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970B1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Google Patents
A Laundry Treatment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2970B1 KR102442970B1 KR1020170062476A KR20170062476A KR102442970B1 KR 102442970 B1 KR102442970 B1 KR 102442970B1 KR 1020170062476 A KR1020170062476 A KR 1020170062476A KR 20170062476 A KR20170062476 A KR 20170062476A KR 102442970 B1 KR102442970 B1 KR 1024429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flow path
- base
- inlet hole
- drum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7 rins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위치되고 수공이 형성된 드럼 바디와, 상기 드럼 바디의 하부와 결합된 드럼 베이스로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바디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내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 및 상기 드럼 베이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 베이스와 결합으로, 상기 펄세이터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제1유로와, 상기 펄세이터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 브라켓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devic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a drum provided with a drum body positioned inside the tub and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a drum b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um body; a filter assemb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body and filtering wash water flowing inside the drum; a pulsator rotatably disposed above the drum base; And a first flow path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um base, coupled with the drum bas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to the filter assembly when the pulsator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pulsator and a base bracket forming a second flow path for guiding wash water flowing above the drum base to the filter assembly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어셈블리로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filtering wash water with a filter assembly.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세탁조와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여,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erforms washing u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laundry rotating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a motor in a state in which detergent, washing water, and laundry are put into the washing tub, so that there is little damage to the laundry and the laundry is not tangled with each other It can produce an undesirable washing effect.
종래 세탁물 처리기기 중에는 상기 드럼에 구비되어 교반부의 회전 시 물을 드럼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Some of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machines include a circulation passage provided in the drum to move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when the agitator rotates, and a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to filter water.
종래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필터장치는 그물망의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세탁시 의류와 그물망이 부딪혀 그물망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상기 그물망이 찢어질 경우 상기 그물망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드럼으로 재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The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equipmen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sh is damaged by collision with the clothes during washing. there was a problem with
또한, 상기 그물망은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만을 여과할 뿐 세탁물에 세탁수를 분사시킬 수 없어 세탁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구현하기는 어려운 구조였다.In addition, since the net filter only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and cannot spray the wash water into the laundry,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function of increasing washing efficienc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 10-2017-0011116호는 드럼 회전시 드럼 내부에 유동하는 물을 필터링하도록 드럼 내주면에 필터장치를 부착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11116 discloses a device for attaching a filter devi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o filter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다만, 이러한 필터장치를 이용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필터장치(또는 “필터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량이 많아야 드럼 내부에서 유동하는 세탁수를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구조이다.However,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using such a filter device has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filter the wash water flowing inside the drum only when the flow rate of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device (or “filter assembly”) is hig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increases the flow rate of wash water supplied to a filter assembly.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터브 내부를 순환하는 세탁수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effectively filters the wash water circulating inside the tub.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위치되고 수공이 형성된 드럼 바디와, 상기 드럼 바디의 하부와 결합된 드럼 베이스로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바디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내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 및 상기 드럼 베이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 베이스와 결합으로, 상기 펄세이터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제1유로와, 상기 펄세이터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 브라켓을 포함하여, 펄세이터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필터어셈블리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2개의 유로를 가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 a drum provided with a drum body positioned inside the tub and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a drum b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um body; a filter assemb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body and filtering wash water flowing inside the drum; a pulsator rotatably disposed above the drum base; And a first flow path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um base, coupled with the drum bas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to the filter assembly when the pulsator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pulsator Two flow paths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filter assembly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ulsator, including a base bracket that forms a second flow path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above the drum base to the filter assembly when the drum base is rotated have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드럼 베이스와 결합으로,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필터연결유로를 형성하여, 제1유로 또는 제2유로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필터연결유로를 통해 필터어셈블리고 공급된다. The base bracke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lter connection flow path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or the second flow path to the filter assembly by being coupled to the drum base, thereby forming a first flow path. Alternatively,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is supplied with the filter assembly through the filter connection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드럼 베이스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법선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 각각은 상기 드럼 베이스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인접하도록 유로를 형성되어, 드럼 베이스의 외둘레의 접선방향에 가깝게 유로를 형성한다.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to an imaginary normal lin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um base, and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re each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drum base increases, the flow passages are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low passages are formed closer to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um base.