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019B1 -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1019B1 KR102441019B1 KR1020180027604A KR20180027604A KR102441019B1 KR 102441019 B1 KR102441019 B1 KR 102441019B1 KR 1020180027604 A KR1020180027604 A KR 1020180027604A KR 20180027604 A KR20180027604 A KR 20180027604A KR 102441019 B1 KR102441019 B1 KR 1024410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ttery module
- bus bars
- battery
- sen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일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이차전지들을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 상기 이차전지들의 전극 리드들이 노출되는 상기 셀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장착되고, 전면부에 상기 전극 리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는 센싱 어셈블리; 및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일측에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버스바들과 전기적으로 단절되게 배치되는 양극 터미널과 음극 터미널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attery module.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assembly including secondary batteries stacked in one direction; a sensing assembly mounted on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cell assembly to which the electrode leads of the secondary batteries are expose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on the front surface; and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nsing assembly to be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us bars and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bus bars.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통 과정 내지 배터리 팩 단위로 조립되기 전에 외부 단락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흐를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an abnormal overcurrent from flowing due to an external short circuit before assembling in a distribution process or a battery pack unit.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첨단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각광받고 있다.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also in the spotlight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etc.,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air pollution such as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
이차전지들은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은 이와 같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이차전지들로 구성된 집합체라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increase capacity and output. The battery module may be referred to as an aggregat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and/or in parallel as described above.
특히,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장치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상기 배터리 모듈을 기본 단위로 하고, 이들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현한 배터리 팩을 사용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due to the need for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in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electric vehicles, a battery pack implement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with the battery module as a basic unit is sometimes used.
이러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밀집도로 적층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배터리, 파우치형 배터리 등이 배터리 모듈의 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Since these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are preferably manufactured as small as possible in size and weight, prismatic batteries, pouch-type batteries, etc. that can be stacked at high density and have a small weight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unit cells of the battery module.
한편,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은 안전성에 관련된 여러 가지 이슈(issue)들이 있다. 예컨대, 배터리 모듈은 운용 중 과충전 또는 과방전, 각 이차전지 셀당 전압 불균형, 충방전시 내압 증가로 인한 스웰링 현상, 과전류 등으로 인한 급격한 성능 저하 및 폭발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은 안정성 확보 방안으로 과방전, 과충전, 과전류를 방지하고 셀 밸런싱 기능을 갖춘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이나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와 같은 배터리 보호회로를 일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Meanwhile,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has various issues related to safety. For example, the battery module has a risk of rapid performance degradation and explosion due to overcharging or overdischarging during operation, voltage imbalance per each secondary battery cell, swelling caused by an increase in withstand voltag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overcurrent. Therefore,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includes a battery protection circuit such as a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or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with a cell balancing function as one component to prevent overdischarge, overcharge, and overcurrent as a way to secure stability. have.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모듈은 외부 장치 또는 배터리 팩에 조립되기 전까지 외부 단락으로 인한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Nevertheless, there is still the possibility that the battery module will have safety problems due to an external short circuit until it is assembled into an external device or battery pack.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이차전지들은 모듈 하우징 내부에 패키징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나, 양극 및 음극 터미널은 모듈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모듈을 유통하는 과정이나, 배터리 모듈을 사용하여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금속 물체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 및 음극 터미널에 접촉하여 외부 단락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처럼 금속 물체에 의해 양극 및 음극 터미널이 단락되면, 배터리 모듈 내에 순간적으로 과전류가 흐를게 되어 이차전지들이 손상되거나 과열되고 이로 인해 화재 또는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배터리 모듈의 유통 과정 또는 단위 배터리 모듈들을 사용하여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외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In general, secondary batteries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are packaged inside the module housing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re exposed outside the module housing. For this reason, there is a risk that a metal object may contact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 and cause an external short circuit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battery module or assembling the battery pack using the battery module. As such, when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re short-circuited by a metal object, an overcurrent may instantaneously flow in the battery module, thereby damaging or overheating the secondary batteries, which may cause a fire or explos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reventing an external short circuit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unit battery modules or assembling a battery pack using the unit battery modu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통 과정 내지 배터리 팩 단위로 조립되기 전에 외부 단락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흐를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abnormal overcurrent from flowing due to an external short circuit before assembling in a distribution process or a battery pack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이차전지들을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 상기 이차전지들의 전극 리드들이 노출되는 상기 셀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장착되고, 전면부에 상기 전극 리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는 센싱 어셈블리; 및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일측에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버스바들과 전기적으로 단절되게 배치되는 양극 터미널과 음극 터미널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ll assembly comprising: a cell assembly including secondary batteries stacked and arranged in one direction; a sensing assembly mounted on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cell assembly to which the electrode leads of the secondary batteries are expose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on the front surface; and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us bars and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bus bars on one side of the sensing assembly.