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0285B1 -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85B1
KR102440285B1 KR1020210170577A KR20210170577A KR102440285B1 KR 102440285 B1 KR102440285 B1 KR 102440285B1 KR 1020210170577 A KR1020210170577 A KR 1020210170577A KR 20210170577 A KR20210170577 A KR 20210170577A KR 102440285 B1 KR102440285 B1 KR 102440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unit
supply pipe
water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김하룡
박인건
김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관망을 관제서버에서 관리함에 따라 상수도관을 신속하게 교체 및 상수원을 우회시킬 수 있는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단위 블록화된 각 구역별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도 관망과 상수도 관망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와 측정장치와 통신하며, 상수도 관망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와 관제서버에 형성되며, 상수도 관망에서 이동하는 상수원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System for Waterworks Network Management}
본 발명은 상수도 관망을 관제서버에서 관리함에 따라 상수도관을 신속하게 교체 및 상수원을 우회시킬 수 있는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시, 계측하여 얻은 상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상수도 시설관리부; 및 상기 상수도 시설관리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며, 분석결과 기준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 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상기 상수도 시설물을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 관망의 각 블록 내 설치되어 각 구역별로 상수의 유속, 유량, 수위를 측정하는 유량계측부와,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계측부와,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측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계측수단; 상기 상수의 유속, 유량, 수위, 수질, 수압을 측정한 계측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계측수단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계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모니터링, 분석 및 유지관리를 위한 연산 및 분석을 하며, 상기 연산 및 분석된 결과를 전송하는 웹서버;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상수도 관망도를 제공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서버; 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上水道)의 관망(管網)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상수도 관망의 각 블록 내에 설치되어 각 블록별로 상수(上水)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수단, 상기 상수의 유량을 측정한 유량 데이터를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고, 실시간 유량 데이터 값과 상기 저장된 유량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이 허용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누수 경보를 제공하는 관망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망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블록에 대한 사용자 정의 패턴의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누수 경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망 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 블록에 대해 저장된 유량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 정의 패턴 등록 요청에 포함된 지정 기간에 대응되는 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유량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유량 패턴을 상기 사용자 정의 패턴으로 등록하며, 상기 특정 블록에 대한 실시간 유량 데이터 값과 상기 실시간 유량 데이터 값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정의 패턴상의 유량 데이터 값의 차이 값이 상기 허용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누수 경보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 관망의 각 블록 내 설치되어 각 구역별로 상수의 유속, 유량, 수위를 측정하는 유량계측부와,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계측부와,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측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계측수단; 상기 상수의 유속, 유량, 수위, 수질, 수압을 측정한 계측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계측수단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계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모니터링, 분석 및 유지관리를 위한 연산 및 분석을 하며, 상기 연산 및 분석된 결과를 전송하는 웹서버;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상수도관망도를 제공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912898 B1 (2018년10월23일) KR 10-1183656 B1 (2012년09월11일) KR 10-1554981 B1 (2015년09월16일) KR 10-2011-0065088 A (2011년06월15일)
본 발명은 상수도 관망을 관제서버에서 관리함에 따라 상수도관을 신속하게 교체 및 상수원을 우회시킬 수 있는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단위 블록화된 각 구역별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도 관망(100);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장치(400); 상기 측정장치(400)와 통신하며, 상기 상수도 관망(100)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500); 상기 관제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서 이동하는 상수원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서버(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수도 관망(100); 측정장치(400); 관제서버(500); 제어서버(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와 연결되며, 구역의 가옥으로 상수원을 분배하는 분배부(120); 상기 분배부(120)와 연결되며,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수도 관망(100); 측정장치(400); 관제서버(500); 제어서버(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분배부(120)에 형성되며, 상수원이 이동하는 상수도관(121); 복수의 상기 상수도관(121) 사이에 형성되며, 상수원을 우회시켜 이동시키는 우회배관(12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수도 관망(100); 측정장치(400); 관제서버(500); 제어서버(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분배부(12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200); 상기 조절밸브(200)와 연결되며, 상수원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펌프(3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수도 관망(100); 측정장치(400); 관제서버(500); 제어서버(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압력펌프(300)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동력장치(310); 상기 동력장치(3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수원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장치(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수도 