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734B1 - height adjustable pedestal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pedest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8734B1 KR102438734B1 KR1020200079909A KR20200079909A KR102438734B1 KR 102438734 B1 KR102438734 B1 KR 102438734B1 KR 1020200079909 A KR1020200079909 A KR 1020200079909A KR 20200079909 A KR20200079909 A KR 20200079909A KR 102438734 B1 KR102438734 B1 KR 102438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undation stone
- shape
- support
- height
- accommod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주춧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축물, 컨테이너 등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되,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위치하게 될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주춧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움푹 들어간 부분을 메우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들어가는 불필요한 시간, 노고,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춧돌이 건축물, 컨테이너 등에 일체 고정되도록 하는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건축물, 컨테이너 등과 주춧돌이 분리되는 것 없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압축 하중뿐만 아니라, 풍하중과 같이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ing foundation stone, and more particular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a building, container, etc., used for supporting a building, container, etc., even if the ground on which the building, container, etc. will be located is not flat , 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solve the problem of unnecessary time, labor, and cost incurred when performing work such as flattening inclined parts or filling dents, etc., , so that 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container, etc., so that even when the building, container, etc. are moved, the building, container, etc., the foundation stone can be moved together without being separated, and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container, etc. It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that prevents buildings, containers, etc. from deviate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even in the case of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upward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주춧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하측에 설치되어, 건축물, 컨테이너 등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되,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위치하게 될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주춧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움푹 들어간 부분을 메우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들어가는 불필요한 시간, 노고,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춧돌이 건축물, 컨테이너 등에 일체 고정되도록 하는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건축물, 컨테이너 등과 주춧돌이 분리되는 것 없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압축 하중뿐만 아니라, 풍하중과 같이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ing foundation stone, and more particular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a building, container, etc., used for supporting a building, container, etc., even if the ground on which the building, container, etc. will be located is not flat , 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solve the problem of unnecessary time, labor, and cost incurred when performing work such as flattening inclined parts or filling dents, etc., , so that it is integrally fixed to the container, etc., so that even when the building, container, etc. are moved, the building, container, etc., the foundation stone can be moved together without being separated, and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container, etc. It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that prevents buildings, containers, etc. from deviate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even in the case of external forces acting in the upward direction.
주춧돌은 기면 또는 기단 위에 설치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돌로, 초석이라고도 하며, 보통 전통적인 목조건축의 기둥 밑에 놓여 기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해오다가, 최근에는 이동식 컨테이너, 조립식 건축물 등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춧돌은 건출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지면의 습기, 지반 침수, 벌레 등으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A foundation stone is a stone installed on a base or base to support a load. Also called a cornerstone, it is usually placed under a column in traditional wooden construction to support the column, but recently it is us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a movable container, prefabricated building, etc. is also used as By separating the building from the ground, these foundation stones can protect the building from moisture on the ground, submersion of the ground, insects, and the like.
도 1은 종래의 목조 건물용 주춧돌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523호(2018.10.10.)에 개시되어 있다.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foundation stone for a wooden building,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110523 (2018.10.10.).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목조 건물용 주춧돌(90)은, 주춧돌(9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스크류 고정공(93)에 목조 기둥(P)을 고정하는 스크류(95)가 설치되고, 목조 기둥(P)이 상기 스크류(95)와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바, 목조 기둥(P)을 고정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아 삽입홈에 물이 고여 목조 기둥(P)이 썩는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비가 내리는 경우 빗물이 배수홈(97)에 의하여 신속하게 주춧돌(91)의 측면으로 배수되는바, 목조 기둥(P)이 습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wooden
하지만, 상기 종래의 주춧돌(90)은 배수 문제에 대해서만 고려하고 있을 뿐, 주춧돌(90)의 높낮이 조절에 관한 고려를 전혀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주춧돌이 설치되는 지면은 항상 평탄한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 경사져 있거나, 특정 부분이 움푹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주춧돌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는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에는,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움푹들어간 부분을 메우는 작업 등을 선행해야 할 것이므로,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stone is installed is not always flat, and in some cases it may be inclined or a certain part may be recessed.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is not controlled,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operation of flattening the inclined part or filling the dented part,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working time is long. .
게다가, 최초 설치시에는 수평을 맞추어 설치했다고 하더라도, 지반 침하, 충격 등 사용과정 상에서 발생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지면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될 수 있고, 이 경우 작업자는 주춧돌 상에 안치되었던 컨테이너 등을 유압잭,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리고, 수평을 맞추기 위해 별도의 고임 수단을 밀어 넣는 등의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바, 유지 보수가 대단히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the ground may not be level due to various causes that occurred during the use process such as ground subsidence and impact. Lifting with a crane, etc., and pushing in a separate stanchion means to level the bar, there was also a problem of very difficult maintenance.
이처럼, 주춧돌 위에 안치되는 건축물 등의 수평을 위해, 주춧돌의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주춧돌은 그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춧돌을 설치할 지면 등을 평평하게 하는 작업이 무엇보다도 중요했고, 이러한 방식으로 수평을 맞추는데 많은 시간을 요하였는바, 이로 인해 불필요한 노고,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었다.In this way, for the level of the building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although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needs to be adjusted, it was im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xisting foundation stone, a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ground to install the foundation stone, etc. The work of leveling the surface was most important, and it took a lot of time to level it in this way, which resulted in unnecessary labor and waste of money.
