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1677B1 - Parking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Parking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677B1
KR102441677B1 KR1020187024412A KR20187024412A KR102441677B1 KR 102441677 B1 KR102441677 B1 KR 102441677B1 KR 1020187024412 A KR1020187024412 A KR 1020187024412A KR 20187024412 A KR20187024412 A KR 20187024412A KR 102441677 B1 KR102441677 B1 KR 10244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ignal
information
detecting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1866A (en
Inventor
치즈루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오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3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581B1/en
Publication of KR2018011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8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67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특별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 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주차장에서의 주차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주차장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의 신호를 휴대 단말(3)의 통신부(303)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30)과, 주차장으로의 입장을 판단하는 입장 판단 수단(31)과, 휴대 단말(3)의 센서부(307)를 사용하여, 동작정보의 검출을 개시하는 동작 검출 수단(32)과,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위치의 판단을 행하는 하차 판단 수단(33)과, 상기 하차 위치 및 상기 신호 검출 수단(30)에서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주차위치 결정 수단(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out mounting a special device on the vehicle, as a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parking position in a parking lot, Signal detection means 30 for detecting the signal of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303 of the portable terminal 3, the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31 for determining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the sensor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3 ( 307), motion detecting means 32 for starting detection of motion information, getting off judging means 33 for judging a disembarkation position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the disembarkation position and the signal detecting means (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34) is provided for determining the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in step (30).

Figure 112018090067623-pct00001
Figure 112018090067623-pct00001

Description

주차관리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주차장 내에서의 주차위치의 기록을 행하기 위한 주차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recording a parking position in a parking lot.

백화점이나 쇼핑몰, 주차 구역(parking area) 등에는 복수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장이 병설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장에서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 자신의 차량을 주차한 위치를 잊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주차위치의 기록 등을 행하기 위한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In department stores, shopping malls, parking areas, and the like, parking lots in which a plurality of vehicles can be parked are attached. However, in such a parking lot, there is a case where the location where one's vehicle is parked, such as a car, a motorcycle, or a bicycle, is forgotten. For this reason, a technique for recording the parking position and the like has been desire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이동체와 휴대 단말을 통신 가능하게 하고, 이동체와 휴대 단말의 접속이 해제된 경우, 해제 검지시 전후의 소정 시간 내에 취득된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기술에 의해, 이동체와 휴대 단말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정차 위치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a technique is known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body and a portable terminal, and stores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disconnection is detecte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body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disconnected (patented). Literature 1). With this techniqu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automatically record the stop position.

또한, 주차 구획에 설치된 주차 관리 장치가 차량에 탑재된 비콘 장치로부터 차량 식별자를 취득하고,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차량 식별자와 주차위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Moreover, the technique in which the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installed in the parking division acquires a vehicle identifier from the beacon apparatus mounted in the vehicle, and the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associates and stores the said vehicle identifier and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is known (patent document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5-81913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5-81913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5-153217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5-153217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차량에 카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한 장치나, 차량 식별자를 발신하는 비콘 장치 등을 탑재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이 탑재된 차량이 아니면 주차위치의 기록을 행할 수 없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mount a vehic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ar navigation device, a beacon device that transmits a vehicle identifier, or the like. For this reason, it is impossible to record the parking position unless it is a vehicle on which these are mounted.

예를 들면, 사용자 자신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카네비게이션 장치를 탑재하는 렌터카나, 카네비게이션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오토바이, 자전거 등에서는 주차위치의 기록을 할 수 없다.For example, a parking position cannot be recorded in a rental car equipped with a car navigation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the user, or a motorcycle or bicycle that is not equipped with a car navigation device.

또한, 지하에 있는 주차장 등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GPS 신호에 기초하는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주차위치를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cannot be receiv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it is impossible to record a parking lo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GPS sig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에 특별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 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out mounting a special device on the vehic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의 주차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관리시스템으로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parking position in a parking lot,

상기 주차장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휴대 단말의 통신부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과,a signal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arranged in the parking lot using a communication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주차장으로의 입장을 판단하는 입장 판단 수단과,an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휴대 단말의 센서부를 사용하여, 동작정보의 검출을 개시하는 동작 검출 수단과,motion detection means for starting detection of motion information using the sensor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위치의 판단을 행하는 하차 판단 수단과,disembark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 disembarkation posi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상기 하차 위치 및 상기 신호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주차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alighting position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means.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측은 특별한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만으로 주차위치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the user side can record a parking position only with the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without mounting a special apparatus in a vehicle.

또한, 사용자 자신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카네비게이션 장치를 탑재하는 렌터카나, 카네비게이션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오토바이, 자전거 등에서도 주차위치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position can be recorded even in a rental car equipped with a car navigation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the user, or a motorcycle or bicycle that is not equipped with a car navigation device.

또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지하에 있는 주차장 등에서도 주차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parking position even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here GPS signals cannot be received.

점포측에서도 주차장에 신호 발신 장치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주차위치의 기록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e side can easily provide the user with a means for recording the parking position simply by arranging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in the parking lo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동작 검출 수단은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승차 중인지 여부의 상태를 결정하고,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detecting means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n the basis of the motion information,

상기 하차 위치는 상기 상태가 승차 중인 상태로부터 변화했을 때에 상기 신호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embarking position is determined based on a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means when the state changes from the riding st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하차 판단 수단에서 행해지는 하차 위치의 판단은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주차 관리 서버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disembarkation position performed by the disembarkation determination means is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하차 판단 후에 소정의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취했을 때, 휴대 단말에 주차위치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mobile terminal of a parking position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signal transmitting device after getting off judgment.

주차장으로부터 시설로의 입구 등에 신호 발신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시설에 입장한 타이밍에 주차위치의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시설에 입장하지 않은 사용자 등에 대한 불필요한 통지를 없앨 수 있다.By installing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at the entrance or the like from the parking lot to the facility, the parking position can be notified at the timing of entering the facility. Thereby, unnecessary notifications to users who do not enter the facility or the like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통지 수단은 주차위치의 결정이 실패한 경우, 상기 소정의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취했을 때, 휴대 단말에 상기 소정의 신호 발신 장치가 설치된 구역(area) 정보의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fails, whe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redetermined signal transmitting device, the notification means notifies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area information in which the predetermined signal transmitting device is installed.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주차를 행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주차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점포 입구로부터 점포에 입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차위치의 특정이 실패한 경우여도 소정의 구역(주차장 내에 설치된 점포 입구나, 주차장으로부터 점포로 이동하기 위한 도보 출구 등)에 설치된 신호 발신 장치의 구역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대략적인 주차위치를 알릴 수 있다.The user who has parked generally enters the store from the store entrance closest to the parking place. With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iden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fails, by notifying the area informa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such as a store entrance installed in a parking lot, a walking exit for moving from a parking lot to a store, etc.), It can inform you of a parking lo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통지 수단은 통지와 함께 전송(配信)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means transmits transmiss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notification.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차위치의 통지와 함께 원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차위치 확인을 위해 휴대 단말을 확인하게 되므로, 그 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전송만을 목적으로 한 통지에 비해 사용자가 내용에 흥미를 나타낼 가능성이 보다 높아진다.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desir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notification of a parking position. Since the user checks the mobile terminal to confirm the parking location, at that time, desir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or this reason, the possibility that the user will show interest in the content is higher than that of a no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on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통신부는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검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a signal from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상기 입장 판단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검지한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입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통신부는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검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구비하고,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a signal from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and a GP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GPS signal,

