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076B1 - 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3076B1 KR102443076B1 KR1020170127322A KR20170127322A KR102443076B1 KR 102443076 B1 KR102443076 B1 KR 102443076B1 KR 1020170127322 A KR1020170127322 A KR 1020170127322A KR 20170127322 A KR20170127322 A KR 20170127322A KR 102443076 B1 KR102443076 B1 KR 102443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 short
- electronic control
- control devic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간단한 저항소자를 이용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접지부의 단락 상태를 확인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 및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는, 전원과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ECU)에 제1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1접지부;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2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2접지부;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연결하는 단락저항; 및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by checking a short-circuit state of the ground por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using a simple resistance element.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ground uni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first current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second ground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second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second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 short circuit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ground part and the second ground par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or.
Description
게시된 발명은 전자 제어 장치 및 전자 제어 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관한 것으로써, 전자제어장치의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ublished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to a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전자제어장치(Electrical Control Unit)는 차량 내의 각종 전기 신호를 기초로 차량에 구비된 여러 구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이다.An electronic control unit is a processor that controls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a vehicle based on various electrical signals within the vehicle.
밸브 및 모터를 구동 하는 전자제어장치 의 경우, 배선 및 커넥터의 전류 용량 및 구동장치의 노이즈 유입 방지를 위해 두 개의 전류공급부와 두 개의 접지부를 사용한다. In the case of electronic control devices that drive valves and motors, two current supply parts and two ground parts are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current capacity of wiring and connectors and noise from the driving device.
한편, 두 개의 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 한 경우, 접지부 각각에 구비된 배선 및 커넥터의 저항에 의하여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rror occurs in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two grounding units, a voltage drop occurs due to the resistance of wires and connectors provided in each of the grounding units.
또한, 이 경우, 전자제어장치에 공급되는 전류가 하나의 전류공급부에 집중되어 전자제어장치의 가용 전류의 크기를 초과하여 전자제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is case, the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concentrated in one current supply unit, so that the size of the available current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exceeded, so that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annot operate normal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제어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의 오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접지부의 단락 상태를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on detecting a malfunction of a circuit constitut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continued, but research on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a short-circuit state of the ground part is insufficient.
게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간단한 저항소자를 이용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접지부의 단락 상태를 확인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 및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by checking a short-circuit state of the ground por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using a simple resistance ele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는, 전원과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ECU)에 제1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1접지부;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2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2접지부;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ground uni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first current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second ground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second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second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연결하는 단락저항; 및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hort circuit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ground part and the second ground par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btains a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 circuit resistor, compares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with magnitudes of the diagnostic current, and compares magnitudes of the diagnostic currents with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parts. At least one short circuit can be determi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또는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락 상태인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 circuit resistor,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or the second current and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and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may be determined to be in a short circuit stat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 사이에 단락 전압을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configured to obtain a short-circuit voltage between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락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전류를 계산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diagnosis current based on the short-circuit volt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magnitudes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to predetermined valu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warning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은, 전원과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ECU)에 제1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2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1전류가 흐르는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전류가 흐르는 제2접지부를 연결하는 단락저항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current is suppli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by being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second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by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first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a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a short circuit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grounding part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through which the second current flows includes doing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may include obtaining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and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nd the diagnosis. I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ed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또는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may include obtaining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and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or the second current and the diagnosis.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nd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determining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in a short-circuit state.
