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687B1 - Rotary type machine for meat roasting - Google Patents
Rotary type machine for meat roas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2687B1 KR102442687B1 KR1020210047700A KR20210047700A KR102442687B1 KR 102442687 B1 KR102442687 B1 KR 102442687B1 KR 1020210047700 A KR1020210047700 A KR 1020210047700A KR 20210047700 A KR20210047700 A KR 20210047700A KR 102442687 B1 KR102442687 B1 KR 1024426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roasting
- hot air
- pipe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이공간 내에 구이본체 상부면 중앙의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 트레이를 위치시키고, 배기 조절부를 구이본체 상부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배치하며 열기의 배출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측면에 보조 열기공급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이공간 내 열기가 더욱 골고루 퍼지도록하여 열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구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places a rotating tray rotatable by a rotation driving unit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asting body in the roasting space, and arranges an exhaust control unit near on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asting body so that the amount of heat discharged can be controlled and assists in the lower side It is a technology that minimizes heat loss and further improves roasting efficiency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hot air supply unit to spread the heat in the roasting space more evenly.
본체 내 밀폐된 구이공간에 고기를 넣고 회전시키면서 화염으로 구이공간 내 고기를 가열시키는 구워 조리하는 회전식 구이기가 제안되어 있다.A rotary roaster has been proposed in which meat is placed in a closed roasting space within the body and rotated while heating the meat in the roasting space with a flame.
이러한 기존 회전식 구이기는 대부분 구이공간 바닥에 화로를 설치하고 화로 내 화염을 통해 화염 위쪽의 고기를 굽는 형태가 대부분이다.Most of these existing rotary roasters install a furnace on the bottom of the roasting space and grill the meat above the flame through the flame in the furnace.
이와 같은 기존 방식은 화염이 상부의 고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 경우 고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워지지 않고 고기의 하단부가 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flam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meat, and in this case, the whole meat is not evenly grilled and the lower part of the meat is burned.
화염이 고기에 직접 닫는 형태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열기발생지점이 고기와 동일선상의 아래지점에서만 이루어진 뒤 상승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고기 전체의 균일한 구이가 이루어지기 어렵다.Even if the flame is not in the form of directly closing the me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uniform roasting of the whole meat because the heat generating point is formed only at the lower point on the same line with the meat and then rises.
따라서 위 경우, 사용자가 고기를 수시로 상하 뒤집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구이 시간도 지연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Therefore, in the above case, the user has to turn the meat upside down from time to time, which is a hassle, and it also causes a delay in the roasting time.
또한 종래의 구이기는 열기의 배기가 단순히 배기구만을 통해 배출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열기가 중앙부 배기구를 통해 신속히 빠져나가고 열기가 골고루 퍼지지 않아 고기가 골고루 구워지지 않는 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아니라, 열기가 구이공간에 채워져야하는 가열 초반에도 일부 열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가열효율이 좋지 못한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oasting system, since the exhaust of the heat is simply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escapes quickly through the central exhaust port and the heat is not evenly distributed, so that the meat is not cooked evenly.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in that the heating efficiency is not good because some of the heat is discharged even at the beginning of the heating that needs to be filled.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이공간 내에 구이본체 천정 중앙부에 위치한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트레이를 위치시키고, 구이공간 내 열기의 외부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기 조절부를 상부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배치시킬 뿐만아니라, 구이공간 하부 측면에 보조 열기공급부를 설치하여 구이공간 내 열기가 골고루 퍼지도록 하여 열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구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or places a rotation tray rotatable by a rotation driving unit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iling of the roasting body in the roasting space, and an exhaust control unit that can control the external exhaust amount of hot air in the roasting space near one edge of the upp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heat loss can be minimized and roast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not only disposing in the oven, but also installing an auxiliary heat supply unit on the lower side of the roasting space to evenly spread the heat in the roasting spac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가열방식을 개선하여 고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구이 효율을 높이고 번거러움을 해소하며 시간도 단축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is to improve the heating method so that the meat can be roasted evenly throughout, thereby increasing the roasting efficiency, eliminating the hassle, and shortening the time.