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제1유로는 상기 펄세이터의 일방향 회전으로 형성되는 수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는 펄세이터의 타방향 회전으로 형성되는 수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드럼 베이스의 외둘레의 접선방향에 가깝게 유로를 형성한다.The first flow path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in one direction flows, and the second flow pat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in the other direction flows is formed to form a flow path close to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um base.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드럼 베이스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1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1유입홀,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2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2유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되어, 드럼 베이스의 외둘레의 접선방향에 가깝게 형성된 유로로 세탁수를 유도할 수 있다.The drum ba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inlet hole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inlet hole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with the second flow path. The first inflow hole is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low passage is formed, and the second inlet hole is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low passage is formed, and is formed close to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um base. It can lead to washing water.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드럼 베이스는 상기 제1유입홀 또는 상기 제2유입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에 배치된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유동하도록 개구된 토출홀을 형성하여, 제1유입홀 또는 제2유입홀로 유입된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로 공급할 수 있다.The drum bas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scharge hole opened so that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hole or the second inlet hole flows to the filter assembly disposed above the drum bas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hole or the second inlet hole may be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드럼 베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외둘레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향둘레부; 및 상기 상향둘레부에서 상기 드럼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럼바디와 연결되는 곡면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둘레부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1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1유입홀,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2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2유입홀 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둘레부는 상기 제1유입홀 또는 상기 제2유입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에 배치된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유동하도록 개구된 토출홀이 형성되어,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동방향에 따라 제1유로 또는 제2유로로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로 공급할 수 있다.The drum ba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an upward perimeter bent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plate; and a curved periphery extending from the upward peripher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rum base and connected to the drum body, wherein the upward perimeter is a first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with the first flow path. An inlet hole and a second inlet hole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and the second flow path are formed, and the curved circumference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for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hole or the second inlet hole. A discharge hole opened to flow to the filter assembly may be formed to supply wash water to the filter assembly through the first flow path or the second flow path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제1유입홀 또는 상기 제2유입홀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메인가이드판; 상기 메인가이드판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드럼베이스를 향해 절곡되어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측면가이드판; 및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중앙가이드판을 포함하여,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동방향에 따라 제1유로 또는 제2유로로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로 공급할 수 있다.The base bracke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guide plate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hole or the second inlet hole to the filter assembly; a side guide plate bent toward the drum base at both ends of the main guide plate to guide wash water to the filter assembly; and a central guide plat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guide plate to partitio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into the first flow path or the second flow path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Was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필터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유로를 드럼 베이스의 접선에 가까운 범위로 2개를 형성하여 필터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발생하는 와류영역을 최소화하여 보다 많은 량의 세탁수가 필터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wo flow paths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are formed in a range close to the tangent line of the drum base to minimize the vortex region generated in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so that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have.
둘째, 필터어셈블리로 보다 많은 량의 세탁수가 공급되므로, 터브 내부를 유동하는 세탁수의 보다 많은 량이 필터링 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since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flowing inside the tub can be filtered.
셋째, 필터어셈블리로 많은 량의 세탁수가 공급되어 많은 량의 세탁수가 필터링되므로, 터브 내부를 유동하는 세탁수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since a large amount of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and a large amount of wash water is filter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dust contained in the wash water flowing inside the tub can be effectively rem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이 장착된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구성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X-X’를 자른 단면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이 형성하는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대비되는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이 형성하는 유로와 펄세이터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이 형성하는 유로와 펄세이터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3a에서의 수류형성시 세탁수의 흐름과 유량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4a에서의 수류형성시 세탁수의 흐름과 유량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5a와 도 15b에 따른 결과로 필터어셈블리로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량을 비교한 자료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rum mounted with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drum base and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5 .
7 is a front view of FIG. 5 .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m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FIG. 8 ;
FIG. 10 is a bottom view of FIG. 8 .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3,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path formed by the drum base and the bas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13a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formed according to the one-way rotation of the flow path and the pulsator formed by the drum base and the base bracket in contrast to the present invention.
13B is a view illustrating a direction of a water flow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FIG. 13A.
14A is a view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by a drum base and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rection of a water flow formed according to one-way rotation of the pulsator.
14B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of a water flow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FIG. 14A.
15A is a view showing the flow and flow rate of wash water when the water flow is formed in FIG. 13A.
15B is a view showing the flow and flow rate of wash water when the water flow is formed in FIG. 14A.