또한, 종래의 주춧돌은 단순히 주춧돌 상에 안치되는 건축물의 무게를 견디는 기초석 수준에 불과하였는바, 건축물에 의한 중력 방향의 하중를 견딜 수 있을 지언정, 건축물의 밑에서 위로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해 건축물이 들리거나 뒤집어질 수 있는 문제에 관한 고려가 전혀 없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oundation stone was simply a foundation stone level that withstands the weight of the building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and although it can withstand the loa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aused by the building, the building is lifted or turned over by the wind load acting from the bottom of the building upwards. There was no consideration of possible problems.
게다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춧돌과 건축물이 일체화된 상태가 아니라, 단순히 주춧돌 위에 건축물이 올라가 상태였기 때문에, 지진 등이 발생했을 때, 진동에 의해 건축물이 조금씩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면서, 건축물이 주춧돌로부터 벗어나 일측 방향으로 넘어가는 문제 등이 야기될 수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uilding is not in a state in which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building are integrated, but simply because the building is on top of the headstone. It could cause problems such as passing in one direction.
그리고, 크레인 등에 의해 컨테이너 등을 옮기려고 할 때, 주춧돌 상에 안착되었던 컨테이너만 상기 크레인 등에 의해 들려올려지고, 그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있던 주춧돌은 그대로 지면 상에 남아 있게 되었으므로, 컨테이너 등이 이동되는 장소에 다시 지면 수평을 맞추고 주춧돌을 설치하고, 그 위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And, when trying to move a container, etc. by a crane, etc., only the container that has been seated on the foundation stone is lifted by the crane, etc., and the foundation stone supporting the container remains on the ground as it is, so it is located in the place where the container is moved. It was inconvenient to have to level the ground again, install a foundation stone, and place a container on it.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주춧돌의 높이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주춧돌과 상기 주춧돌 위에 안치되는 건축물 간에 고정력이 발현되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related industry is demanding the development of a new technology so that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adjusted and the fixing force is expressed between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building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주춧돌이 설치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주춧돌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주춧돌 위에 올려지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sy leveling of buildings, containers, etc.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even if 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stone is installed is not fla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춧돌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위치하게 될 건설 현장에서,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움푹들어간 부분을 메우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들어가는 불필요한 시간, 노고,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so at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building, container, etc. will be located, when performing a work such as flattening an inclined part or filling a recessed part It is to solve the problem of unnecessary time, effort and cos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춧돌 위에 단순히 건축물, 컨테이너 등을 얹어 놓는 것이 아니라, 주춧돌과 건축물 등이 일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풍하중이 건축물 등의 아래에서 위로 작용하더라도, 건축물 등이 뒤집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uilding, etc. from overturning, even if a strong wind load acts from the bottom of the building, etc., by not simply placing a building, container, etc. on the foundation stone, but by fixing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building together.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춧돌과 설치물을 견고히 고정하여, 외부로부터 설치물을 들어올리려는 상측 방향의 힘이 작용되더라도, 설치물이 주춧돌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mly fix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installation so that the installation does not separate from the foundation stone even if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lift the installatio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춧돌 위에 얹혀지는 물체가 주춧돌과 일체화되도록 함에 따라, 지진 등이 발생했을 때, 진동에 의해 얹혀진 물체가 조금씩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면서 주춧돌로부터 벗어나 주춧돌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일측 방향으로 넘어가거나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object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is integrated with the foundation stone, so that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object placed on the foundation gradually deviates from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vibration, so that the object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is not supported by the foundation stone and is not supported on one side. This is to prevent problems such as falling over or falling 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등과 주춧돌이 일체 고정되어, 컨테이너 등을 이동시킬 경우, 주춧돌과 컨테이너 등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된 장소에서도 다시 사이트를 평탄화하지 않더라도, 주춧돌의 높이를 조절해 컨테이너 등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tainer and the foundation are integrally fixed, so that when the container is moved, the foundation and the container can be moved together without being separated, and even if the site is not flattened again even in the moved place, the It is to adjust the height to make it easier to level the container, etc.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춧돌 상에 얹혀진 물체의 수평 조정이 필요한 경우, 지지부를 승하강시켜 수평 재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horizontal readjustment by elevating and lowering the support when it is necessary to horizontally adjust the object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중을 가하는 물체가 지지부의 접촉수단에 의해 떠받쳐지도록 하고, 접촉수단의 하측에 형성된 조절수단에 외력을 가해, 조절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n object applying a load supported by the contact means of the support part, and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adjusting means formed below the contact means,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djusting means, the support part is raised or lowered to be able to do 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수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수단을 구성하여, 체결수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지지부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fastening means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adjusting means, and to facilitat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part by screwing by the screw thread formed in the fasten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수단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결합홀을 구성하여, 결합홀을 통해 결합수단이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주춧돌과 주춧돌 위에 놓이는 물체간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from one surface of the contact means so that the coupling means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so that a solid fixation between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object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is ma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수단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높이 조절을 위해 조절수단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적절한 파지를 통해 회전력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adjusting means to be non-circular, so that when the adjusting means is rotated for height adjustment, rotational force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hrough proper gripp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와 결합부가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회전 방향을 바꾸어가며 주춧돌 높이의 미세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while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as the support and the coupling part are fastened through screw coupl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와 받침부를 일체화시켜, 받침부로부터 결합부가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the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coupling par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에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지지부의 체결수단이 고정수단과 나사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체결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부의 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fixing means in the coupling part, so that the fastening means of the support part is screwed with the fixing mean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수단이 제1수용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수단에 체결된 지지부가 기초부와 일체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fixing means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part so that the support part fastened to the fixing means can move integrally with the base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측이탈방지부와 내측단턱을 구성해 안착부의 내측공간에 삽입된 고정수단이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ixing mean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portion from deviating from the original position by configuring the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and the inner ste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착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안착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eating part inserted inside the support part from rotating within the support part by configu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ating part to be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수용부 상에 외측단턱을 형성하는 날개부를 구성하여, 받침부 내측에 삽입된 결합부가 받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wing portion forming an outer step