또한 구이공간 내 열기의 외부 배기여부와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이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further improve the roasting efficiency by allowing control of whether the heat in the roasting space is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the amount of exhaust.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for this purpose,
내부에 구이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바닥면에는 메인 열기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측벽면에는 보조 열기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이본체, 상기 구이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와 보조 열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구이공간 내부로 화염 열기를 공급하는 버너, 상기 구이본체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구이공간 내에 위치하고 구이대상물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에 의해 발생된 화염 열기가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와 보조 열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구이공간의 바닥과 측부에서 동시에 공급됨에 따라 상기 구이공간 전체에 걸쳐 열기의 확산율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asting body having a roasting space formed therein, an exhaust por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 main hot air supply port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an auxiliary heat supply por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surface, a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oasting body. A burner for supplying flame heat into the roasting space through a main hot air supply port and an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a rotary drive unit installed in the roasting body, and the rotary drive unit are located in the roasting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roasting object is placed. It includes a rotation tray rotatable by a rotation drive unit, and as flame heat generated by the burn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roasting space through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and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over the entire roasting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ion rate of heat is increased.
그리고 상기 버너는 상기 구이본체에 연결설치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화염에 의한 열기를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와 보조 열기 공급구 쪽으로 유도시키기 위한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연결되어 있고 열기를 상호 다른 경로로 유도하기 위한 분배부, 상기 분배부와 연결되어 있고 열기를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열기 공급부, 상기 분배부와 연결되어 있고 열기를 상기 보조 열기 공급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열기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burner is connected to the roasting body to generate a flame, a blower connected to the burner, and a blower for inducing the heat by the flame toward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and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and the blower connected to the burner a distribution unit for guiding the hot air to different paths, a first hea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and moving the hot air toward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a first hea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and transferring the heat to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hot air supply unit that moves to the side.
이때 상기 제1열기 공급부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분배관, 상기 제1분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에 결합되어 있는 제1연결관, 상하 길이방향을 갖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제1열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제1열기 토출공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이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제1연결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관을 통과한 열기가 상기 각 제1열기 토출공을 통해 측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메인 열기 토출관을 포함할 수 있고,In this case, the first hot air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distribu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a first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istribution pipe and coupled to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has an open lower portion, a first hot air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first hot air outlet holes are arrang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ipe in a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in the roasting space, It may include a main hot air discharge pipe that allows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to be discharged in a lateral direction in all directions through each of the first heat discharge holes,
상기 제2열기 공급부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분배관, 상기 제2분배반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관, 상기 구이공간에 위치하되 좌우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에 제2열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부가 상기 보조 열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제2연결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부에는 복수개의 제2열기 토출공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결관을 통과한 열기가 상기 각 제2열기 토출공을 통해 측방향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열기 토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t air supply unit includes a second distribu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a second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istribution panel and coupled to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and located in the roasting space. However, it has a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heat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therei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through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and a plurality of second heat discharge holes are arranged at the other e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uxiliary hot air discharge pipe for allowing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to be discharged laterally through each of the second hot air discharge holes.
그리고 상기 구이본체의 외부 상단에 위치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이며 하단부가 상기 구이본체의 배기구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회전 과정에서 상기 배기관의 내부 중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 지점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배기조절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located at the outer upper end of the roasting body,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in the form of an open hollow tube,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port of the roasting body, and located so as to be rotatable inside the exhaust pipe,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in the rotation process It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control damper that can block or open a point between the upper middle part and the lower part.
이러한 본 발명은,This invention is
버너에 의해 발생된 화염 열기가 제1열기 공급부와 제2열기 공급부로 분배되어 구이공간의 바닥과 측면에서 동시에 공급됨에 따라,As the flame heat generated by the burner is distributed to the first heat supply unit and the second heat supply unit and is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roasting space,
열기가 구이공간내 다 방향에서 입체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구이공간내 열기의 확산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구이공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을 수 있다.Since the heat is supplied three-dimensionally from multiple directions in the roasting space, the heat in the roasting space is spread quickly and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roasting space, so that the meat can be cooked uniformly as a whole.
따라서 사용자가 고기의 위치를 수시로 바꿔줘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구이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frequent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meat can be eliminated, and the roasting time can be shortened.
그리고 구이 과정에서 구이공간 내 열기의 외부 배기량이 배기조절 댐퍼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구이공간 내 열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이고 구이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nd since the external exhaust amount of heat in the roasting space can be controlled by the exhaust control damper during the roasting process, the loss of heat in the roasting space can be minimized and the roast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즉 본 발명은 구이공간 내에 구이본체의 천정 중앙부에 위치한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 트레이를 위치시키고, 배기 조절부를 구이본체 상부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배치하며 열기의 배출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측면에 보조 열기공급부를 설치하여 구이공간 내 열기가 더욱 골고루 퍼지도록하여 열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구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ositions a rotating tray rotatable by a rotation driving unit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eiling of the roasting body in the roasting space, and arranges the exhaust control unit near on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asting body so that the amount of heat can be controlled and the lower side By installing an auxiliary heat supply unit in the oven, the heat in the roasting space is spread more evenly, minimizing heat loss and further improving the roasting efficiency.
