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1173B1 -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173B1
KR102441173B1 KR1020210152059A KR20210152059A KR102441173B1 KR 102441173 B1 KR102441173 B1 KR 102441173B1 KR 1020210152059 A KR1020210152059 A KR 1020210152059A KR 20210152059 A KR20210152059 A KR 20210152059A KR 102441173 B1 KR102441173 B1 KR 10244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hydrochloric acid
sodium chlorite
reaction tank
deodorizing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억
서태원
이제원
노동주
Original Assignee
디엠엔텍 주식회사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엠엔텍 주식회사,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디엠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과; 염산 공급 수단;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아염소산나트륨과 상기 염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염산이 채워지며 합류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이 반응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이산화염소 반응조; 및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 안쪽 하부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안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를 높이는 혼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Chlorine dioxide generator for vacreator}
본 발명은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환경 오염 현상이 심화되어 생태계 및 생활 환경에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하절기 기온 상승과 더불어 가중되는 위해 요소 중의 하나인 악취는 두통과, 구토, 피부, 점막의 자극 등 건강상의 해는 물론 정신 위생상, 경제상, 매우 큰 피해를 미친다.
이와 같은 악취는 주로 부패 냄새와, 분뇨 냄새, 하수 냄새, 곰팡이 냄새, 유황 냄새, 기타 후각을 자극하는 냄새 등이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화학 물질별 특징들을 보면 질소·황화합물이 주종이며, 그 중에서도 메르캅탄과, 유화 수소 등 황화합물이 많다.
악취 방지법 시행 규칙 제8조 제1항에서 법 제7조 제1항에 따른 악취의 배출허용기준과 법 제7조제2항에 따른 악취의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의 설정 범위는 도면 6 내지 도면 7a 내지 도면 7b와 같다.
악취 방지법 시행 규칙 제8조 제1항에서 배출허용기준의 측정은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사업자의 악취물질 배출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지정악취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기준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본다.
복합악취는 「환경분야 시험ㆍ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제4호에 따른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공기희석관능법(空氣稀釋官能法)을 적용하여 측정하고, 지정악취물질은 기기분석법(機器分析法)을 적용하여 측정한다.
복합악취의 시료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채취한다.
가. 사업장 안에 지면으로부터 높이 5m 이상의 일정한 악취배출구와 다른 악취발생원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부지경계선 및 배출구에서 각각 채취한다.
나. 사업장 안에 지면으로부터 높이 5m 이상의 일정한 악취배출구 외에 다른 악취발생원이 없는 경우에는 일정한 배출구에서 채취한다.
다. 가목 및 나목 외의 경우에는 부지경계선에서 채취한다. 지정악취물질의 시료는 부지경계선에서 채취한다.
도면 6 내지 도면 7b에 기재된, “희석배수”란 채취한 시료를 냄새가 없는 공기로 단계적으로 희석시켜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때까지 최대로 희석한 배수를 말한다.
"배출구”란 악취를 송풍기 등 기계장치 등을 통하여 강제로 배출하는 통로(자연 환기가 되는 창문ㆍ통기관 등은 제외한다)를 말한다.
도면 6 내지 도면 7b에 기재된“공업지역”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을 말한다.
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6조ㆍ제7조ㆍ제7조의2 및 제8조에 따른 국가산업단지ㆍ일반산업단지ㆍ도시첨단산업단지 및 농공단지
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0조제3호가목에 따른 전용공업지역
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0조제3호나목에 따른 일반공업지역(「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자유무역지역만 해당한다)
한편, 규제 범위 이하의 농도 및 쾌적 환경 조성을 위한 탈취 방법으로는 첫번째 통풍 및 희석법과, 두번째 흡수법과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법, 세번째 650도 이상에서의 연소법, 네번째 산화법, 다섯번째 산·알카리 세정, 수세, 이온교환수지법, 마스킹(Masking)법 등이 있다.
이중 산화법은 악취 성분이 대부분 산화에 의해 제거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산화제로 악취 성분을 분해하여 무취 또는 감지하기 어려운 다른 물질로 전환시키는 방법이다.
사용되는 산화제로는 염소계 제재 및 이산화염소 등이 있는데, 이중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는 중화제나 방향제와 달리 악취를 근원적으로 제거하며, 바이러스나, 곰팡이, 미생물 등의 제거, 살균·소독을 겸한다.