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상기 센싱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sensing assembly to integrally cover the plurality of bus bars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 중에서 선택되는 2개의 버스바는 각각 일단이 상기 양극 터미널 또는 상기 음극 터미널을 향해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Each of the two bus bar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us bars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for terminal connection formed by extending one en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oward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를 제외한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을 일체로 커버하는 메인 커버와,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를 커버하는 임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임시 커버는 상기 메인 커버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includes a main cover integrally covering the plurality of bus bars except for the terminal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and a temporary cover covering the terminal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wherein the temporary cover is detachable from the main cover. can be arranged for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 각각은,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전면부 상단에 배치되고, 판상체 형태로 형성되는 터미널 플레이트부와,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는 일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ensing assembly and includes a terminal plate portion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a bolt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terminal plate portion, the terminal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may be disposed on the same virtual plane as one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part.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의 폭에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width of the terminal plate portion.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는,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를 향해 곧게 연장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에 교차하고 적어도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의 폭에 대응하게 연장되는 제2 구간, 상기 제2 구간에 교차하고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ection extending straight toward the terminal plate portion, a second s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section and extending to correspond to at least a width of the terminal plate portion, and crossing the second section and crossing the terminal It may include a third section extending away from the plate portion.
상기 셀 어셈블리는, 사각 틀 형태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차전지를 수납하고, 각각 세워져서 수평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적층용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용 프레임들 각각은, 하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마련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용 프레임들의 상기 받침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홀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cell assembly further includes frames for stacking that accommodate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inside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re respectively erected and stacked in a horizontal direction, each of the stacking frames having a different lower end It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that protrudes fur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frames for stacking so as to be integrally fixedly coupled.
상기 셀 어셈블리는, 상기 적층용 프레임들의 상부와 양쪽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판상체 형태로 마련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양쪽 측면을 감싸는 부분의 하단이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적층용 프레임의 받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cell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end plat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shaped body bent to surround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stacking frames, wherein the end plate has a lower end of a portion surrounding the both side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I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of the frame for lamination.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 상기 양극 터미널, 상기 음극 터미널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셀 어셈블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센싱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board that provides a place where the plurality of bus bars,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can be mount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and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cell assembly. have.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센싱 보드의 전면에는 상기 다수의 버스바와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이 배치되고, 상기 센싱 보드의 배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수 있다.In the sensing assembly, the plurality of bus bars,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may b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boar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sensing board.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배터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ack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류 유통 과정 내지 배터리 팩 단위로 조립되기 전까지 외부 단락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흐를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bnormal overcurrent from flowing due to an external short circuit before assembling in a logistics distribution process or a battery pack unit, thereby providing a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필요 시 이외에는 전극 터미널들이 비활성화되게 이차전지들로부터 분리된 구조로 마련되어 있어 기존 대비 공간 및 비용 증가 또는 과도한 설계 변경 없이도 외부 단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batteries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s are deactivated except when necessary,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an external short circuit without an increase in space and cost or excessive design change compared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com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싱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센싱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 장착 전의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보호 커버 장착 전의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 장착 후의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호 커버 장착 후의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커버를 분리한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들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조립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ensing assembly of FIG. 1 ;
FIG. 3 is a rear view of the sensing assembly of FIG. 2 .