도1은 전체 외부 사시도
도2는 도1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3은 전체 정면도
도4는 전체 측면도
도5는 배기 조절부의 단면 개략도1 is an overall external perspective view;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n overall front view;
4 is an overall side view;
5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an exhaust control unit;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기 구이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구이본체(100)와 열기 발생부(200), 회전 구동부(400), 회전 트레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rotary meat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먼저 구이본체(100)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케이스 역할 및 후술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설치구조 제공 역할을 하는 것이다.First, the
이러한 구이본체(100)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를 이루되 내부에는 구이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는 후술하는 배기 조절부(300)의 설치를 위한 배기구(120)가 형성되며 구이공간(110) 바닥 중앙에는 후술하는 제1연결관(244)의 설치를 위한 메인 열기 공급구(130)가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고 구이공간(110)의 내부 측벽면에는 후술하는 제2연결관(254)의 설치를 위한 보조 열기 공급구(140)가 좌우 관통 형성된 형태이다.The
이때 구이본체(100)의 구이공간(110) 전측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지점에는 개폐도어(101)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구이공간(110) 내 고기를 밖으로 쉽게 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또한 개폐도어(101)를 비롯해 구이본체(100)의 일측면과 후측면에는 투시창(150)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구이공간(110) 내 고기의 익힘 정도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ee-
구이본체(100)의 타 측부에는 후술하는 버너(210) 등의 열기 발생부(200)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160)이 형성된다.An
참고로 이러한 구이본체(100)의 형상과 모양 및 크기 등은 도면과 위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구이공간(110)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발생된 열기를 여러 방향에서 구이공간(110) 안으로 공급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hape, shape, and size of the
이러한 구이본체(100)에는 열기 발생부(200)가 연결 설치된다.A
열기 발생부(200)는 고기 구이에 필요한 적정 수준의 열기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버너(210)와 송풍부(220), 분배부(230) 및 제1열기 공급부(240) 및 제2열기 공급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그 중 버너(210)는 구이용 열기 발생을 위한 화염발생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이본체(100)의 설치공간(160) 내에 설치되며, 가나 기름 등의 연료를 이용해 점화한 후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Among them, the
송풍부(220)는 버너(210)의 점화 및 연소 과정에서 필요한 공기공급역할 및 발생된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열기를 구이본체(100)의 구이공간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도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연소장치에 사용되는 브로워(Blower)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이러한 송풍부(220)는 구이본체(100)의 설치공간(16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버너(210)와 연결되어 버너(210)의 화염에 의해 형성된 열기를 후술하는 분배부(23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분배부(230)는 버너(210)를 통해 발생된 열기를 별도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버너나 보일러 등에서 사용되는 챔버(Chamber)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이러한 분배부(230)는 구이본체(100)의 설치공간(160)에 위치하고 버너(210) 및 송풍부(220)와 연결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열기 공급부(240) 및 제2열기 공급부(250)와 연결된다.The
제1열기 공급부(240)는 분배부(230)에서 분배된 열기 일부가 구이본체(100)의 메인 열기 공급구(130)쪽으로 이동 되도록 경로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속 호스 형태의 제1분배관(242) 일단부가 분배부(230) 일측에 연결되고 제1분배관(242)의 타단부에는 제1연결관(244)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연결관(244)은 구이본체(100)의 메인 열기 공급구(130) 하단에 관통 결합되어 구이공간(110)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irst
제2열기 공급부(250)는 분배부(230)에서 분배된 열기 일부가 구이본체(100)의 보조 열기 공급구(140) 쪽으로 이동되도록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분배관(242)과 동일한 형태의 제2분배관(252) 일단부가 분배부(230) 타측에 연결되고 제2분배관의 타단부에는 제2연결관(254)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연결관(254)은 구이본체(100)의 보조 열기 공급구(140)에 관통 결합되어 구이공간(110)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hot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버너(210)에서 발생된 화염 열기는 분배부(230)를 통해 제1열기 공급부(240)와 제2열기 공급부(250)로 분배된 상태로 이동하여 각각 메인 열기 공급구(130) 및 보조 열기 공급구(140)를 통해 동시에 구이공간(110)으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By this structure, the flame heat generated by the
제1열기 공급부(240)와 제2열기 공급부(250)는 각각 메인 열기 토출관(260)과 보조 열기 토출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The first
그 중 메인 열기 토출관(260)은 열기가 제1연결관(244)을 통과하여 구이공간(110) 안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구이공간 바닥에서 위쪽을 향해 직선 형태로 공급되지않고 전후좌우 사방으로 분산되어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요소이다.Among them, the main hot
이러한 메인 열기 토출관(260)은 상하 길이방향을 갖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부가 막혀 있는 각관 형태이고 내부에는 제1연결관(244)을 통해 배출된 열기가 1차적으로 수용되는 제1열기 수용공간(2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 둘레면에는 열기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제1열기 토출공(264)들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구조이다.The main hot