상기 제1접지부는,제1저항과 연결되고,The first ground portion is connected to a first resistor,
상기 제2접지부는,제2저항과 연결되고,The second ground portion is connected to a second resistor,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저항, 상기 제2저항,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전류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 unit and the second ground unit is shorted may include calculating the diagnosis current based on the first resistance, the second resistance,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 사이에 단락 전압을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obtaining a short-circuit voltage between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락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전류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may include calculating the diagnosis current based on the short-circuit voltag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방법은,A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ducing the magnitudes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to predetermined valu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circuit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제어방법은,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1전류 및 제2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전자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1전류 및 제2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의 적어도 한 부분이 단락 상태인 경우, 상기 출력부에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에 제1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1접지부;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2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2접지부;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연결하는 단락저항; 및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curren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ng state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driven by receiving a first current and a second 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an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at is driven by receiving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and outputs a warning message to the output unit when at least one part of a circuit constituting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in a short circuit state. and a first grounding part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supplying a first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 second ground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second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second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 short circuit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ground part and the second ground par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장치 및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은, 간단한 저항소자를 이용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접지부의 단락 상태를 확인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오작동을 방지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a malfunc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an be prevented by checking a short circuit state of the ground portion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using a simple resistance elemen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의 외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ternal view of the fro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output of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content that overlaps between the embodiments is omitted. The term 'par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block'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for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to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ha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의 외관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고하면,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2),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3, 14)를 포함한다. 차체(2)는 후드(3), 프런트 휀더(4), 도어(5), 트렁크 리드(6), 및 쿼터 패널(7)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또한, 차체(2)의 외부에는 차체(2)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8),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윈도(9), 도어(5)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 및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 12), 및 차체(2)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10)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차륜(13, 14)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3),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4)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미 도시)는 차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3) 또는 후륜(14)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The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도이다.2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고하면, 차량(1)의 내부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20)와, 대시 보드(33)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30)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31)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페시아(3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interior of the
한편, 센터 콘솔(37)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37)은 운전석(21)과 조수석(22)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38)와 트레이(40)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Meanwhile, the
시트(20)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21), 동승자가 앉는 보조석(22),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The seat 20 includes a driver's
클러스터(30)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30)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The
센터페시아(35)는 대시 보드(33) 중에서 운전석(21)과 보조석(2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센터페시아(3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center fascia 35 is a portion of the
차량(1)의 내부에는 AVN 장치(Audio Video Navigation ,121)가 마련될 수 있다. AVN 장치(121)는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An AVN device (Audio Video Navigation, 1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AVN 장치(121)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The