한편, 탈취기에 적용되는 이산화염소 가스는 보통 덕트나 챔버안에서 탈취시킬 공기와 혼합되는데, 현재 출시되고 있는 탈취기의 덕트나 챔버안에는 이산화염소 가스와 탈취시킬 공기를 효과적으로 믹싱(Mixing)시킬 수 있는 장치가 없거나 믹싱 장치가 있더라도 믹싱(Mixing)이 제대로 이루워지지 않아 탈취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출원번호 "10-2016-0026923"호의 "순수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및 그 방법"이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순수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및 그 방법은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으로부터 산화염소 가스만을 탈기하여 순수한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는 순수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출원번호 "10-2016-0026923"호의 "순수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및 그 방법"은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을 반응시키는 반응조와, 반응조로부터 배출된 이산화염소 수용액이 저장되는 탱크가 별도로 나뉘어져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가 낮아 이산화염소 발생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696649" (2017.01.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취시킬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효과적으로 뒤섞어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를 높여 보다 짧은 시간안에 보다 많은 이산화염소를 얻어낼 수 있는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이 반응하는 반응조와, 반응 후 생성된 액상의 이산화염소가 채워지는 폐액 탱크를 하나로 통합하여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과; 염산 공급 수단(200);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된 아염소산나트륨과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된 염산이 채워지며 합류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이 반응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및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안쪽 하부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안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를 높이는 혼화 수단(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 입구를 통해 탈취시키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고 안으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서 생성된 기체 상태의 이산화염소가 공급되는 탈취용 덕트(D)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는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탈취용 덕트(D) 입구로부터 탈취용 덕트(D) 출구로 빠져나가는 악취의 풍압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 날개를 통해 바람을 일으켜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의 유체를 탈취용 덕트(D) 출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임펠러(502)와,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임펠러(502)의 회전력을 역회전 기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의 유체를 상기 탈취용 덕트(D) 입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임펠러(50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임펠러(502)를 통해 발생된 풍압 세기는 상기 제2 임펠러(501)에 의해 발생된 풍압 세기보다 크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는 상기 제2 임펠러(501)로부터 발생된 풍압에 의해 탈취용 덕트(D) 입구 방향으로 분사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풍압을 발생하는 제1 임펠러(502)와 제2 임펠러(501)는 탈취용 덕트(D) 내부에서 난류를 발생시켜 악취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을 돕는다. 또한, 상기 제1 임펠러(502)와 상기 탈취용 덕트(D) 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임펠러(502)와 탈취용 덕트(D) 출구 사이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악취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악취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는 배플판(B)이 장착된다. 상기 혼화 수단(400)은 기포 발생을 위해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40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폭발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을 낮추는 이산화염소 반응조 보호 수단(600)이 장착된다.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 보호 수단(600)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601)과,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기체를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관로(602), 상기 배기 관로(602)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 관로(602)를 통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에 채워진 기체를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내보내지 않는 배기 밸브(603), 및 상기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601)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송풍기(401)를 정지시키고 배기 밸브(603)를 열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제1 인터록부(604)를 포함한다.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은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진 액상의 아염소산나트륨을 펌핑(Pumping)하여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전달하는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를 포함하며,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은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진 염산을 펌핑하여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전달하는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부터 상기 탈취용 덕트(D)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양을 계산하는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와, 상기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로부터 계산된 이산화염소 양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비례 제어하여 상기 탈취용 덕트(D)에 기설절된 양의 이산화염소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양 제어 수단(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염소양 제어 수단(700)은 중앙 제어 수단(CC)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상기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제어하는 제2 인터록부(701)와, 상기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에 의해 계산된 이산화염소 양에 따라 제2 인터록부(701)를 통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비례 제어하여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투입되는 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유량을 조정하는 중앙 제어 수단(CC)을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 수단(CC)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진 염산의 농도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량이 저장된 약품 농도별 혼합량 저장부(CC1)와, 상기 약품 농도별 혼합량 저장부(CC1)에 저장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량에 따라 상기 제2 인터록부(701)를 통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제어하여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투입되는 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유량을 조절하는 신호 발생부(CC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탈취용 덕트안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2개의 임펠러와 배플판을 이용하여 탈취시킬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효과적으로 뒤섞어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반응조의 안쪽 하부에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를 높여 보다 짧은 시간안에 보다 많은 이산화염소를 얻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이 반응하는 반응조와, 반응 후 생성된 액상의 이산화염소가 채워지는 폐액 탱크를 하나로 통합하여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에 채워지는 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염산 저장 탱크에 채워지는 염산의 농도에 따라 이산화염소 반응조에 채워지는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비를 자동 조정할 수 있어, 원료 계량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을 위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면 2는 본 발명을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면 3은 본 발명을 우측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면 4a 내지 도면 4d는 본 발명의 P&ID,
