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0151B1 - 스텐트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스텐트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151B1
KR102440151B1 KR1020200121617A KR20200121617A KR102440151B1 KR 102440151 B1 KR102440151 B1 KR 102440151B1 KR 1020200121617 A KR1020200121617 A KR 1020200121617A KR 20200121617 A KR20200121617 A KR 20200121617A KR 102440151 B1 KR102440151 B1 KR 10244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air
pressure
valv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036A (ko
Inventor
이원기
김호상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20012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1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1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4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n air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72Devices for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76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6Single tubular stent with a side portal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25Calibration or performance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3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8Means for testing implantable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밸브가 설치된 스텐트를 고정하는 스텐트 고정기;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 및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시험 장치{TESTING APPARATUS OF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가 구비된 스텐트의 누출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텐트 시험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폐질환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기도에 염증이 지속되어 기도가 좁아지면서 서서히 기도가 폐쇄되는 질환으로, 폐기종에 밸브가 삽입되는 밸브 폐용적축소술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폐용적축소술은 공기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를 삽입하여 환자가 숨을 들여 마셔도 공기가 특정 폐기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에 남아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시술이다.
따라서 밸브 폐용적축소술을 통해 문제가 있는 폐기종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해당 폐기종에 남아 있는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폐기종 부위를 작게 만들 수 있다.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는, 스텐트에 판막 형태의 밸브가 설치되어, 공기가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이때,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는, 공기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중요하며, 공기를 차단할 때,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에 대해 공기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였을 때, 공기의 누출량을 측정하는 기술이 없는 문제가 있다.
일부에서 산업용 밸브에 대한 시험 장치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인체에서 호흡 중에 발생하는 압력차는 산업용 밸브와 달리 매우 작기 때문에 산업용 밸브 시험 장치를 이용하면 스텐트에 구비된 판막 형태의 밸브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밸브가 구비된 스텐트에서 소량의 공기가 누출되는 경우가 발행하는 경우, 일정한 압력차를 유지할 수 없어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밸브가 구비된 스텐트에서 공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할 때, 스텐트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텐트 시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밸브가 설치된 스텐트를 고정하는 스텐트 고정기;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 및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의 차이를 측정하는 차압센서; 및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공기의 압력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조절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하도록 상기 압력조절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압축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개폐가 조절되는 제1 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제1 조절밸브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제1 조절밸브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 조절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제1 조절밸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밸브 및 상기 제2 조절밸브 중 하나 이상은,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비례제어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스텐트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유입부 및 토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공기를 차단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 고정기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스텐트에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스텐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텐트와 상기 삽입체가 밀착시키는 밴드; 상기 삽입체 및 상기 밴드가 결합된 스텐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 고정기는, 상기 삽입체 및 상기 밴드가 결합된 스텐트가 상기 고정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본체와 결합되는 고정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 고정기는, 상기 고정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덮개가 상기 고정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체 및 상기 밴드가 결합된 스텐트가 상기 고정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텐트를 고정하고, 스텐트에 공급하는 공기의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스텐트에서 판막 형태의 밸브를 통해 공기를 차단할 때, 공기가 누출되는 누출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방향의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에 대한 차단 성능에 대해 정량적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어 고성능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판막 형태의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에서 공기가 흐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판막 형태의 밸브 구조를 갖는 스텐트에서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의 압력조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의 압력조절기에서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의 스텐트 고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의 스텐트 고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의 스텐트 고정기를 설명하기 위해 스텐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공급',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공급,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험 장치(10)는, 공기가 일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판막 형상의 판막 밸브(23)를 갖는 스텐트(20, stent)에서 공기가 정상적으로 흐르거나 차단되는지를 측정한다.
먼저, 판막 밸브(23)가 구비된 스텐트(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와이어가 엮여 형성되고, 금속재질의 와이어에 얇은 막이 부착된 형상을 갖는다. 스텐트(2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스텐트(20)는 개방된 양단 중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1)가 상대적으로 넓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22)가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20)는 내부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막 형상을 갖는 판막 밸브(23)가 설치될 수 있다. 판막 밸브(23)는 유입부(21)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부(22) 측으로 공기가 흐르는 경우에 개방되고, 토출부(22)로 유입된 공기가 유입부(21) 측으로 공기가 흐르는 경우에 폐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판막 밸브(23)가 구비된 스텐트(20)에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스텐트(20)에 설치된 판막 형상을 갖는 판막 밸브(23)가 동작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스텐트 시험 장치(10)는 공기의 흐름을 측정하여 판막 밸브(23)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텐트 시험 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0), 압력조절기(200), 스텐트 고정기(300), 유량계(400), 차압센서(500) 및 제어기(600)를 포함한다.
