에 관계없이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M-RAT의 신호세기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단말 110이 마스터 기지국 100의 셀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제어부 631은 S-RAT 측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1014단계에서 S-RAT 측정을 요청하는 신호를 S-RAT 통신모듈 64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S-RAT 통신 모듈 640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고, 1016단계에서 S-RAT을 지원하는 세컨더리 기지국 102로부터 방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S-RAT 통신모듈 640은 수신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1018단계에서 측정된 기준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S-RAT 측정 결과를 제어부 631로 전달한다. 여기서, S-RAT 통신모듈 640의 S-RAT 측정 동작은 제어부 631로부터 별도의 지시가 없는 경우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T 통신모듈 640은 제어부 631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T 통신모듈 640은 M-RAT 통신상태가 AP 600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통신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 631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 631은 1020단계에서 S-RAT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631은 측정된 S-RAT 기준 신호의 세기가 S-RAT 측정 보고를 위한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S-RAT 측정 보고를 수행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측정된 S-RAT 기준 신호의 세기가 S-RAT 측정 보고를 위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S-RAT 측정 보고를 수행함을 결정할 수 있다. S-RAT 측정 보고를 수행함이 결정된 경우, 제어부 631은 1022단계에서 마스터 기지국 100으로 S-RAT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보고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는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AP 600은 CP 620의 제어부 631로부터 1100단계에서 통신요구 사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AP 600은 통신요구사항 관리부를 중심으로 AP 600 내에 포함된 여러 구성요소들과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600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트래픽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거나, 사업자 정책으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 사항을 결정하거나,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AP 600은 나열된 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라 AP 600의 통신요구사항 관리부는 1110단계에서 앱 식별자를 획득하고, 1112단계에서 앱 식별자를 기반으로 앱의 통신요구사항을 조회한다. 또한, AP 600의 통신요구사항 관리부는 1114단계에서 스크린 관리부를 통해 스크린 방향을 획득하고, 1130단계에서 앱의 통신요구사항 및 스크린 방향을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AP 600의 통신요구사항 관리부는 1116단계에서 트래픽을 모니터하여 통신요구사항을 수집하고 1118단계에서 스크린 방향을 수집하고, 1130단계에서 수집된 통신요구사항 및 스크린 방향을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AP 600의 통신요구사항 관리부는 1120단계에서 사업자 정책을 획득하고, 1122단계에서 활성화된 플로우를 조회한 후, 1130단계에서 사업자 정책 및 활성화된 플로우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AP 600의 통신요구사항 관리부는 1124단계에서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충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1130단계에서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충전 여부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AP 600은 결정된 통신요구사항을 1140단계에서 CP 620의 제어부 63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의 단계들은 실시 예에 따라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사항 결정을 위한 각 정보를 수집하는 데 있어서, AP 600 내 구성요소들 간의 메시지 및/혹은 신호 교환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설계 방식에 따라 600 내 구성요소들 간의 메시지 및/혹은 신호 교환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은 마스터 기지국 100이 단말 110의 S-RAT 연결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 예에 대한 간략한 동작 절차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여기서, 마스터 기지국은 제1 RAT을 지원하며, 단말과 제1 RAT을 통해 무선 연결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지국 100은 1210단계에서 단말로부터 단말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 통신요구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단말 110에서 요구되는 대역폭, 혹은 요구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요구사항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단말 110이 S-RAT 연결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신요구사항을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1220단계에서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신요구 정보, 마스터 기지국 100의 셀 부하 정보, 및 세컨더리 기지국 102의 셀 부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기반으로, 단말이 제2 RAT을 통해 세컨더리 기지국 102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 110이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된 경우, 마스터 기지국 100은 1230단계에서 단말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 110이 측정해야 할 S-RAT의 주파수, S-RAT 측정 보고 기준(예: 신호 수신 세기에 대한 임계값) 정보, S-RAT 측정 보고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기지국 10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절차를 종료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 110은 1310단계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통신요구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예: 고유 식별자)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통신요구 정보를 결정하나, 트래픽을 모니터하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통신요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10은 사업자 정책으로부터 현재 활성화된 IP 플로우에 따른 선호 RAT 정보를 통신요구 정보로써 결정할 수 있고,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10은 나열된 통신요구 정보 결정 방법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은 1320단계에서 단말의 통신요구 정보를 제1 RAT을 통해 연결된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제1 RAT을 통해 미리 무선 연결된 마스터 기지국 100일 수 있다. 또한, 통신요구 정보는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혹은 MAC CE (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단말 110은 1330단계에서 제1 기지국으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단말의 통신요구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단말 110이 측정해야 할 S-RAT의 주파수, S-RAT 측정 보고 기준(예: 신호 수신 세기에 대한 임계값) 정보, S-RAT 측정 보고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 110은 1340단계에서 수신된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제2 RAT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2 RAT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RAT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후 단말 110은 온 상태의 제2 RAT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RAT에 대한 측정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2 RAT의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 110은 제2 RAT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제2 RAT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말 1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절차를 종료한다.