o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날개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날개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ing part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from rotating in the support part by configu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wing part to be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수용부 상에 연결부를 구성하여, 분리구성된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부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부에 제2수용부를 결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connection part 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separated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can be easily combined, and when the support part is not require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To be able to use wealth without combining 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 연결시, 연결부의 내주면에 제2수용부의 상측 외주면이 접합하도록 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load by making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join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conn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연결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nnecting portion inserted inside the support from rotating in the support by configu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한 제2수용부를 구성하여, 지지부의 체결수단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사출시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며, 테이퍼 결합을 통해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of the support can be located by configur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an upper side open and a lower side closed, and having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injection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demolding during demolding, and to further improve fixing force through taper bon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수용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제2수용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serted inside the pedestal from rotating within the pedestal by configuring the cross-sectional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be non-circular.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중을 지지하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기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pport a load and to be able to elevate and lower, and a base portion positioned under the support portion and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하중을 가하는 물체와 접하는 접촉수단과, 상기 접촉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승하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초부와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contact means in contact with an object applying a load, an adjustment means coupled to the contact means to adjust the elevation position of the support, and the adjust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means which is formed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means is fastened to the bas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조절수단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 상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결합홀을 포함하여, 상기 결합홀을 통해 삽입된 결합수단이 물체와 주춧돌을 일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means includes a coupling hole passing through the other surface from one side on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djusting means, the coupling mean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and the foundation are integrally fix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절수단은,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outer peripheral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내측으로 수용해 상기 결합부와 일체화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integrated with the coupling portion by accommodating the coupling portion in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지지부의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된 상기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ans coupled to the fastening means of the support part, and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means,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astening means coupled to the fix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has an open shape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includes a seating part that forms an inner space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fix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착부는, 상측 단부가 삽입부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기 고정수단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는 상측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n upp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upper end from being bent and extend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side separation of the fixing means seated in the inner spac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은, 상측에서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내주면 상에 체결수단의 수나사산과 상보적인 형상의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hol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receive the fastening means, and the fastening hole i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e thread and the female thread of the complementary shape are formed, and the plane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착부는,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asten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hole for accommodating the fasten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착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cross-section is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는, 판상형으로 형성되되, 외측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을 수용하도록 중심부에 상측에서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기 고정수단의 하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ating part to form an outer stepped, and is upper in the center to accommodate the fastening means Including a through hol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and a wing par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part to form an inner step for preventing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an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part.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상측이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수용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have an open shape, the open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and the upper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of a complementary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plane outer periphery shape is non-circula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수용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하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has a shape with an upper side open and a lower side closed, and has a tapered shape that is not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수용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ar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non-circular.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주춧돌이 설치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주춧돌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주춧돌 위에 올려지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stone is installed is not fla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level the building, container, etc. mounted on the foundation stone.
본 발명은, 주춧돌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위치하게 될 건설 현장에서,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움푹들어간 부분을 메우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들어가는 불필요한 시간, 노고,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can be easily adjusted, at a construction site where a building, a container, etc. will be located, an unnecessary time required when flattening an inclined part or filling a recessed part It derive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s of , labor, and cost.
본 발명은, 주춧돌 위에 단순히 건축물, 컨테이너 등을 얹어 놓는 것이 아니라, 주춧돌과 건축물 등이 일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풍하중이 건축물 등의 아래에서 위로 작용하더라도, 건축물 등이 뒤집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imply put a building, container, etc. on the foundation stone, but by allowing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building to be integrally fixed, even if a strong wind load acts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building, etc.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uilding from overturning.
본 발명은, 주춧돌과 설치물을 견고히 고정하여, 외부로부터 설치물을 들어올리려는 상측 방향의 힘이 작용되더라도, 설치물이 주춧돌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stalla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oundation, even if a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to lift the installation from the outside is applied by firmly fixing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installation.
본 발명은, 주춧돌 위에 얹혀지는 물체가 주춧돌과 일체화되도록 함에 따라, 지진 등이 발생했을 때, 진동에 의해 얹혀진 물체가 조금씩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면서 주춧돌로부터 벗어나 주춧돌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일측 방향으로 넘어가거나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bject placed on the headstone is integrated with the headstone, when an earthquake or the like occurs, the object placed on it is slightly devi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vibration, so that it deviates from the headstone and passes in one direction without receiving the support of the headstone.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problems such as falling.
