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416B1 -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 Google Patents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0416B1 KR102440416B1 KR1020200109505A KR20200109505A KR102440416B1 KR 102440416 B1 KR102440416 B1 KR 102440416B1 KR 1020200109505 A KR1020200109505 A KR 1020200109505A KR 20200109505 A KR20200109505 A KR 20200109505A KR 102440416 B1 KR102440416 B1 KR 1024404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sanitary cup
- handle
- sanitary
- sto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치질 전용 위생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위생컵의 보관시 입구 테두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보관되게 하여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위생컵의 보관시 칫솔도 함께 거치하여 보관할 수있도록 한 양치질 전용 위생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cup dedicated to brushing teeth, and in particular,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the entrance edge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dust or foreign substances, and the toothbrush is also mounted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It relates to a sanitary cup dedicated to brushing teeth so that it can be sto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치질 전용 위생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위생컵의 보관시 입구 테두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보관되게 하여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위생컵의 보관시 칫솔도 함께 거치하여 보관할 수있도록 한 양치질 전용 위생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cup dedicated to brushing teeth, and in particular,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the entrance edge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dust or foreign substances, and the toothbrush is also mounted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It relates to a sanitary cup dedicated to brushing teeth so that it can be stored.
일반적으로 치솔을 이용하여 양치를 한 후 입을 헹굴 때 물의 낭비를 막고, 양치시 물이 입 주변은 물론, 상의(上衣)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컵에 물을 받아 입을 헹구게 된다.In general, after brushing with a toothbrush, water is poured into a cup and rinsed with water to prevent wastage of water when rinsing the mouth, and to prevent water from splashing around the mouth as well as on the top when brushing.
상기와 같이 양치 후 입을 헹굴 때 사용하는 컵은 일반적으로 물을 따라 마시는 컵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동일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up used for rinsing the mouth after brushing generally has the same shape structure tha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cup for drinking water.
따라서, 물을 받아 입을 헹구는 기능 이외는 다른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아니하여 치솔과 함께 사용되어지는 물품임에도 불구하고 양치도구로써의 사용이 활성화되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since it does not have any other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of rinsing the mouth with water, the use as a toothbrushing tool is not activated even though it is an article used together with a toothbrush.
즉, 양치를 하고 입을 헹궈 양치를 마친 상태에서 치솔과 컵을 함께 보관 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컵을 양치도구로서 인지하여 사용이 대중화되어질 수 있는데 불구하고, 일반 컵으로도 흔히 행할 수 있는 방법인 컵내부에 치솔을 꼽아 임시보관이 가능함에 따라 양치전용 컵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In other words, by storing the toothbrush and the cup together after brushing teeth, rinsing the mouth, and finishing brushing, consumers recognize the cup as a toothbrush and use it, although the use can be popularized. As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tore it by inserting a toothbrush, there is no need for a cup dedicated to brushing teeth.
상기와 같이 칫솔을 컵에 꼽아 보관할 경우, 컵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등 위생적인 보관을 담보할 수가 없고, 장시간 보관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When storing the toothbrush in a cup as described above, hygienic storage such as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cup cannot be ensured, and it is not suitable for long-term storage.
또한, 컵을 보관시에는 컵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엎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경우 컵 입구 가장자리가 바닥의 이물질이나 세균등으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p is stored, it is stored upside down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up.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위생컵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8670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위생컵(10)의 상부 외주연부에 다수개의 소형돌기(11)를 구성하고, 위생컵의 일측에 구성된 손잡이부(13)의 하단에 걸고리(12)를 구성한 것으로써, 컵을 엎어 놓거나 걸어 놓았을때 입구 가장자리가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sanitary cup that solves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58670 and is shown in FIG. 1 . This constitutes a plurality of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위생컵(10)은 입구 가장자리의 위생을 위하여 별도의 소형돌기(11)를 형성하여야 하며, 칫솔을 보관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보관통에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위생컵의 보관시 입구 테두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보관되게 하여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위생컵의 보관시 칫솔도 함께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양치질 전용 위생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the inlet rim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dust or foreign substances, and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the toothbrus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nitary cup dedicated to brushing teeth that can also be placed and stored toget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양치질 전용 위생컵은, 물을 수용하며 입구가 형성된 컵몸체와, 상기 컵몸체의 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된 하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에 물기가 배수되는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에 칫솔 손잡이가 결합되는 제2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입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연장 단부에 상기 바닥에 지지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편이 형성된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 웨이트가 구비되어서,
상기 웨이트에 의해서 상기 위생컵의 입구 전체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up body having an inlet for accommodating water, and a handle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cup body,
The handle is formed with the upper end, the lower e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toward the lower sid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 first hole through which water is drain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hole through which a toothbrush handle is coupl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 handle is extended from the connection part to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let, and an extension having a horizontal support piece bent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is formed at the extension end thereof,
A weight is provided on the han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inlet of the sanitary cup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the w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 양치질 전용 위생컵은 보관시 입구 테두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보관되게 하여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위생컵의 보관시 칫솔도 함께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dust or foreign substances by keeping the entrance edg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during storage, and allowing the toothbrush to be mounted and stored together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또한, 본 발명 위생컵은 웨이트의 채용으로 위생컵의 입구 전체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보관가능하게 하여 입구를 전체적으로 이물질이나 세균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anitary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ntire inlet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or bacteria by allowing the entire inlet of the sanitary cup to be stored away from the floor by the adoption of a weight.