16 is data comparing the flow rate of wash water flowing to the filter assembly as a result according to FIGS. 15A and 15B.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allow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포가 상부 방향으로 드럼(26) 내로 삽입되는 탑 로드(top load)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10)이다. 이러한 탑로드 방식의 세탁물 처리기기(10)는,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세탁물 처리기기(10)를 중심으로 기술한다.1 to 2 ,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와, 케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출입하는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14)를 포함한다. The
케이스(12)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세탁물 처리기기(10)의 측면을 이루는 캐비닛(16)과, 상기 캐비닛(16)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탑커버(18)와, 상기 캐비닛(16)의 개방된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20)를 포함한다. The
도어(14)는 탑커버(18)의 포 출입홀을 개폐시킨다. 도어(14)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글래스(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키들과, 세탁물 처리기기(1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한다. 컨트롤패널(22)은 탑커버(18)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The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세탁수(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되는 물을 포함)가 담기는 터브(24)와, 터브(24)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26)를 구비할 수 있다. 드럼(26)의 일측에는 드럼(26)의 회전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6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6)은 포가 담기는 내조 또는 세탁조로서, 포의 출입을 위해 상면이 개방되고, 터브(24) 내측에 회전되게 위치된다.The
드럼(26)은 세탁수나 헹굼수가 드럼(26)의 내외로 출입되고, 포에서 탈수된 물이 드럼(26)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복수개 수공(40)이 형성된다. In the
드럼(26)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럼(26)의 둘레부 외관을 형성하는 드럼바디(28)와, 드럼바디(28)의 하부에 결합되고 드럼(26)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드럼 베이스(30)를 포함한다.The
드럼 베이스(30)는 중앙에 펄세이터(52)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축(62)이 관통되고, 세탁수, 헹굼수, 포에서 탈수된 물이 통과하기 위한 중앙홀(34)이 형성된다.I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6)은 드럼바디(28)와 드럼 베이스(30)의 이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26)은 드럼바디(28)와 드럼 베이스(30)가 스텐인레스와 같은 고강도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스텐인레스 재질의 드럼바디(28)와, 스테인레스 재질의 드럼 베이스(30)의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3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필터 어셈블리로 세탁수를 유동시키는 제1유입홀(44), 제2유입홀(45) 및 토출홀(46)이 형성된다. I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터브(24)에 수용된 세탁수의 회전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52)(pulsator)를 포함한다. 펄세이터(52)는 드럼(26)의 저면에 배치된다. 펄세이터(52)는 드럼(26)의 내측에서 회전되면서 세탁수와 포를 유동시킨다.The
펄세이터(52)는 드럼 베이스(30)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펄세이터(52)는 하측면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리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52)는 드럼 베이스(30) 상측의 세탁수를 제1유입홀(44) 또는 제2유입홀(45)로 유동시킨다. 하부리브(54)는, 펄세이터(52)의 회전시 반경방향으로 수류를 형성시키고, 드럼 베이스(30) 상측에서 유동하는 세탁수를 드럼 베이스(30)에 형성된 제1유입홀(44) 또는 제2유입홀(45)로 유동시킨다. 펄세이터(52)는 드럼 베이스(3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입홀(44)과 제2유입홀(45) 상측에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펄세이터(52)를 회전시키거나, 펄세이터(52)와 드럼(26)을 함께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구동원인 모터(60)와, 펄세이터(52)에 연결된 세탁축인 펄세이터축(62)과, 드럼(26)을 회전시키는 탈수축(64)과, 모터(60)의 구동력을 펄세이터축(62)으로 전달하거나 모터(60)의 구동력을 펄세이터축(62)와 탈수축(64)으로 함께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모터(54)의 회전력을 드럼(26)으로 전달하는 허브(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허브(56)는 모터(60)에 의해 회전하는 탈수축(64)이 중앙에 연결되고, 중앙 이외 부분이 드럼 베이스(30)에 복수개의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탈수축(64)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중앙 이외의 복수 부분을 통해 드럼 베이스(30)로 전달한다. 허브(56)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드럼(26)의 크기가 크더라도 안정적으로 드럼(26)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
허브(56)가 드럼 베이스(30) 중앙 이외에 복수 부분 연결될 경우, 드럼(26)의 크기가 크더라도 드럼(26)은 뒤틀림이나 언밸런싱이 적고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16)의 내측 상부에서 터브(24)를 매다는 복수개의 서스펜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의 일단은 캐비닛(16)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2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서스펜션은, 케이스(12)를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인 탑커버(18)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12)의 고정된 부분 어느 곳과도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spensions (not shown) for suspending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터브(24)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68)와, 세탁 또는 탈수가 완료된후 상기 터브(24)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74)가 배치된다.The