상기 입장 판단 수단은, 상기 GPS 수신부가 검지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장과 대응지어진 소정 영역 내로의 입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into a predetermined area associated with the parking lot is determined based on the GPS signal detected by the GPS receiver.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장 판단을 GPS 신호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주차장이 지하에 있는 경우여도 지상에서 검지되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입장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entrance judgment can be performed based on a GPS signal. Even when the parking lot is underground, the entranc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GPS signal detected from the ground, so the same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통신부는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검지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구비하고,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a signal from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and a GP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GPS signal,

상기 GPS 수신부가 검지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장과 대응지어진 소정 영역 밖으로의 출장을 판단하는 출장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usiness trip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a business trip outside a predetermined area associated with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GPS signal detected by the GPS receiver.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차장에 주차 후, 도보로 귀가하는 경우여도 출장 판단을 행할 수 있다.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even when returning home on foot after parking in a parking lot, a business trip judgmen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주차이력을 관리하는 주차이력 관리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king history management means for managing the parking history.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주차 상황을 알 수 있다.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the parking situation until now can be known.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의 주차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휴대 단말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for managing a parking position in a parking lot,

상기 주차장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과,signal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ignal from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disposed in the parking lot;

주차장으로의 입장을 판단하는 입장 판단 수단과,an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센서부를 사용하여, 동작정보의 검출을 개시하는 동작 검출 수단과,motion detection means for starting detection of motion information using the sensor unit;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위치의 판단을 행하는 하차 판단 수단과,disembark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 disembarkation posi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상기 하차 위치 및 상기 신호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주차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alighting position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means.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의 주차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프로그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king management program for managing a parking location in a parking lot,

컴퓨터를,computer,

위치정보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으로의 입장을 판단하는 입장 판단 수단과,an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r information by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센서부에 동작정보의 검출을 행하게 하는 동작 검출 수단과,motion detection means for causing the sensor unit to detect motion information;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위치의 판단을 행하는 하차 판단 수단과,disembark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 disembarkation posi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상기 하차 위치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주차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alighting position and a signal detected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의 주차위치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방법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a parking position in a parking lot,

검출한 위치정보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으로의 입장을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based on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r information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센서부에 동작정보의 검출을 행하게 하는 단계와,allowing the sensor unit to detect motion information;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위치의 판단을 행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disembarkation loc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상기 하차 위치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서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get-off position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특별한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 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out mounting a special device on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관리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관리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장에 배치한 신호 발신 장치의 식별 정보의 설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신호 발신 장치의 배치예 및 입장 판단을 위한 영역의 설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휴대 단말에서의 화면 표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장으로의 차량의 입장 판단으로부터 주차위치를 통지하기까지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위치의 통지에서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장까지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시설 사용자 단말에서의 화면 표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주차이력을 출력했을 때의 출력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주차장으로의 차량의 입장 판단으로부터 주차위치를 통지하기까지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장까지의 처리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utline|summary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rk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ample of se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arranged in a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the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setting an area for determination of an entrance.
Fig. 7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from the determinat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to the parking lot to the no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from notification of a parking position to a business trip from a parking lo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in the facility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utput contents when a parking histo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put.
Fig. 12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from the determinat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to the parking lot to the no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from a parking lot to a business tr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형태 1〉<Embodiment 1>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이고,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drawings. In addition, embodiment shown below is an example of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 A various structure can also be employ|adopted.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 동작 등에 대해 설명하지만, 동일한 구성의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기록 매체 등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 기록 매체를 사용하면, 예를 들면, 컴퓨터에 상기 프로그램을 인스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CD-ROM 등의 비일과성 기록 매체여도 된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but the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can also achieve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Further,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By using this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the program can be installed in a computer. Here, th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may be, for example,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본 실시형태에서는 쇼핑몰 주차장에서 자동차의 주차 관리를 행할 때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차량이란, 예를 들면, 자동차 외에 자전거나 오토바이, 배송 차량, 버스 등의 탈 것을 나타낸다.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at the time of performing parking management of a car in a shopping mall parking lot is demonstrated. The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vehicles other than automobiles, such as bicycles, motorcycles, delivery vehicles, and buses, for examp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관리의 목적으로서, 쇼핑센터에서의 고객의 주차위치의 관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 밖에, 백화점이나 유원지, 관광지, 주차 구역 등의 주차장, 자전거 보관소에서의 주차위치 관리, 공장, 배송 센터, 자동차 교습소, 버스 기지 등에서의 차량 관리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the objective of parking management, the case where the customer's parking position in a shopping center is managed is illustrat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parking locations such as department stores, amusement parks, tourist attractions, parking areas, etc., parking location management in bicycle storage, and vehicle management in factories, delivery centers, car schools, bus bases, etc.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주차 관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측에서 행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한다. 예를 들면, 주차장으로의 입장 판단이나, 사용자가 승차 중인지 여부의 판단, 주차위치를 특정하는 처리 등은 반드시 휴대 단말측에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이러한 처리는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그 결과를 휴대 단말에서 이용하도록 구성해도 상관 없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rocess for realizing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of this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side possessed by a user is exemplified. For example, determination of entrance to a parking lot,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user is riding, processing for specifying a parking position, etc. are not necessarily per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side. Such processing may be executed on a server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via a network, and the result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관리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 1은 주차 관리 서버를 나타내고, 부호 2는 기억부를 나타내고, 부호 3은 차량의 탑승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을 나타내며, 부호 4는 주차장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신호 발신 장치(4)는 미리 주차장 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utline|summary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parking management server,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storage unit,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an occupant of a vehicle, and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arranged in a parking lot. One or more signal transmitting devices 4 are arranged in advance in the parking lo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차 관리 서버(1)는 CPU(101)와, 메모리(102)와,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통신부(103)와, 기억부(104)와, 입력부 (105)와, 출력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10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07)과, 처리 프로그램(108) 등이 기록되어 있다. 처리 프로그램(108)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07)(OS)과 협조하여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2 :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hardware structure of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includes a CPU 101 , a memory 102 , a communication unit 103 which i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storage unit 104 , an input unit 105 , and an output unit. (106) is provided. Further, in the storage unit 104, an operating system 107, a processing program 108, and the like are recorded. The processing program 108 cooperates with the operating system 107 (OS) to exert its fun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휴대 단말(3)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3)은 CPU(301)와, 메모리(302)와,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통신부(303)와, 기억부(304)와, 입력부(305)와, 출력부(306)와, 센서부(307)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GPS 수신부(309)를 구비하고 있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3 includes a CPU 301 , a memory 302 , a communication unit 303 serving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storage unit 304 , an input unit 305 , and an output unit ( 306 , and a sensor unit 307 .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and a GPS receiver 309 .

또한, 기억부(30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310)과, 주차 관리 프로그램(311) 등이 기록되어 있다. 주차 관리 프로그램(311)은 오퍼레이팅 시스템(310)과 협조하여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3) 및 주차 관리 서버(1)는 무선 통신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인터넷, WAN, LAN, Wi-Fi 등의 통신 기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mory|storage part 304, the operating system 310, the parking management program 311, etc. are recorded. The parking management program 311 cooperates with the operating system 310 to exhibit its function. The portable terminal 3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are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and can communicate via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WAN, LAN, and Wi-Fi, for example.