도 1은 종래 위생컵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위생컵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위생컵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위생컵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위생컵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anitary cup,
Figures 2a and 2b is a view showing a sanitary cup and use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view showing a sanitary cup and use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and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sanitary cup and use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anitary cup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실시예의 양치질 전용 위생컵은 보관시 입구 테두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보관되게 하여 입이 닿는 입구 테두리가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위생컵의 보관시 칫솔도 함께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anitary cup dedicated to brush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ntrance edge to be stored away from the floor during storage to prevent the entrance edge where the mouth touches from being contaminated from dust or foreign substances, and the toothbrush is also mounted when the sanitary cup is stored. make it possible to store
본 발명 실시예의 양치질 전용 위생컵을 나타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이는 물을 수용하며 입구(11)가 형성된 컵몸체(10)와, 상기 컵몸체(10)의 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20)를 구비한다.2A and 2B showing the sanitary cup dedicated to brush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tains a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21)는 상기 컵몸체의 입구(10) 테두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몸체(10)를 엎어 놓았을때 돌출된 높이(h)에 의해서 상기 입구(11) 테두리의 일부분이 바닥(200)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The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상단부(21)와, 상기 상단부(21)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된 하단부(22)와, 상기 상단부(21)와 하단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3)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양치질 후 위생컵(20)을 사용한다.The
또한, 상기 상단부(21)에는 물기가 배수되는 제1구멍(2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22)에는 칫솔 손잡이(300)가 결합되는 제2구멍(22a)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치질이 끝난후 위생컵(20)을 사용하지 않을때 위생컵(20)을 엎어 놓고 칫솔 손잡이(300)를 제2구멍(22a)에 꽂아서 보관하게 되며, 물기는 제1구멍(21a)을 통하여 배수되게 되어 곰팡이 등 세균의 번식을 예방하게 된다.In addition, a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21)에는 돌기(21b)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구멍(21a)이 상기 바닥(2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하여 물기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하였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A and 3B , a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 손잡이(20)의 연결부(23)로부터 상기 입구(1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연장 단부가 상기 바닥(200)에 지지되는 연장편(24)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24)의 단부에 훅크(24a)가 형성된 것이다. 이는 바닥(200)에 보관시 입구(11)의 일부분이 바닥(2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보관하거나, 훅크(24a)를 통하여 벽에 걸어서 보관할 수도 있도록 하여, 입구 테두리가 세균이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4A and 4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extends from the connecting
도 5는 본 발명 위생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연장편(24)의 단부에 바닥(200)에 지지되는 수평지지편(24b)을 절곡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0)의 내측에 웨이트(400)를 부착하여서, 위생컵의 입구 테두리 전체가 바닥(2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것이다. 이 위생컵(100)은 칫솔의 자체 중량 및 웨이트(400)에 의해서 입구 전체가 바닥(200)으로부터 이격되게 되어 입구(11) 전체가 바닥(200)의 이물질이나 세균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게 한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nitary cup. This forms a ben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위생컵(100)은 보관시 입구 테두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보관되게 하여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위생컵의 보관시 칫솔도 함께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The
10...컵몸체 11...입구
20...손잡이 21...(손잡이의)상단부
22...(손잡이의)하단부 23...(손잡이의)연결부
21a...제1구멍 22a...제2구멍
100...위생컵 200...바닥
300...칫솔 손잡이 400...웨이트10
20
22...(handle's)
21a...