본 발명은, 컨테이너 등과 주춧돌이 일체 고정되어, 컨테이너 등을 이동시킬 경우, 주춧돌과 컨테이너 등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된 장소에서도 다시 사이트를 평탄화하지 않더라도, 주춧돌의 높이를 조절해 컨테이너 등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and the foundation are integrally fixed, so that when the container is moved, the foundation and the container can be moved together without being separated, and even if the site is not flattened again in the moved place,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is adjusted.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level the container or the like.
본 발명은, 주춧돌 상에 얹혀진 물체의 수평 조정이 필요한 경우, 지지부를 승하강시켜 수평 재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horizontal readjustment easier by elevating and lowering the support when it is necessary to horizontally adjust the object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본 발명은, 하중을 가하는 물체가 지지부의 접촉수단에 의해 떠받쳐지도록 하고, 접촉수단의 하측에 형성된 조절수단에 외력을 가해, 조절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an object to which a load is applied is supported by the contact means of the support,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djusting means formed below the contact means so that the support can rise or fall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djusting means. get the effect
본 발명은, 조절수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수단을 구성하여, 체결수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지지부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figuring the fastening means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adjusting means, by screwing by the screw thread formed in the fastening means,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part is easily made.
본 발명은, 접촉수단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결합홀을 구성하여, 결합홀을 통해 결합수단이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주춧돌과 주춧돌 위에 놓이는 물체간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from one surface of the contact means so that the coupling means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so that a solid fixation between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object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is made.
본 발명은, 조절수단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높이 조절을 위해 조절수단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적절한 파지를 통해 회전력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e effect of smooth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proper gripping when the adjusting means is rotated for height adjustment by configu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adjusting means in a non-circular shape.
본 발명은, 지지부와 결합부가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회전 방향을 바꾸어가며 주춧돌 높이의 미세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upport part and the coupling part are fastened through screw coupling, the rotation direction is changed and the fin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can be easily made.
본 발명은, 결합부와 받침부를 일체화시켜, 받침부로부터 결합부가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coupl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rt by integrating the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본 발명은, 결합부에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지지부의 체결수단이 고정수단과 나사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체결수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부의 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an effect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ans by configuring the fixing means in the coupling part so that the fastening means of the support part is screwed with the fixing means.
본 발명은, 고정수단이 제1수용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수단에 체결된 지지부가 기초부와 일체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fixing means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support part fastened to the fixing means can move integrally with the base part.
본 발명은, 상측이탈방지부와 내측단턱을 구성해 안착부의 내측공간에 삽입된 고정수단이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ixing mean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part from deviate from the original position by configuring the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art and the inner step.
본 발명은, 안착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안착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eating part inserted inside the support part from rotating in the support part by configu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seating part to be non-circular.
본 발명은, 제1수용부 상에 외측단턱을 형성하는 날개부를 구성하여, 받침부 내측에 삽입된 결합부가 받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upling part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rt by configuring a wing part forming an outer step on the first receiving part.
본 발명은, 날개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날개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wing portion insert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from rotating in the support portion by configu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wing portion to be non-circular in cross-section.
본 발명은, 제1수용부 상에 연결부를 구성하여, 분리구성된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부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부에 제2수용부를 결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connection part 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separated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can be easily coupled, and when the support part is not required, without coupl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the connection part Effect that makes it usable.
본 발명은,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 연결시, 연결부의 내주면에 제2수용부의 상측 외주면이 접합하도록 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connecte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jo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thereby increasing resistance to load.
본 발명은, 연결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연결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nection part inserted inside the support part from rotating in the support part by configu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to be non-circular.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한 제2수용부를 구성하여, 지지부의 체결수단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사출시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며, 테이퍼 결합을 통해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of the support part can be located by configuring the second receiving part having a tapered shape that is open at the upper side and closed at the lower side, and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it is easy to demold during injection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fixing force is derived through the taper coupling.
본 발명은, 제2수용부의 횡단면 외주 형상을 비원형으로 구성하여, 받침부의 내측에 삽입된 제2수용부가 받침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serted inside the pedestal from rotating within the pedestal by configuring the cross-sectional outer peripheral shap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be non-circular.
도 1은 종래의 목조 건물용 주춧돌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주춧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6은 결합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체결수단과 결합된 결합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 시점에서 제1수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다른 시점에서 제1수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2수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주춧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B-B'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foundation for a wooden buildin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foundation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oupling unit coupled to a fastening means.
8 is a view showing the first accommodation unit at a point in time.
9 is a view showing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from another viewpoint.