본 실시형태에서의 휴대 단말(3)은 스마트 폰이다. 그 밖에, 휴대 전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사용자에게 휴대되어 사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컴퓨터)이면, 본 발명에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는 bluetooth(등록상표) 통신 모듈이지만, 그 밖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에 의해 구성되어도 상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센서부(307)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의 구성은 본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움직임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를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해도 된다.The portable terminal 3 in this embodiment is a smart phone. In addition, an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carried and used by a user, such as a mobile phone or a wearable device, can be applied 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communication module, it may be configured by other communication modules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nsor unit 307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a sensor necessary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user's movemen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configur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주차관리시스템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신호 발신 장치(4)는 수신 장치(휴대 단말(3))에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 발신 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 신호 발신 수단(40)은 신호 발신 장치(4)를 구비하는 bluetooth(등록상표)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각각의 신호 발신 장치(4)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소정의 간격으로 발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정보(전송 식별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4 is provided with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40 which transmits a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3).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40 uses a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having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t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end out As described later, transmission information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5는 주차장에 배치한 신호 발신 장치(4)의 식별 정보의 설정예이다. 부호 r은 각각의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신호가 발신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신호 발신 장치(4)는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식별 정보를 갖는 신호가 발신됨으로써, 주차장의 어느 위치에 차량(휴대 단말(3))이 위치하고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5 : is an example of setting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4 arrange|positioned in the parking lot. Reference numeral r denotes a region from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each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 Each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4 is set to be identifiable by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a signal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vehicle (mobile terminal 3) is located in the parking lot.

휴대 단말(3)은 신호 검출 수단(30)과, 입장 판단 수단(31)과, 동작 검출 수단(32)과, 하차 판단 수단(33)과, 주차위치 결정 수단(34)과, 위치 설정 수단(35)과, 시각 설정 수단(36)과, 통지 수단(37)과, 출장 판단 수단(38)과, 주차이력 관리 수단(39)을 구비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3 includes a signal detecting means 30 , an entrance determining means 31 , a motion detecting means 32 , a getting off determining means 33 ,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34 , and a position setting means. (35), time setting means (36), notification means (37), business trip determination means (38), and parking history management means (39) are provided.

주차 관리 서버(1)는 전송 수단(10)과, 이력정보 관리 수단(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2)에는 전송정보(20)와, 이력정보(21)가 기록되어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includes a transmission means 10 and a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11 . Further, in the storage unit 2,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20 and the history information 21 are recorded.

신호 검출 수단(30)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의 bluetooth(등록상표)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소정 간격으로 검지된 신호는 예를 들면, 수신 시각과 연결되어, 휴대 단말(3)에 기록된다.The signal detecting means 3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through the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 Signals det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recorded in the portable terminal 3 in connection with the reception time, for example.

입장 판단 수단(31)은 GPS 수신부(309)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를 사용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 휴대 단말(3)이 입장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Geofence라고 불리는 위치정보를 사용한 가상의 경계선을 설정하고, 휴대 단말(3)의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영역 내로의 입장을 판단하고 있다.The entrance determining means 31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3 has enter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using the GP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ing unit 309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virtual boundary line using positional information called geofence is set, and an entrance into the area is judged us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 .

입장 판단에는 반드시 Geofence나 GPS 신호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비입장 상태에서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처음 신호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입장 판단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입장 판단 수단(31)은 반드시 휴대 단말(3)에 구비될 필요는 없고, 휴대 단말(3)을 통해 GPS 신호 등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취한 주차 관리 서버(1)측에서 처리되도록 구성해도 상관 없다.It is not necessary to necessarily use a geofence or a GPS signal for entrance determination, and for example, you may configure so that entranc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making the first signal reception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device 4 in a non-entrance state as a trigger. In addition, the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31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3, so that it is processed on the side of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such as a GPS signal,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3 It doesn't matter how you configure it.

도 6은 신호 발신 장치(4)의 배치예 및 입장 판단을 위한 영역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부호 P는 주차장을, 부호 I는 주차장 입구를, 부호 O는 주차장 출구를, 부호 g는 점포 등의 시설로의 입구를, 부호 p는 주차 공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a는 입장 판단을 행하는 영역(Geofence 영역)을, 부호 r은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신호가 발신되는 영역을, 부호 rg는 시설로의 입구 g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신호가 발신되는 영역을, 부호 PA, PB, PC는 임의의 주차 블록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the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4 and an example of setting an area for determination of an entrance.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P denotes a parking lot, I denotes a parking lot entrance, O denotes a parking lot exit, g denotes an entrance to a facility such as a store, and p denotes a parking space. In addition, the code|symbol a is the area|region (Geofence area) where entrance judgment is performed, the code|symbol r is the area|region where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sending apparatus 4, and the code|symbol rg is the signal sending apparatus 4 arrange|positioned at the entrance g to a facility. Areas from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symbols PA, PB, and PC indicate arbitrary parking blocks, respectively.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하나의 영역(r)만을 사용하여 주차위치(휴대 단말(3)의 위치)를 특정하는 예를 기재하고 있지만, 복수의 신호 발신 장치(4)의 신호가 겹치는 영역을 사용하여, 위치를 특정하도록 구성해도 상관 없다. 또한, 신호 검출 수단(30)에서 신호의 신호 강도를 함께 취득하고, 신호 강도에 기초하는 보다 상세한 위치의 특정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상관 없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5 and 6, an example of specifying a parking position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3) using only one area r is described, but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tting devices 4 overlap. You may configure so that a position may be identified using an area|region. Moreover, you may configure so that the signal intensity|strength of a signal may be acquired together with the signal detection means 30, and the more detailed position specification based on the signal intensity|strength may be performed.

동작 검출 수단(32)은 센서부(307)를 사용하여 사용자(휴대 단말(3))가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동작정보)를 판단한다. 입장 판단 후, 동작 검출 수단(32)을 사용한 처리가 개시된다.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동한 상태인지,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도보 등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즉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동작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정보는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판단되고, 검출 시각과 연결되어 휴대 단말(3)에 기록된다. 동작 검출 수단(32)은 반드시 휴대 단말(3)에 구비될 필요는 없고, 휴대 단말(3)을 통해 센서부(307)에서 검출된 센서값이나 동작정보를 수취한 주차 관리 서버(1)측에서 처리되도록 구성해도 상관 없다.The motion detecting means 32 uses the sensor unit 307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3) is moving in the vehicle (motion information). After the entrance determination, the process using the motion detection means 32 is star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in a vehicle or not in a vehicle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moving on foot, etc.), that is, determine the user's operation state and obtain it as operation information.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is recorded in the portable terminal 3 in connection with the detection time. The motion detection means 32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3,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side that receives the sensor value or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307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3 It does not matter whether it is configured to be processed in .

