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737B1 -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 Google Patents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8737B1 KR102438737B1 KR1020210020639A KR20210020639A KR102438737B1 KR 102438737 B1 KR102438737 B1 KR 102438737B1 KR 1020210020639 A KR1020210020639 A KR 1020210020639A KR 20210020639 A KR20210020639 A KR 20210020639A KR 102438737 B1 KR102438737 B1 KR 102438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occlusal plane
- occlusal
- patient
- tee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1—Computed x-ray tomography [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교합평면 제안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정상 교합자의 구강 또는 구강 모형 스캔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치아가 노출된 얼굴 스캔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CBCT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치아가 노출되지 않은 얼굴 스캔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교합평면 제안 방법에 있어서, 제 ₃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제°이미지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Ⅱ 이미지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Ⅲ 이미지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Ⅳ 이미지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Ⅳ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2 데이터를 삭제한 이미지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해부학적 특이점인 랜드마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데이터에서 교합평면을 산출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S240 단계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교합평면 제안 장치가 제안한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 평면과 이를 벗어난 치아의 부위를 출력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 평면과 이를 벗어난 치아의 부위를 회전 시킴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 메모리
40: 스토리지
41: 컴퓨터 프로그램
50: 데이터 버스
100: 교합평면 제안 장치
Claims (14)
- (a) 교합평면(Occlusal Plane) 제안 장치가 정상 교합자에 대한 제1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고, 이를 정합하여 제 Ⅳ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교합평면 제안 장치가 상기 생성한 제Ⅳ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부학적 특이점인 랜드마크(Landmark)와 정상 교합자의 교합평면과의 관계를 학습하는 단계;
(c) 상기 교합평면 제안 장치가 환자에 대한 제1 데이터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합평면 제안 장치가 상기 학습한 랜드마크와 정상 교합자의 교합평면과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환자에 대한 제1 데이터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평면을 제안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교합자에 대한 제1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정상 교합자의 구강 또는 구강 모형 스캔 데이터, 치아가 노출된 얼굴 스캔 데이터, CT(Computed Tomography) 데이터,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데이터 및 치아가 노출되지 않은 얼굴 스캔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데이터 및 치아가 노출되지 않은 얼굴 스캔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된 데이터인,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정상 교합자에 대한 제1 데이터인 구강 또는 구강 모형 스캔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인 치아가 노출된 얼굴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여 제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a-2) 상기 정상 교합자에 대한 제1 데이터인 구강 또는 구강 모형 스캔 데이터와 제3 데이터인 CBCT 데이터를 정합하여 제Ⅱ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정상 교합자에 대한 제2 데이터인 치아가 노출된 얼굴 스캔 데이터와 제4 데이터인 치아가 노출되지 않은 얼굴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여 제Ⅲ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a-4) 상기 생성한 제Ⅰ 이미지 데이터, 제Ⅱ 이미지 데이터 및 제Ⅲ 이미지 데이터를 정합하여 상기 제Ⅳ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 이후에,
(a-5) 상기 생성한 제Ⅳ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2 데이터인 치아가 노출된 얼굴 스캔 데이터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인 구강 또는 구강 모형 스캔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인 치아가 노출된 얼굴 스캔 데이터를 전치부 노출 부위의 치아를 기준으로 정합하여 생성하는,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Ⅱ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인 구강 또는 구강 모형 스캔 데이터와 제3 데이터인 CBCT 데이터를 전체 치아를 기준으로 정합하여 생성하는,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 대한 제1 데이터는,
상기 환자의 구강 또는 구강 모형 스캔 데이터인,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는,
Nasion, Glabella, Exocanthion right, Exocanthion left, Endocanthion right, Endocanthion left, Pronasale, Subnasale, Alar right, Alar left, Crista philtri right, Crista philtri left, Labiale superious, Chellion right, Chellion left, Stomion, Labiale inferious, Sublabiale, Pogonion, Gnathion, Menton, Tragus right, Tragus left, Gonion right, Gonion left, Tragion, Basion, Anterior nasal spine, Posterior nasal spine, Point A (point of maximum midline concavity on the maxilla), Point B (point of maximum midline concavity on the mandibular symphysis), Pogonion, Menton, Gnathion, Left porion, Right porion, Left Orbitale, Rright orbitale, Left condylion, Right condylion, Left gonion , Right gonion, Left zygion 및 Right zyg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학습은,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및 Volume to volume regress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학습인,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안한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평면을 벗어난 상기 환자의 치아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제안한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평면을 벗어난 상기 환자의 치아의 부위 또는 양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합평면 제안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한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평면을 벗어난 상기 환자의 치아의 부위 또는 양은,
선택한 임계값(Threshold)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교합평면 제안 방법.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A) 정상 교합자에 대한 제1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고 이를 정합하여 제 ₃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생성한 제₃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부학적 특이점인 랜드마크(Landmark)와 정상 교합자의 교합평면과의 관계를 학습하는 오퍼레이션;