급수 어셈블리(68)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10)로 안내하는 외부 호스와, 상기 외부 호스와 연결되어 세탁수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70)와, 상기 급수밸브(70)와 상기 세제공급부를 연결하는 급수호스(72)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밸브(70)와 급수호스(72)는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한다. The
배수어셈블리(74)는 터브(24)의 하면에 형성되고,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배수호스(76)와, 배수유로를 유동하는 세탁수를 세탁물 처리기기(10)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78)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어셈블리(74)는 상기 터브(24)와 상기 베이스(2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이 장착된 드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구성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X-X’를 자른 단면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이 형성하는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drum mounted with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drum base and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FIG. 5 . FIG. 7 is a front view of FIG. 5 .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m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FIG. 8 ; FIG. 10 is a bottom view of FIG. 8 .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3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path formed by the drum base and the bas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4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드럼(26) 내부를 유동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80)는 드럼바디(28)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80)는 드럼 베이스(30)의 상측에서 드럼바디(28)를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다. First,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펄세이터(52)의 회전으로 드럼 베이스(30)의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80)로 유동시킨다. 필터어셈블리(80)는 펄세이터(52)의 회전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필터링한다.The
필터어셈블리(80)는 드럼 베이스(30)의 토출홀(46)과 연결된다. 필터어셈블리(80)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와 연결된다. 필터어셈블리(80)는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필터링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어셉블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드럼 바디(28) 내부 둘레면의 반대의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2개의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필터어셈블리(80)는 필터어셈블리의 외형을 형성하며, 드럼(26) 내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필터프레임(82), 내부에 필터를 배치하고, 드럼(26) 내부로 필터링 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필터바디(84) 및 필터바디(84) 내부에 배치되어 필터바디(84) 내부의 세탁수의 일방향 유동을 유도하는 역류방지밸브(8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바디(84)는 필터프레임(82)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바디(84)는 드럼(26)의 내부를 향하도록 개구된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Th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drum base and a bas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는 드럼바디(28)의 하부와 결합된 드럼 베이스(30), 드럼 베이스(3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펄세이터(52) 및 드럼 베이스(30)의 외측에 결합되고, 펄세이터(52)의 일방향 회전시 드럼 베이스(30)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는 하는 제1유로(48)와, 펄세이터(52)의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30)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는 제2유로(49)를 형성하는 베이스 브라켓(100)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100)은 드럼 베이스(30)와 결합으로,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로 유입된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는 필터연결유로(50)를 형성한다. 필터연결유로(50)는 드럼 베이스(30)의 토출홀(46)과 연결된다. 제1유로(48)와 제2유로(49)는 필터연결유로(50)에서 하나의 유로로 합쳐진다. The
도 1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48) 및 제2유로(49)는 드럼 베이스(3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법선(A)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유로(48)와 제2유로(49)는 드럼 베이스(3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인접한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48)는 펄세이터(52)의 일방향 회전으로 형성되는 수류가 유동하는 방향과 인접한 각도로 형성된다(도 13a 참조). 제2유로(49)는 펄세이터(52)의 타방향 회전으로 형성되는 수류가 유동하는 방향과 인접한 각도로 형성된다(도 13b 참조). 제1유로(48) 및 제2유로(49)는 펄세이터(52)의 회전으로 드럼 베이스(30)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2 ,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48)는 제1유로(48)와 드럼 베이스(30)가 만나는 부분에서 드럼 베이스(3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선(B)에 가깝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유로(48)는 드럼 베이스(3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선(B)에 ±10°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유로(49)도 제2유로(49)와 드럼 베이스(30)가 만나는 부분에서 드럼 베이스(3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선에 가깝게 형성되며, 드럼 베이스(3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선에 ±1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48) 및 제2유로(49)는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와 드럼 베이스(30)가 만나는 부분에서의 드럼 베이스(30)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법선(A)과 접선(B) 사이의 각도로 형성된다. The