이하 도 14 및 도 15는 단말 110이 S-RAT 연결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 예에 대한 간략한 동작 절차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 110은 1410단계에서 제1 RAT을 통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을 포함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은 단말 110이 제2RAT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만족해야 할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으며, 단말 110이 측정해야 할 S-RAT의 주파수, S-RAT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한 조건(예: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임계값), 및 측정 결과에 대한 보고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은 단말 100과 제1 RAT을 통해 무선 연결된 마스터 기지국일 수 있다.
단말 110은 1420단계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통신 요구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예: 고유 식별자)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통신요구 정보를 결정하나, 트래픽을 모니터하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통신요구사항을 나타내는 통신요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10은 사업자 정책으로부터 현재 활성화된 IP 플로우에 따른 선호 RAT 정보를 통신요구 정보로써 결정할 수 있고,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요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110은 나열된 통신요구 정보 결정 방법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은 1430단계에서 단말의 통신요구 정보를 기반으로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통신요구 정보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 110은 통신요구 정보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 단말은 통신요구 정보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은 제2 RAT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1440단계에서 제2 RAT의 신호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제2 RAT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RAT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킨 후, 제2 RAT의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 110은 제2 RAT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제2 RAT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말 1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절차를 종료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지국 100은 1510단계에서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을 포함하는 측정 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은 단말 110이 제2RAT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만족해야 할 통신요구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한다. 또한, 측정 설정 메시지는 RRC 메시지일 수 있으며, 단말 110이 측정해야 할 S-RAT의 주파수, S-RAT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한 조건(예: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임계값), 및 측정 결과에 대한 보고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기지국은 단말 100과 제1 RAT을 통해 무선 연결된 기지국일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00은 1520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제2 RAT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2 RAT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는 단말 110의 통신요구 정보가 제2 RAT에 대한 측정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 있다. 이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스터 기지국 100은 단말 110의 제2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110의 제2 연결 여부는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제2 RAT에 대한 측정 보고 메시지, 마스터 기지국 100의 셀 부하 정보, 제2 RAT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셀 부하 정보, 및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버퍼 상태 정보 등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기지국 10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절차를 종료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통신 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 110에서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0이 실행되었다가 종료된 후,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1이 실행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1602는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0이 실행되는 시점에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1620)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한 후, 결정된 통신요구사항(1630)을 MRAT 통신모듈 1610으로 제공한다. 또한, 통신요구사항 관리부 1602는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1이 실행되는 시점에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1621)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신요구사항을 결정한 후, 결정된 통신요구사항(1631)을 MRAT 통신모듈 1610으로 제공한다
MRAT 통신 모듈 1610은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0의 실행에 따른 통신요구사항(1630)을 기반으로 SRAT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SRAT 통신모듈 1611을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반면,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1의 실행에 따른 통신요구사항(1631)을 기반으로 SRAT 연결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SRAT 통신모듈 611을 온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내부제어메시지(1640)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SRAT 통신모듈 611은 온 상태로 전환되어 S-RAT에 대한 신호를 수신 및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RAT 통신 모듈은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0이 실행될 시에는 오프 상태로 동작하고,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1이 실행될 시에 온 상태로 동작함으로써, SRAT 연결 및/혹은 측정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SRAT 통신모듈이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은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앱 1600이 실행될 시에 SRAT 통신 모듈이 온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종래 기술의 단말에 비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자 장치가 본 개시의 방법을 실시하게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휘발성(volatile) 또는 (ROM: Read Only Memory)과 같은 불휘발성(non-volatile) 저장장치의 형태로,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칩(memory chips), 장치 또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s)와 같은 메모리의 형태로, 또는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또는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장치 및 저장 미디어는, 실행될 때 일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그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절한 기계-판독 가능 저장 수단의 실시 예들이다.