(C) 환자에 대한 제1 데이터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D) 상기 학습한 랜드마크와 정상 교합자의 교합평면과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환자에 대한 제1 데이터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평면을 제안하여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을 실행하는 교합평면 제안 장치. -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AA) 정상 교합자에 대한 제1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고 이를 정합하여 제 ₃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B) 상기 생성한 제₃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부학적 특이점인 랜드마크(Landmark)와 정상 교합자의 교합평면과의 관계를 학습하는 단계;
(CC) 환자에 대한 제1 데이터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DD) 상기 학습한 랜드마크와 정상 교합자의 교합평면과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환자에 대한 제1 데이터 내지 제4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최적화된 교합평면을 제안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639A KR102438737B1 (ko) | 2021-02-16 | 2021-02-16 |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
PCT/KR2022/002159 WO2022177243A2 (ko) | 2021-02-16 | 2022-02-14 |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
EP22756441.6A EP4295811A4 (en) | 2021-02-16 | 2022-02-14 | DEVICE AND METHOD FOR SUGGESTING AN OCCLUSAL PLANE |
US18/266,214 US20240037735A1 (en) | 2021-02-16 | 2022-02-14 | Device and method for suggesting occlusal pla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639A KR102438737B1 (ko) | 2021-02-16 | 2021-02-16 |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7928A KR20220117928A (ko) | 2022-08-25 |
KR102438737B1 true KR102438737B1 (ko) | 2022-09-02 |
Family
ID=8293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0639A Active KR102438737B1 (ko) | 2021-02-16 | 2021-02-16 |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37735A1 (ko) |
EP (1) | EP4295811A4 (ko) |
KR (1) | KR102438737B1 (ko) |
WO (1) | WO202217724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105860A (ko) * | 2023-12-29 | 2025-07-09 | 주식회사 덴티움 |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한 교합 평면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3478B1 (ko) | 2018-06-25 | 2020-02-04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구강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치아 교정 모델을 셋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28211A1 (en) * | 2009-01-30 | 2012-02-02 | Ady Palti | Occlusion template |
KR101214641B1 (ko) | 2010-09-13 | 2012-12-21 | 주식회사 덴티스 |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WO2018022752A1 (en) * | 2016-07-27 | 2018-02-01 |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 Dental cad automation using deep learning |
WO2018122557A2 (en) * | 2016-12-30 | 2018-07-05 | Carestream Dental Technology Topco Limited | Reconstruction of a virtual computed-tomography volume to track orthodontics treatment evolution |
KR102070256B1 (ko) * | 2018-06-01 | 2020-01-29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교정 치료 플래닝을 위한 세팔로 영상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KR101952887B1 (ko) * | 2018-07-27 | 2019-06-11 | 김예현 | 해부학적 랜드마크의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
KR102099390B1 (ko) * | 2018-08-21 | 2020-04-09 |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 교정 진단을 위한 치과 영상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EP3620130A1 (en) * | 2018-09-04 | 2020-03-11 | Promaton Holding B.V. | Automate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using deep learning |
-
2021
- 2021-02-16 KR KR1020210020639A patent/KR102438737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02-14 US US18/266,214 patent/US20240037735A1/en active Pending
- 2022-02-14 WO PCT/KR2022/002159 patent/WO202217724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2-14 EP EP22756441.6A patent/EP4295811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3478B1 (ko) | 2018-06-25 | 2020-02-04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구강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치아 교정 모델을 셋업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95811A2 (en) | 2023-12-27 |
WO2022177243A2 (ko) | 2022-08-25 |
US20240037735A1 (en) | 2024-02-01 |
KR20220117928A (ko) | 2022-08-25 |
WO2022177243A3 (ko) | 2022-10-13 |
EP4295811A4 (en) | 2025-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93605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 |
CN114929156B (zh) | 矫正的牙齿排列形状生成方法及装置 | |
JP6273149B2 (ja) | 顔面補正イメージ提供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 |
US12150831B2 (en) |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cosmetic restoration | |
EP2134290B1 (en) |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 |
US10258439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orthodontic devices | |
US1222028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and restorative treatment planning | |
JP2023014295A (ja) | 頭部計測解析のための方法 | |
KR102372962B1 (ko) | 자연 두부 위치에서 촬영된 3차원 cbct 영상에서 기계 학습 기반 치아 교정 진단을 위한 두부 계측 파라미터 도출방법 | |
CN105769353A (zh) | 自动化排牙方法及装置 | |
US20240090983A1 (en) | Method for ensuring functional occlusion for customized orthodontic devices | |
KR102438737B1 (ko) | 교합평면 제안 장치 및 제안 방법 | |
KR20210069172A (ko) |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 |
US20250073000A1 (en) | Treatment planning using patient facial images | |
US20240024083A1 (en) | Remote skeletal modeling | |
KR20250062075A (ko) | 데이터 정합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2830078B1 (ko) | 치과용 정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 |
KR102817053B1 (ko) | 무치악 환자의 임시 덴처 제작을 위한 모델 생성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
Haworth et al. | Lateral Cephalograms: Why Do We Take Them? | |
Poddębniak et al. | Harnessing th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dentistry, with a particular focus on orthodontics | |
Ashraf Abdel Hadi | Smarter Smiles: The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xed Prosthodontics: A Narrative Review | |
WO2023240333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dental prostheses planning | |
Sanjana et al. |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dodontics | |
KR20240162459A (ko) | 치과용 정합 데이터의 생성 방법 | |
JP2025012950A (ja) | 医療支援システムおよび医療支援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