한편, 디스플레이(120)는 대시 보드(33)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35)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Meanwhile, the
센터 콘솔(37)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39)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입력부(39)는 AVN 장치(121)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블럭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전원(200), 전자제어장치(100) 및 출력부(300)를 포함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전원(200)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차량을 구성하는 요소에 전기에너지를 공급 할 수 있다. 전원(200)은 전자제어장치(100)에 전류를 공급 할 수 있다. 전원(200)은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전자제어장치(100)에 전원(200)을 공급 할 수 있지만 도3에서는 제1전류단자(101)와 제2전류단자(102)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 할 수 있다. The
전자제어장치(100) 는 제어부(106), 센서부(105) 및 단락저항(104)으로 구성 될 수 있다. 도3에 나타난 제1전류단자(101), 제2전류단자(102),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는 전자제어장치(100)를 구성하는 회로의 적어도 한 부분을 지칭 하기 위한 것이다.The
전원(200)으로부터 발생한 전류는 제1전류단자(101)를 통하여 전자제어장치(100)에 공급 될 수 도 있고, 제2전류단자(102)를 통하여 전자제어장치(100)에 공급 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100)는 제1전류단자(10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회로와 제2 전류단자(102)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회로(103)를 구비 할 수 있으며, 회로(103)는 제1전류단자(101)에 대응되는 제1접지부(401)와 제2전류단자(102)에 대응되는 제2접지부(402)를 구비 할 수 있다.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구체적으로, 제1전류단자(101)를 통하여 공급된 제1전류는, 제1전류단자(101)와 연결된 회로(103)를 구동 시키고, 제1접지부(401)로 흐를 수 있으며, 제2 전류 단자를 통하여 공급된 제2 전류는 제2전류단자(102)와 연결된 회로(103)를 구동 시키고 제2접지부(402)로 흐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first
센서부(105)는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 사이의 전압인 단락 전압의 크기를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5)는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사이에 구비된 단락저항(104)의 전압을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05)는 연산 증폭기(OP-amp)를 구비 할 수 있으며,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 사이의 전압을 증폭시켜 단락 전압의 값을 획득 할 수 있다.The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는 각각 제1전류단자(101) 및 제2전류단자(102)로부터 공급된 제1전류와 제2전류가 흐르는 접지부이다.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는 전자제어장치(100)가 구비된 기판에 연결 되어 접지(Ground)를 형성하여 전압의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는 배선으로 인한 배선 저항 성분과 기판의 커넥터에 의한 저항 성분을 포함 할 수 있다. The
단락저항(104)은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 사이에 구비 될 수 있다. 단락저항(104)은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 사이의 단락 전압을 도출 하기 위하여 구비 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락 전압을 기초로 단락 전류를 도출하는데 이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단락저항(104)은 1mΩ이하의 저항으로 구비 될 수 있다. The
제어부(106)는 단락저항(104)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접지부(401) 또는 제2접지부(402)의 단락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6 may determine whether the
진단 전류는 상술한 단락저항(104)에 흐르는 전류로서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의 단락 상태를 판단 할 수 있는 전류이다. 진단 전류는 제어부(106)가 전자제어장치(100)에 구비된 저항 값으로 도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전술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부(105)가 획득한 단락 전압과 단락저항(104)의 값에 기초하여 진단 전류를 도출 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상태를 판단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6)는 진단 전류의 크기와 제1전류 또는 제2전류의 크기의 차이를 도출 할 수 있으며 차이가 사용자가 미리 결정한 값 이하인 경우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류단자(101)를 통하여 1A의 전류가 공급되고 제2전류단자(102)를 통하여 1A의 전류가 흐르는 것이 정상적인 동작이고, 제1전류단자(101)와 연결된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된 경우, 제2전류단자(102)를 통하여 2A가 흐를 수 있다. 정상적인 경우 제2전류단자(102)와 연결된 회로는 1A의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가 되었으므로, 제2전류단자(102)와 연결된 회로에 2A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2전류단자(102)와 연결된 회로에 너무 많은 전류가 흘러 전류제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어렵다.The diagnostic current i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short-
한편, 제어부(106)가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경고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자제어장치(100)는 형성된 경고신호를 기초로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300)에 경고신호를 출력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또한, 이 경우 제어부(106)는 전원(200)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류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접지부(401)가 단락되어 제2전류단자(102)와 연결된 회로에 2A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어부(106)는 제2전류단자(102)와 연결된 회로에 1A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 할 수도 있다. 제어부(106)가 제1전류단자(101) 및 제2전류단자(102)에 연결된 전류의 양을 조절 하는 것은 전류분배법칙을 이용하는 등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lso,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6 may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한편, 차량은 출력부(30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출력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100)를 구성하는 회로 동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0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구현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 할 수 있는 스피커로 구현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자제어장치(100)의 오작동을 감지 할 수 있는 수단이면, 그 종류와 구현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illustrated in FIG. 3 .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mutual positions of the components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system.
한편, 도 3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Meanwhile, each component shown in FIG. 3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and/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제어장치(100)의 회로도이다.4 is a circuit diagram of an
도4를 참고하면, 도4는 전자제어장치(100)와 전원(200)의 일부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전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경로를 통하여 전자제어장치(100)에 전류를 공급 할 수 있다. 전원(200)과 전자제어장치(100)는 전선으로 연결 될 수 있으며 전선은 저항 성분을 갖을 수 있다. 도4에서는 제1전류 단자(101)와 연결된 전선의 저항을 Rb1로 표시하였고, 제2전류 단자(102)와 연결된 전선의 저항을 Rb2로 표시하였다. Rb1과 Rb2는 전선으로 생긴 저항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도4에서는 전자제어장치(100)의 제1전류 단자(101)와 제2전류단자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각각 I1과 I2로 표현 하였다. Referring to FIG. 4 , FIG. 4 shows some circuits of the