메인 열기 토출관(260)은 후술하는 구이공간(11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제1연결관(244) 상단부에 결합되어 제1연결관(244) 내부와 메인 열기 토출관(260)의 제1열기 수용공간(262)이 상호 연통된 형태로 설치된다.The main hot
보조 열기 토출관(270)은 열기가 제2연결관(254)을 통과하여 구이공간(110) 안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열기가 구이공간(110) 중앙부를 향해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요소이다.The auxiliary hot
이러한 보조 열기 토출관(270)은 구이공간(110) 내에 위치하되 좌우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에 제2열기 수용공간(2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부가 보조 열기 공급구(140)를 통해 제2연결관(254)과 결합되어 제2연결관(254) 내부와 제2열기 수용공간(272)이 상호 연통된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다.This auxiliary hot
그리고 보조 열기 토출관(270)의 타측 단부에는 열기의 배출을 위한 제2열기 토출공(274)이 형성된다.A second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버너(210)에서 발생된 화염 열기가 구이공간(110)의 바닥과 측면부에서 상호 수직방향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결국 구이공간(110) 내에서 단순 일방향이 아니라 사방으로 입체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이공간 전체에 걸쳐 열기확산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the flame heat generated by the
이 상태에서 구이본체(100)에는 배기 조절부(300)가 더 설치된다.In this state, the
배기 조절부(300)는 구이과정에서 구이공간(110) 내 열기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열기의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관(310)과 조절댐퍼(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그 중 배기관(310)은 구이본체(100)의 배기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의 이동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이고 구이본체(100) 상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구이본체(100)의 배기구(120)에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된다.Among them, the
따라서 배기관(310)은 구이본체(100)의 상부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회전 구동부(400)의 설치에 방해되지 않고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조절댐퍼(320)는 구이공간(110) 내 열기가 배기관(3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통과여부의 제어 및 통과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회전판(330)과 작동레버(340)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그 중 회전판(330)은 실질적으로 열기의 배기관(310) 통과여부 및 통과량, 즉 배기량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배기관(31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배기관(310) 내부를 가로막는 형태로 위치되며 양측단부가 힌지를 통해 배기관 벽면에 연결됨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기관(310) 내부를 완전히 가로막거나 개방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Among them, the
그리고 작동레버(340)는 배기관(310) 외부에서 회전판(330)의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회동 손잡이 형태이고 배기관(310)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단부가 배기관(310)과 회전판(330) 간 힌지 연결지점에 연결되어 설치된다.And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해 조절댐퍼(320)는 사용자가 작동레버(340)를 일정각도 회동시키면 배기관(310) 내부의 회전판(330)이 회전되어 배기관(310) 내부를 완전히 개폐할 수 있고 회동 각도에 따라 열기의 배기량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With this structure, the
이 상태에서 구이본체(100)에는 회전 구동부(400)가 설치된다.In this state, the
회전 구동부(400)는 후술하는 회전 트레이(500)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 제공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구동모터(410)와 동력전달부(420)로 구분되어 구성된다.The
그 중 구동모터(410)는 회전 구동부(400) 중 실질적인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동모터 형태이고 구이본체(1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 전원에 의해 모터축이 회전하는 형태이다.Among them, the driving
동력전달부(420)는 구동모터(410)의 구동력을 후술하는 회전 트레이(5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감속기(422)가 구동모터(410)에 연결되고 구동기어(424)가 감속기(422)에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구동기어(424)는 구이본체(100)의 상부를 상하 관통하는 별도의 회전축(426)에 관통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회전축(426)은 구이본체(100)의 상부면 중앙지점을 상하 관통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회전 트레이(500)이 구이공간(110) 내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참고로 동력전달부(420)는 이러한 감속기(422)와 구동기어 구조 외에 밸트와 밸트풀리 형태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구현 가능하다.For reference, the
이 상태에서 구이본체(100)에는 회전 트레이(500)가 설치된다.In this state, the
회전 트레이(500)는 구이대상물을 구이공간(110) 내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회전시켜 구이공간(110) 내 열기와 구이대상물 간의 접촉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프레임이 상호 연결된 뼈대 형태이고 구이공간(11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회전축(426)에 연결된 형태로 설치된다.The
이때 회전 트레이(500)는 구이공간(110) 바닥에 세워져 있는 메인 열기 토출관(260)과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위치됨에 따라, 메인 열기 토출관(260)으로부터 배출된 열기가 상승하면서 회전 트레이(500)에 안착되어 있는 구이대상물과 충분히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By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구이대상물이 회전 트레이(5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 트레이(500)와 구이대상물의 회전이 진행되고, 버너(210)에서 발생된 열기는 메인 열기 토출관(260)과 보조 열기 토출관(270)을 통해 구이공간(110)의 바닥면과 측부로부터 공급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roasting object is seated on the