제1유로(48)와 제2유로(49)가 향하는 방향은 드럼 베이스(30)를 유동하는 세탁수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드럼 베이스(30) 및 베이스 브라켓(100)의 강성유지를 고려하여 드럼 베이스(3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법선(A)과 접선(B) 사이의 각도로 형성된다.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드럼 베이스(30)는 드럼(26)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구동장치와 탈수축(64)으로 연결되어 드럼바디(28)를 회전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30)는 펄세이터(52)의 회전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에 연결되는 제1유입홀(44)과 제2유입홀(4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30)는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로 유입된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80)로 가이드하는 필터연결유로(50)와 연결되는 토출홀(46)이 형성된다. The
도 5를 참조하면, 드럼 베이스(30)는 중앙에 펄세이터축(62)이 관통되고, 세탁수가 통과하기 위한 중앙홀(3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30)의 중앙홀(34)에는 허브(56)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 베이스(30)는 허브(56)와 복수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된다. 허브(56)는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드럼 베이스(30) 상하로 물이 관통하게 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30)는 펄세이터(52)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드럼 베이스(30) 베이스판(32)을 따라 유동하는 세탁수를 제1유로(48)로 안내하는 제1유입홀(44)과, 펄세이터(52)가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베이스판(32)을 따라 유동하는 세탁수를 제2유로(49)로 안내하는 제2유입홀(45)이 형성된다.8 to 10 , the
펄세이터(52)가 회전하면, 펄세이터(52)의 하부리브(54)에 의해 드럼 베이스(30)와 펄세이터(52) 사이에서 유동하는 세탁수가 베이스판(32)을 따라 회전수류를 형성한다. 베이스판(32)을 따라 회전수류를 형성하는 세탁수는 원심력으로 상향둘레부(36)에 형성된 제1유입홀(44) 또는 제2유입홀(45)로 유동한다. 제1유입홀(44)은 펄세이터(52)의 일방향 회전시 세탁수류가 형성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제2유입홀(45)은 펄세이터(52)의 타방향 회전시 세탁수류가 형성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펄세이터(52)의 회전방향에 따라 세탁수는 제1유입홀(44) 또는 제2유입홀(45)로 유동한다.When 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3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32), 베이스판(32) 외둘레에서 상측으로 절곡형성된 상향둘레부(36) 및 상향둘레부(36)에서 드럼 베이스(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둘레부(40)를 포함한다.8 to 10, the
베이스판(32)의 중심에는 중앙홀(34)이 형성된다. 베이스판(32)은 허브와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베이스판(32)에는 강성을 유지하는 복수의 보강홈(35)이 형성된다. 베이스판(32)의 외둘레에는 상향둘레부(36)가 배치된다. A
상향둘레부(36)는 베이스판(32)의 외둘레에서 상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상향둘레부(36)는 드럼(26) 내부와 제1유로(48)를 연통시키는 제1유입홀(44)과, 드럼(26) 내부와 제2유로(49)를 연통시키는 제2유입홀(45)을 형성한다. 제1유입홀(44)은 제1유로(48)가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된다. 제2유입홀(45)은 제2유로(49)가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된다. 제1유입홀(44)과 제2유입홀(45)은 베이스판(32)과 이어지는 상향둘레부(36)의 하부에 형성된다. 드럼 베이스(30)는 제1유입홀(44)과 제2유입홀(45) 사이에 배치되어 제1유입홀(44)과 제2유입홀(45)을 구분하는 구획부(47)를 포함한다. 구획부(47)는 제1유로(48)와 제2유로(49) 사이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상향둘레부(36)는 베이스판(32)과 연결되는 제1상향둘레부(37)와 곡면둘레부(40)와 연결되는 제2상향둘레부(38)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상향둘레부(37)와 제2상향둘레부(38)는 연결절곡부(39)를 통해 단턱지게 이어진다. 제2상향둘레부(38) 내측에 펄세이터(52)의 외둘레가 배치된다. 제1상향둘레부(37)에는 제1유입홀(44)과 제2유입홀(45)이 형성된다. The upward
곡면둘레부(40)는 상향둘레부(36)의 외측에서 연장되며, 드럼바디(28)와 연결된다. 곡면둘레부(40)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곡면둘레부(40)는 드럼 베이스(30)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강절곡부(42)가 형성된다. 곡면둘레부(40)는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로 유동하는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80)로 보내는 토출홀(46)이 형성된다. 토출홀(46)은 필터어셈블리(80)가 배치된 상향으로 개구된다.The curved
드럼 베이스(30)의 외측에는 드럼 베이스(30)를 유동하는 세탁수를 필터 어셈블리로 가이드하는 베이스 브라켓(100)이 배치된다. 베이스 브라켓(100)은 드럼 베이스(30)의 개구된 제1유입홀(44) 또는 제2유입홀(45)과 토출홀(46)을 연결한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100)은 드럼 베이스(30)의 외측에 결합된다. 베이스 브라켓(100)은 드럼 베이스(30)와 결합되어 필터어셈블리(80)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제1유로(48) 및 제2유로(49)를 형성한다. A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브라켓(100)은 제1유입홀(44) 또는 제2유입홀(45)로 유입된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는 메인가이드판(110), 메인가이드판(110)의 양측 단부에서 드럼 베이스(30)를 향해 절곡되어 세탁수를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는 한 쌍의 측면가이드판(112), 메인가이드판(110)의 중앙에서 돌출형성되고, 제1유로(48)와 제2유로(49)를 구획하는 중앙가이드판(114)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 the
