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31B1 - Pipe connector - Google Patents
Pi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9931B1 KR102439931B1 KR1020200070273A KR20200070273A KR102439931B1 KR 102439931 B1 KR102439931 B1 KR 102439931B1 KR 1020200070273 A KR1020200070273 A KR 1020200070273A KR 20200070273 A KR20200070273 A KR 20200070273A KR 102439931 B1 KR102439931 B1 KR 1024399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bolt
- pipe
- holde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로서, 일면에 볼트 체결공과 체결홈이 형성되는 홀더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홀더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돌출부를 갖고, 타단이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밀착부재를 갖는 체결조작부와, 일단이 체결조작부의 중공을 관통하여 홀더의 볼트 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부, 볼트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볼트부의 타단에 체결되는 경사진 너트부가 밀착부재의 내측에 안착되는 파이프 삽입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착 구조는 결합력이 우수하고, 장기간의 사용 또는 반복 사용에도 변형이 적으며, 파이프와 잘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한편, 쉽게 탈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connector, a holder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and a fasten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ne side open, a hollow penetrating the inside is formed, one end having a protrusion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holder, 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A fastening operation part having a close contact member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a bolt part having one end penetrated through the hollow of the fastening operation part and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of the holder,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bolt part, and an inclined nut part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bolt part It includes a pipe insert seated on the inside of the adhesion member. Such a binding structure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little deformation even for long-term use or repeated use, and is connected to mesh well with the pip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and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detach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로서, 복수의 파이프를 서로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easily and convenien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to each other as a pipe connector.
파이프 연결구는 여러 개의 파이프를 서로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이다. 사용자는 파이프 연결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파이프를 원하는 형태로 쉽게 이을 수 있으므로 파이프를 부재로 한 다양한 구조물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로는 고소작업대, 간이 테이블, 선반 등이 있을 수 있다.The pipe connector is a connecting member that allows a plurality of pipes to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Since a user can easily connect a plurality of pipes in a desired shape using a pipe connector, various structures using pipes as members can be easily manufactured. Such structures may include aerial work platforms, simple tables, shelves, and the like.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공보 실1991-0000059호(“진열대 지지파이프 연결구)가 있다. 상기 기술은 연결구의 몸체에 파이프의 종단에 삽입 가능한 핀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핀을 파이프에 끼워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1-0000059 (“shower support pipe connector). The above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in insertable at the end of the pipe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connector, and the pipe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pin into the pipe.
그러나, 이러한 끼움 구조는 다시 빠지기도 쉬워 파이프 구조물이 일체화되기 어렵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이나 반복적인 조립/해체 시 끼움 구조의 결합력이 점차 약화되고, 결합 부위의 유격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하된다.However, such a fitting structure is easy to fall out again, making it difficult to integrate the pipe structure. In addition, during long-term use or repeated assembly/disassembly,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itting structure is gradually weakened, and clearance of the bonding site occurs, thereby reducing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따라서, 파이프 연결구를 통해 파이프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연결부의 결합력과 내구성이 증대된 기술의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stably supporting a load acting on a pipe structure through a pipe connection part, while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and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와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조립과 해체가 쉬운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o provide a pipe connector that has an increased coupling force with a pip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파이프 연결구로서, ⓐ 적어도 일면에 볼트 체결공(110)과 체결홈(120)이 형성되는 홀더(100)와, ⓑ 내부에 중공(213)이 형성되고, 일단에 체결공(214)에 형성되며, 상기 일단에 상기 홀더(100)의 체결홈(120)에 체결되는 돌출부(211)를 갖고, 타단에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밀착부재(220)를 갖는 체결조작부(200)와, ⓒ 일단이 상기 체결조작부(200)의 체결공(214)을 통해 상기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에 체결되는 볼트부(310), 상기 볼트부(310)를 상기 체결조작부(200)에 고정하는 고정부(330), 상기 볼트부(310)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밀착부재(22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볼트부(310)의 전진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220)를 