4 is a front view of the battery module before mounting 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before the protective cover of FIG. 4 is mount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after mounting 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battery module after the protective cover of FIG. 6 is mounted.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part of a battery module with a temporary cover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before/after assembling a battery pack using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셀 어셈블리(100), 센싱 어셈블리(200), 외부 단자로 기능하는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 그리고 보호 커버(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먼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셀 어셈블리(100)에 대해 살펴보면, 셀 어셈블리(100)는 이차전지들과, 적층용 프레임(120)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First, looking at the
상기 셀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이차전지로는 파우치형 배터리 셀들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 셀들은, 일 방향, 이를테면 넓은 면이 세워져 수평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a secondary battery constituting the
적층용 프레임(120)은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적층하는데 이용되는 구성요소로, 기계적 강성이 부족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홀딩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고 상호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차전지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The
적층용 프레임(120)은, 카트리지 등 다른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용 프레임(120)들은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수납하고 각각 세워져서 수평 방향으로 적층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적층용 프레임(120)들 간은 스냅-핏(snap-fit)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특히, 본 실시예 따른 적층용 프레임(120)들 각각은, 네 모서리 중 하나가 더 길게 형성되어 마련된 받침부(121)를 구비한다. 도 1과 같이, 적층용 프레임(120)들이 세워져 적층되면, 하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태가 되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로 인해 후술할 센싱 어셈블리(200)는 받침부(121) 위에 놓여 지지될 수 있다. In particular, each of the frames for stacking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또한, 받침부(121)의 중앙 영역에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적층용 프레임(120)들은 상기 받침부(121)들의 홀들이 좌우로 일치하게 적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숄더 볼트(B)와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받침부(121)들의 홀들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용 프레임(120)들은 스냅-핏 체결뿐만 아니라 숄더 볼트(B)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고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le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엔드 플레이트(130)는 적층용 프레임(120)들에 대한 기계적 지지력을 제공하고 이들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130)는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130)는 절곡 형성된 판상체 형태로서, 상판(131)과 상기 상판(131)의 양쪽 모서리에서 연직 하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좌우 측면판(132)을 포함한다. 적층용 프레임(120)들은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130)에 의해 상부와 양쪽 측면이 감싸일 수 있다. The
이를테면, 엔드 플레이트(130)와 적층용 프레임(120)들은 엔드 플레이트(130)를 적층용 프레임(120)들에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130)를 적층용 프레임(120)에 덮어씌울 경우, 엔드 플레이트(130)와 적층용 프레임(120) 간의 체결 개소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엔드 플레이트(130)의 좌우 측면판(132)의 하단, 다시 말하면 좌우 측면판의 하단 코너 4곳(132a)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적층용 프레임(120)들의 받침부(121)들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엔드 플레이트(130)에서 좌우 측면판(132)이 벌어지는 스프링 백(spring-back) 현상이 저지될 수 있으며, 엔드 플레이트(130)와 적층용 프레임(120)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러한 셀 어셈블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차전지들의 전극 리드(111)들은 적층용 프레임(120)에 마련되는 슬릿을 통과하여 적층용 프레임(120)들의 전면과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in this
참고로, 파우치형 배터리 셀은 그 형태에 따라 본 실시예와 같이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the positive lead and the negative lead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may be us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 some cases, thos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may be used.