100...
300
Claims (3)
상기 손잡이(20)는 상단부(21)와, 상기 상단부(21)로부터 하부측으로 이격된 하단부(22)와, 상기 상단부(21)와 하단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21)에 물기가 배수되는 제1구멍(2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22)에 칫솔 손잡이(300)가 결합되는 제2구멍(22a)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연결부(23)로부터 상기 입구(1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연장 단부에 바닥(200)에 지지되도록 절곡된 수평지지편(24b)이 형성된 연장편(24)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0)에 웨이트(400)가 구비되어서,
상기 웨이트(400)에 의해서 위생컵의 입구(11) 전체가 바닥(2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질 전용 위생컵.A cup body 10 containing water and having an inlet 11 formed therein, and a handle 20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cup body 10,
The handle 20 is formed of an upper end 21, a lower end 22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21 to the lower side, and a connecting portion 23 connecting the upper end 21 and the lower end 22,
A first hole (21a) through which water is drained is formed in the upper end (21), and a second hole (22a) through which the toothbrush handle (300) is coupled is formed in the lower end (22),
The handle 20 extend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3 to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let 11 and has an extended piece 24 having a horizontal support piece 24b bent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200 at the extended end thereof. ) is formed,
A weight 400 is provided on the handle 20,
The sanitary cup for garg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inlet 11 of the sanitary cup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200 by the weight 400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505A KR102440416B1 (en) | 2020-08-28 | 2020-08-28 |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505A KR102440416B1 (en) | 2020-08-28 | 2020-08-28 |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8461A KR20220028461A (en) | 2022-03-08 |
KR102440416B1 true KR102440416B1 (en) | 2022-09-02 |
Family
ID=8081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9505A Active KR102440416B1 (en) | 2020-08-28 | 2020-08-28 |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0416B1 (e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92768U (en) * | 1989-01-04 | 1990-07-24 | ||
KR980006501U (en) * | 1996-07-27 | 1998-04-30 | 옥윤선 | cup |
KR19990022101U (en) * | 1999-02-27 | 1999-06-25 | 장이석 | A toothbrush hanger |
KR200258670Y1 (en) | 2001-08-27 | 2001-12-28 | 신석균 | Cup |
KR200452614Y1 (en) | 2008-07-24 | 2011-03-11 | (주)아모레퍼시픽 | Toothbrush Cup |
KR20100015236A (en) * | 2008-08-04 | 2010-02-12 | 장진현 | cup |
-
2020
- 2020-08-28 KR KR1020200109505A patent/KR10244041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8461A (en) | 2022-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64868B2 (en) | Toothbrush holder | |
US6902056B2 (en) | Brush caddy | |
US20090242442A1 (en) | Draining holder | |
KR102440416B1 (en) | Sanitary cup for brushing teeth | |
KR20150075657A (en) | Attachable-detachable toothbrush holder | |
JP2011011018A (en) | Container holder | |
KR200331746Y1 (en) | Shelf for washing stand | |
JP2012030027A (en) | Drainable cup and cup stand therefor | |
KR20110027273A (en) | Fern cup | |
JP4177444B1 (en) | Toilet brush container | |
CN211834118U (en) | Three-hole electric toothbrush holder | |
JP2018029812A (en) | Toothbrush holder | |
KR20090006673U (en) | Fern cup | |
KR102592371B1 (en) | sanitary toothbrushing cup holder set having antimicrobial | |
JPH0230064Y2 (en) | ||
JP3215923U (en) | Bending tube stand | |
KR200373499Y1 (en) | Cup and cup hanger for the cup and cup set | |
KR200463682Y1 (en) | Cleaning Sponge Receptacle | |
KR200490941Y1 (en) | A toothbrush holder with a cup | |
JP3109772U (en) | Cup handle | |
CN204394381U (en) | A kind of sanitary ceramics toothbrush cap | |
KR200357417Y1 (en) | Case for cleaning false teeth | |
JP3159001U (en) | Cleaning tool storage | |
JP3109301U (en) | Sanitized toilet brush case | |
JP3048299U (en) | Flower pot water supp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