가압하는 경사진 너트부(340)를 구비하는 파이프 삽입체(3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100)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체결홈(120)은 열십자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조작부(200)는 체결 몸체(210)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몸체(210)는 일단에 상기 체결공(214)과 상기 돌출부(211)를 구비하며, 일 측면에 상기 중공(213)을 향해 형성된 체결 조작창(212)을 구비하고, 상기 밀착부재(220)는 일단이 상기 체결 몸체(210)에 결합되며, 타단에서 소정 길이로 각 모서리가 절개되어 이격홈(221)이 형성되는 밀착부(22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부(310)는 ① 상기 체결 몸체(210)의 중공(213)을 지나 상기 체결공(214)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311)와, ② 상기 체결 조작창(212)에 위치하는 다수의 체결 조작홀(313)이 형성되는 볼트 헤드(312)와, ③ 상기 경사진 너트부(340)를 안착시키는 너트 안착부(3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 삽입체(300)는 상기 볼트부(310)와 상기 고정부(3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부(310)를 상기 홀더(100) 방향으로 밀어내어서 상기 체결 조작홀(313)이 상기 체결 조작창(212)에 위치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20)를 더 포함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connector, ⓐ a
Preferably, the
Preferably, the
Preferably, the
Preferably,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장기간의 사용 또는 반복 사용에도 파이프와의 결합력이 유지된다. 또한, 파이프 결합시 연결부에서의 유격 발생 가능성이 줄어 파이프 구조물의 안정성이 증대된다. 또한, 파이프를 서로 결합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쉬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bonding strength with the pipe even after long-term use or repeated use. In addition, when the pipe is couple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gap in the connection portion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pipe structur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combining and dismantling the pipes to each other is easy,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홀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체결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볼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너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of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operation part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olt portion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nut portion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a pi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구(10)는 홀더(100), 체결조작부(200), 파이프 삽입체(300)를 포함한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2는 파이프 연결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구(10)는 홀더(100), 체결 몸체(210)와 밀착부재(220)을 구비하는 체결조작부(200)와, 볼트부(310), 탄성부재(320), 고정부(330), 너트부(340)를 갖는 파이프 삽입체(300)를 포함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은 홀더(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0)는 일면에 볼트 체결공(110)과 체결홈(120)이 형성된다. 홀더(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적어도 일면의 중앙에 볼트 체결공(110)이 형성되고, 볼트 체결공(110)을 중심으로 열십자 형태의 체결홈(120)이 형성된다. 홀더(100)는 볼트 체결공(110)의 형태에 따라 관통형 홀더 또는 밀폐형 홀더 형태일 수 있다. 관통형 홀더인 경우, 볼트 체결공(110)은 일면 상에 탭작업 등을 통해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중공을 형성하되 일면 상에 관통되도록 하여 3회로 6면을 작업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통형 홀더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홀더(1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의 일면에 내부가 막힌 형태로 각 6면 측에 일정 깊이로 가공하여 파이프 삽입체(300)의 볼트부(310)의 체결부재(311)가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밀폐형 홀더일 수 있다.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lder (100). As shown in FIG. 3 , the
도 4는 체결조작부(2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조작부(200)는 크게 봐서 체결 몸체(210)와 밀착부재(220)를 포함한다. 체결 몸체(210)는 원형 또는 사각 형상으로, 일단이 홀더(100)의 체결홈(120)에 체결되는 돌출부(211)를 갖고, 타단이 파이프(미도시)의 단부에 삽입되는 밀착부재(220)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215)를 갖는다. 이러한 체결 몸체(210)는 제1 체결부(215)로 밀착부재(220)가 체결된 상태에서 밀착부재(220)를 파이프(미도시)의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 몸체(210)의 제2 체결부(216)가 파이프(미도시)의 단부와 체결된다. 또한 체결 몸체(210)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213)이 형성된다. 체결 몸체(210)의 일면이 개방되되, 양단에서 중공(213)을 향해 체결 조작창(212)을 구비한다. 체결 조작창(212)은 체결 몸체(210)의 일면이 개방된 양단에서 중공(213)을 향해 경사진 형상으로 인해 볼트부(310)의 체결조작홀(313)에 공구를 끼워 쉽게 회전시켜 볼트부(310)를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결 몸체(21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11)를 사이로 형성되는 체결공(214)이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과 연통된다. 체결 몸체(210)의 체결공(214)은 나사산이 없고, 체결 몸체(210)의 중공(213) 지름이 체결공(214)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는 체결 몸체(210)에 삽입되는 볼트부(310)의 형상에 따른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 몸체의 제1 체결부(215)는 밀착부재(220)와 결합되고, 제2 체결부(216)는 파이프(미도시)의 단부에 체결된다.4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operation unit (200). As shown in FIG. 4 , the
밀착부재(220)는 원형 또는 사각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고, 일단이 체결 몸체(210)의 제1 체결부(215)에 결합되고, 전체 길이의 1/3 지점에서 타단 측으로 각 모서리가 절개되어 이격홈(221)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가요성을 갖는 밀착부(222)를 구비한다. 밀착부재(220)의 밀착부(222)는 파이프 삽입체(300)의 경사진 너트부(340)에 의해 밀착부(222)가 파이프 내측면과의 간격을 감소시킨다.The
파이프 삽입체(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체결조작부(200)의 중공(213)을 관통하여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에 체결되는 볼트부(310), 볼트부(310)와 고정부(330)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20), 볼트부(310)를 체결 몸체(210)에 고정하는 고정부(330), 볼트부(310)의 타단에 체결되는 경사진 너트부(340)가 밀착부재(220)의 내측에 안착된다.As shown in FIG. 2, the