측면가이드판(112)과 중앙가이드판(114)은 펄세이터(52)에 의해 드럼 베이스(30) 베이스판(32)의 상측에서 유동하는 세탁수의 일부를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로 안내한다. 메인가이드판(110)은 측면가이드판(112)과 중앙가이드판(114)으로 유입된 세탁수를 드럼 베이스(30) 상측에 배치된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한다. The
메인가이드판(110)은 베이스 브라켓(100)를 드럼 베이스(30)에 체결시킨다. 메인가이드판(110)은 일측에서 베이스판(32)에 체결되고, 타측에서 곡면둘레부(40)에 체결된다. 메인가이드판(110)은 제1유로(48) 또는 제2유로(49)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측에 배치된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도록 상측으로 만곡된 곡면을 형성한다. The
중앙가이드판(114)은 메인가이드판(110)의 양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측면가이드판(112)과 제1유로(48) 및 제2유로(49)를 형성한다. 중앙가이드판(114)은 메인가이드판(110)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중앙가이드판(114)은 제1유로(48)와 제2유로(49)가 하류에서 합쳐지도록 ‘∧’자 형상을 가진다. 중앙가이드판(114)은 드럼 베이스(30)의 구획부(47)에 맞닿는다. 중앙가이드판(114)은 드럼 베이스(30)의 구획부(47)과 맞닿아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중앙가이드판(114)과 구획부는 베이스판(32) 외둘레의 법선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도 13a는 본 발명에 대비되는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이 형성하는 유로와 펄세이터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이 형성하는 유로와 펄세이터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3a에서의 수류형성시 세탁수의 흐름과 유량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4a에서의 수류형성시 세탁수의 흐름과 유량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5a와 도 15b에 따른 결과로 필터어셈블리로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량을 비교한 자료이다.Figure 13a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formed according to the one-way rotation of the flow path and the pulsator formed by the drum base and the base bracket in contrast to the present invention. 13B is a view illustrating a direction of a water flow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FIG. 13A. 14A is a view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by a drum base and a bas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rection of a water flow formed according to one-way rotation of the pulsator. 14B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of a water flow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FIG. 14A. 15A is a view showing the flow and flow rate of wash water when the water flow is formed in FIG. 13A. 15B is a view showing the flow and flow rate of wash water when the water flow is formed in FIG. 14A. 16 is data comparing the flow rate of wash water flowing to the filter assembly as a result according to FIGS. 15A and 15B.
이하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의 결합으로 드럼 베이스의 외둘레에 법선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와,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는 경우의 필터어셈블리로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량을 비교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3A to 16 , a case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in a direction normal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um base by the coupling of the drum base and the base bracket, and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re formed as in this embodiment Compare the flow rate of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of the case.
도 13a와 도 13b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 베이스(30’)와 베이스 브라켓(100’)의 결합으로, 드럼 베이스(100’)의 외둘레에 법선 방향으로 하나의 유로(48’)를 형성한다. 도 13a 또는 도 13b과 같이 형성된 유로(48’)는 펄세이터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회전수류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13a와 같이, 펄세이터의 일방향 회전으로 세탁수류가 형성된 경우와 도 13b와 같이, 펄세이터의 타방향 회전으로 세탁수류가 형성된 경우 모두 드럼 베이스의 외둘레에 법선 방향으로 하나의 유로로 세탁수가 유동한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FIGS. 13A and 13B is a combination of the
도 13a 또는 도 13b와 같은 유로를 가지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펄세이터의 회전으로 드럼 베이스와 펄세이터 사이에 회전수류가 형성되면, 도 15a와 같이, 필터어셈블리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유로(48’)의 대부분의 구간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필터어셈블리로 세탁수의 공급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When a rotational water flow is formed between the drum base and the pulsator due to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flow path as shown in FIG. 13A or 13B, as shown in FIG. 15A, the flow path 48'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It can be seen that the supply of wash water to the filter assembly is reduced due to the vortex occurring in most sections.