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청구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그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나아가, 그러한 프로그램들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어떠한 매체에 의해 전자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은 동등한 것을 적절히 포함한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RAT(random access technology)에 의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임계 값을 포함하는 제2 RAT에 대한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RAT의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의 결과와 관련된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RAT의 주파수 대역들은 상기 제1 RAT에서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요구 대역폭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지원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는 참 또는 거짓을 나타내는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RAT이 필요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지연 시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 레벨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지연 시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단말의 화면 방향, 상기 단말의 송수신 트래픽(traffic), 사업자 정책에 기반하는 선호 RAT 정보 또는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RAT의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RAT에 대한 송수신기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2 RAT을 지원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강도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제2 RAT에 대한 측정 이벤트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서 충족되어야 하는 통신 요구 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요구 사항에 대한 조건은 상기 단말의 요구 대역폭에 대한 조건, 상기 단말의 요구 지연 시간에 대한 조건, 상기 단말의 요구 대역폭 레벨 또는 상기 단말의 요구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수신되는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최대 대역폭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화면 방향이 세로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화면 방향이 세로인 경우, 상기 최대 대역폭의 값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값을 감소 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요구 대역폭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화면 방향이 세로가 아닌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요구 대역폭을 상기 최대 대역폭으로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결정된 요구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서비스 요구 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결정하는 과정;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RAT에 대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음을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RAT에 대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제2 RAT에 대한 송수신기를 오프(off)로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을 포함하고,
    제2 RAT에 대한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는 임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의 결과와 관련된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RAT의 주파수 대역들은 상기 제1 RAT에서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요구 대역폭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지원되고,
    상기 제2 RAT의 신호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보다 크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측정되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는 참 또는 거짓을 나타내는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RAT이 필요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지연 시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 레벨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지연 시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RAT을 지원하는 상기 기지국의 로드(load) 정보, 상기 제2 RAT을 지원하는 다른 기지국의 로드 정보, 상기 제1 RAT을 지원하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채널 상태 또는 상기 제2 RAT을 지원하는 상기 다른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채널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2 RAT을 통해 상기 다른 기지국과 연결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RAT에 대한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측정 보고에 기반하여 상기 제2 RAT을 지원하는 다른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다른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연결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보고, 상기 단말의 상향 링크 데이터의 양 또는 상기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의 양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RAT을 지원하는 상기 다른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RAT에 대한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RAT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제2 RAT에 대한 측정 이벤트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서 충족되어야 하는 통신 요구 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는 기지국.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화면 방향이 세로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최대 대역폭의 값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값을 감소시켜 결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요구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화면 방향이 세로가 아닌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최대 대역폭과 동일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요구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상기 최대 대역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수신 된 트래픽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기지국.