10 is a view showing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1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art.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adjusting foundation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2;
14 is a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주춧돌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height-adjusting foundation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주춧돌(1)에 관한 것으로, 주춧돌(1)이 설치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주춧돌(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주춧돌(1) 위에 올려지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춧돌(1)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위치하게 될 건설 현장에서,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평평하게 하거나, 움푹들어간 부분을 메우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 들어가는 불필요한 시간, 노고, 비용의 문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ing foundation stone (1), and even if the ground on which the foundation stone (1) is installed is not fla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1), the level of buildings, containers, etc.,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1) to make it easier to f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eight of the
또한, 주춧돌(1) 위에 단순히 건축물, 컨테이너 등을 얹어 놓는 것이 아니라, 주춧돌(1)과 건축물 등이 일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풍하중이 건축물 등의 아래에서 위로 작용하더라도, 건축물 등이 뒤집히지 않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설치물을 들어올리려는 상측 방향의 힘이 작용되더라도, 설치물이 주춧돌(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주춧돌(1) 위에 얹혀지는 물체가 주춧돌(1)과 일체화됨에 따라, 지진 등이 발생했을 때, 진동에 의해 얹혀진 물체가 조금씩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면서 주춧돌(1)로부터 벗어나 주춧돌(1)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일측 방향으로 넘어가거나 쓰러지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등과 주춧돌(1)이 일체 고정되어, 컨테이너 등을 이동시킬 경우, 주춧돌(1)과 컨테이너 등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된 장소에서도 다시 사이트를 평탄화하지 않더라도, 주춧돌(1)의 높이를 조절해 컨테이너 등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rather than simply placing a building, container, etc. on the foundation stone (1), the foundation stone (1) and the building are integrally fixed, so that even if a strong wind load acts from the bottom of the building, etc. , even if an upward force is applied to lift the installation from the outside, the installation does not separate from the foundation stone (1). As the object placed on the headstone (1) is integrated with the headstone (1), when an earthquake or the like occurs, the object placed on it is slightly out of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vibration, leaving the headstone (1) and removing the support of the headstone (1). Problems such as falling over or falling over without receiving it can be prevented, and when the container and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주춧돌을 도시한 사시도로, 도 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높낮이 조절 주춧돌(1)은, 지지부(10), 기초부(30)를 포함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adjusting foundation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height-adjusting
상기 지지부(10)는, 지지부(10) 상에 위치하는 건축물, 컨테이너 등의 물체 하중을 지지하며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주춧돌(1) 상에 얹혀진 물체의 수평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지지부(10)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수평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수평 조정이 완료된 경우, 결합수단(F)을 통해 주춧돌(1)을 건축물 등에 고정시키는바, 주춧돌(1)은 건축물 등과 일체화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10)는, 접촉수단(11), 조절수단(13), 체결수단(15)을 포함한다.The
상기 접촉수단(11)은, 하중을 가하는 물체와 접하는 구성으로, 주춧돌(1) 상에 놓이게 될 기둥, 건축물, 컨테이너 등이 상기 접촉수단(11)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접촉수단(11)에는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는 결합홀(111)이 형성되므로, 결합홀(111)을 통해 삽입된 결합수단(F)이 상기 접촉수단(11)과 물체 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접촉수단(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판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촉수단(11)은 일체화수단(111), 중심홀(113)을 포함한다.The contact means 11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n object applying a load, and a column, a building, a container, etc. to be placed on the
상기 일체화수단(111)은, 후술할 조절수단(13)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 상에 형성되어 물체와 주춧돌을 일체 고정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일체화수단(111)은 물체와 주춧돌을 일체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화수단(111)은 상기 접촉수단(1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결합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11)을 통해 삽입된 결합수단(F)이 물체와 주춧돌을 일체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결합홀(111)은 상기 접촉수단(11)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따라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홀(111)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 될 수 있다.The integration means 111 is formed on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djustment means 13 to be described later and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 integrally fixing the object and the foundation stone. The integration means 11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integrally fixing the object and the foundation stone, and preferably, the integration means 111 is in the form of a coupling hole penetrating from one surface of the contact means 11 to the other surface. can be formed with The coupling means (F) inserted through the
상기 중심홀(113)은, 후술할 조절수단(13)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 상기 중심홀(113)이 형성한 내측 공간으로 조절수단(13)을 수용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후술할 실시예(도 12 및 도 13)에서는 상기 중심홀(113)이 조절수단(13)의 크기보다 작아 조절수단(13)이 상기 중심홀(113)에 수용될 수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심홀(113) 상에 조절수단(13)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상기 중심홀(113)을 통해, 조절수단(13)에 캡을 씌워 프레스 압축을 함으로써 용접없이 상기 중심홀(113) 상에 조절수단(13)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조절수단(13)은, 상기 접촉수단(11)에 결합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의 승하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절수단(13)은, 상기 접촉수단(11) 상에 조절수단(13)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홀을 형성한 뒤, 조절수단(13)에 캡을 씌우고 프레스 압착을 통해 상기 접촉수단(11)과 상기 조절수단(13)을 용접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본 발명에서 용접에 의한 상기 접촉수단(11)과 상기 조절수단(13)의 결합이 제외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춧돌(1)의 지지부(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부(1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외부에서 상기 지지부(10)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제공해야 하며, 이러한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수단(13)은 횡단면의 외주 형상이 비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djusting means 13 is coupled to the contact means 11 and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elevation of the
상기 체결수단(15)은, 상기 조절수단(13)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 수나사산(151)이 형성되어 후술할 기초부(30)와 체결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체결수단(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며, 원기둥의 외주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수나사산(15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나사산(151)에 의해 상기 지지부(10)는 후술할 결합부(30)의 고정수단(311)과 나사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15)에 형성된 수나사산(151)의 크기, 간격, 형상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 1 회전시 승하강의 정도 등의 조절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수단(15)과 후술할 고정수단(311)과의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되면, 상기 지지부(10)는 기초부(30)와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수단(15)은 강한 나사 결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금속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means 15 is formed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adjusting means 13, the