도 5는 볼트부(3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310)는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311), 체결조작홀(313)을 갖는 볼트 헤드(312), 너트 안착부(314)를 구비한다. 5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볼트부(310)는 도 4의 체결 몸체(210)의 중공(213)에 삽입되고, 체결부재(311)가 중공(213)을 지나 체결공(214) 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볼트 헤드(312)는 체결 몸체(210)의 개방된 면의 경사진 체결 조작창(212) 상에 다수의 체결 조작홀(313)이 위치하고, 볼트 헤드(312)의 체결 조작홀(313)에 공구를 삽입하여 체결 조작창(212)에서 볼트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볼트부(310)는 회전시에 체결부재(311)가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너트 안착부(314)에 안착되는 경사진 너트부(340)가 체결조작부(200)의 밀착부재(220)를 가압하여 파이프 내면에 밀착부재(220)의 밀착부(222)가 밀착되어 파이프 연결구(10)가 고정된다.The
탄성부재(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310)와 고정부(330) 사이에 위치하고, 볼트부(310)의 회전에 의해 너트부(340)가 밀착부재(220)를 가압하여 파이프 연결구(10)가 고정된 상태에서 홀더(100) 또는 볼트부(310)의 체결부재(311)를 파이프 방향으로 가압하면 경사진 너트부(340)가 후퇴하면서 밀착부재(220)와 파이프 내면의 간격이 발생하여 파이프 연결구(10)가 파이프 내면과 이격된다. 또한 탄성부재(320)는 홀더(100) 또는 볼트부(310)의 체결부재(311)의 가압을 해제하면, 볼트부(310)와 고정부(33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20)에 의해 볼트 헤드(312)를 밀어내어 체결 조작홀(313)이 체결 몸체(210)의 체결 조작창(212)에 다시 위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 the
고정부(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갖거나 원통 형상의 끝단에 돌기를 형성하여 도 4의 밀착부재(220)의 이격홈(221)에 슬라이드 삽입하여 밀착부(222)의 밀착을 유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xing
너트부(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는 삽입홀(341)이 형성되어 도 5의 너트 안착부(314)에 안착된다. 이러한 너트부(340)는 일측면이 테이퍼(taper)진 경사면(342)을 갖고 도 4의 밀착부(222)를 가압함으로써 파이프 내측에 밀착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0)와 체결 몸체(210)는 파이프 외측에 위치하고, 밀착부재(220)와 너트부(340)는 파이프 단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조작창(212)에 위치하는 볼트부(310)의 체결 조작홀(313)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하면 볼트부(310)의 체결부재(311)가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 내측으로 전진하여 체결되는데, 이때 너트부(340)가 밀착부재(220)를 가압하면서 파이프 내측면에 밀착되고 고정된다. 또한 파이프 연결구는 볼트부(310)의 체결 조작홀(313)에 공구를 삽입하여 반대로 회전시켜 볼트부(310)의 체결부재(311)가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체결부재(311)를 가압하면 너트부(340)가 파이프 측으로 밀리면서 가압이 풀리고, 탄성부재(320)에 의해 볼트부(310)의 체결 조작홀(313)이 다시 체결 조작창(212)에 위치하게 된다.7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파이프 연결구
100 : 홀더
200 : 체결조작부
210 : 체결 몸체
220 : 밀착부재
300 : 파이프 삽입체
310 : 볼트부
320 : 탄성부재
330 : 고정부
340 : 너트부10 : pipe connector
100: holder
200: fastening control unit
210: fastening body
220: adhesion member
300: pipe insert
310: bolt part
320: elastic member
330: fixed part
340: nut part
Claims (5)
ⓐ 적어도 일면에 볼트 체결공(110)과 체결홈(120)이 형성되는 홀더(100)와,
ⓑ 내부에 중공(213)이 형성되고, 일단에 체결공(214)에 형성되며, 상기 일단에 상기 홀더(100)의 체결홈(120)에 체결되는 돌출부(211)를 갖고, 타단에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밀착부재(220)를 갖는 체결조작부(200)와,
ⓒ 일단이 상기 체결조작부(200)의 체결공(214)을 통해 상기 홀더(100)의 볼트 체결공(110)에 체결되는 볼트부(310), 상기 볼트부(310)를 상기 체결조작부(200)에 고정하는 고정부(330), 상기 볼트부(310)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밀착부재(22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볼트부(310)의 전진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220)를 가압하는 경사진 너트부(340)를 구비하는 파이프 삽입체(3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조작부(200)는 체결 몸체(210)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몸체(210)는 일단에 상기 체결공(214)과 상기 돌출부(211)를 구비하며, 일 측면에 상기 중공(213)을 향해 형성된 체결 조작창(212)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310)는 상기 체결 몸체(210)의 중공(213)을 지나 상기 체결공(214)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311)와, 상기 체결 조작창(212)에 위치하는 다수의 체결 조작홀(313)이 형성되는 볼트 헤드(3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In the pipe connector,
ⓐ a holder 100 in which a bolt fastening hole 110 and a fastening groove 12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 A hollow 213 is formed inside, is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214 at one end, and has a protrusion 211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20 of the holder 100 at one end, and the pipe at the other end. A fastening operation unit 200 having a close contact member 220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and
ⓒ One end of the bolt unit 310 is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hole 110 of the holder 1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4 of the fastening manipulation unit 200, and the bolt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manipulation unit 200 ),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bolt part 310 and is seated inside the adhesion member 220 , and presses the adhesion member 220 by the advancement of the bolt part 310 . A pipe insert 300 having an inclined nut portion 340 to
including,
The fastening operation unit 20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body 210,
The fastening body 210 has the fastening hole 214 and the protrusion 211 at one end, and a fastening operation window 212 formed toward the hollow 213 on one side thereof,
The bolt part 310 includes a fastening member 311 protruding into the fastening hole 214 through the hollow 213 of the fastening body 21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anipulations located in the fastening operation window 212 . having a bolt head 312 in which a hole 313 is formed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홀더(100)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체결홈(120)은 열십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100 has a hexahedral shape, and the fastening groove 120 has a cross shape.