센싱 어셈블리(200)는 기본적으로 전극 리드(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으로 전극 리드(111)가 노출되는 위치에 따라 셀 어셈블리(10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센싱 어셈블리(200)는 셀 어셈블리(100)의 전면과 후면에 하나씩 장착될 수 있다.The
도 2는 도 1의 센싱 어셈블리(200)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센싱 어셈블리(200)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400) 장착 전의 배터리 모듈(10)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the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센싱 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버스바(210), 센싱 보드(220), 인쇄회로기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버스바(210)는 구리(CU)와 같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서 그 표면에 전극 리드(111)들이 초음파 용접 방식 등에 의해 부착된다. 예컨대, 하나의 버스바(210)에는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의 양극 리드와 다른 하나의 음극 리드가 부착될 수 있다. 각 버스바(210)에 이러한 패턴으로 이차전지들의 전극 리드(111)들이 부착됨으로써 이차전지들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210)들은 센싱 보드(220) 상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210)들 중 선택되는 2개의 버스바(210)에는 각각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버스바(210)는 배열 순서상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버스바(210)로서 양극 리드가 부착된 양극 버스바(210a)와 음극 리드가 부착된 음극 버스바(210b)가 이에 해당한다.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는 상기 양극 버스바(210a)와 상기 음극 버스바(210b)의 몸체에서 전극 터미널(300a,300b)로부터 소정 간격(G)만큼 떨어진 위치까지 연장된 부분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이처럼 버스바(210)들과 전극 터미널이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10)을 사용하려면 별도로 버스바(210)들, 즉 이차전지들과 전극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후술하기로 한다. Since the
센싱 보드(220)는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버스바(210)들과, 양극 터미널(300a) 및 음극 터미널(300b) 등의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The
센싱 보드(220)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로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상기 센싱 보드(220)는 버스바(210)들이 장착될 위치 주변에 전극 리드(111)들이 전후로 통과할 수 있는 슬릿들을 구비하고, 적층용 프레임(120)의 받침부(121)를 제외한 적층용 프레임(120)들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센싱 보드(220)는 테두리 둘레에 후크를 구비하여 셀 어셈블리(100)에 스냅 핏 방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으며, 그 하단부는 적층용 프레임(120)들의 받침부(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인쇄회로기판(230)은 이차전지들의 전기적 특성, 예컨대 각 이차전지 셀의 전압을 검출하고 이차전지 셀들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칩을 포함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수의 버스바(210)들은 그 일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에 접속될 수 있다.The printed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30)은, 도 3과 같이, 상기 센싱 보드(22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30)을 센싱 보드(220)의 배면에 배치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30)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바(210)들과의 접속성 및 센싱 보드(220)의 공간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The prin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은 센싱 어셈블리(200)의 전면부 즉, 센싱 보드(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테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은 센싱 보드(220)의 상단 양쪽 코너 부분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은 동일한 구조로서, 대략 사각 판상체 형태로 형성되는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와,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볼트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은, 양극 및 음극 버스바(210a,210b)의 상부에 위치하되 버스바(210)들로부터 분리되어 버스바(210)들과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In particular, the
따라서 이와 같이 버스바(210)들과 분리된 상태의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은 배터리 모듈(10)의 외부 전극 단자로서의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은 별도의 전기적 매개체에 의해 각각 양극 버스바(210a)와 음극 버스바(21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비로소 배터리 모듈(10)의 외부 전극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보호 커버(400)는 다수의 버스바(210)들과 전극 리드(111)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여 외부 단락 위험으로부터 배터리 모듈(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보호 커버(400)는 버스바(210)들이 위치한 센싱 어셈블리(200)의 전면 및 후면에 하나씩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도 5와 도 6 및 도 7을 비교해서 살펴보면,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 아래에 위치한 모든 버스바(210)들이 보호 커버(400)에 의해 덮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통전 가능성이 있는 영역들은 모두 보호 커버(400)에 의해 절연 처리되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은 버스바(210)들과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외부 단자로서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금속 물체가 접촉하더라도 전류가 통하지 않는다.5 and 6 and 7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all the bus bars 210 positioned under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운송 과정 내지 배터리 팩 단위로 조립되기까지는 도 6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외부 단락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과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다.Since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40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커버(410)와 임시 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메인 커버(410)는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를 제외한 버스바(210)들을 일체로 커버하는 부분으로 배터리 모듈(10)의 유지 보수시 등을 제외하고 항시 센싱 어셈블리(200)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한다.The