관망(100); 측정장치(400); 관제서버(500); 제어서버(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4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수도 관망(100); 측정장치(400); 관제서버(500); 제어서버(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관제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와 통신하는 통신부(510); 상기 통신부(510)에서 수신받은 상수원의 측정 데이터를 연산 및 분석하는 분석부(520); 상기 분석부(520)에 형성되며,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을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5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상수도 관망(100); 측정장치(400); 관제서버(500); 제어서버(6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어서버(600)에 형성되며, 상기 관제서버(500)에서 판단한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을 차단하는 차단부(610); 상기 차단부(610)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밸브(200)를 제어하여 상수원을 상기 우회배관(122)으로 우회시키는 우회부(6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관망의 상수도관과 관제서버가 통신함에 따라 노후 및 누수된 상수도관을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회배관이 형성되어 상수도관이 노후 및 누수가 되었다 판단되면 상수원을 차단하여 우회배관으로 우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력펌프에 가압장치가 복수로 형성되어 우회배관으로 공급되는 상수원의 압력을 서서히 상승시켜 수격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서버에 의하여 조절밸브 및 압력펌프를 제어함에 따라 상수원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센서가 형성되어 상수원의 상시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배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압력펌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압력펌프의 압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누수검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위 블록화된 각 구역별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도 관망(100);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장치(400); 상기 측정장치(400)와 통신하며, 상기 상수도 관망(100)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500); 상기 관제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서 이동하는 상수원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서버(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구역은 상수원이 공급되는 도시의 동, 구, 면 중 선택된 하나를 단위 블록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관망(100)은 상수처리장에서 공급되는 상수원이 도시 전체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400)는 상기 관제서버(500)와 통신하는 통신장치(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500)는 상기 상수도 관망(100)이 표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도시의 상수원의 이동을 모니터링하여 상수도 배관의 노후 및 파손에 따른 누수관 교체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도시 전체에 매립되어 각각의 가옥 및 공원 등 상수원이 공급되는 위치로 설치되는 상수도 관망(100)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상수도 관망(100)이란 도시 전체에 설치된 상수도 배관을 망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상수도 관망(100)은 상수원이 공급되는 도시의 동, 구, 면 등 다양한 구역으로 각각 상수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각각의 구역은 단위 블록화되어 관제서버(500)에 표출된다. 그리고 상수도 관망(100)을 통해 각 구역별로 노후 또는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 배관을 간단히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수도 관망(100)에서 노후 또는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 배관을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상수도 배관에는 측정장치(400)가 형성되며, 측정장치(400)는 상수원의 수압, 유속, 유량 등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여 상수도 배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측정장치(400)에서 측정한 정보는 통신장치(420)를 통해 관제서버(500)로 송신되며, 관제서버(500)는 복수의 측정장치(4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취합하여 디스플레이에 상수도 관망(100)을 표출함에 따라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상수도 배관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상수도 배관의 상태를 상수도 관망(100)에서 확인함에 따라 효과적인 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와 연결되며, 구역의 가옥으로 상수원을 분배하는 분배부(120); 상기 분배부(120)와 연결되며,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10)는 집수원에서 전달되어 정수하는 상수처리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 기 분배부(120)에 형성되며, 상수원이 이동하는 상수도관(121); 복수의 상기 상수도관(121) 사이에 형성되며, 상수원을 우회시켜 이동시키는 우회배관(122);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121)은 복수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30)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배관(131); 복수의 상기 배출배관(131)이 연결되며,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처리장(1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관망(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수도 관망(100)은 복수의 구역에 형성되어 상수원이 공급 및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수도 관망(100)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집수원에서 정화되지 않은 물이 전달되어 정수하는 상수처리장으로 각각의 구역으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공급부(110)는 복수로 형성되며, 저수지, 강, 호수 등에 형성되는 집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정화하여 분배부(120)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부(110)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처리장으로 도시의 외측에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분배부(120)로 상수원을 공급한다. 또한, 분배부(120)는 상수원이 이동하는 상수도관(121)이 형성되며, 상수도관(121)은 각각의 가옥, 공원 등 상수원을 사용하는 위치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상수도관(121) 사이에는 우회배관(122)이 형성되며, 우회배관(122)은 복수의 상수도관(121)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상수도관(121)이 노후 및 누수 되었을 경우 대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배부(120)는 배출부(130)가 연결되며, 배출부(130)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배관(131)과 복수의 배출배관(131)이 연결되며,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처리장(132)치 형성된다. 