한편, 전자제어장치(100)는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를 구비 할 수 있다.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는 전자제어장치(100)가 구비된 기판과 연결되어 기준 전위를 갖을 수 있다. 도4에 나타난 회로에서는 제1전류 단자(101)와 연결된 회로가 Rg1을 통하여 제1접지부(401)와 연결되고 제2전류단자와 연결된 회로가 Rg2를 통하여 제2접지부(402)와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1접지부(401)와 제2접지부(402) 각각은 Rg11및 Rg22를 포함하여 전원(200)과 연결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또한 Rg1과 Rg2의 앞단 P1과 P2은 단락 저항(104)과 연결 될 수 있다. 단락 저항(10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부와 연결된 회로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저항 소자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락 저항(104)은 1mΩ이하의 저항으로 구비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I2가 I1보다 높은 경우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의 전위차는 아래의 식으로 도출 될 수 있다.Also, the front ends P1 and P2 of Rg1 and Rg2 may be connected to the
V21는 P2와 P1점 사이의 전위차이를 의미한다. 전자제어장치(100)는 전자제어장치(100)가 구비된 기판 등과 연결되어 접지점을 형성 할 수 있다. 두 접지점 사이의 전압은 상술한 식에 의하여 도출 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장치(100)는 센서부(105)를 더 구비하여, 두 접지점 사이의 전압은 센서부(105)를 통하여 획들 할 수 있다. 또한 단락 저항(104)에 흐르는 전류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도출 될 수 있다. V21 means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ints P2 and P1. The
수학식2를 참고하면, Ish는 단락 저항(104)에 흐르는 진단 전류를 의미하고, Rsh는 단락 저항(104)을 의미한다. 또한 수학식2의 분자에 위치한 식은 수학식1의 V21을 의미하는 값으로서 단락 저항의 전위차를 의미하는 값이다. Rsh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값으로 설정된 저항 값이므로 전자제어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V21을 기초로 Ish를 도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주어진 저항 값을 기초로도 Ish값을 도출 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2, Ish denotes a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한편, 제어부는 Ish값을 기초로 제1접지부(401) 또는 제2접지부(402)가 단락 된 경우 상태를 판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된 경우, 제1전류 단자(101)와 Rg1과 Rg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제2전류단자(102)와 연결된 회로에만 전류가 흐르게 되고, 결국 제2전류의 모든 전류가 단락 저항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아래와 같은 식을 만족하는 경우, 접지부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tate when the
상술한 예에서는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되어 제2전류가 진단 전류와 같아지는 동작을 서술 하였지만 제2접지부(402)가 단락되어 제2전류가 진단 전류와 같아지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진단 전류(Ish)가 제1전류 또는 제2전류와 같아지는 경우, 제어부는 제1접지부(401) 또는 제2접지부(402)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the
또한, 접지부 중 하나가 단락되어 하나의 전류단자로 모든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자제어회로가 무리하게 동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1과 연결된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된 경우, 단락된 Rg1과 Rg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원(200)으로 발생한 모든 전류는 제2전류 단자(102)와 연결된 회로로 흐르게 된다. 처음부터 전원(200)이 공급한 전류가 2A에 해당한 경우, 기존에는 I1과 I2가 각각 1A에 해당하여 구동되었지만,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된 경우 I1과 I2가 합쳐져 Rg2와 Rg22에2A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I2로 구동되는 회로는 기존에 1A가 흐르다가 2A가 흐르면 회로의 정격보다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므로 정격이상의 전류를 받아 회로가 과부하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경고신호를 생성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출력부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를 출력 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one of the ground parts is short-circuited and all current flows to one current terminal, the electronic control circuit may be operated unreasonably. For example, when the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100)의 회로도이다. 5 is a circuit diagram of an
도5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접지부(401)가 단락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4와 도5를 함께 참고하면,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된 경우 모든 전류가 제2전류 단자(102)의 접지부를 통해 유입되어 제2접지부(402)로 빠져 나가므로 제2전류 단자(102)를 통하여 연결된 회로에 과부하가 가해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제어회로는 제2전류 단자(102)로 흐르는 회로에 전류를 분산 시킬 수 있는 분산 저항 Rt를 구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case in which the
분산 저항은 제2전류 단자(102)로 구동되는 회로의 제2접지부(402) 주변에 구비되어 제1접지부(401) 및 제2접지부(402)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경우 스위칭 동작으로 연결 되어, 전류를 분산 시키는데 이용 될 수 있다. 도4의 예시와 같이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된 경우,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모든 전류는 제2전류 단자(102)로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회로, 즉 Rg2로 흐르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Rt를 연결하여 Rg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다. Rg2에 흐르는 전류의 양(I2')은 아래 식으로 도출 가능하다.The distributed resistor is provided around the
수학식4를 참고하면 R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의 값을 분산시켜주기 위한 분산 저항 값이고 Rg2는 제2전류 단자(102)와 연결된 회로의 접지부의 저항 값을 의미하며, I2'는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되었을 때 제2전류 단자(102)와 연결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한다. 제어부는 상술한 동작에 기초하여 접지부의 단락 상태를 판단하고 제1접지부(401)가 단락 된 경우, 제2 전류 단자(102)가 전자제어장치(100)에 공급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고, 제2접지부(402)가 단락 된 경우 제1전류 단자(101)가 전자제어장치(100)에 공급하는 전류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4는 제1접지부(401)가 단락된 경우의 전류의 양과 관련된 것을 식으로 나타내었지만, 제2접지부(402)가 단락된 경우에도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Referring to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6 illustrates output of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고하면, 상술한 동작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장치의 제어부가 접지부가 단락 되어 전자제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300)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 할 수 있다.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300)는 클러스터(30) 및 AVN장치(12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21)로 구비 될 수 있다. 도6에서는 클러스터(30)에 경고메시지를 출력 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사용자가 전자제어장치의 오작동을 감지 할 수 있는 것이면 출력부(30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6 ,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annot operate normally due to a short circuit to the groun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 warning message may be output to the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을 참고하면, 전자제어장치의 제어부는 단락 저항의 전압을 도출 할 수 있다(1001). 