이렇게 공급된 열기는 곧바로 상승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서 구이공간(110) 전체에 걸쳐 열기가 확산 분포된다.As this process continues, the supplied heat is immediately raised, and the heat is spread and distributed throughout the
이때 열기가 구이공간(110) 바닥과 측부로부터 동시에 다방향에서 입체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구이공간(110) 내 열기 확산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이대상물과의 접촉율이 높아져 구이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heat is supplied three-dimensionally from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이러한 구이 과정에서 구이공간(110) 내 열기 일부는 배기관(31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데, 이때 회전판의 회동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배기에 의한 구이공간 가열효율 저하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roasting process, some of the heat in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구이공간으로 공급되는 열기가 구이공간 바닥과 측벽으로부터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여 구이공간의 가열효율을 높이고 구이효율도 향상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The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comb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these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allow the heat supplied to the roasting space to be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bottom and side walls of the roasting space to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roasting space. If it is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and purpose of increasing and improving the roasting efficiency, it should be determin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구이본체 110 : 구이공간
120 : 배기구 130 : 메인 열기 공급구
140 : 보조 열기 공급구 101 : 개폐도어
150 : 투시창 160 : 설치공간
200 : 열기 발생부 210 : 버너
220 : 송풍부 230 : 분배부
240 : 제1열기 공급부 242 : 제1분배관
244 : 제1연결관 250 : 제2열기 공급부
252 : 제2분배관 254 : 제2연결관
260 : 메인 열기 토출관 262 : 제1열기 수용공간
264 : 제1열기 토출공 270 : 보조 열기 토출관
272 : 제2열기 수용공간 274 : 제2열기 토출공
300 : 배기 조절부 310 : 배기관
320 : 조절댐퍼 330 : 회전판
340 : 작동레버
400 : 회전 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 동력전달부 422 : 감속기
424 : 구동기어 426 : 회전축
500 : 회전트레이100: roasting body 110: roasting space
120: exhaust port 130: main hot air supply port
140: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101: opening and closing door
150: see-through window 160: installation space
200: heat generating unit 210: burner
220: blower 230: distribution unit
240: first heat supply unit 242: first distribution pipe
244: first connector 250: second hot air supply unit
252: second distribution pipe 254: second connection pipe
260: main hot air discharge pipe 262: first heat receiving space
264: first heat discharge hole 270: auxiliary hot air discharge pipe
272: second heat receiving space 274: second heat discharge hole
300: exhaust control unit 310: exhaust pipe
320: adjustable damper 330: rotating plate
340: operation lever
400: rotation driving unit 410: driving motor
420: power transmission unit 422: reducer
424: drive gear 426: rotation shaft
500: rotating tray
Claims (4)
상기 구이본체(10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130)와 보조 열기 공급구(140)를 통해 상기 구이공간(110) 내부로 화염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 발생부(200),
상기 구이본체(100)의 상부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400),
상기 구이공간(110) 내 중앙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상기 회전 구동부(400)와 연결되며 구이대상물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400)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 트레이(500),
상기 구이본체(100)의 상부면 중 일측 모서리 부근에 상기 구이공간(11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이공간 내 열기의 외부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배기 조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열기 발생부(200)는,
상기 구이본체(100)에 연결설치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210),
상기 버너(2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화염에 의한 열기를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130)와 보조 열기 공급구(140) 쪽으로 유도시키기 위한 송풍부(220),
상기 송풍부(220)와 연결되어 있고 열기를 상호 다른 경로로 유도하기 위한 분배부(230),
상기 분배부(230)와 연결되어 있고 열기를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130)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열기 공급부(240),
상기 분배부(230)와 연결되어 있고 열기를 상기 보조 열기 공급구(140)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열기 공급부(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기 발생부(200)에 의해 발생된 화염 열기가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130)와 보조 열기 공급구(140)를 통해 상기 구이공간(110)의 바닥과 측부에서 동시에 공급됨에 따라 상기 구이공간(110) 전체에 걸쳐 열기의 확산율을 높이고 상기 배기 조절부(300)를 통해 상기 구이공간(110) 내 열기의 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열기 손실을 최소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기 구이기.