상기 기초부(30)는, 상기 지지부(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10)와 상기 기초부(30) 간의 결합은 나사결합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주춧돌은 주춧돌 위에 올려지는 물체에 의한 압축 하중만을 고려한 나머지, 진동이나, 물체의 아래에서 윗 방향으로 작용하는 풍하중 등을 고려하지 않았는바, 주춧돌 상에 놓인 물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인 주춧돌(1)은 상기 지지부(10)가 물체에 일체 고정되면, 이러한 상기 지지부(10)가 상기 기초부(30)에 결합하게 되는바, 결국, 주춧돌(1) 상에 놓이게 되는 물체에 주춧돌(1)이 일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안정적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기초부(30)는, 결합부(31), 받침부(33)를 포함한다.The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지지부(1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받침부(33) 상에 상기 지지부(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할 받침부(33)는 성형틀에 콘크리트 등을 부어 양생을 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 질 수 있는바, 상기 받침부(33)를 형성할 성형틀 내에 상기 결합부(31)를 위치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양생을 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31)와 상기 받침부(33)간의 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31)는, 그 구성 재료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플락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결합부(3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결합부(31)는, 고정수단(311), 제1수용부(313), 제2수용부(315)를 포함한다.The
상기 고정수단(311)은, 지지부(10)의 체결수단(15)과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11)은, 대략 링 형상으로 중심부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수단(311)은 횡단면의 외주 형상이 비원형,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11)은 후술할 제1수용부(313)의 내측공간에 안착이 되는데, 상기 고정수단(311)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고정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3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의 체결수단(15)과 나사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311)은, 체결공(3111), 암나사산(3113)을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311 refers to a configura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means 15 of the
상기 체결공(3111)은, 상측에서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고정수단(311)에서 상기 체결수단(15)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그 빈 공간의 형상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공(3111)은 상기 고정수단(311)의 수직한 중심축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체결공(3111)의 중심축은, 상기 체결수단(15)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The
상기 암나사산(3113)은, 상기 고정수단(311) 중 상기 체결공(3111)이 형성된 내주면 상에서 상기 체결수단(15)의 수나사산(151)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와 상기 기초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15)과 상기 고정수단(311) 간의 나사 결합력에 의해 결합이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암나사산(3113)의 형상은 상기 체결수단(15)의 수나사산(151)의 형상과 상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나사산(3113)의 크기, 간격, 형상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주춧돌(1)이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 1 회전시 승하강의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수용부(313)는, 상기 고정수단(311)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수단(311)이 제1수용부(31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수단(311)에 체결된 지지부(10)가 기초부(30)와 일체 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수용부(313)를 구성하는 재료에 관해 이를 어느 특정 재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1수용부(313)는 내측공간에 상기 고정수단(311)을 포함시켜야 하는바, 이러한 상기 제1수용부(313)를 플라스틱으로 하고, 사출 형성시킴으로써,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1수용부(313) 내측에 고정수단(311)이 위치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제1수용부(313)은, 안착부(3131), 날개부(3133), 연결부(3135)를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안착부(313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311)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내측공간에 고정수단(311)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수용부(313)를 사출 성형할 때, 상기 고정수단(311)을 포함해 사출 성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1)는 횡단면의 외주 형상이 비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안착부(3131)는, 상측이탈방지부(31311), 연통홀(3131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상기 상측이탈방지부(31311)는, 안착부(3131)의 상측 단부가 삽입부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기 고정수단(311)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311)을 포함한 상태로 사출 성형을 진행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기 상측이탈방지부(313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이탈방지부(31311)가 과도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될 경우, 그 내부에 포함된 고정수단(311)의 체결공(3111)을 가릴 수 있게 되고, 이 경우에는, 상기 체결공(3111)에 상기 체결수단(15)이 삽입될 수 없게 되는바, 상기 상측이탈방지부(31311)의 연장 정도는 상기 체결공(3111)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upper
상기 연통홀(31313)은, 상기 체결공(3111)과 연통되어, 상기 체결수단(15)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측이탈방지부(31311)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3131) 상측에 형성된 구멍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15)은 상기 연통홀(31313)을 통해 상기 안착부(3131)의 내측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되고, 상기 안착부(3131)의 내측공간에 안치된 고정수단(311)의 암나사산(3111)과 상기 체결수단(15)의 수나사산(151)이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통홀(31313)의 형상에 관해 이를 어느 특정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평면 형상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홀(31313)의 중심축은 상기 체결수단(15)의 중심축 및 상기 체결공(3111)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The
상기 날개부(3133)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안착부(3131)의 하측면에 결합이 된다. 상기 날개부(3133)는, 받침부(33)의 내측에 삽입된 날개부(3133)가 받침부(33)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횡단면의 외주 형상이 비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3133)에 의한 외측단턱(31331)이 형성되도록, 상기 날개부(313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3131)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외측단턱(31331)을 통해 콘크리트 양생 전 받침부(33)의 내측에 삽입된 결합부(31)가 양생 후의 받침부(3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to 9 , 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3131)의 내측공간에는 상기 고정수단(311)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수단(311)을 통과한 상기 체결수단(15)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날개부(3133)의 중심부에는 상측 일면에서 하측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1333)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ans 311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이 때, 상기 관통홀(31333)의 크기는 상기 체결수단(15)의 횡단면 크기 이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부(3131)의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기 고정수단(311)의 하측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측단턱(31335)을 형성하고자, 상기 고정수단(311)이 수용된 내측공간의 하측 개구 크기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through
상기 관통홀(31333) 역시 원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31333)의 중심축은 상기 체결공(3111)의 중심축, 상기 체결수단(15)의 중심축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rough
상기 연결부(3135)는, 도 9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상측이 상기 날개부(3133)의 하면에 결합되고, 후술할 제2수용부(315)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3135)는, 횡단면의 외주 형상이 비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받침부(33)의 내측에 삽입된 연결부(3135)가 받침부(33)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35)를 통해, 분리구성된 제1수용부(313)와 제2수용부(315)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후술할 받침부(33)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3135)에 제2수용부(315)를 결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3135)의 형상은 후술할 제2수용부(315)의 상측부 형상과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수용부(313)와 제2수용부(315)를 연결할 때에는 상기 연결부(3135)의 내주면에 제2수용부(315)의 상측 외주면이 본딩 접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연결부(3135)와 상기 제2수용부(315)와의 접합으로 단면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바,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수용부(315)는, 상기 제1수용부(313)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수단(311)과 결합된 상기 체결수단(15)을 수용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수용부(315)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315)가 상기 제1수용부(313)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분리 사출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제2수용부(315)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하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10)의 체결수단(15)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사출시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며, 테이퍼 결합을 통해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315)는, 횡단면의 외주 형상이 비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으로 구성되어, 받침부(33)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제2수용부(315)가 받침부(33)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second