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의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임계 값을 포함하는 제2 RAT에 대한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RAT의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의 결과와 관련된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RAT의 주파수 대역들은 상기 제1 RAT에서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요구 대역폭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지원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는 참 또는 거짓을 나타내는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RAT이 필요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지연 시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대역폭 레벨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지연 시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단말의 화면 방향, 상기 단말의 송수신 트래픽(traffic), 사업자 정책에 기반하는 선호 RAT 정보 또는 배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1 RAT을 지원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RAT을 지원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RAT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RAT을 지원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강도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제2 RAT에 대한 측정 이벤트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서 충족되어야 하는 통신 요구 사항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요구 사항에 대한 조건은 상기 단말의 요구 대역폭에 대한 조건, 상기 단말의 요구 지연 시간에 대한 조건, 상기 단말의 요구 대역폭 레벨 또는 상기 단말의 요구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수신되는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최대 대역폭을 획득하고,
    상기 단말의 화면 방향이 세로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화면 방향이 세로인 경우, 상기 최대 대역폭의 값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값을 감소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요구 대역폭을 결정하고,
    상기 화면 방향이 세로가 아닌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요구 대역폭을 상기 최대 대역폭으로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결정된 요구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서비스 요구 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결정하고,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RAT에 대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음을 식별하고,
    상기 제2 RAT에 대한 연결이 필요하지 않음을 식별한 경우, 상기 제2 RAT에 대한 송수신기를 오프(off)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50176098A 2015-12-10 2015-1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44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098A KR102443505B1 (ko) 2015-12-10 2015-1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US15/371,854 US10524149B2 (en) 2015-12-10 2016-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098A KR102443505B1 (ko) 2015-12-10 2015-1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976A KR20170068976A (ko) 2017-06-20
KR102443505B1 true KR102443505B1 (ko) 2022-09-15

Family

ID=5902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098A Active KR102443505B1 (ko) 2015-12-10 2015-1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24149B2 (ko)
KR (1) KR10244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558B2 (en) * 2015-05-22 2021-11-16 Parallel Wireless, Inc. Wireless backhaul resiliency
GB2548905B (en) * 2016-04-01 2021-07-28 Tcl Communication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AN-WLAN aggregation
WO2018084759A1 (en) * 2016-11-04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abling efficient handling of redundant packet cop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35878A1 (en) 2016-11-04 2019-09-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duplication transmission
KR20180062979A (ko) * 2016-11-05 2018-06-11 애플 인크. 비대칭 대역폭 지원 및 동적 대역폭 조정
CN110603864B (zh) * 2017-05-02 2022-04-29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10945250B2 (en) 2017-06-23 202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419642B1 (ko) * 2017-06-23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무선 통신 방법
WO2019027233A1 (ko) * 2017-07-31 2019-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ue가 rat 변경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703414B1 (en) * 2017-11-09 2022-04-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onfiguration by a lte network device of a measurement gap for a terminal device upon request by a nr network device
US10548177B2 (en) * 2018-04-17 2020-01-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Bearer activation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dual connectivity scenarios
CN112369071B (zh) * 2018-08-29 2022-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Ui显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2369073B (zh) * 2018-08-29 2023-10-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Ui显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1031572B (zh) * 2018-10-09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200073811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P3952415A1 (en) * 2019-03-29 2022-02-09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measurement method
JP7398874B2 (ja) 2019-04-11 202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並びにその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01983B1 (en) * 2021-03-17 2024-02-13 T-Mobile Innovations Llc Selectively assigning uplink transmission layers