A roasting space 110 is formed inside, an exhaust port 1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 main heat supply port 130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an auxiliary heat supply port 14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surface. Grilled body (100),
A heat generating unit 200 installed under the roasting body 100 to supply flame heat to the inside of the roasting space 110 through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140,
The rotation driving unit 400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asting body 100,
A rotation tray 50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asting space 110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unit 400 at an upper end and rotatable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400 in a state where the roasting object is placed,
I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oasting space 110 in the vicinity of on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asting body 100 and includes an exhaust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ischarge of heat in the roasting space,
The heat generating unit 200,
A burner 210 connected to the roasting body 100 to generate a flame,
A blower 220 connected to the burner 210 and for inducing the heat by the flame toward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140;
A distribution unit 230 connected to the blower 220 and for inducing heat to different paths from each other;
The first heat supply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230 and moves the heat toward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130 ,
The second heat supply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230 and moves the heat toward the auxiliary heat supply port 140 .
It consists of
As the flam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unit 200 is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roasting space 110 through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130 and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140 , the roasting space (110) Rotary meat roa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loss is minimized by increasing the diffusion rate of the heat throughout and controlling the exhaust amount of the heat in the roasting space (110) through the exhaust control unit (300).
상기 제1열기 공급부(240)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부(230)와 연결되어 있는 제1분배관(242),
상기 제1분배관(24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130)에 결합되어 있는 제1연결관(244),
상하 길이방향을 갖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제1열기 수용공간(262)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제1열기 토출공(264)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이공간(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제1연결관(244)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관(244)을 통과한 열기가 상기 각 제1열기 토출공(264)을 통해 측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메인 열기 토출관(26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열기 공급부(250)는,
일단부가 상기 분배부(230)와 연결되어 있는 제2분배관(252),
상기 제2분배관(25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열기 공급구(130)에 결합되어 있는 제2연결관(254),
상기 구이공간(110)에 위치하되 좌우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에 제2열기 수용공간(2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부가 상기 보조 열기 공급구(140)를 통해 상기 제2연결관(254)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부에는 복수개의 제2열기 토출공(274)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결관(254)을 통과한 열기가 상기 각 제2열기 토출공(274)을 통해 측방향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열기 토출관(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기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heat supply unit 240,
A first distribution pipe 24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230,
a first connection pipe 24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istribution pipe 242 and coupled to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130;
It has an up-and-down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part is open, a first heat receiving space 262 is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hot air outlet holes 264 are arrang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located in the roasting space 110 . In this stat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244 , and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244 is discharged in a lateral direction in all directions through each of the first heat discharge holes 264 . Including a main hot air discharge pipe (260),
The second heat supply unit 250,
A second distribution pipe 25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230,
a second connection pipe 25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istribution pipe 252 and coupled to the main hot air supply port 130;
It is located in the roasting space 110 but has a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heat receiving space 272 is formed therei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254 through the auxiliary hot air supply port 140 . It is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second hot air outlet holes 274 are arranged at the other end, and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ipe 254 is directed laterally through each of the second hot air outlet holes 274 . Rotary meat ro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hot air discharge pipe (270) to be discharged.