압축기(100)는, 스텐트(2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한다. 이를 위해 압축기(100)는 전원공급기(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한다.
압력조절기(200)는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압축 공기에 대한 압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압력조절기(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1 조절밸브(210), 제2 조절밸브(220), 압력센서(230) 및 밸브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제1 조절밸브(210)는, 압축기(100)에서 배출된 압축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압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제1 조절밸브(210)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는, 스텐트(2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조절밸브(210)는 유입된 공기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제1 조절밸브(210)는 유입된 압축 공기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만큼 낮춰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조절밸브(210)가 압축기(100)의 하류에 배치되어,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은 제1 조절밸브(210)의 개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절밸브(210)는 상류제어밸브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조절밸브(220)는, 제1 조절밸브(21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압력이 조절될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제2 조절밸브(220)는 밸브조절부(240)의 제어를 받아 동작될 수 있는데, 제2 조절밸브(220)는 필요에 따라 동작하여 유입된 공기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2 조절밸브(220)는 유입된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지 않고 동일한 압력을 갖는 공기를 그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절밸브(220)는 하류제어밸브로 명명될 수 있다.
압력센서(230)는 제1 조절밸브(210)와 제2 조절밸브(2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조절밸브(2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기의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한다. 압력센서(230)는 측정된 공기의 압력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밸브조절부(240)로 전송한다.
밸브조절부(240)는, 제1 조절밸브(210) 및 제2 조절밸브(2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압력센서(230)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한다. 밸브조절부(240)는 압력센서(230)에서 수신된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조절밸브(210)에서 배출된 공기의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조절밸브(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밸브조절부(240)는 제1 조절밸브(210)에서 소정의 압력만큼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제1 조절밸브(2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압축기(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5atm일 때, 제1 조절밸브(210)는 설정된 유입된 공기의 압력을 2atm 만큼 낮춰 3atm의 압력을 갖는 공기가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조절부(240)는 압력센서(230)에서 제1 조절밸브(2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대한 정보를 압력센서(230)로부터 수신하여 제2 조절밸브(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압력센서(230)에서 측정된 공기의 압력이 3atm이고, 스텐트(20)에 공급되기 위한 공기의 압력이 2atm인 경우, 밸브조절부(240)는 제2 조절밸브(220)에서 1atm만큼 공기의 압력을 낮추도록 제2 조절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밸브조절부(240)는 제1 조절밸브(2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2atm이고, 스텐트(20)에 공급되기 위한 공기의 압력이 2atm인 경우, 밸브조절부(240)는 제2 조절밸브(22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밸브조절부(240)는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제어기(6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절밸브(210) 및 제2 조절밸브(220)는, 각각 비례제어 밸브일 수 있다. 이러한 비례제어 밸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SD) 및 포핏(poppet) 구조를 갖는 차단부(P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비례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부(SD)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포핏 구조의 차단부(PC)가 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동작하여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비례제어 밸브를 이용함에 따라 빠르고 정밀하게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스텐트 고정기(300)는, 스텐트(20)를 고정하고 고정된 스텐트(20)에 소정의 압력을 갖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텐트 고정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스텐트(20)를 통과하도록 스텐트(20)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스텐트(20)에 의해 차단되도록 스텐트(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텐트 고정기(3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본체(310), 고정덮개(320), 탄성체(330), 삽입체(340) 및 밴드(350)를 포함한다.
고정본체(310)는, 소정의 홀이 형성되고, 형성된 홀에 스텐트(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고정본체(310)에 형성된 홀에 스텐트(20)의 토출부(22)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스텐트(2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본체(310)에 형성된 홀의 통해 압력조절기(2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다.
고정덮개(320)는, 고정본체(310)와 결합되며, 고정본체(310)와의 결합으로 고정본체(310)에 결합된 스텐트(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덮개(320)에 소정의 홀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을 통해 압력조절기(2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다.
탄성체(330)는 고정덮개(320)에 배치되고, 고정덮개(320)에 형성된 홈에 장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330)는, 삽입체(3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삽입체(340)가 고정본체(310) 내측으로 가압되도록 삽입체(34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33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체(340)를 고정본체(310) 내측으로 가압시킬 수 있게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어떤 종류든 이용될 수 있다(예컨대, 고무링).