임시 커버(420)는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 쪽에 각각 하나씩 2개이며, 메인 커버(4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도 8과 같이, 상기 임시 커버(420)를 메인 커버(410)에서 떼어내면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커버(420)는 단위 배터리 모듈(10)을 외부 장치에 연결하기 직전 또는 단위 배터리 모듈(10)들 여러 개를 연결하여 배터리 팩 단위로 조립하기 직전에 메인 커버(4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when the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에 대해 보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again to FIGS. 2 to 5, the above-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이차전지들은 직렬 연결되어 있어 이차전지들의 배열 순서상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버스바(210)는 음극 리드에 연결되어 있고, 가장 왼쪽에 위치한 버스바(210)는 양극 리드에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2개의 버스바(210)에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가 더 구비된다.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이 외부 단자로서 활성화되려면 예컨대, 도 10과 같이 인터 버스바(20)와 같은 별도의 전도체에 의해 이들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in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econdary batteries,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는 적어도 일부분이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의 폭에 대응하고, 그 두께는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와 터미널 플레이트부(310)는 센싱 보드(220)에 대해 돌출 정도가 같아져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의 일면과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의 일면이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즉,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의 일면과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의 일면은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놓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와 터미널 플레이트부(310)간의 높낮이와 폭의 차이가 거의 없도록 함으로써 추후 이들을 인터 버스바(20)로 덮어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접촉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height and width betwe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는, 터미널 플레이트부(310)를 향해 곧게 연장되는 제1 구간(211a), 상기 제1 구간(211a)에 교차하고 적어도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의 폭에 대응하게 연장되는 제2 구간(211b), 상기 제2 구간(211b)에 교차하고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에서 멀어지게 연장되는 제3 구간(211c)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구간(211a)은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와 소정 간격(G)만큼 떨어진 위치까지 양극 버스바(210)와 음극 버스바(210)의 몸체에서 연장된 부분이다. 그리고 제2 구간(211b)은 제1 구간(211a)에 교차하는 방향, 즉 터미널 플레이트의 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는 이러한 제2 구간(211b)을 구비함으로써 추후 인터 버스바(20)와의 접촉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30)이 버스바(210)들의 배열 면적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어 센싱 보드(220)의 배면 중앙 상부 영역에 부착되는 구조에서, 상기 제2 구간(211b)은 양극 및 음극 버스바(210)가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3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우회 경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구간(211c)은 터미널 플레이트부(31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부(211d)는 인쇄회로기판(230)에 접속되게 센싱 보드(220)의 배면을 향해 벤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int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들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조립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9 and 10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before/after assembling a battery pack using the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배터리 모듈(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립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n assembly proces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bove-described
단위 배터리 모듈(10)은 초기에, 도 6과 같이,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이 외부 단자로서 비활성화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을 구성하려면 상기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이 각 배터리 모듈(10)의 외부 단자로서 기능하도록 활성화시켜야 한다.Since the
이를 위해 먼저, 단위 배터리 모듈(10)들을 서로 밀착시킨 다음, 단위 배터리 모듈(10)에서 임시 커버(420)를 분리한다. 이때, 도 8과 같이 임시 커버(420)를 분리하면,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 아래에 터미널 연결용 버스바(210)들이 노출될 수 있다. To this end, first, the
그 다음, 좌측 편 배터리 모듈(10)의 음극 터미널(300b)과 우측 편 배터리 모듈(10)의 양극 터미널(300a)을 인터 버스바(20)를 사용해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인터 버스바(20)는 고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금속 막대형 전도체일 수 있다. Then, the
특히, 상기 인터 버스바(20)는 좌측 편 배터리 모듈(10a)의 음극 터미널(300b), 우측 편 배터리 모듈(10b)의 양극 터미널(300a) 그리고 상기 음극 터미널(300b)과 상기 양극 터미널(300a)에 각각 인접한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들에 모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터 버스바(20)에 의해 각 배터리 모듈(10)에서 단절되어 있던 부분과 두 개의 배터리 모듈(10)의 양극 터미널(300a)과 음극 터미널(300b)이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좌측 편 배터리 모듈(10a)의 양극 터미널(300a)과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 그리고 우측 편 배터리 모듈(10b)의 음극 터미널(300b)과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211)는 인터 버스바(20)와 유사한 구조의 단자용 버스바(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위 배터리 모듈(10)을 연결한 예를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위와 같은 인터 버스바(20)를 사용하여 단위 배터리 모듈(10)들을 필요한 개수만큼 얼마든지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w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0)들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10)들을 수납하기 위한 팩 케이스, 배터리 모듈(10)들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s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 또는 전력 저장장치(ESS)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vehicl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or an ES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된 경우,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back ar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 terms are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or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etc.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may vary.