오수처리장(132)은 복수로 형성되며, 관제서버(500)에 의하여 오수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12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200); 상기 조절밸브(200)와 연결되며, 상수원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펌프(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200)는 상기 관제서버(50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압력펌프(300)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동력장치(310); 상기 동력장치(3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수원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장치(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320)는 상기 동력장치(310)의 양측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330); 상기 블레이드(3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수원이 이동하는 케이싱(340);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싱(340)을 각각 연결하며, 상수원이 유입되는 유입배관(350); 상기 케이싱(340)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수원이 공급되는 공급배관(360); 상기 유입배관(350) 및 상기 공급배관(360)에 형성되며, 개폐됨에 따라 상수원의 수압을 조절하는 압력밸브(370);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30)에 형성되며, 상기 동력장치(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블레이드(331); 상기 제 1블레이드(331)와 타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제 2블레이드(332);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2-3 또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압장치(320)는 상기 제어서버(60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배부(1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분배부(120)는 상수도 관망(1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수도관(121)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수도관(121) 사이에 우회배관(122)이 형성되어 상수도관(121)이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할 시 우회배관(122)으로 상수원을 우회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분배부(120)는 도 5를 참조하면,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할 때 상수원을 우회배관(122)으로 우회시키기 위하여 상수도관(121)에는 조절밸브(200)가 형성되며, 복수의 조절밸브(200)는 관제서버(5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때, 조절밸브(200) 및 우회배관(122)은 복수의 상수도관(121) 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것으로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할 시 교체되어야 할 상수도관(121)으로 상수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수원은 우회배관(122)으로 우회하도록 한다. 그리고 조절밸브(200)에는 압력펌프(300)가 형성되며, 압력펌프(300)는 도 6을 참조하면, 동력장치(310)와 가압장치(320)가 형성되어 우회배관(122)으로 상수원이 공급될 때 수격현상(Water Hammer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동력장치(310)는 모터로 형성되는 것이며, 가압장치(320)는 동력장치(3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동력장치(310)에 의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330)와 블레이드(330)를 감싸는 케이싱(340)이 형성된다.
케이싱(340)은 블레이드(330)의 측면에서 상수원이 유입된 후 상단 또는 하단으로 상수원이 우회배관(122)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수원이 유입되는 케이싱(340)에는 유입배관(350)이 형성되고 상수원이 공급되는 케이싱(340)에는 공급배관(360)이 배치된다. 그리고 유입배관(350)과 공급배관(360)은 복수의 케이싱(34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유입배관(350)과 공급배관(360)에는 압력밸브(370)가 형성된다. 압력밸브(370)는 상수도관(121)으로 상수원이 공급될 때는 복수의 가압장치(320)를 모두 개방하고 우회배관(122)으로 상수원을 우회할 때는 상수원이 저장되지 않는 우회배관(122)에 수격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압장치(320)를 하나씩 개방한다. 이는 우회배관(122)으로 갑자기 상수원이 공급되면 높은 압력에 의하여 수격현상이 발생되므로 도 7의 그래프와 같이 가압장치(320)를 하나 개방하면 (1)과 같이 일정한 방면으로 수압이 상승한 후 일정하게 유지되고 다른 하나를 시간을 두고 개방하면 (2)와 같이 수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1)의 (3)과 같이 수압이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배부(120)는 상수도관(121)에 노후 및 누수가 발생될 때 수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을 제어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장치(410)는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상수도관(121)을 결합하는 체결부(411); 상기 체결부(4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에 밀착되는 기밀부(412);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11) 및 상기 기밀부(412)를 관통하며, 상수원의 수질, 수압, 유속, 유량, 수위 중 선택된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413);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413)는 상수원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계측기; 상수원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측기; 상수원의 유속, 유량, 수위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유량계측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정장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측정장치(400)는 복수의 상수도관(121)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수원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장치(400)는 복수의 상수도관(121)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배관이 연결되는 조인트에 누수감지장치(410)가 형성된다. 누수감지장치(410)는 도 8을 참조하면, 상수도관(121) 내부로 흐르는 상수원의 수질, 수압, 유속, 유량, 수위 등을 측정하여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를 감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상수도관(121)을 연결하는 체결부(411)와 체결부(411)에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기밀부(412)가 형성된다. 