도면 5는 중앙 제어 수단의 제어 블럭도,
도면 6은 복합악취의 지역별 배출허용기준을 나타낸 표,
도면 7a와 도면 7b는 지정악취물질의 지역별 배출허용기준을 나타낸 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도면 1 내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과; 염산 공급 수단(200);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된 아염소산나트륨과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된 염산이 채워지며 합류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이 반응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및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안쪽 하부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안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를 높이는 혼화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은 도면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염소산나트륨이 저장되는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설치되되 입구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 안으로 인입되고 출구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 바깥으로 노출된 아염소산나트륨측 제1 관로(102), 출구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설치된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관로(P2)와 연결된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관로(103), 및 입수구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1 관로(102)의 출구와 연결되고 출수구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관로(103)의 입구와 연결되어 중앙 제어 수단(CC)의 전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정해진 분량의 아염소산나트륨을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관로(103)를 통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내보내는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를 포함한다.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관로(103)의 출구는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설치된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관로(P2)의 입구와 플랜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은 도면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에 의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로부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공급되는 아염소산나트륨의 양을 측정하는 아염소산나트륨 정량 측정부(105)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은 도면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1 관로(102)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아염소산나트륨측 제1 밸브(106)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관로(103)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밸브(10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1 밸브(106)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밸브(107)는 볼 밸브를 사용한다.
또,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는 도면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의 액위가 설정된 상한선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하한선에 도달하였는지 측정하는 아염소산나트륨측 레벨 스위치(108)가 장착된다.
또,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은 도면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 내부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의 액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아염소산나트륨 액위 감지부(109)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의 하부에는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을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 바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아염소산나트륨 배출 밸브(110)가 장착된다.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은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염산이 저장되는 염산 저장 탱크(201)와,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에 설치되되 입구가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 안으로 인입되고 출구가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 바깥으로 노출된 염산측 제1 관로(202), 출구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설치된 염산 공급 관로(P3)와 연결된 염산측 제2 관로(203), 및 입수구가 상기 염산측 제1 관로(202)의 출구와 연결되고 출수구가 상기 염산측 제2 관로(203)의 입구와 연결되어 중앙 제어 수단(CC)의 전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정해진 분량의 염산을 상기 염산측 제2 관로(203)를 통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내보내는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포함한다.
상기 염산측 제2 관로(203)의 출구는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설치된 염산 공급 관로(P3)의 입구와 플랜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은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염산측 정량 펌프(204)에 의해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로부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공급되는 염산의 양을 측정하는 염산 정량 측정부(205)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은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염산측 제1 관로(202)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염산측 제1 밸브(206)와, 상기 염산측 제2 관로(203)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염산측 제2 밸브(20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염산측 제1 밸브(206)와 상기 염산측 제2 밸브(207)는 볼 밸브를 사용한다.
또,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에는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진 염산의 액위가 설정된 상한선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하한선에 도달하였는지 측정하는 염산측 레벨 스위치(208)가 장착된다.
또,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은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 내부에 채워진 염산의 액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염산 액위 감지부(209)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의 하부에는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진 염산을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 바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염산 배출 밸브(210)가 장착된다.
상기 혼화 수단(400)은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401)와, 입구가 상기 송풍기(401)의 송풍구에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안으로 인입되되 출구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송풍 관로(402), 및 상기 송풍 관로(402)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 관로(402)를 통해 전달된 바람을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 발생 부재(4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화 수단(400)은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관로(402)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 관로(402)를 지나는 송풍량을 측정 및 조절하는 로타 미터(404)(Rota meter)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로타 미터(404)와 상기 송풍기(401) 사이에 배치된 송풍 관로(402)에는 송풍 관로(402) 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송풍 관로측 제1 밸브(405)가 장착된다.