단락 저항의 전압은 제어부가 계산을 통하여 도출 할 수 있고, 전자제어장치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하여 도출 할 수도 있다. 도출된 단락 저항의 전압을 기초로 제어부는 단락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도출 할 수 있다(1002).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락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제1전류 단자 또는 제2전류 단자에 흐르는 전류와 유사한 경우, 제어부는 제1접지부 또는 제2접지부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1003). 제1접지부 또는 제2접지부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제어장치의 제어부는 경고 신호를 생성 하고, 전류 양을 조절 할 수 있다(1005). 제어부가 생성한 경고 신호는 차량에 구비된 출력부에 전달 되어 운전자가 전자제어장치의 오류를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전류단자 및 제2전류단자와 연결된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전자제어장치내의 회로가 잘 동작 할 수 있도록 제어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may derive the voltage of the short circuit resistor ( 1001 ). The voltage of the short-circuit resistance may be derived through calculation by the control unit or may be derived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Based on the derived voltage of the short-circuit resistor, the controller may deriv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or ( 100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or is similar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urrent terminal or the second current terminal,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or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 1003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grounding part or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circuited, the control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warning signal and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 1005 ). The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error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circuit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terminal and the second current terminal so that the circuit in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perates well.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readable by the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ther forms than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 차량
100 : 전자제어장치
104 : 단락저항
105 : 센서부
106 : 제어부1: vehicle
100: electronic control device
104: short circuit resistance
105: sensor unit
106: control unit
Claims (14)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2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2접지부;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연결하는 단락저항; 및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
a first ground uni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first current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second ground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second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second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 short circuit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ground part and the second ground par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 circuit resistor is obtained, and 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are compared with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to short-circui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ound parts.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또는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obtaining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or the second current and the magnitude of the diagnosis current;
When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in a short-circuited state.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 사이에 단락 전압을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락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전류를 계산하는 전자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obtaining a short-circuit volt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units,
The control unit i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the diagnostic current based on the short-circuit volt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감소시키는 전자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circuite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reducing the magnitudes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to predetermined valu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circuited,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warning signal.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2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1전류가 흐르는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전류가 흐르는 제2접지부를 연결하는 단락저항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supply the first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supply a second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Short-circui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based on the magnitude of a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a short circuit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grounding part through which the first current flows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through which the second current flows.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or not.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ed comprises:
obtaining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and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by comparing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currents with the magnitudes of the diagnostic current.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전류 또는 상기 제2전류의 크기와 상기 진단 전류의 크기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ed comprises:
obtaining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or the second current and the magnitude of the diagnosis current;
When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in a short circuit state.