체결부(411)에는 상수도관(121) 내부로 흐르는 상수원의 수질, 수압, 유속, 유량, 수위 등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13)가 형성되어 복수의 측정센서(413) 중 상수원의 변화가 기준 이하가 되면 노후 및 누수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측정센서(413)는 체결부(411)와 기밀부(41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수원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계측기와 상수원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측기와 상수원의 유속, 유량, 수위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유량계측기로 형성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와 통신하는 통신부(510); 상기 통신부(510)에서 수신받은 상수원의 측정 데이터를 연산 및 분석하는 분석부(520); 상기 분석부(520)에 형성되며,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을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5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500)는 가옥별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52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도 관망(100)의 구역별 유량 및 수압을 시간별로 분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제서버(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관제서버(500)는 상수도 관망(100)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정장치(400)와 통신하여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를 측정하여 보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제서버(500)는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측정장치(400)와 통신하는 통신부(510)와 통신부(510)에서 수신받은 상수원의 측정 데이터를 연산 및 분석하여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을 파악하는 분석부(5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통신부(510)는 가옥별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수도 관망(100)으로 이동하는 상수원의 수압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520)는 상수원의 수압, 유량, 유속 등을 분석함에 따라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를 판단한다. 이때, 분석부(520)는 상수도 관망(100)의 구역별로 상수원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수원이 공급되는 유량 및 수압을 시간, 일, 월, 년 등 시간별로 분석하여 공급되는 상수원의 수압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구역별로 사용량이 다르게 형성되므로 유량이 많은 지역은 유량을 많이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석부(520)에서 수압 및 유량, 유속 등에 변화가 발생할 시 노후 및 누수를 예측하여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도관의 위치를 판단부(530)에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수도관(121)의 교체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상수원이 끊기지 않도록 우회배관(122)으로 상수원을 빠르게 우회시키기 위함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600)에 형성되며, 상기 관제서버(500)에서 판단한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을 차단하는 차단부(610); 상기 차단부(610)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밸브(200)를 제어하여 상수원을 상기 우회배관(122)으로 우회시키는 우회부(6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600)는 상기 우회배관(122)으로 우회하는 상수원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6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서버(6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어서버(600)는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으로 이동하는 상수원을 우회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서버(600)는 도 2를 참조하면, 관제서버(500)에 형성되며,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으로 상수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조절밸브(200)를 제어하는 것이며, 차단부(610)에 의하여 조절밸브(200)로 상수도관(121)이 차단되어 상수원의 이동 경로를 변경한다. 이때, 우회부(620)에서 조절밸브(200)를 제어하여 상수원은 우회부(620)를 통해 우회배관(122)으로 우회된다. 그리고 우회배관(122)으로 상수원이 갑자기 공급됨에 따라 수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조절부(630)에서 상수원을 하나의 가압장치(320)만 구동하여 상수원을 공급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다른 하나의 가압장치(320)도 구동하여 상수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수도관(121)으로 공급되는 상수원은 복수의 가압장치(320)에 의하여 상수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수원의 수압에 따라 하나의 가압장치(320)만 개방하여 상수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서버(600)는 상수원의 수압에 따라 동력장치(310)의 동력을 조절하거나 복수의 가압장치(320) 중 하나만 구동하여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서버(600)는 조절밸브(200)와 압력펌프(300)를 제어하여 상수원이 효과적으로 우회배관(122)으로 우회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을 가진다.
100: 상수도 관망 110: 공급부
120: 분배부 121: 상수도관
122: 우회배관 130: 배출부
131: 배출배관 132: 오수처리장
200: 조절밸브 300: 압력펌프
310: 동력장치 320: 가압장치
330: 블레이드 331: 제 1블레이드
332: 제 2블레이드 340: 케이싱
350: 유입배관 360: 공급배관
370: 압력밸브 400: 측정장치
410: 누수감지장치 411: 체결부
412: 기밀부 413: 측정센서
420: 통신장치 500: 관제서버
510: 통신부 520: 분석부
530: 판단부 600: 제어서버
610: 차단부 620: 우회부
630: 압력조절부

Claims (8)

  1. 단위 블록화된 각 구역별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도 관망(100);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원의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장치(400);
    상기 측정장치(400)와 통신하며, 상기 상수도 관망(100)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500);
    상기 관제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도 관망(100)에서 이동하는 상기 상수원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서버(600);를 포함하고,
    상기 상수도 관망(100)은,
    상기 상수원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와 연결되며, 구역의 가옥으로 상기 상수원을 분배하는 분배부(120);
    상기 분배부(120)와 연결되며,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120)는,
    상기 상수원이 이동하는 상수도관(121);
    복수의 상기 상수도관(121)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원을 우회시켜 이동시키는 우회배관(122);
    상기 상수원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200);
    상기 조절밸브(200)와 연결되며, 상기 상수원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펌프(3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130)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배관(131); 복수의 상기 배출배관(131)이 연결되며,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처리장(132);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펌프(300)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동력장치(310);
    상기 동력장치(3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수원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장치(3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320)는,
    상기 동력장치(310)의 양측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330);
    상기 블레이드(3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수원이 이동하는 케이싱(34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싱(340)을 각각 연결하며, 상수원이 유입되는 유입배관(350);
    상기 케이싱(340)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수원이 공급되는 공급배관(360);
    상기 유입배관(350) 및 상기 공급배관(360)에 형성되며, 개폐됨에 따라 상수원의 수압을 조절하는 압력밸브(370);를 포함하는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수도관(121)의 노후 및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410);를 포함하는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와 통신하는 통신부(510);