하차 판단 수단(33)은 기록된 동작 상태로부터, 차량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차량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전환된 타이밍(즉, 하차한 타이밍)을 특정한다. 주차위치 결정 수단(34)은 하차한 타이밍, 또는 그 타이밍과 가까운 시간 간격 사이에 검출된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하차한 위치(즉, 주차위치)를 결정한다. 하차 판단 수단(33), 주차위치 결정 수단(34)은 반드시 휴대 단말(3)에 구비될 필요는 없고, 휴대 단말(3)을 통해 신호나 동작정보를 수취한 주차 관리 서버(1)측에서 처리되도록 구성해도 상관 없다.The getting off determination means 33 specifies, from the recorded operation state, the timing of transition from the moving state to the vehicle not moving state (ie, the timing of getting off).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34 determines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 got off (i.e., the parking position) from the timing of getting off, or a signal detected between the timing and a close time interval. The getting off determining means 33 and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34 are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3, but on the side of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that has received a signal or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3 It doesn't matter how you configure it to be processed.

위치 설정 수단(35)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주차위치를 임의로 변경하는 수단이다. 시각 설정 수단(36)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주차 시각을 임의로 변경하는 수단이다. 어떠한 문제로부터 잘못된 주차위치나 시각이 결정되었을 경우에는 이들을 사용하여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발신 장치(4)의 배치나 설정에 따라서는 대략적인 주차위치 밖에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수단을 사용하여 원하는 주차위치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실상, 주차장에서 정확한 주차위치의 특정(예를 들면, 1대의 주차 공간 단위로의 특정)을 할 수 없더라도 대략적인 영역을 알면 자신의 차량을 발견하는 것은 용이해진다.The position setting means 35 is a means for arbitrarily changing the par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time setting means 36 is a means for arbitrarily changing the parking tim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When an incorrect parking position or time is determined from any problem, correction can be made using these. In addition, since only an approximate parking position can be specifi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r setting of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it is possible to record a desired parking position using the above means. In fact,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an exact parking position in a parking lot (eg, in units of one parking space), it is easy to find one's own vehicle if the approximate area is known.

통지 수단(37)은 휴대 단말(3)에 대해 주차위치의 통지를 행한다. 통지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차위치의 결정 후, 점포의 입구(g)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4)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 행해진다. 통지가 이루어진 휴대 단말(3)에서는 층수, 블록명 등의 명칭이나, 지도 등에 의해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휴대 단말(3)에서의 화면 표시예이다. 도 7의 (a)는 주차장의 층수나 블록명 등의 명칭으로 주차위치를 나타낸 화면예이고, 도 7의 (b)는 지도에서 주차위치를 나타낸 화면예이다.The notification means (37) notifies the mobile terminal (3) of the parking position. In this embodiment, after determination of a parking position, a notification is performed when the signal of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4 arrange|positioned at the entrance g of a shop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3 to which the notification was mad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arking position by a name such as the number of floors, a block name, a map, or the like. 7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in the portable terminal 3 . Fig. 7 (a)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 parking location with names such as the number of floors or block names of a parking lot, and Fig. 7 (b)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 parking location on a map.

도 7의 (b)에서 부호 C는 주차위치를 나타내는 마커이고, 부호 U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커 C는 하차 판단시에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표시된다. 마커 U는 지도 화면의 표시시에 검출된 신호(현재의 휴대 단말(3)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표시된다. 이 마커 U, 마커 C는 반드시 표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이 지도 화면에서 위치 설정 수단(35)이나 시각 설정 수단(36)을 사용하여 주차위치나 주차 시각의 편집(수동으로 변경 등록)을 행할 수 있다.In (b) of FIG. 7 , a symbol C is a marker indicating a parking position, and a symbol U is a marker indicating the user's current pos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arker C is displayed on the map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at the time of getting off judgment. The marker U is displayed on the map based on the signal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 detected at the time of display of the map screen. These markers U and C are not necessarily displayed. In addition, on this map screen, by using the position setting means 35 or the time setting means 36, it is possible to edit (manually change registration) the parking position and the parking time.

또한, 통지 수단(37)은 전송정보를 수취하여 사용자에 대한 정보의 전송을 행한다. 전송정보란 예를 들면, 점포로부터의 공지나 뉴스, 쿠폰, 주차 요금 안내 등이다.Further, the notification means 37 receives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notices, news, coupons, and parking fee guidance from stores.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 식별 정보가 출력된다. 신호 검출 수단(30)에서 검출된 전송 식별 정보는 주차 관리 서버(1)의 전송 수단(10)에 출력된다. 주차 관리 서버(1)는 기억부(2)에 기록된 전송정보(20) 중, 전송 식별 정보에 따른 전송정보를 수취하여, 휴대 단말(3)에 출력한다.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휴대 단말(3)에 직접, 전송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상관 없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utput together with the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4 . The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means 30 is output to the transmission means 10 of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receives transmis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20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2 and outputs it to the portable terminal 3 . You may configure so that transmiss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directly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device 4 to the portable terminal 3 .

출장 판단 수단(38)은 차량(휴대 단말(3))이 주차장으로부터 출장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장 판단은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입장 판단 후나 주차위치의 결정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영역(a) 밖의 위치에 관한 GPS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출장을 판단하고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주차위치의 결정 후, 동작 검출 수단(32)에 의해 다시 차량으로의 승차를 검지한 경우나, 주차장 입구(I)나 출구(O)에 배치한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신호를 검지한 경우, 상기를 조합한 경우 등의 조건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The business trip determination means 38 judges whether the vehicle (portable terminal 3) has traveled from the parking lot. It is possible to set the business trip judgment in various ways. In this example, a business trip is judged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a GPS signal relating to a location outside the area (a) is received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entrance or the determin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In addition, as another method, after determin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when the motion detection means 32 detects getting into the vehicle again, or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disposed at the entrance (I) or exit (O) of the parking lot It can be set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when a signal is detected from

주차이력 관리 수단(39)은 입장이나 출장, 주차시각, 주차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갖는 주차이력을 휴대 단말(3)에 표시한다. 이력정보는 입장 판단 수단(31)에 의해 입장이 판단되었을 때나, 주차위치 결정 수단(34)에 의해 주차위치가 결정되었을 때, 통지 수단(37)에 의해 통지가 행해졌을 때 등에 이력정보 관리 수단(11)에 출력되어, 기록된다.The parking history management means 39 displays on the portable terminal 3 a parking history having at least one of entry or business trip, parking time, and parking location. The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when admission is determined by the admission determination means 31, when the parking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means 34, when a notification is given by the notification means 37, etc. (11) is output and record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도 7의 메뉴(M)에서 자신의 주차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주차이력은 기억부(2)에 이력정보(21)로서 기록되어 있고, 이력정보 관리 수단(11)은 휴대 단말(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이력정보를 출력한다.In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display his/her parking history in the menu M of FIG. 7 . The parking history is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2 as history information 21 , and the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11 outputs the history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3 .

또한, 주차 관리 서버(1)로부터는 소정의 형식으로 이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주차장을 운영하는 시설측 등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history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and it is possible to use it at a facility operating a parking lot and the like.

이어서, 도 8을 사용하여 주차장으로의 차량의 입장 판단으로부터 주차위치를 통지하기까지의 처리를 설명한다. 휴대 단말(3)에서는 입장 판단 수단(31) 및 신호 검출 수단(30)이 동작하고 있다(단계 S1). 차량(휴대 단말(3))이 영역(a) 내에 들어가면 주차장으로의 입장 판단이 행해진다(단계 S2).Next, processing from the determination of the entrance of the vehicle to the parking lot to no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will be described using FIG. 8 . In the portable terminal 3, the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31 and the signal detection means 30 are operating (step S1). When the vehicle (portable terminal 3) enters the area a, a determination is made to enter the parking lot (step S2).