또, 상기 송풍 관로(402)에는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T 분기관(406)이 장착되고 상기 T 분기관(406)에는 상기 송풍 관로(402)를 지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송풍 관로측 압력 게이지(407)가 장착된다.
또, 상기 T 분기관(406)에는 T 분기관(406)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T 분기관측 밸브(408)가 장착된다.
상기 송풍 관로측 제1 밸브(405)와 상기 T 분기관측 밸브(408)는 볼 밸브를 사용한다.
상기 혼화 수단(400)은 기포 발생을 위해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40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폭발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을 낮추는 이산화염소 반응조 보호 수단(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 보호 수단(600)은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601)과,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기체를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관로(602), 상기 배기 관로(602)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 관로(602)를 통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에 채워진 기체를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내보내지 않는 배기 밸브(603), 및 상기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601)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송풍기(401)를 정지시키고 배기 밸브(603)를 열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제1 인터록부(604)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밸브(603)는 상기 제1 인터록부(604)의 전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와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601) 사이에 연결된 배관에는 반응조 압력 측정용 밸브(605)가 장착되고 상기 반응조 압력 측정용 밸브(605)는 볼 밸브를 이용한다.
이산화염소 가스가 탈기되고 남아있는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폐액은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생성물과, 탈기되지 않고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안에 잔류하는 이산화염소를 포함한 이산화염소 수용액이므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부터 배출 폐기하거나 산 및 알카리 세정을 위한 약액 세정 용수로 재사용하기 위해 탈취기 순환 수조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 입구를 통해 탈취시키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고 안으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서 생성된 기체 상태의 이산화염소가 공급되는 탈취용 덕트(D)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는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탈취용 덕트(D) 입구로부터 탈취용 덕트(D) 출구로 빠져나가는 악취의 풍압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 날개를 통해 바람을 일으켜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의 유체를 탈취용 덕트(D) 출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임펠러(502)와,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임펠러(502)의 회전력을 역회전 기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의 유체를 상기 탈취용 덕트(D) 입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임펠러(50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임펠러(502)를 통해 발생된 풍압 세기는 상기 제2 임펠러(501)에 의해 발생된 풍압 세기보다 크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는 상기 제2 임펠러(501)로부터 발생된 풍압에 의해 탈취용 덕트(D) 입구 방향으로 분사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풍압을 발생하는 제1 임펠러(502)와 제2 임펠러(501)는 탈취용 덕트(D) 내부에서 난류를 발생시켜 악취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을 돕는다.
또한, 상기 제1 임펠러(502)와 상기 탈취용 덕트(D) 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임펠러(502)와 탈취용 덕트(D) 출구 사이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악취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악취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는 배플판(B)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와 탈취용 덕트(D)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탈취용 덕트(D)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전달하는 이산화염소 공급 관로(P1)에는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용 덕트(D)로부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역류되지 않도록 체크 밸브(CV)가 장착된다.
또, 상기 탈취용 덕트(D)에는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취용 덕트(D) 내 악취를 측정하는 악취 측정기(Cal1)가 부가 장착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악취 측정기(Cal1)로부터 전송된 악취 측정 결과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중앙 제어 수단(CC)을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부터 상기 탈취용 덕트(D)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양을 계산하는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와, 상기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로부터 계산된 이산화염소 양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비례 제어하여 상기 탈취용 덕트(D)에 기설정된 양의 이산화염소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양 제어 수단(700)을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염소양 제어 수단(700)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수단(CC)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상기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제어하는 제2 인터록부(701)와, 상기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에 의해 계산된 이산화염소 양에 따라 제2 인터록부(701)를 통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비례 제어하여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투입되는 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유량을 조정하는 중앙 제어 수단(CC)을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 수단(CC)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진 염산의 농도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량이 저장된 약품 농도별 혼합량 저장부(CC1)와, 상기 약품 농도별 혼합량 저장부(CC1)에 저장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량에 따라 상기 제2 인터록부(701)를 