    상기 통신부(510)에서 수신받은 상수원의 측정 데이터를 연산 및 분석하는 분석부(520);
    상기 분석부(520)에 형성되며,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530);를 포함하는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600)에 형성되며, 상기 관제서버(500)에서 판단한 노후 및 누수가 발생한 상수도관(121)을 차단하는 차단부(610);
    상기 차단부(610)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밸브(200)를 제어하여 상수원을 상기 우회배관(122)으로 우회시키는 우회부(620);를 포함하는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20210170577A 2021-12-02 2021-12-02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Active KR102440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577A KR102440285B1 (ko) 2021-12-02 2021-12-02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577A KR102440285B1 (ko) 2021-12-02 2021-12-02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285B1 true KR102440285B1 (ko) 2022-09-02

Family

ID=8328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577A Active KR102440285B1 (ko) 2021-12-02 2021-12-02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435B1 (ko) 2023-03-27 2024-02-06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시스템
KR102646065B1 (ko) 2022-10-25 2024-03-11 (주) 지오그리드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58A (ko) * 2004-08-31 2006-03-06 박동수 양방향 순환펌프
KR20110065088A (ko) 2009-12-09 2011-06-15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4981B1 (ko) 2014-12-16 2015-10-06 (주)엔와이인포텍 상수도 관망 관리 서버, 상수도 관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망 관리 방법
KR101874096B1 (ko) * 2017-03-03 2018-07-03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누수율 감소 및 유수율 증가를 위한 상수도 관리시스템
KR101912898B1 (ko) 2018-04-06 2018-10-29 장경순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102274711B1 (ko) * 2020-12-09 2021-07-09 주식회사 워터퓨리테크 상수관망 최적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58A (ko) * 2004-08-31 2006-03-06 박동수 양방향 순환펌프
KR20110065088A (ko) 2009-12-09 2011-06-15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83656B1 (ko) 2009-12-09 2012-09-17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4981B1 (ko) 2014-12-16 2015-10-06 (주)엔와이인포텍 상수도 관망 관리 서버, 상수도 관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망 관리 방법
KR101874096B1 (ko) * 2017-03-03 2018-07-03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누수율 감소 및 유수율 증가를 위한 상수도 관리시스템
KR101912898B1 (ko) 2018-04-06 2018-10-29 장경순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102274711B1 (ko) * 2020-12-09 2021-07-09 주식회사 워터퓨리테크 상수관망 최적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65B1 (ko) 2022-10-25 2024-03-11 (주) 지오그리드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102634435B1 (ko) 2023-03-27 2024-02-06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시스템
KR20240145387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물 정수 장치
KR20240145391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물 관리 시스템
KR20240145388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지능형 건물 정수 시스템
KR20240145389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건물 자동화 정수 시스템
KR20240145392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건물 자동화 정수 장치
KR20240145390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솔루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0285B1 (ko) 상수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105192B1 (ko) 관망해석에 의한 상수도 누수혐의구간 선정방법 및 그 기능을 탑재한 상수도 통합관리운영시스템
EP3714249B1 (en) Passive leak detection for building water supply
US47976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luid flow
JP2004205477A (ja) 流体搬送管網中の異常箇所を推定する方法
CN1882834B (zh) 流体监测设备及方法
US20050126635A1 (en) Smart flow anomaly detector
RU2013147893A (ru) Способ акустическ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изменения состояния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трубопроводе, способ акустическ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изменения состояния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измерительной станции и система повышения точности расходомера посредством акустическ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изменения состояния потока
EP2327922A1 (en) Measurement Unit, particularly for hydraulic ducts
KR101213251B1 (ko) 염소이온농도를 이용한 하수관거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73691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관이상 탐지 방법
CN101960269B (zh) 流量计
KR101035031B1 (ko) 수질측정 시스템
KR102683587B1 (ko) 지능형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NO20101556A1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a overvake og lokalisere inntrenging av fremmedvann i ledningsnett
ES2934939T3 (es) Red de gas y método para detectar obstrucciones en una red de gas a presión o bajo vacío
US8302463B2 (en) Loss detection system for open channel networks
KR20080097803A (ko) 유량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193543B1 (ko) 누수 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527011B1 (ko)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CN114072612B (zh) 在压力或真空下的气体管网中检测阻塞的方法及气体管网
ES2934942T3 (es) Red de gas y método para la detección de fugas en una red de gas bajo presión o bajo vacío
KR101449989B1 (ko)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탐지를 위한 누수신호 처리방법
EP3903019B1 (en) Method for detecting obstructions in a gas network under pressure or under vacuum and gas network
JP3579300B2 (ja) 汚水流予測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