주차장으로의 입장이 판단되면(단계 S2에서 Yes), 주차이력 관리 수단(39)을 통해 주차 관리 서버(1)에 입장이력이 출력된다(단계 S3). 그리고, 동작 검출 수단(32)에 의한 사용자의 동작정보의 검출이 개시된다(단계 S4). 동작정보를 검출한 결과, 차량에 승차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5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차량에 승차 중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5에서 Yes), 단계 S6으로 진행한다.When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is determined (Yes in step S2), the entrance history is output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through the parking history management means 39 (step S3). Then, detection of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32 is started (step S4).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mo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in the vehicle (No in step S5), the process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riding (Yes in step S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

이어서, 하차 판단 수단(33)에 의해,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6). 사용자가 하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6에서 Yes), 하차로 판단했을 때, 신호 검출 수단(30)에서 검출한 신호에 기초하여 주차위치가 특정된다(단계 S7).Next, it is judged by the getting off determination means 33 whether or not the user got off the vehicle (step S6). When it is judged that the user has gotten off (Yes in step S6), the parking position is specifie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means 30 (step S7).

점포로의 입구(g)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4)에 의해 발신된 신호를 검지한 경우(단계 S8에서 Yes), 통지 수단(37)에 의해 휴대 단말(3)로의 주차위치의 통지를 행한다(단계 S9). 또한, 함께 발신된 전송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관리 서버(1)에 전송정보의 문의를 행한다. 주차 관리 서버(1)는 전송 식별 정보에 대응 한 전송정보를 휴대 단말(3)에 반송함으로써 전송정보가 전송된다(단계 S10).When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disposed at the entrance g to the store is detected (Yes in step S8), the notification means 37 provides a no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 performed (step S9). Further, based on the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gether,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is inquired for transmission informatio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transmits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by returning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 (step S10).

통지 수단(37)에 의해 주차위치의 통지 후,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을 행할 수 있다(단계 S11).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 요구가 있는 경우(단계 S11에서 Yes),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을 접수하여, 이력정보 관리 수단(11)에 출력한다(단계 S12).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 요구가 없는 경우(단계 S11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After the no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by the notification means 37, the parking position and/or the parking time can be corrected (step S11). When there is a request for correc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nd/or parking time (Yes in step S11), the correc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nd/or parking time is received and output to the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11 (step S12). If there is no request for correc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nd/or the parking time (No in step S11), the processing is ended.

이어서, 도 9를 사용하여 주차위치의 통지에서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장까지의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입장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본 예에서는 12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는지 판단된다(단계 S21).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21에서 Yes), 출장 판단이 이루어지고(단계 S23), 출장이력을 이력정보 관리 수단(11)에 출력하고(단계 S24), 처리를 종료한다. 소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단계 S21에서 No), 단계 S22로 진행한다.Next, the process from notification of a parking position to a business trip from a parking lot is demonstrated using FIG. First, it is judg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12 hours in this example) has not elapsed from the entry time (step S21).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Yes in step S21), a business trip determination is made (step S23), the business trip history is output to the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11 (step S24), and the process is terminated.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No in step S21), the flow advances to step S22.

단계 S22에서는 영역(a) 밖의 GPS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영역(a) 밖의 GPS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단계 S22에서 No), 단계 S21로 돌아온다. 영역(a) 밖의 GPS 신호가 검출된 경우(단계 S22에서 Yes), 출장 판단이 이루어지고(단계 S23), 출장이력을 이력정보 관리 수단(11)에 출력하고(단계 S24), 처리를 종료한다.In step S22, it is determined whether a GPS signal outside the area (a) has been detected. If no GPS signal outside the area (a) is detected (No in step S22), the flow returns to step S21. When a GPS signal outside the area (a) is detected (Yes in step S22), a business trip determination is made (step S23), the business trip history is output to the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11 (step S24), and the process ends .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측에서는 특별한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만으로 주차위치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카네비게이션 장치를 탑재하는 렌터카나, 카네비게이션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오토바이, 자전거 등에서도 주차위치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지하에 있는 주차장 등에서도 주차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ser's side, a parking position can be recorded only with a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without mounting a special device in the vehicle. In addition, the parking position can be recorded even in a rental car equipped with a car navigation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the user, or a motorcycle or bicycle that is not equipped with a car navigation devi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parking position even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here GPS signals cannot be received.

점포측에서는 주차장에 신호 발신 장치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주차위치의 기록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으로부터 시설로의 입구 등에 신호 발신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시설에 입장한 타이밍에 주차위치의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시설에 입장하지 않은 사용자 등에 대한 불필요한 통지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주차위치의 통지와 함께 원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store side can easily provide the user with a means for recording the parking position simply by arranging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in the parking lot.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at the entrance from the parking lot to the facility, the parking position can be notified at the timing of entering the facility. Thereby, unnecessary notifications to users who do not enter the facility or the like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desir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long with the notification of the parking location.

또한, 입장 판단, 출장 판단을 GPS 신호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주차장이 지하에 있는 경우여도 지상에서 검지되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입장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entrance judgment and business trip judgment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GPS signal. Even when the parking lot is underground, the entranc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GPS signal detected from the ground, so the same can be applied.

〈실시형태 2〉<Embodiment 2>

이어서, 도 10∼1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주차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S.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similar to Embodiment 1,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주차 관리 서버(1)는 네트워크를 통해 주차장의 관리나 시설 등록을 행하기 위한 시설 사용자 단말(5)과 접속되어 있다. 주차 관리 서버(1)는 시설 관리 수단(12)과, 이력 출력 수단(13)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시설 사용자 단말(5)은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범용 컴퓨터 장치이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1)를 구비한 시설 관리 수단(12)을 이용하여, 주차위치의 취득 등을 행하기 위한 시설의 등록이나 삭제 등을 행한다. 이력 출력 수단(13)은 시설 사용자 단말(5)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시설별 주차이력, 그 통계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with the facility user terminal 5 for performing management of a parking lot and facility registration via a network.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further includes a facility management means 12 and a history output means 13 . The facility user terminal 5 is a general-purpose computer device having a web browser application, and using the facility management means 12 provided with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via a web browser, a facility for acquiring a parking location, etc. registration or deletion of The history output means 13 may output a parking history for each facility, statistical information thereof, and the like, based on a request from the facility user terminal 5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입장 판단 수단(31)은 미리 등록된 지오펜스(Geofence)의 영역 내로의 침입을 검지하여, 주차장으로 입장한 것으로 판단한다. 입장이 판단되면 동작 검출 수단(32)이 동작정보의 검출을 개시한다. 동작정보는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 중인지 또는 보행 중인지의 판단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작 검출 수단(32)은 신호 검출 수단(30)이 장내의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면 지금까지 기록되어 있던 동작정보(사용자(휴대 단말(3))의 가속도 등)가 참조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판단한다.In addition, the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31 in this embodiment detects an intrusion into the area|region of the geofence registered in advance, and determines that it has entered into the parking lot. When the entrance is judged, the motion detection means 32 starts detection of the motion information. The motion information is sequentially recorded and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riding in a vehicle or walk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ignal detecting means 30 detects a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in the hall, the motion detecting means 32 has recorded motion information (acceleration, etc.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3)) so far. ) is referenced to determine the user's action.