상기 받침부(33)는, 상기 결합부(31)를 내측으로 수용해 상기 결합부(31)와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크기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형상은 대략 사디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받침부(33)를 구성하는 재료에 관해 이를 어느 특정 재료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가 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3)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 내에 콘크리트를 붓고,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받침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성형틀 내에 상기 결합부(31)를 위치시킴으로써, 양생 후의 받침부(33) 내에 상기 결합부(31)가 일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주춧돌(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B' 단면도로,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0)와 결합부(31)가 다소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이한 차이점을 위주로 서술하겠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adjusting
도 2 내지 도 11에서는 상기 지지부(10)의 접촉수단(11)에 조절수단(13)의 프레스 압착을 통해 용접 없이 고정을 했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수단(11)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중심홀(113)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수단(11)의 하측면에 상기 조절수단(13)의 상면을 대며, 상기 중심홀(113)을 통해 용접봉을 집어 넣어 상기 접촉수단(11)(중심홀(113)의 엣지부분)과 상기 조절수단(13)의 상면이 일차 용접되도록 하고, 상기 접촉수단(11)의 하면과 상기 조절수단(13)의 상면이 만나는 부위에 이차 용접을 시킴으로써, 상기 접촉수단(11)에 상기 조절수단(13)을 부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심홀(113)의 크기를 상기 조절수단(13)의 크기보다 작게 구성하여, 상기 중심홀(113)에 상기 조절수단(13)이 들어가지 못하고, 상기 접촉수단(11)의 하면에 상기 조절수단(13)의 상면이 닿도록 도 13과 같이 구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FIGS. 2 to 11 , if the contact means 11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고정수단(311)이 구성되지만, 상기 고정수단(311)이 상기 제1수용부(313)가 만드는 내측공간 상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수용부(313)를 제외하고, 상기 제2수용부(315)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특징이 있다.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고정수단(311)은 금속 재료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부(315)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경우, 상기 고정수단(311)과 상기 제2수용부(315)와의 접합은 이종재료 간의 접합이 되어 잘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제2수용부(315)도 상기 고정수단(311)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xing means 311 is configured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fixing means 311 is not seated on the inner space made by the first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주춧돌(1)은 컨테이너 등의 하측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등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 등이 위치하게 될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주춧돌(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춧돌(1)의 지지부 높이에 차이를 줌으로써(H1<H2<H3), 주춧돌(1) 위에 얹혀질 물체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주춧돌(1)은 결합수단(F)을 결합홀(111)에 삽입해 주춧돌(1)이 컨테이너 등에 일체 고정되도록 하는바, 컨테이너 등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컨테이너 등과 주춧돌(1)이 분리되는 것 없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압축 하중만이 아니라, 풍하중과 같이 컨테이너 등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주춧돌(1)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물이 정위치를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14 is a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 the height-adjusting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 an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 높낮이 조절 주춧돌
10: 지지부
11: 접촉수단
111: 일체화수단
113: 중심홀
13: 조절수단
15: 체결수단
151: 수나사산
30: 기초부
31: 결합부
311: 고정수단
3111: 체결공
3113: 암나사산
313: 제1수용부
3131: 안착부
31311: 상측이탈방지부
31313: 연통홀
3133: 날개부
31331: 외측단턱
31333: 관통홀
31335: 내측단턱
3135: 연결부
315: 제2수용부
33: 받침부1: Height-adjustable cornerstone
10: support
11: means of contact
111: means of integration
113: central hall
13: control means
15: fastening means
151: male thread
30: base
31: coupling part
311: fixing means
3111: fastener
3113: female thread
313: first receiving unit
3131: seating part
31311: upper side departure prevention unit
31313: communication hall
3133: wing
31331: outer step
31333: through hole
31335: inner step
3135: connection
315: second receiving unit
33: support
Claims (18)
상기 지지부는, 하중을 가하는 물체와 접하는 접촉수단과, 상기 접촉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의 승하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초부와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조절수단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상에 형성되어 물체와 주춧돌을 일체 고정시키는 일체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성형 틀 내에 상기 결합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재료를 타설한 뒤 굳힘으로써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고정수단과, 내측에 상기 고정수단을 수용하되 상기 고정수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체결수단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결합부 간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지지부에 작용하는 상측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받침부 간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고정수단의 낙하가 방지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체결수단을 수용하도록 중심부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load and to enable elevating and lowering, and a base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portion and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contact means in contact with an object applying a load, an adjustment means coupled to the contact means to adjust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is formed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adjustment means and is fastened with the base portion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to be
The contact means is formed on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djustment means and includes an integration means for integrally fixing the object and the foundation stone,
The base part includes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nd a support part formed by pouring and hardening the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art is positioned in the molding frame,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xing means coupled to the fastening means of the support, a first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xing means inside but not allowing the fixing means to mov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ans of the fastening means.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that widen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coupling part while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o as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coupl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by an upward force acting on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Doedoe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so as to prevent the means from falling, the height adjustment foundation st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ng part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in the center to accommodate the fastening means.