통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제어하여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투입되는 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유량을 조절하는 신호 발생부(CC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탈취용 덕트(D)안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2개의 임펠러와 배플판(B)을 이용하여 탈취시킬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를 효과적으로 뒤섞어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안쪽 하부에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를 높여 보다 짧은 시간안에 보다 많은 이산화염소를 얻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이 반응하는 반응조와, 반응 후 생성된 액상의 이산화염소가 채워지는 폐액 탱크를 하나로 통합하여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지는 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지는 염산의 농도에 따라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채워지는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비를 자동 조정할 수 있어, 원료 계량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100.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 101.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
102. 아염소산나트륨측 제1 관로 103.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관로
104.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 105. 아염소산나트륨 정량 측정부
106. 아염소산나트륨측 제1 밸브 107. 아염소산나트륨측 제2 밸브
108. 아염소산나트륨측 레벨 스위치 109. 아염소산나트륨 액위 감지부
110. 아염소산나트륨 배출 밸브 200. 염산 공급 수단
201. 염산 저장 탱크 202. 염산측 제1 관로
203. 염산측 제2 관로 204. 염산측 정량 펌프
205. 염산 정량 측정부 206. 염산측 제1 밸브
207. 염산측 제2 밸브 208. 염산측 레벨 스위치
209. 염산 액위 감지부 210. 염산 배출 밸브
300. 이산화염소 반응조 400. 혼화 수단
401. 송풍기 402. 송풍 관로
403. 기포 발생 부재 404. 로타 미터
405. 송풍 관로측 제1 밸브 406. T 분기관
407. 송풍 관로측 압력 게이지 408. T 분기관측 밸브
D. 탈취용 덕트 701. 제2 인터록부
501. 제2 임펠러 502. 제1 임펠러
B. 배플판 P1. 이산화염소 공급 관로
CV. 체크 밸브 P2.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관로
P3. 염산 공급 관로 600. 이산화염소 반응조 보호 수단
601.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 602. 배기 관로
603. 배기 밸브 604. 제1 인터록부
605. 반응조 압력 측정용 밸브 Cal1. 악취 측정기
CC. 중앙 제어 수단 CC1. 약품 농도별 혼합량 저장부
CC2. 신호 발생부 Cal2. 이산화염소 계산기
700. 이산화염소양 제어 수단

Claims (5)

  1.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과;
    염산 공급 수단(200);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된 아염소산나트륨과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된 염산이 채워지며 합류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이 반응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및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안쪽 하부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안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반응 속도를 높이는 혼화 수단(400)을 포함하며,
    덕트 입구를 통해 탈취시키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고 안으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서 생성된 기체 상태의 이산화염소가 공급되는 탈취용 덕트(D)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는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탈취용 덕트(D) 입구로부터 탈취용 덕트(D) 출구로 빠져나가는 악취의 풍압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 날개를 통해 바람을 일으켜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의 유체를 탈취용 덕트(D)의 출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 임펠러(502)와,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임펠러(502)의 회전력을 역회전 기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의 유체를 상기 탈취용 덕트(D) 입구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 임펠러(50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임펠러(502)를 통해 발생된 풍압 세기는 상기 제2 임펠러(501)에 의해 발생된 풍압 세기보다 크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는 상기 제2 임펠러(501)로부터 발생된 풍압에 의해 탈취용 덕트(D) 입구 방향으로 분사되고, 상기 탈취용 덕트(D) 내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풍압을 발생하는 제1 임펠러(502)와 제2 임펠러(501)는 탈취용 덕트(D) 내부에서 난류를 발생시켜 악취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을 도우며,
    상기 제1 임펠러(502)와 상기 탈취용 덕트(D) 출구 사이에는 상기 제1 임펠러(502)와 탈취용 덕트(D) 출구 사이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악취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혼합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악취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는 배플판(B)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탈기되고 남아있는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폐액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부터 배출되어 폐기되거나 산 및 알카리 세정을 위한 약액 세정 용수로 재사용하기 위해 탈취기 순환 수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 수단(400)은 기포 발생을 위해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401)를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폭발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의 내부 압력을 낮추는 이산화염소 반응조 보호 수단(600)이 장착되며,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 보호 수단(600)은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601)과,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기체를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관로(602),
    상기 배기 관로(602)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 관로(602)를 통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에 채워진 기체를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내보내지 않는 배기 밸브(603),