삽입체(340)는, 스텐트(20)의 유입부(21)를 통해 스텐트(2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체(340)는, 내부에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삽입체(340)는, 대략 2단으로 단차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원통 형상의 하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원통 형상의 상단부가 일체로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단부 및 상단부는 내부에 동일한 직경을 갖는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삽입체(340)의 상단부는 스텐트(20)의 유입부(21)를 통해 스텐트(2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체(340)의 하단부는 고정본체(3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밴드(350)는 스텐트(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밴드(350)는 실리콘 소재를 가질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밴드(350)는 스텐트(20)에 삽입된 삽입체(340)와 스텐트(20)를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밴드(350)는 외주면이 고정본체(310)에 형성된 홈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고정본체(3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텐트(20)는 스텐트 고정기(300)에 고정될 때, 삽입체(340) 및 밴드(350)가 결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삽입체(340)가 스텐트(20)의 유입부(21)를 통해 스텐트(20)에 결합되고, 밴드(350)가 스텐트(20)의 외주면에 끼워져 스텐트(20)와 삽입체(34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스텐트(20)는 고정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덮개(320)가 고정본체(310)에 결합됨에 따라 탄성체(330)가 삽입체(340)를 가압하여 스텐트(20)는 고정본체(3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삽입체(340)의 하단부가 고정본체(310)의 홈에 삽입되고, 밴드(350)가 고정본체(310)의 홈에 삽입됨에 따라 스텐트(20)가 고정본체(310)의 홀에 삽입되더라도 스텐트(20)의 외주면을 거쳐 공기가 흐르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20)에 삽입체(34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흐르는 경로에 배치하는 경우, 흐르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텐트(2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텐트(20)는 금속재질의 와이어와 얇은 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흐르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형상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스텐트(20)의 형상이 변형되어 스텐트(20)의 토출부(22)를 통해서만 유입부(21) 측으로 공기가 흐르지 않고, 스텐트(20)의 외부로 공기가 흐를 수 있다.
이렇게 스텐트(20)의 외주면을 거쳐 공기가 흐르는 경우, 스텐트(20)의 판막 밸브(23)에 대한 성능을 정상적으로 시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삽입체(340)가 스텐트(20)에 삽입되고 밴드(350)에 의해 삽입체(340)와 스텐트(20)가 밀착되며, 또한, 삽입체(340) 및 밴드(350)가 고정본체(310)에 결합됨에 따라 스텐트(20)의 외주면을 거쳐 공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고정본체(310)의 홀을 통해 흐르는 공기는 스탠트의 내부를 통해서만 흐를 수 있다.
그러므로 스텐트(20)의 토출부(22)를 통해 스텐트(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도 3에서와 같이, 판막 밸브(23)가 동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판막 밸브(23)의 성능에 대해 시험할 수 있다.
유량계(400)는, 스텐트 고정기(300)의 후단에 배치되고, 스텐트 고정기(3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텐트 고정기(300)에 고정된 스텐트(20)에 공기가 스텐트(20)의 토출부(22)를 통해 스텐트(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 유량계(400)에서, 공기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스텐트(20)의 판막 밸브(2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압센서(500)는, 스텐트 고정기(300)와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스텐트 고정기(300)에 고정된 스텐트(20)의 유입부(21) 및 토출부(22)에 흐르는 공기의 압력차를 측정한다. 차압센서(500)에서 측정된 스텐트(20)의 유입부(21) 및 토출부(22)의 공기 압력차에 대한 정보는 제어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기(600)는, 차압센서(500)에서 측정된 스텐트(20)의 유입부(21) 및 토출부(22)에 흐르는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압력조절기(200)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600)는 차압센서(500)에서 측정된 압력차에 대하나 정보를 이용하여 스텐트(20)에 공급되는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압력조절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6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밸브는 스텐트 고정기(300)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밸브는 유량계(40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 및 제2 밸브는, 스텐트 고정기(300)에 공기가 흐르지 않도록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스텐트 고정기(300)에 스텐트(20)를 설치하는 동안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 및 제2 밸브는, 스텐트(20)를 시험하는 동안에만 공기가 스텐트(20)에 공급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공기가 스텐트(20)에 공급되어 스텐트(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스텐트 시험 장치
100: 압축기 110: 전원공급기
200: 압력조절기
210: 제1 조절밸브 220: 제2 조절밸브
230: 압력센서 240: 밸브조절부
300: 스텐트 고정기
310: 고정본체 320: 고정덮개
330: 탄성체 340: 삽입체
350: 밴드
400: 유량계 500: 차압센서
600: 제어기
SD: 솔레노이드부 PC: 차단부
20: 스텐트
21: 유입부 22: 토출부
23: 판막 밸브

Claims (9)

  1. 스텐트를 고정하는 스텐트 고정기;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 및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 고정기는,
    상기 스텐트에 삽입되는 삽입체;
    상기 스텐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텐트와 상기 삽입체를 밀착시키는 밴드; 및