도 10은 시설 사용자 단말(5)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설 관리를 행하기 위한 화면 표시예이다. 도 10의 (a)는 시설 사용자가 ID,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관리 페이지에 액세스하고, 자신이 등록한 시설을 확인할 때의 화면 표시예이다.FIG.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for performing facility management via a web browser of the facility user terminal 5 . Fig. 10 (a)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a facility user accesses the management page using an ID and password and confirms a facility registered by himself/herself.

등록된 시설은 예를 들면, 시설 ID(도시예에서의 「ID」), 지오펜스의 유효·무효 설정(도시예에서의 「상태」), 시설의 소재지(도시예에서의 「소재지」), 시설의 명칭(도시예에서의 「명칭」), 주차위치의 결정에 사용하는 센서의 종별(도시예에서의 「종별」) 등이 등록되어 있다.The registered facility is, for example, a facility ID (“ID” in the urban example), valid/invalid setting of the geofence (“state” in the urban example),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location” in the urban example), The name of the facility ("name" in the example of the city), the type of the sensor used for determining the parking position ("type" in the example of the city), etc. are registered.

지오펜스를 무효로 설정한 경우, 입장 판단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주차위치의 결정 등도 실시되지 않는다. 주차위치의 결정에 사용하는 센서의 종별이란,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서 예시한 실내형 주차 시설에서 GPS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조합하여 행하는 경우 외에, 예를 들면, 야외형 주차 시설에서 GPS만으로 주차위치의 특정을 행하는 경우 등, 주차위치의 특정에 사용하는 방법을 기록해 두기 위한 것이다.When the geo-fence is set to be invalid, the determin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nd the like are not performed because entrance judgment is not performed. The classification of the sensor used for determining the parking position is, for example, in the indoor parking facility illustrated in Embodiment 1, in combination with GPS and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for example, only by GPS in the outdoor parking facility. This is for recording the method used for specifying the parking position, such as when specifying the parking position.

도 10의 (b)는 시설별로 지오펜스의 설정을 행할 때의 화면 표시예이다. 시설 사용자는 지도 상에 원형의 쉐이프를 배치함으로써, 지오펜스 영역의 설정을 행한다. 지도 상에 겹친 원형의 쉐이프에 대응하는 좌표나 거리 등이 자동적으로 산출되어, 지오펜스가 설정된다. 지오펜스는 도시예와 같이, 한 시설에 대해 복수 설정해도 된다.Fig. 10(b)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at the time of setting a geo-fence for each facility. The facility user sets the geofence area by arranging a circular shape on the map. Coordinates, distances, etc.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shape superimposed on the map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a geofence is set.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lurality of geofences may be set for one facility.

도 11은 주차이력을 출력했을 때의 출력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력 출력 수단(13)을 통해 시설 사용자 단말(5)에서 표시된 시설 관리를 행하기 위한 화면 등에 이력정보를 출력하거나, 데이터(예를 들면, csv 형식의 데이터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주차 시설별로 주차이력을 출력했을 때의 출력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관리 화면의 로그 관리를 선택하고, 주차한 일시에 기초하여 출력 대상을 좁히는 검색 기간, 주차한 시설명에 기초하여 출력 대상을 좁히는 시설을 설정하고, 주차이력을 출력시킨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utput contents when a parking history is output. History information can be output to a screen for performing facility management displayed on the facility user terminal 5 through the history output means 13, or data (eg, data in csv format, etc.) can be output. 11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output contents when a parking history is output for each parking facility. The log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screen shown in Fig. 10 is selected, the search period for narrowing the output target based on the date and time of parking, the facility for narrowing the output target based on the parked facility name is set, and the parking history is output.

도 11의 (b)는 사용자별로 주차이력을 출력했을 때의 출력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관리 화면의 로그 관리를 선택하고, 주차한 일시에 기초하여 출력 대상을 좁히는 검색 기간이나, 사용자 ID나 사용자명에 기초하여 출력 대상을 좁히고, 주차이력을 출력시킨다. 주차이력 관리 수단(39)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3)에 사용자 자신의 이력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11 (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output contents when the parking history is output for each user. The log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screen shown in Fig. 10 is selected, the output target is narrowed based on the search period for narrowing the output target based on the date and time of parking, or the output target based on the user ID or user name, and the parking history is output.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user's own history inform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3 using the parking history management means 39 .

이어서, 도 12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주차장으로의 차량의 입장 판단으로부터 주차위치를 통지하기까지의 처리를 설명한다. 휴대 단말(3)에서는 입장 판단 수단(31) 및 신호 검출 수단(30)이 동작하고 있다(단계 S31). 차량(휴대 단말(3))이 지오펜스의 영역 내에 들어가면 주차장으로의 입장 판단이 행해진다(단계 S31에서 Yes).Next, the process from the entrance judgment of the vehicle to the parking lot in this embodiment to notification of a parking position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FIG. In the portable terminal 3, the entrance determination means 31 and the signal detection means 30 are operating (step S31). When the vehicle (portable terminal 3) enters the area of the geo-fence, a determination of entrance to the parking lot is made (Yes in step S31).

주차장으로의 입장이 판단되면, 동작 검출 수단(32)이 동작정보의 검출을 개시한다(단계 S32). 동작정보는 순차적으로 검출·기록된다. 신호 검출 수단(3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를 검출하면(단계 S33에서 Yes), 동작 검출 수단(32)에 의해 기록된 동작정보의 로그가 참조되어, 사용자의 동작이 판단된다(단계 S34).When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is judged, the motion detecting means 32 starts detecting motion information (step S32). Operation information is sequentially detected and recorded. When the signal detecting means 30 detects a signal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Yes in step S33), the log of the action information recorded by the action detecting means 32 is referred to, and the user's action is judged (step S34) .

본 실시형태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 검출(단계 S33)을 트리거로 하여, 신호 검출별로 주차 관리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있다. 이 처리는 OS 등의 제한에 의해, 백그라운드에서 어플리케이션(주차 관리 프로그램)을 항상 기동시켜 둘 수 없는 휴대 단말(3) 대상으로 실시하는 처리이며, 백그라운드에서 어플리케이션(주차 관리 프로그램)을 항상 기동시키는 휴대 단말(3)의 경우에는 입장 판단시(단계 S31) 등에 어플리케이션(주차 관리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면 된다.In this embodiment, signal detection (step S33)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as a trigger, and the parking management program is activated for each signal detection. This process is a process performed for the mobile terminal 3 in which the application (parking management program) cannot always be activated in the background due to restrictions such as the OS, and is a portable terminal that always starts the application (parking management program) in the background In the case of the terminal 3, an application (parking management program) may be started at the time of entrance judgment (step S31) or the like.

차량 승차 중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35에서 Yes), 단계 S33으로 돌아온다. 차량 승차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35에서 No), 보행 중으로 판단한다(단계 S36). 보행 중으로 판단했을 때, 신호 검출 수단에서 신호를 검출한 위치에 기초하여 주차위치가 결정된다(단계 S37).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being boarded (Yes in step S35), the flow returns to step S3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riding (No in step S35),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walking (step S3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walking, the parking posi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means (step S37).