US12212436B2 (en) * 2021-06-23 2025-01-28 Intel Corporation Dynamic network adaptor selection in computing devices
KR20230145875A (ko) * 2022-04-11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행하는 서비스에 기반하여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7863A1 (en) 2011-03-04 2013-1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Data in Radio Access System Support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JP2014506418A (ja) 2011-01-13 2014-03-13 モトローラ モビリティ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端末における相互変調歪みの低減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3063A4 (en) * 2004-11-19 2009-08-12 Stevens Inst Technology END UNIT WITH MULTI-ACCESS AND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 CONNECTIVITY TO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US8423013B2 (en) 2010-05-17 2013-04-16 Motorola Mobility Llc Minimizing measurements during carrier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26151B2 (en) * 2010-06-25 2014-01-07 At&T Mobility Ii Llc Proactive latency-based end-to-end technology survey and fallback for mobile telephony
JP2014521267A (ja) * 2011-07-12 2014-08-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ratアクセスモード動作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885752B2 (en) * 2012-07-27 2014-11-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in 3D MIMO wireless systems
PL2921007T3 (pl) * 2012-11-13 2020-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osób i urządzenie do uruchamiania specjalnego trybu pracy dla terminali pracujących w bardzo długim zakresie
US9198098B2 (en) * 2012-11-27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IRAT) measurement to improve user equipment (UE) battery performance
WO2014088659A1 (en) * 2012-12-06 2014-06-12 Intel Corporation New carrier type (nct) information embedded in synchronization signal
US20160277974A1 (en) * 2013-03-20 2016-09-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Terminals with Respect to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WO2014163549A1 (en) * 2013-04-03 2014-10-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control of terminals with respect to multiple radio access networks
US9907006B2 (en) * 2013-06-03 2018-02-2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ross radio access technology access with handoff and interference management us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data
US9374738B2 (en) * 2014-07-31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IRAT) cell reselection
WO2016021880A1 (ko) * 2014-08-04 2016-02-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13046B2 (en) * 2015-01-28 2017-07-18 Mediatek Inc. RAN assistance parameter reporting for LTE-WLAN interworking control and management
WO2016126189A1 (en) * 2015-02-02 2016-08-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search for d2d enabled ues in out of network coverage
US11582669B2 (en) * 2015-02-05 2023-02-14 Apple Inc. Performing handover between short-range and cellular wireless networks
CN107852626B (zh) * 2015-08-12 2021-08-27 Lg电子株式会社 用于终端执行wlan测量的方法和装置
CA3008225A1 (en) * 2015-12-14 2016-1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justment of planned movement based on radio network cond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418A (ja) 2011-01-13 2014-03-13 モトローラ モビリティ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端末における相互変調歪みの低減
US20130337863A1 (en) 2011-03-04 2013-1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Data in Radio Access System Support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2 Meeting #91bis, R2-154332, 2015.09.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976A (ko) 2017-06-20
US10524149B2 (en) 2019-12-31
US20170171771A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5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장치 및 방법
US12101641B2 (en) Asymmetric dynamic spectrum sharing
US1100631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284290B2 (e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base station, gateway device, control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264968B2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with carrier aggregation
JP7219817B2 (ja) 通信技術選択の方法および装置
US10499254B2 (en) Frequency spectrum coordination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636251B (zh) 用于多无线电接入技术环境中终端测量配置的方法和装置
JP2020535692A (ja) スライス可用性に基づく周波数又は無線アクセス技術(rat)選択
US116656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initiated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file changes
CN103874073B (zh) 一种通信系统的载波选择方法、基站和终端设备
WO2016184217A1 (zh) 异频测量间隙配置方法、系统、基站、终端和存储介质
EP4173350A1 (en) Enhanced network control over quality-of-experience (qoe) measurement reports by user equipment
CN104703241B (zh) 一种小区切换方法及装置
US20220408352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940956B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0701566B1 (en)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network response
KR102053766B1 (ko) 중첩된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향상하기 위한 복수개 셀 선택 및 데이터 분산 전송 방법
JP7133024B2 (ja) 無線デバイスからネットワークへデータ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22141864A (ja) 通信制御方法
CN104703220A (zh) 一种业务请求方法及装置
US12250623B2 (en) On demand system information block request over SRB3
US11019617B1 (en) 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deployment modes
CN104703202A (zh) 一种数据获取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