반면, 도 14a 또는 도 14b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 베이스(30)와 베이스 브라켓(100)의 결합으로, 펄세이터(52)의 일방향 회전시 드럼 베이스(30)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는 하는 제1유로(48)와, 펄세이터(52)의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30)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80)로 안내하는 제2유로(49)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4a or Figure 14b,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48) 및 제2유로(49)는 드럼 베이스(30)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법선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유로(48)와 제2유로(49)는 드럼 베이스(3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인접한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한다.The
따라서, 펄세이터(52)의 일방향 회전으로 세탁수류가 도 14a와 같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1유로로 세탁수가 유동하고, 펄세이터의 타방향 회전으로 세탁수류가 도 14b와 같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유로로 세탁수가 유동한다. Accordingly, when the washing water flow occurs in one direction of the
도 15b를 참조하면, 펄세이터의 일방향 회전으로 드럼 베이스와 펄세이터 사이에 세탁수류가 형성될 때, 제1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제1유로는 세탁수류가 유동하는 방향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제1유로 내에서는 와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필터어셈블리로 세탁수의 공급량이 감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B , when the washing water flow is formed between the drum base and the pulsator due to one-way rotation of the pulsator,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flow path is formed adjacen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flow flows, so that a vortex hardly occurs in the first flow path, so that the amount of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is not reduced.
도 16를 참조하면, 필터어셈블리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량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을 사용한 세탁물 처리기기(b)가 도 13a 또는 도 13b에 따른 드럼 베이스와 베이스 브라켓을 사용하는 세탁물 처리기기(a)에 비해 30% 가량의 세탁수 유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the flow rate of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assembly is determined by using the drum base and the base bracket according to FIG. 13A or 13B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b) using the drum base and the bas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washing water flow rate is increased by about 30% compared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세탁물 처리기기 24 : 터브
26 : 드럼 28 : 드럼바디
30 : 드럼 베이스 32 : 베이스판
36 : 상향둘레부 40 : 곡면둘레부
44 : 제1유입홀 45 : 제2유입홀
46 : 토출홀 48 : 제1유로
49 : 제2유로 50 : 필터연결유로
52 : 펄세이터 56 : 허브
80 : 필터어셈블리 82 : 필터프레임
84 : 필터바디 100 : 베이스 브라켓
110 : 메인가이드판 112 : 측면가이드판
114 : 중앙가이드판10: laundry treatment device 24: tub
26: drum 28: drum body
30: drum base 32: base plate
36: upper perimeter 40: curved perimeter
44: first inflow hole 45: second inflow hole
46: discharge hole 48: first flow path
49: second flow path 50: filter connection flow path
52: pulsator 56: hub
80: filter assembly 82: filter frame
84: filter body 100: base bracket
110: main guide plate 112: side guide plate
114: center guide plate
Claims (13)
상기 터브 내측에 위치되고 수공이 형성된 드럼 바디와, 상기 드럼 바디의 하부와 결합된 드럼 베이스로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바디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 내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 및
상기 드럼 베이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 베이스와 결합으로, 상기 펄세이터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제1유로와, 상기 펄세이터의 타방향 회전시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을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베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외둘레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향둘레부; 및
상기 상향둘레부에서 상기 드럼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럼바디와 연결되는 곡면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둘레부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1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1유입홀,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2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2유입홀 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둘레부는 상기 제1유입홀 또는 상기 제2유입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에 배치된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유동하도록 개구된 토출홀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tub;
a drum provided with a drum body positioned inside the tub and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a drum bas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um body;
a filter assemb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body and filtering wash water flowing inside the drum;
a pulsator rotatably disposed above the drum base; and
A first flow path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um base, coupled to the drum base, for guiding wash water flowing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to the filter assembly when the pulsator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pulsator and a base bracket forming a second flow path for guiding wash water flowing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to the filter assembly during rotation,
The drum base is
a bas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an upward perimeter bent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plate; and
It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drum base in the upward perimeter and includes a curved perimeter connected to the drum body,
The upward periphery is formed with a first inlet hole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and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inlet hole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and the second flow path,
The curved perimeter portion has a discharge hole that is opened so that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hole or the second inlet hole flows to the filter assem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base is formed.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드럼 베이스와 결합으로,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필터연결유로를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bracket is coupled to the drum base to form a filter connection flow path for guiding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or the second flow path to the filter assembly.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드럼 베이스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가상의 법선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 각각은 상기 드럼 베이스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인접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are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to an imaginary normal lin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um base,
Each of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s a flow path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drum base increases.