점포로의 입구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4)에 의해 발신된 신호를 검지한 경우(단계 S38에서 Yes), 통지 수단(37)에 의해 휴대 단말(3)로의 주차위치의 통지를 행한다. 신호 발신 장치(4)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는 신호 발신 장치(4)가 설치된 층수나 점포로의 입구(위치)가 연결되어 있다.When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arranged at the entrance to the store is detected (Yes in step S38), the parking posi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 is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means 37 . The number of floors on which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is installed and the entrance (position) to the store are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

근거리 무선 통신의 통신 상태나 휴대 단말(3)의 오동작 등에 의해 보행 중으로 판단할 수 없거나, 보행 중으로 판단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때의 주차위치의 결정이나 취득 등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주차위치의 특정에 성공한 경우(단계 S38에서 Y), 특정된 주차위치의 통지를 행한다.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not be determined as walking due to the communication stat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mal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 or the like, or the determination or acquisi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t that time may fail even though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alking. When the iden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is successful (Y in step S38), the specified parking position is notified.

주차위치의 특정이나 취득에 실패한 경우(단계 S38에서 N), 신호 발신 장치(4)의 식별 정보 또는 그 이외의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구역의 통지를 행한다(단계 S40). 주차 구역은 식별 정보 또는 그 이외의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신호 발신 장치(4)의 설치 장소(층이나 위치)에 관련된 정보이다. 사용자가 시설에 입장한 위치를 통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대략적인 주차위치를 통지할 수 있다.When the identification or acquisition of the parking position fails (N in step S38), a parking area is notifi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or oth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step S38). S40). The parking area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floor or location) of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determined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oth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 By notifying the location where the user entered the facility, the approximate parking location can be indirectly notified.

또한, 함께 발신된 전송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관리 서버(1)에 전송정보의 문의를 행한다. 주차 관리 서버(1)는 전송 식별 정보에 대응한 전송정보를 휴대 단말(3)에 반송함으로써, 전송정보가 전송된다(단계 S41).Further, based on the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gether,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is inquired for transmission information. By returning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 transmits transmission information (step S41).

통지 수단(37)에 의해 주차위치의 통지 후,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을 행할 수 있다(단계 S42).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 요구가 있는 경우(단계 S42에서 Y),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을 접수하고, 이력정보 관리 수단(11)에 출력한다(단계 S43). 주차위치 및/또는 주차 시각의 수정 요구가 없는 경우(단계 S42에서 N), 처리를 종료한다.After notific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by the notification means 37, the parking position and/or the parking time can be corrected (step S42). When there is a request for correc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nd/or parking time (Y in step S42), the correc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nd/or parking time is accepted and output to the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ans 11 (step S43). If there is no request for correction of the parking position and/or the parking time (N in step S42), the process ends.

이어서, 도 13을 사용하여 주차위치의 통지로부터 주차장의 출장까지의 과정을 설명한다. 휴대 단말(3)에서는 출장 판단 수단(38)과 동작 검출 수단(32)이 동작하고 있다. 동작 검출 수단(32)은 도 12에서 설명한 입장 판단 처리시로부터 계속하여 동작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단계 S51).Next, the process from notification of a parking position to a business trip of a parking lot is demonstrated using FIG. In the portable terminal 3, the business trip determination means 38 and the motion detection means 32 are operating. The motion detection means 32 can acquire motion information continuously from the time of the entrance judgment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step S51).

출장 판단 수단(38)은 GPS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휴대 단말(3))가 지오펜스 영역 내로부터 나왔는지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S52). 사용자가 지오펜스 영역 밖으로 나온 경우(단계 S52에서 Y), 동작 검출 수단(32)은 기록된 동작정보의 로그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판단한다.The business trip determination means 38 detects a GPS signal to detect whether the user (portable terminal 3) has come out of the geo-fence area (step S52). When the user comes out of the geo-fence area (Y in step S52), the motion detecting means 32 determines the user's motion with reference to the recorded motion information log.

차량 승차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54에서 N), 보행 중으로 판단되고(단계 S55), 단계 S52로 돌아온다. 차량 승차 중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54에서 Y), 사용자가 주차장으로부터 출장(출고)한 것으로 판단된다(단계 S56). 출장 판단이 되면, 동작 검출 수단(32)에 의한 동작정보의 기록이 종료되고(단계 S57), 출장이력이 기억부(2)에 기억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riding (N in step S54),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walking (step S55),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S5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riding (Y in step S54),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been on a business trip (shipped out) from the parking lot (step S56). When a business trip is judged, the recording of the motion information by the motion detection means 32 is finished (step S57), and the business trip history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

사용자가 특별한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만으로 주차위치의 기록을 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lication for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rding a parking position only with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without the user having a special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1 주차 관리 서버
10 전송 수단
11 이력정보 관리 수단
12 시설 관리 수단
13 이력 출력 수단
101 CPU
102 메모리
103 통신부
104 기억부
105 입력부
106 출력부
107 오퍼레이팅 시스템
108 처리 프로그램
2 기억부
20 전송정보
21 이력정보
3 휴대 단말
30 신호 검출 수단
31 입장 판단 수단
32 동작 검출 수단
33 하차 판단 수단
34 주차위치 결정 수단
35 위치 설정 수단
36 시각 설정 수단
37 통지 수단
38 출장 판단 수단
39 주차이력 관리 수단
301 CPU
302 메모리
303 통신부
304 기억부
305 입력부
306 출력부
307 센서부
308 근거리 무선 통신부
309 GPS 수신부
310 오퍼레이팅 시스템
311 주차 관리 프로그램
4 신호 발신 장치
40 신호 발신 수단
5 시설 사용자 단말
P 주차장
I 주차장으로의 입구
O 출구
g 시설로의 입구
p 주차 공간
a 입장 판단을 행하는 영역
r, rg 신호 발신 장치(4)로부터 신호가 발신되는 영역
PA, PB, PC 주차 블록
1 Parking Management Server
10 means of transport
11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12 Facility Management Means
13 History output means
101 CPUs
102 memory
103 Communication Department
104 memory
105 input
106 output
107 operating system
108 processing program
2 memory
20 Transmission information
21 history information
3 mobile terminal
30 signal detection means
31 means of determining admission
32 motion detection means
33 Disembarkation Determination Means
34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Means
35 Positioning means
36 Time setting means
37 means of notification
38 Means of judging business trips
39 Parking history management means
301 CPU
302 memory
303 Communication Department
304 memory
305 input
306 output
307 sensor unit
308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9 GPS receiver
310 operating system
311 Parking Management Program
4 signaling device
40 Signaling means
5 Facility User Terminal
P parking lot
I Entrance to the parking lot
O exit
g entrance to the facility
p parking space
a Area in which position judgment is made
r, rg area where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4
PA, PB, PC Parking Blocks

Claims (16)