상기 일체화수단은, 상기 접촉수단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결합홀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을 통해 삽입된 결합수단이 물체와 주춧돌을 일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ion means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from one surface of the contact means, and the coupling mean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fixes the object and the foundation stone integrally.
상기 조절수단은,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ing means, the height adjustment head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ircular shape of the plane outer periphery of the cross section.
상기 제1수용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has an open shape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part for forming an inner space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fixing means.
상기 안착부는, 상측 단부가 삽입부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기 고정수단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는 상측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ating portion, the upper end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ortion, the height adjustment headst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upper separation of the fixing means seated in the inner space.
상기 고정수단은, 상측에서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내주면 상에 체결수단의 수나사산과 상보적인 형상의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x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hole formed so as to penetrat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receive the fastening means, and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with a male thread and a female thread of a complementary shap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ans, A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outer perimeter shape is non-circular.
상기 안착부는,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ating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astening hole, the height adjustment headst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hole for accommodating the fastening means.
상기 안착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ating portion, the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ircular shape of the plane outer periphery of the cross section.
상기 날개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According to claim 1,
The wing portion, the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ircular shape of the plane outer periphery of the cross section.
상기 제1수용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상측이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수용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has an open shape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open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art, and a connection part that forms an inner space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upper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상기 연결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necting portion, the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circular shape of the plane outer periphery of the cross-section.
상기 제2수용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하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has a shape with an upper side open and a lower side closed, and a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apered shape that is not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제2수용부는, 횡단면의 평면 외주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주춧돌.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he height-adjustable foundation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outer periphery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non-circul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909A KR102438734B1 (en) | 2020-06-30 | 2020-06-30 | height adjustable pedest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909A KR102438734B1 (en) | 2020-06-30 | 2020-06-30 | height adjustable pedest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653A KR20220001653A (en) | 2022-01-06 |
KR102438734B1 true KR102438734B1 (en) | 2022-09-01 |
Family
ID=7934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9909A Active KR102438734B1 (en) | 2020-06-30 | 2020-06-30 | height adjustable pedest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873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3286Y1 (en) * | 2003-11-18 | 2004-03-02 | 윤태흥 | Pedestal having hight control function for moving-style build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106852T2 (en) * | 1990-11-29 | 1995-07-20 | Toshiba Kawasaki Kk | Method of manufacturing a system floor and floor support surface for system floor. |
KR20180109531A (en) * | 2017-03-28 | 2018-10-08 | 남궁민우 | Grounding Stone Assembly Having Position Adjustable Bracket |
KR20180110523A (en) | 2017-03-29 | 2018-10-10 | (주)정인그린빌 | Post stone for wooden pillar |
-
2020
- 2020-06-30 KR KR1020200079909A patent/KR1024387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3286Y1 (en) * | 2003-11-18 | 2004-03-02 | 윤태흥 | Pedestal having hight control function for moving-style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653A (en) | 2022-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214363A1 (en) | Wood post anchoring base | |
CN102341546A (en) | concrete anchor | |
KR200414307Y1 (en) | Tilt adjustment structure of pillar for assembly facility | |
KR101827350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 |
KR101819533B1 (en) | A Base Bracket for the Deck-road | |
CZ20001823A3 (en) |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object | |
US20170002537A1 (en) | Filling tube for producing a column of filling material in the ground as well as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 |
KR102112575B1 (en) | Foundation for fence post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KR100767645B1 (en) | Gangform Level and Vertical Controls | |
KR102438734B1 (en) | height adjustable pedestal | |
KR101421212B1 (en) | Basement Structure for power mono rail | |
CA2804702C (en) | A fence post assembly | |
CN106869177A (en) | Manhole cover assembly with lifting ring | |
KR100942995B1 (en) | Base concrete for a post | |
KR101196603B1 (en) | Form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method using thesame | |
KR200462716Y1 (en) | Curbstone constructing equipment | |
KR101095317B1 (en) | Manhole with height adjustment manhole cover fixing device | |
KR200430115Y1 (en) | Road boundary stone joint pedestal | |
EP3047072B1 (en) | Installation mean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adjusting a cover of an inspection manhole | |
KR101939825B1 (en) | A Support for the Deck-road | |
KR100660740B1 (en) | Curb support and rapi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AU2006201409A1 (en) | Stump Former | |
KR101136347B1 (en) | Base concrete for a post | |
KR200430123Y1 (en) | Slip-shaped pedestal for supporting road boundary stone joints | |
KR200282457Y1 (en) | manhole repair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