10: 배터리 모듈 100: 셀 어셈블리
111: 전극 리드 120: 적층용 프레임
121: 받침부 130: 엔드 플레이트
200: 센싱 어셈블리 210: 버스바
211: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 220: 센싱 보드
230: 인쇄회로기판 300a,300b: 양극 터미널, 음극 터미널
310: 터미널 플레이트부 320: 볼트부
400: 보호 커버 410: 메인 커버
420: 임시 커버 10: battery module 100: cell assembly
111: electrode lead 120: frame for lamination
121: support 130: end plate
200: sensing assembly 210: busbar
211: extension for terminal connection 220: sensing board
230: printed
310: terminal plate portion 320: bolt portion
400: protective cover 410: main cover
420: temporary cover
Claims (12)
상기 이차전지들의 전극 리드들이 노출되는 상기 셀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장착되고, 전면부에 상기 전극 리드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는 센싱 어셈블리; 및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일측에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버스바들과 전기적으로 단절되게 이격 배치되는 양극 터미널과 음극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 중에서 선택된 2개의 버스바는 일단이 각각 상기 양극 터미널 또는 상기 음극 터미널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는 대응하는 상기 양극 터미널 또는 상기 음극 터미널과 비접촉하게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a cell assembly including secondary batteries stacked in one direction;
a sensing assembly mounted on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cell assembly to which the electrode leads of the secondary batteries are expose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s on the front surface; and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us bars on one side of the sensing assembly and spaced apart from the bus bars to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bus bars;
Two bus bar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us bars each have an extension part for terminal connection that has one end extending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is configured to be non-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상기 센싱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sensing assembly to cover the plurality of bus bars integrally.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를 제외한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을 일체로 커버하는 메인 커버와,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를 커버하는 임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임시 커버는 상기 메인 커버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ective cover is
and a main cover integrally covering the plurality of bus bars except for the extension for terminal connection, and a temporary cover for covering the extension for terminal connection,
The temporary cover is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main cover.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은 각각
상기 센싱 어셈블리의 전면부 상단에 배치되고, 판상체 형태로 형성되는 터미널 플레이트부와,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는 일면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re each
It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of the sensing assembly and includes a terminal plate part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bolt part protru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plate part,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one surface of the terminal connection extension part is disposed on the same virtual plane as one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part.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의 폭에 대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6. The method of claim 5,
The terminal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terminal plate portion.
상기 터미널 연결용 연장부는,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를 향해 곧게 연장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에 교차하고 적어도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의 폭에 대응하게 연장되는 제2 구간, 상기 제2 구간에 교차하고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7. The method of claim 6,
The extension part for connecting the terminal,
A first section extending straight toward the terminal plate portion, a second s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section and extending to correspond to at least a width of the terminal plate section, crossing the second section and extending away from the terminal plate section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third section.