상기 제1접지부는,
제1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접지부는,
제2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저항, 상기 제2저항,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전류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grou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The second ground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ed comprises:
and calculating the diagnostic current based on the first resistance, the second resistance,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 사이에 단락 전압을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락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전류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obtaining a short-circuit voltage between the first ground portion and the second ground portion,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ed comprises:
and calculating the diagnostic current based on the short-circuit voltage.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전류 및 상기 제2전류의 크기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circuite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reducing the magnitudes of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to predetermined values.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is short-circuited,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 warning signal.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1전류 및 제2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전자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1전류 및 제2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의 적어도 한 부분이 단락 상태인 경우, 상기 출력부에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에 제1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1접지부;
상기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2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류 단자와 연결된 제2접지부;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연결하는 단락저항; 및
상기 단락저항에 흐르는 진단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접지부 및 상기 제2접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power supply that supplies curren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ng state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driven by receiving a first current and a second 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and
an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at is driven by receiving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and outputs a warning message to the output unit when at least one part of a circuit constituting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in a short circuit state; and ,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a first ground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first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first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 second ground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a second current terminal for supplying a second current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 short circuit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ground part and the second ground par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unding unit and the second grounding unit is short-circuit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diagnostic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hort-circuit resista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322A KR102443076B1 (en) | 2017-09-29 | 2017-09-29 | 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322A KR102443076B1 (en) | 2017-09-29 | 2017-09-29 | 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710A KR20190037710A (en) | 2019-04-08 |
KR102443076B1 true KR102443076B1 (en) | 2022-09-14 |
Family
ID=6616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7322A Active KR102443076B1 (en) | 2017-09-29 | 2017-09-29 | 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3076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842B1 (en) | 2002-04-12 | 2004-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v & hev short detection system between high voltage line and vehicle chassis |
JP2011203187A (en) | 2010-03-26 | 2011-10-13 | Honda Motor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fault |
JP2012008014A (en) * | 2010-06-25 | 2012-01-12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Disconnection detecting circuit for bridge circuit and system having disconnection detecting means |
JP2013258140A (en) * | 2012-05-17 | 2013-12-26 | Toyota Industries Corp | Load drive device |
KR101646070B1 (en) | 2015-03-04 | 2016-08-0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Circuit for sensing a short on plant |
-
2017
- 2017-09-29 KR KR1020170127322A patent/KR1024430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842B1 (en) | 2002-04-12 | 2004-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v & hev short detection system between high voltage line and vehicle chassis |
JP2011203187A (en) | 2010-03-26 | 2011-10-13 | Honda Motor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fault |
JP2012008014A (en) * | 2010-06-25 | 2012-01-12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Disconnection detecting circuit for bridge circuit and system having disconnection detecting means |
JP2013258140A (en) * | 2012-05-17 | 2013-12-26 | Toyota Industries Corp | Load drive device |
KR101646070B1 (en) | 2015-03-04 | 2016-08-0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Circuit for sensing a short on pl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710A (en) | 2019-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539287B (en) | Periphery monitoring device | |
CN103660947B (en) | Display system used by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tor vehicles | |
EP1758757B1 (en) |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JP2016101872A (en) |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 |
US10800361B2 (en) | Circuit body for vehicle | |
US20170210309A1 (en) | Electrical equipment module | |
JP2006528572A (en) | Circuit equipment for automobiles | |
US10661791B2 (en) |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11020523A (en) | Method of supplying electric power to vehicle and power supply equipment for vehicle | |
CN107709100B (en) | Power supply device for automobile | |
KR102443076B1 (en) | 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 |
DE102017203032A1 (en) | Electrical equipment module | |
JP6523828B2 (en) | In-vehicle information equipment | |
CN110881123B (en) | Camera calibration device | |
CN109581037B (en) | Electronic circuit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JP2014031115A (en) | Steering switch input detection circuit | |
US11558024B2 (en) | Adjustable electrical noise filter for a vehicle | |
US10596987B2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current of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apparatus | |
JP2015219032A (en) | In-vehicle wiring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 |
JP2006267046A (en) | Evaluation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for vehicle electronic system | |
KR101996854B1 (en) |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control unit | |
US10703259B1 (en) | Vehicle component control assembly | |
JP5098925B2 (en) | Video display device for vehicle | |
JP2004217171A (en) | Remote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WO2018021547A1 (en) | Vehicular circuit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