    및 상기 반응조 압력 측정 수단(601)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송풍기(401)를 정지시키고 상기 배기 밸브(603)를 열어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제1 인터록부(6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덕트 입구를 통해 탈취시키고자 하는 공기가 유입되고 안으로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서 생성된 기체 상태의 이산화염소가 공급되는 탈취용 덕트(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공급 수단(100)은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진 액상의 아염소산나트륨을 펌핑(Pumping)하여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전달하는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를 포함하며,
    상기 염산 공급 수단(200)은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진 염산을 펌핑하여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 전달하는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포함하고,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로부터 상기 탈취용 덕트(D)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 양을 계산하는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와,
    상기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로부터 계산된 이산화염소 양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비례 제어하여 상기 탈취용 덕트(D)에 기설절된 양의 이산화염소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양 제어 수단(7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염소양 제어 수단(700)은 중앙 제어 수단(CC)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상기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제어하는 제2 인터록부(701)와,
    상기 이산화염소 계산기(Cal2)에 의해 계산된 이산화염소 양에 따라 제2 인터록부(701)를 통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비례 제어하여 상기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투입되는 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유량을 조정하는 중앙 제어 수단(CC)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CC)은 상기 아염소산나트륨 저장 탱크(101)에 채워진 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상기 염산 저장 탱크(201)에 채워진 염산의 농도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량이 저장된 약품 농도별 혼합량 저장부(CC1)와,
    상기 약품 농도별 혼합량 저장부(CC1)에 저장된 상기 아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혼합량에 따라 상기 제2 인터록부(701)를 통해 상기 아염소산나트륨측 정량 펌프(104)와 염산측 정량 펌프(204)를 제어하여 이산화염소 반응조(300)에 투입되는 염소산나트륨과 염산의 유량을 조절하는 신호 발생부(CC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1020210152059A 2021-11-08 2021-11-08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Active KR10244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059A KR102441173B1 (ko) 2021-11-08 2021-11-08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059A KR102441173B1 (ko) 2021-11-08 2021-11-08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173B1 true KR102441173B1 (ko) 2022-09-08

Family

ID=8327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059A Active KR102441173B1 (ko) 2021-11-08 2021-11-08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1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60A (ko) * 2002-01-29 2003-08-06 노진희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3544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대한이엔비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101298376B1 (ko) * 2013-01-11 2013-08-20 (주)엠비티 덕트 설치형 탈취장치
KR101696649B1 (ko) 2016-03-07 2017-01-16 이동근 순수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102002506B1 (ko) * 2019-05-23 2019-07-22 김재우 연속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210040448A (ko) * 2018-10-15 2021-04-13 광둥 미디어 화이트 홈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센터 컴퍼니 리미티드 이중 반전 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60A (ko) * 2002-01-29 2003-08-06 노진희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3544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대한이엔비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101298376B1 (ko) * 2013-01-11 2013-08-20 (주)엠비티 덕트 설치형 탈취장치
KR101696649B1 (ko) 2016-03-07 2017-01-16 이동근 순수한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0448A (ko) * 2018-10-15 2021-04-13 광둥 미디어 화이트 홈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센터 컴퍼니 리미티드 이중 반전 팬
KR102002506B1 (ko) * 2019-05-23 2019-07-22 김재우 연속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7142B1 (en) Medical waste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KR20200076163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JP2006081802A (ja) 次亜塩素酸含有水による悪臭物質収容施設の殺菌・消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KR20100011542U (ko) 살균수 분무 장치
KR101298376B1 (ko) 덕트 설치형 탈취장치
KR102441173B1 (ko) 탈취기용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20170099303A (ko)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CN109985541A (zh) 一种臭氧水的即时混合装置
JPH11319046A (ja) 滅菌方法、滅菌装置及び無菌試験装置
JP2021037502A (ja) 感染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US10435314B2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200901522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ogenic and chemical reduction in fluid waste
CN206467739U (zh) 超声波雾化除臭装置
CN208574471U (zh) 一种用于消化池溢流沟的沼气处理装置
CN114259858A (zh) 一种曝气除臭装置
CN101530627B (zh) 除恶臭浓香异味净化装置
CN219847514U (zh) 一种自动消杀装置
JP6298620B2 (ja) 二酸化塩素ガスの発生停止方法および二酸化塩素ガス発生装置
CN217614456U (zh) 一种消毒药桶
CN218972833U (zh) 高等级生物安全实验室负压控制系统
CN212894054U (zh) 一种应用于医疗废水的活性氧消毒装置
CN213284611U (zh) 一种联合式消毒系统
CN205832233U (zh) 医疗废物及生物废物的臭氧消毒处理装置
KR102744163B1 (ko)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다중이용시설용 공기 살균장치
CN2536227Y (zh) 医疗器械臭氧水自动洗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