상기 배기 조절부(300)는,
상기 구이본체(100)의 외부 상단에 위치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이며 하단부가 상기 구이본체(100)의 배기구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배기관(310),
상기 배기관(310)의 내경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배기관(3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양측단부가 배기관의 측벽면에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 과정에서 상기 배기관(310)의 내부 중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 지점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회전판(330),
상기 배기관(3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회전판(330)의 힌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하고 회동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회동시킬 수 있는 작동레버(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기 구이기.
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and 3,
The exhaust control unit 300,
An exhaust pipe 310, which is located at the outer upper end of the roasting body 100, has an open upper end and a lower end, and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port of the roasting body 100,
It is in the form of a plate material having the same area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exhaust pipe 310 and is located inside the exhaust pipe 310 so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by a hinge to be rotatable around the hinge, and the exhaust pipe in the rotation process Rotating plate 330 that can block or open the point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ior of the 310,
and an operation lever 340 positioned outside the exhaust pipe 310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hinge of the rotary plate 330 to be rotatably positioned and rotated to rotate the rotary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7700A KR102442687B1 (en) | 2021-04-13 | 2021-04-13 | Rotary type machine for meat roas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7700A KR102442687B1 (en) | 2021-04-13 | 2021-04-13 | Rotary type machine for meat roas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2687B1 true KR102442687B1 (en) | 2022-09-08 |
Family
ID=8327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7700A Active KR102442687B1 (en) | 2021-04-13 | 2021-04-13 | Rotary type machine for meat roas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268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8123B1 (en) * | 2023-03-06 | 2024-08-22 | 임정운 | Meat Processing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1265A (en) * | 2000-02-11 | 2001-08-29 | 구자홍 | ignition device of broil portion in gas oven range |
KR200292982Y1 (en) * | 2002-07-25 | 2002-10-25 | 곽용대 | Electrical roasting device for meat |
KR20130115902A (en) * | 2012-04-13 | 2013-10-22 | (주)두존 | Rotary grill device |
KR101497606B1 (en) * | 2014-07-17 | 2015-03-03 | 한삼연 | Beer chicken roasting machine |
WO2020047509A1 (en) * | 2018-08-30 | 2020-03-05 | A. J. Antunes & Co. | Automated bun handling system for handling different types and numbers of buns in accordance with patron orders |
-
2021
- 2021-04-13 KR KR1020210047700A patent/KR1024426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1265A (en) * | 2000-02-11 | 2001-08-29 | 구자홍 | ignition device of broil portion in gas oven range |
KR200292982Y1 (en) * | 2002-07-25 | 2002-10-25 | 곽용대 | Electrical roasting device for meat |
KR20130115902A (en) * | 2012-04-13 | 2013-10-22 | (주)두존 | Rotary grill device |
KR101497606B1 (en) * | 2014-07-17 | 2015-03-03 | 한삼연 | Beer chicken roasting machine |
WO2020047509A1 (en) * | 2018-08-30 | 2020-03-05 | A. J. Antunes & Co. | Automated bun handling system for handling different types and numbers of buns in accordance with patron order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8123B1 (en) * | 2023-03-06 | 2024-08-22 | 임정운 | Meat Process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88992B2 (en) | Gas oven range | |
CA2834144C (en) | Gas oven range | |
KR101925368B1 (en) |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04660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2442687B1 (en) | Rotary type machine for meat roasting | |
KR20150045795A (en) | Gas oven | |
KR101497606B1 (en) | Beer chicken roasting machine | |
KR101727819B1 (en) | Coffee bean roasting device | |
KR20140134013A (en) | Whole chicken roasting machine | |
JP3840234B2 (en) | Rotary gas furnace | |
KR101864493B1 (en)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110105414A (en) | Charcoal Grill | |
US3241543A (en) | Burner arrangement for domestic cooking oven | |
KR101932412B1 (en) | Stove for pizza cooking | |
KR200259785Y1 (en) | Barbecue Apparatus for Smoking | |
KR102402310B1 (en) | automatic meat roasting device | |
KR20150133452A (en) | Dome typed cooking stove for baking for example bread such as pizza | |
KR20110109657A (en) | Outdoor cooker | |
KR102389405B1 (en) | A kilin for cooking | |
KR102212006B1 (en) | Air blowing roaster | |
KR101355907B1 (en) | Conveyor oven with dual-row conveyor | |
KR101292829B1 (en) | indirect heating type ignition apparatus of charcoal | |
KR20090062007A (en) | Cooker | |
KR200169832Y1 (en) | Roaster | |
KR200207255Y1 (en) | Exhaust device for meat roas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7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