주차장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을 구비하는 주차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신호 발신 장치는,
상기 신호 발신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갖는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 발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상기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과,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검출 수단과,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타이밍을 판단하는 하차 판단 수단과,
상기 하차 판단 수단에서 판단한 상기 하차 타이밍에서 가장 가까운 타이밍에, 상기 신호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신호가 갖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주차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주차관리시스템.
A parking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signal transmitting device disposed in a parking lot, and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 user,
The signal sending device,
signal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The mobile terminal is
signal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mo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mo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is moving in a vehicle using a sensor unit;
getting off judging means for judging a get off timing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and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means at a timing closest to the getting off timing determined by the getting off judgment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주차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주차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 상기 주차위치와, 주차 일시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주차장을 식별하는 주차장 식별 정보로 이루어지는 이력정보를 기억부에 격납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송신된 상기 이력정보를 이력정보 기억부에 격납하는 격납 수단을 구비하는, 주차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is
When the parking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history information comprising the parking position, the parking date and ti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parking 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arking lo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contain, or
A parking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torage means for transmitting to a management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via a network, and storing the transmitted history information in a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수신한 상기 GPS 신호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가 상기 주차장을 포함하는 가상의 경계선 내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장을 판단하는 출장 판단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격납 수단은 상기 출장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장을 판단했을 때에, 출장 일시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주차장 식별 정보로 이루어지는 이력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송신된 상기 이력정보를 상기 이력정보 기억부에 격납하고,
시설 관리자가 조작하는 시설 단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시설 단말은
상기 주차 일시에 기초하여 출력 대상을 좁히는 검색 기간 및 주차한 시설명에 기초하여 출력 대상을 좁히는 시설을 나타내는 검색 조건의 설정을 접수하는 검색 조건 접수 수단과,
상기 주차 관리 서버에 구비하는 상기 이력 정보 기억부에서 상기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이력 정보를 취득하는 이력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이력 정보를 소정의 형식으로 편집하여 출력하는 편집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주차관리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terminal i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GPS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signal received by the GPS receiver is not within the virtual boundary including the parking lot, further comprising a business trip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a business trip from the parking lot,
When the business trip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s a business trip from the parking lot, the storage means transmits,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history information comprising a business trip date and tim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arking 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storing history information in 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Further provided with a facility terminal operated by the facility manager,
The facility terminal is
search condition accepting means for accepting setting of a search condition indicating a search period for narrowing an output object based on the parking date and time and a facility for narrowing an output object based on a parked facility name;
history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history information matching the search condition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included 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nd editing information output means for editing and outputting the history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사용자가 소지하는, 주차장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상기 신호 발신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갖는 신호를 검출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상기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과,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검출 수단과,
상기 동작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타이밍을 판단하는 하차 판단 수단과,
상기 하차 판단 수단에서 판단한 상기 하차 타이밍에서 가장 가까운 타이밍에, 상기 신호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신호가 갖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주차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A mobile terminal for detecting a signal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ignal sending device, transmitted from a signal sending device disposed in a parking lot, carried by a user,
signal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mo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mo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is moving in a vehicle using a sensor unit;
getting off judging means for judging a get off timing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ng means;
and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means at a timing closest to the getting off timing determined by the getting off determining means.
사용자가 소지하는, 주차장에 배치된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상기 신호 발신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갖는 신호를 검출하는 휴대 단말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주차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신호 발신 장치로부터 발신된 상기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 단계와,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검출 단계와,
상기 동작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하차 타이밍을 판단하는 하차 판단 단계와,
상기 하차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하차 타이밍에서 가장 가까운 타이밍에, 상기 신호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신호가 갖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주차위치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A parking management method executed in a computer of a portable terminal for detecting a signal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signal sending device, which is transmitted from a signal sending device disposed in a parking lot, carried by the user,
a signal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device;
a mo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mo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is moving in a vehicle using a sensor unit;
a disembarka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disembarkation timing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in the motion detection step;
and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detected in the signal detecting step at the closest timing to the getting off timing determined in the getting off determination step.
제 5 항의 주차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주차 관리 프로그램.A parking management program that causes the computer to execute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of claim 5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7024412A 2016-01-28 2017-01-27 Parking management system Active KR102441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0565A KR102585581B1 (en) 2016-01-28 2017-01-27 Parking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4913 2016-01-28
JPJP-P-2016-014913 2016-01-28
PCT/JP2017/003068 WO2017131215A1 (en) 2016-01-28 2017-01-27 Parking management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565A Division KR102585581B1 (en) 2016-01-28 2017-01-27 Parking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866A KR20180111866A (en) 2018-10-11
KR102441677B1 true KR102441677B1 (en) 2022-09-07

Family

ID=593983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412A Active KR102441677B1 (en) 2016-01-28 2017-01-27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0227030565A Active KR102585581B1 (en) 2016-01-28 2017-01-27 Parking management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565A Active KR102585581B1 (en) 2016-01-28 2017-01-27 Parking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6424327B2 (en)
KR (2) KR102441677B1 (en)
WO (1) WO201713121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1206A (en) * 2017-08-29 2017-11-07 北京筑梦园科技有限公司 The Car license recognitio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ided in based on bluetooth
KR102394350B1 (en) * 2018-10-01 2022-05-0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of parking position and parking assessment using personal device and using recorded informaion
KR102161380B1 (en) * 2019-06-12 2020-09-29 장기헌 Recognition system for car parking
KR102494858B1 (en) 2020-10-27 2023-02-07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Non-Stop Parking Lot Entry System and Parking Control Method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KR20220118016A (en) 2021-02-18 2022-08-25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Non-Stop Parking Exit Control System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JP2024015688A (en) * 2022-07-25 2024-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haring management device and sharing system
JP7568693B2 (en) * 2022-09-29 2024-10-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Battery holder, mobile object providing system, and mobile object provid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4840A (en) * 2013-12-11 2015-06-22 日本信号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2898B2 (en) * 2012-12-03 2018-12-05 日本信号株式会社 Parking lot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JP6016649B2 (en) * 2013-01-18 2016-10-26 三菱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JP2014163911A (en) * 2013-02-27 2014-09-08 Nippon Signal Co Ltd:The Facility guidance system
JP6536772B2 (en) * 2013-02-27 2019-07-03 日本信号株式会社 System to manage facility use
JP5980753B2 (en) * 2013-09-25 2016-08-31 株式会社駐車場綜合研究所 Parking lot guidance device, parking lot guidance method, parking lot guidance program
JP6250362B2 (en) 2013-10-24 2017-1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bile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5153217A (en) 2014-02-17 2015-08-24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4840A (en) * 2013-12-11 2015-06-22 日本信号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131215A1 (en) 2018-08-02
JP2021005405A (en) 2021-01-14
JP6424327B2 (en) 2018-11-21
KR20220127362A (en) 2022-09-19
JP6780176B2 (en) 2020-11-04
JP2019008829A (en) 2019-01-17
KR20180111866A (en) 2018-10-11
KR102585581B1 (en) 2023-10-05
WO2017131215A1 (en)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677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11778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US1121675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US105531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location
US93351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CN103902868B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70154474A1 (en) Location based parking meter time reminder
CN108986525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2637369A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a driver in finding a parking spot
US202104065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augmented reality in transportation
US122677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JP2020013326A (en) In-vehic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1048582A (en)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CN208796439U (en) A kind of parking detection device and vehicle
JP2012008717A (en) Method and system for behavior survey of vehicle user
KR20220135565A (en) Indoor and outdoor continuous positioning switching device including domain and actor
KR102516559B1 (en) Server, vehic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CN110503846A (en) Parking assistance method, smart card, vehicle and telematics system
KR102551584B1 (en)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Parking Lot Map
CN113421453B (en) Parking space convenient searching method
JP6490145B2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KR20240045940A (en) Indoor and outdoor continuous positioning switching device using sensor fusion
JP2015132529A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5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209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