상기 밀착부재(220)는 일단이 상기 체결 몸체(210)에 결합되며, 타단에서 소정 길이로 각 모서리가 절개되어 이격홈(221)이 형성되는 밀착부(2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on member 220 has one end coupled to the fastening body 210, and each corner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other end to form a spaced groove 221. A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222 connector.
상기 볼트부(310)는 상기 경사진 너트부(340)를 안착시키는 너트 안착부(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According to claim 1,
The bolt part (310) is a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nut seating part (314) for seating the inclined nut part (340).
상기 파이프 삽입체(300)는 상기 볼트부(310)와 상기 고정부(3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부(310)를 상기 홀더(100) 방향으로 밀어내어서 상기 체결 조작홀(313)이 상기 체결 조작창(212)에 위치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5. The method of claim 4,
The pipe insert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bolt part 310 and the fixing part 330 to push the bolt part 310 toward the holder 100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operation hole 313 . Pip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320) to be positioned on the fastening operation window (2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273A KR102439931B1 (en) | 2020-06-10 | 2020-06-10 | Pi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0273A KR102439931B1 (en) | 2020-06-10 | 2020-06-10 | Pip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3350A KR20210153350A (en) | 2021-12-17 |
KR102439931B1 true KR102439931B1 (en) | 2022-09-05 |
Family
ID=7903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0273A Active KR102439931B1 (en) | 2020-06-10 | 2020-06-10 | Pi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993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51694B1 (en) * | 2022-01-19 | 2025-01-10 |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 A profile quick assembly mechanism for structur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29598A1 (en) | 2011-03-30 | 2012-10-04 | Burgundy Trial Pty Ltd |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0059A (en) | 1989-06-26 | 1991-01-28 | 진영학 | Men's shoes with shoe polish and shoe brush |
-
2020
- 2020-06-10 KR KR1020200070273A patent/KR1024399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29598A1 (en) | 2011-03-30 | 2012-10-04 | Burgundy Trial Pty Ltd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3350A (en) | 2021-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75913U (en) | Rapid connecting rod | |
US2904379A (en) | Hollow support structures having hidden connecting means | |
US4270872A (en) | Structural joint | |
KR102439931B1 (en) | Pipe connector | |
JP5090288B2 (en) | Square pipe connection device | |
US5102254A (en) | Construction of pipe fittings | |
US6203239B1 (en) | Wedge plug tubing connector | |
US3278209A (en) | Coupling means for tubular members | |
CN112654792B (en) | Seat and kit of parts configured for assembly into the seat | |
KR101173239B1 (en) | Furniture frame corner connection implement | |
JP6230804B2 (en) | Assembly fix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ssembly fixture | |
JP4999618B2 (en) | Tenon rod and tenon joint | |
KR101933838B1 (en) |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 |
KR200496752Y1 (en) | Tool for pipe expanding | |
EP2228550B1 (en) | Tenon joint | |
JP3103189U (en) | A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tube | |
JP2007321428A (en) | Joint structure of horizontal member and other structural member | |
KR200489569Y1 (en) | Pipe combination structure for furniture frame | |
KR100597475B1 (en) | Fastening devices for furniture assembly | |
KR101570271B1 (en) | Structure of connecting for assembly member | |
KR200187816Y1 (en) | Connecting apparatus for pipes | |
CN110878785A (en) | Two-way connecting piece | |
CN215257230U (en) | Locking head and expandable furniture panel connecting assembly | |
CN106837961B (en) | Combined furniture rod piece hidden connecting structure | |
JP2006118254A (en) |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3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8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3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