상기 제1유로는 상기 펄세이터의 일방향 회전으로 형성되는 수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는 펄세이터의 타방향 회전으로 형성되는 수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low path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one-way rotation of the pulsator flows,
The second flow path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in the other direction flows.
상기 드럼 베이스는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1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1유입홀,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제2유로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된 제2유입홀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drum base has a first inlet hole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inlet hole open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rum with the second flow path.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제2유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개구된 세탁물 처리기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inlet hole is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low path is formed,
The second inlet hole is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low path is formed.
상기 드럼 베이스는 상기 제1유입홀 또는 상기 제2유입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드럼 베이스 상측에 배치된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유동하도록 개구된 토출홀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기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um base may have a discharge hole that is opened to allow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hole or the second inlet hole to flow to the filter assembly disposed above the drum base.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제1유입홀 또는 상기 제2유입홀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메인가이드판;
상기 메인가이드판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드럼베이스를 향해 절곡되어 세탁수를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측면가이드판; 및
상기 메인가이드판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중앙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e bracket is
a main guide plate for guiding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hole or the second inlet hole to the filter assembly;
a side guide plate bent toward the drum base at both ends of the main guide plate to guide wash water to the filter assembly; and
and a central guide plat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guide plate to partitio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상기 중앙가이드판은 상기 메인가이드판의 양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측면가이드판과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enter guide plate is a laundry treatment machine forming a pair of the side guide plat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guide plate, and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상기 중앙가이드판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하류에서 합쳐지도록 ‘∧’자 형상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기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entral guide plate is a laundry treatment machine having a '∧' shape such that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re merged downstream.
상기 드럼 베이스는 상기 제1유입홀과 상기 제2유입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입홀과 상기 제2유입홀을 구분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가이드판은 상기 구획부에 맞닿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rum bas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let hole and the second inlet hole and includes a partition for dividing the first inlet hole and the second inlet hole,
The central guide plate is a laundry treatment machin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ompartment.
상기 펄세이터는 하측면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리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sator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ower rib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and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ral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476A KR102442970B1 (en) | 2017-05-19 | 2017-05-19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476A KR102442970B1 (en) | 2017-05-19 | 2017-05-19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7098A KR20180127098A (en) | 2018-11-28 |
KR102442970B1 true KR102442970B1 (en) | 2022-09-13 |
Family
ID=6456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2476A Active KR102442970B1 (en) | 2017-05-19 | 2017-05-19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2970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4067A (en) * | 1998-06-30 | 2000-01-25 | 전주범 | Washing machine |
KR100353027B1 (en) * | 2000-07-20 | 2002-09-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ilter of clothes washing machine |
KR20130062182A (en) * | 2011-12-02 | 2013-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2476A patent/KR10244297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7098A (en) | 2018-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77522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apparatus | |
CA2788503C (en) | Drain hole for a laundry treating machine | |
US11001953B2 (en) | Washing machine | |
US20130212894A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102639680B1 (en) | Washing machine | |
US9080275B2 (en) | Drain ho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KR20110063062A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
KR102442970B1 (en)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102442971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637367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102457413B1 (en)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20110013060A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
US11913161B2 (en) | Washing machine | |
KR20110013059A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
KR100441095B1 (en) | A drum-washer | |
KR100521090B1 (en) | Drainage apparatus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102442967B1 (en)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
JP6311125B2 (en) | Washing machine | |
KR102428213B1 (en)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
KR102389598B1 (en)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
CN110670295B (en) | Washing machine, inner barrel and stirring impeller | |
KR20100095932A (en)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20210108659A (en) | Folw path conversion pump | |
KR102389595B1 (en)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
KR20110088954A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