상기 셀 어셈블리는,
사각 틀 형태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차전지를 수납하고, 각각 세워져서 수평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적층용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용 프레임들 각각은, 하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마련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용 프레임들의 상기 받침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홀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The method of claim 1,
The cell assembly is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is accommodated inside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frames for stacking which are respectively erected and stacked in a horizontal direction,
Each of the frames for lamination has a support portion provided with a lower end protruding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other portions, and a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frames for stacking to be integrally fixedly coupled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셀 어셈블리는,
상기 적층용 프레임들의 상부와 양쪽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판상체 형태로 마련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양쪽 측면을 감싸는 부분의 하단이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적층용 프레임의 받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9. The method of claim 8,
The cell assembly is
Further comprising an end plat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shaped body bent so as to surround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frames for lamination,
The end plate is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surrounding the both sides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stacking fram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버스바들, 상기 양극 터미널, 상기 음극 터미널이 장착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셀 어셈블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센싱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ng assembly,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board that provides a place for the plurality of bus bars,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to be mount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and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cell assembly .
상기 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센싱 보드의 전면에는 상기 다수의 버스바와 상기 양극 터미널과 상기 음극 터미널이 배치되고, 상기 센싱 보드의 배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nsing assembly,
The plurality of bus bars,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boar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nsing bo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7604A KR102441019B1 (en) | 2018-03-08 | 2018-03-08 |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7604A KR102441019B1 (en) | 2018-03-08 | 2018-03-08 |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6311A KR20190106311A (en) | 2019-09-18 |
KR102441019B1 true KR102441019B1 (en) | 2022-09-05 |
Family
ID=6807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7604A Active KR102441019B1 (en) | 2018-03-08 | 2018-03-08 |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101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1199A (en) * | 2019-10-07 | 2021-04-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of structure to easily assem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8546B1 (en) | 2019-10-18 | 2025-04-1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
KR20210052999A (en) * | 2019-11-01 | 2021-05-11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20210090888A (en) * | 2020-01-13 | 2021-07-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ouch type battery pack with fold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104491A (en) * | 2020-02-17 | 2021-08-2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
JP7491776B2 (en) * | 2020-08-25 | 2024-05-28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Power storage device |
KR20220074593A (en) * | 2020-11-27 | 2022-06-0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0747B1 (en) * | 2010-12-20 | 2017-07-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140000770A (en) * | 2012-06-25 | 2014-01-06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
KR20150104550A (en) * | 2015-08-28 | 2015-09-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KR102389605B1 (en) | 2015-12-29 | 2022-04-22 |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 Short circuit structure for battery modul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18
- 2018-03-08 KR KR1020180027604A patent/KR102441019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1199A (en) * | 2019-10-07 | 2021-04-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pack of structure to easily assem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831752B1 (en) | 2019-10-07 | 2025-07-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pack of structure to easily assem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6311A (en) | 2019-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1019B1 (en) |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
JP7045550B2 (en) | Battery pack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 |
US11545727B2 (en) | Easier to assemble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frame | |
KR102379227B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
JP5259599B2 (en) | Battery module interface | |
KR102085344B1 (en) | Battery pack for a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US10011162B2 (en) | Power switching module for battery module assembly | |
KR101404712B1 (en) |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 |
EP2706589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assembly including same | |
KR102433361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CN103636029B (en) |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 |
CN102804447B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novel structural sensing member | |
KR101853397B1 (en) | Battery Module | |
EP3984865A1 (en) | Underbody for vehicle | |
KR102352625B1 (en) | Battery Pack using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
JP7326494B2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busbar plate,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KR20170027543A (en) | Battery Module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 |
US11239526B2 (en) | Energy storage apparatus | |
KR102074322B1 (en) | Intergrated Cartridge for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 |
KR20210000260A (en) | Battery Pack Having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 |
KR102019472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JP7385347B2 (en) | Power storage device | |
KR20170050092A (en) | Fuse assembly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pack | |
KR20200086957A (en) | Battery Module Having Inner Plate | |
KR102809421B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and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