    상기 삽입체 및 상기 밴드가 결합된 스텐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고정본체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과 상기 스텐트 고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의 차이를 측정하는 차압센서; 및
    상기 차압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공기의 압력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조절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변하도록 상기 압력조절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압축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개폐가 조절되는 제1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제1 조절밸브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제1 조절밸브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2 조절밸브; 및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제1 조절밸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절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밸브 및 상기 제2 조절밸브 중 하나 이상은,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비례제어 밸브인,
    스텐트 시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유입부 및 토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공기를 차단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고정기는,
    상기 삽입체 및 상기 밴드가 결합된 스텐트가 상기 고정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본체와 결합되는 고정덮개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고정기는,
    상기 고정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덮개가 상기 고정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체 및 상기 밴드가 결합된 스텐트가 상기 고정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체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스텐트 시험 장치.
KR1020200121617A 2020-09-21 2020-09-21 스텐트 시험 장치 Active KR10244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617A KR102440151B1 (ko) 2020-09-21 2020-09-21 스텐트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617A KR102440151B1 (ko) 2020-09-21 2020-09-21 스텐트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036A KR20220039036A (ko) 2022-03-29
KR102440151B1 true KR102440151B1 (ko) 2022-09-05

Family

ID=8099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617A Active KR102440151B1 (ko) 2020-09-21 2020-09-21 스텐트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682A (ja) * 2003-03-14 2004-10-07 Ueda Seni Kagaku Shinkokai 粥状動脈硬化症病変部の模擬血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超音波ファントム、血流の数値解析検証用実験装置、経皮的経血管的冠動脈形成術評価試験用模擬血管
JP2016002438A (ja) * 2014-06-19 2016-01-1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模擬心房を備える血液循環模擬装置、血液循環模擬装置を用いた人工臓器の試験方法
JP2016126258A (ja) * 2015-01-08 2016-07-11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冠循環模擬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682A (ja) * 2003-03-14 2004-10-07 Ueda Seni Kagaku Shinkokai 粥状動脈硬化症病変部の模擬血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超音波ファントム、血流の数値解析検証用実験装置、経皮的経血管的冠動脈形成術評価試験用模擬血管
JP2016002438A (ja) * 2014-06-19 2016-01-1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模擬心房を備える血液循環模擬装置、血液循環模擬装置を用いた人工臓器の試験方法
JP2016126258A (ja) * 2015-01-08 2016-07-11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冠循環模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036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4144A (en) Apparatus for creating gas flow cycles
JP4086057B2 (ja) 質量流量制御装置及びこの検定方法
US4838257A (en) Ventilator
JP4591443B2 (ja) 呼吸補助装置
FI92286B (fi) Laitteisto potilaalle hengitysjakson aikana toimitetun kaasutilavuuden säätämiseksi
US20090071478A1 (en) Ventilator
US7699070B2 (en) Shutoff valve apparatus and mass flow control device with built-in valve
US4232666A (en) Medical breathing apparatus
CA2870429C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respiratory assistance device
EP0860175A2 (en) Ventilator for intensified breathing and valve
DE60035445D1 (de) Kontrollverfahren für peristaltische Pumpe
CN100518848C (zh) 呼吸辅助装置
CN101394888A (zh) 用于呼吸装置的阀门
KR102440151B1 (ko) 스텐트 시험 장치
CA2926772C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respiratory assistance device
CN113267327B (zh) 模拟腹腔容器及模拟腹腔方法
US746153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a mass flow sensor
US202303303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Bi-Level Treatment of Sleep Apnea
JP2008089607A (ja) 質量流量制御装置及びこの調整方法
CN114073803B (zh) 用于高流量氧气疗法的呼吸仪器
JP2009514728A (ja) 航空機乗務員用の酸素供給回路
US6820620B2 (en) Respiratory assistance apparatus
KR20170087681A (ko) 풍동 장치
US316414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r assisting respiration
JP7326917B2 (ja) 異常検知装置、異常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