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8266B1 - The filter for aquarium - Google Patents

The filter for aquar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266B1
KR102438266B1 KR1020210174728A KR20210174728A KR102438266B1 KR 102438266 B1 KR102438266 B1 KR 102438266B1 KR 1020210174728 A KR1020210174728 A KR 1020210174728A KR 20210174728 A KR20210174728 A KR 20210174728A KR 102438266 B1 KR102438266 B1 KR 10243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ter tank
space
filt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우
Original Assignee
정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우 filed Critical 정재우
Priority to KR102021017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2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26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body detachably coupled to a top surface of a water tank; a base plat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body; at least one top cover opening and closing a top surface opening of the filter body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a plurality of rails disposed on the base plate within the filter body; and a plurality of partition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ails and forming spaces in which filter media are individually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simple compared to conventional products.

Description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The filter for aquarium}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The filter for aquarium}

본 발명은,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조 물에 대한 여과 효율은 더욱 우수하면서도 종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 탈부착 방식이라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and more specifically, the filtration efficiency for water in the tank is more excellent, and the functionality can be expanded beyond the conventional simple structure, an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conventional because the top is detachable. It relates to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that can be made much simpler.

수족관 여과장치는 수족관 내 담수된 물을 유동시켜 여과장치의 여과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수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수족관 내의 수초를 장시일에 걸쳐 키울 수 있게끔 한다.The aquarium filter improves the water quality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filter of the filter by flowing fresh water in the aquarium, while allowing the plants in the aquarium to grow over a long period of time.

종래기술인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수족관은 일정한 크기의 수조(1)내에 공지의 기포발생기(2)를 외부로 설치하는 한편, 바닥으로 여과관(3)의 미세물포집용 여과포(4)와 대형물집용 포집용 여과사(5)를 놓은 다음 인공 또는 자연 수초, 깨끗한 물을 채워 물고기를 기른다.Referring to FIG. 1, which is a prior art, in a conventional aquarium, a well-known bubble generator 2 is externally installed in a water tank 1 of a certain size, while a filter cloth 4 for collecting fine water of a filtration tube 3 at the bottom and Place the filter thread (5) for collecting large blisters, then fill with artificial or natural aquatic plants and clean water to raise fish.

상기 수조(1)와 기포발생기(2)사이에는 일정한 길이의 튜브(6)가 설치되어 있어 이 튜브(6)를 통해 기포가 바닥의 여과판(3)으로 보내어져 뿜어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족관을 여과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수조(1)내의 물은 화살표 방향으로 순화시켜, 바닥의 여과포(4)와 여과사(5)에서 물 속의 이물질을 포집하여 청정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A tube 6 of a certain length is installed between the water tank 1 and the bubble generator 2, and air bubbles are sent to the filter plate 3 at the bottom through the tube 6 and blown out. Therefore, in order to filter the conventional aquarium,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 is purifi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using compressed air, and the filter cloth 4 and the filter yarn 5 at the bottom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has been

그렇지만, 종래의 수족관은 수조(1)내에 있어 이물질이 밑바닥의 여과사(5)에서 포집되고 있는 관계로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여과사를 추출하여 세척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quarium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hange the water as well as to extract and wash the filter yarn because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in the filter yarn 5 at the bottom in the water tank 1 .

이에, 최근 기능성을 보유한 장치가 개발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능을 따라 제작되는 종래 수족관 여과장치는 수조로부터 유입된 물이 여과조를 통과한 후 수중모터 등에 의해 수조로 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device having functionality is being developed. A conventional aquarium filtration device manufactured according to such a func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water introduced from a water tank passes through the filter tank and then flows out into the water tank by an underwater motor or the like.

여기서 유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수조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여 수조의 물에 산소를 용해시키고 수조 바닥의 부유물을 여과기로 유도하도록 설치한다. 통상 수조에는 물고기와 수초 등 생명이 서식하기 때문에 적당한 수류는 산소의 용해 및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수조 생태계에 도움이 된다.Here, the water flowing out is used to form a water stream inside the water tank to dissolve oxygen i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nd to guide the floating matter at the bottom of the tank to a filter. Since life such as fish and aquatic plants normally inhabit in a tank, an appropriate water flow helps the tank ecosystem by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and supply of oxygen.

그러나 과도한 수류는 이끼를 발생시키고 소음의 원인이 되며 물고기나 수초에 해롭다. 때문에 출수량이 과도한 경우 여과기의 출수구 측에 레인바나 오리주둥이와 같은 수류분산용기구나, 출수량 조절밸브를 제공하고 있다.However, excessive water flow can generate moss, cause noise, and be harmful to fish and plants. Therefore, if the water output is excessive, a water flow distribution device such as a rain bar or a duck spout or a water flow control valve is provided on the water outlet side of the filter.

그러나 수류가 분산되더라도 협소한 수조에는 여전히 과도한 경우가 많고 출수량을 임의로 줄이는 경우 여과조내부의 수류가 약해져서 여과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중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출수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even if the water flow is dispersed,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there are still excessive cases in a narrow tank, and if the water outlet is arbitrarily reduced, the water flow inside the filter tank is weakened and the filtration ability is lowered.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ecause the underwater motor is overloaded.

반면, 수족관 여과장치의 측면에는 유입된 물에 함유된 각종 부유물이 여과조의 입구 측에 축적된다. 때문에 부유물이 여과재와 충돌하여 분쇄되도록 충분한 수류가 필요하다. 여과조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극히 미세하기 때문에 부유물이 어느 정도 분쇄되어야 분해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of the aquarium filtration device, various floating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water are accumulated on the inlet side of the filtration tank. Therefore, sufficient water flow is required so that the suspended matter collides with the filter medium and is crushed. Since the bacteria living in the filter tank are extremely fine, the decomposition time can be shortened only when the suspended matter is pulverized to some extent.

수조에는 부드럽고 안정된 수류가 적합하고 여과조에는 강하고 빠른 수류가 필요한데 기존의 여과기는 이런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A soft and stable water flow is suitable for a water tank, and a strong and fast water flow is required for a filter tank, but the existing filters have limitations in accommodating these demands.

이처럼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과조에 직접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중력식 여과기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structural problem, a gravity filter capable of supplying oxygen directly to the filtration tank is also widely used.

수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주로 호기성 박테리아를 이용하기 때문에 여과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해 주는 것은 무척 효과적이며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산소의 용해는 접촉면적에 비례하므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여과조가 충분히 크거나 여과조에 살수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Since aerobic bacteria are mainly used to stably operate the tank, supplying oxygen to improve the filtration capacity is very effective and yielding good results. Since the dissolution of oxygen is proportional to the contact area, the filtration tank is large enough to supply sufficient oxygen, or it is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 filtration tank is sprayed.

이런 유형의 여과기는 대체로 수조 외부에 장착되어야 하는데 배관의 구성과 관리가 어렵고 과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서 소음 발생과 누수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호기성 여과는 소화로 인하여 많은 2차 여과슬러지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is type of filter should be installed outside the water tank, but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and manage the piping, requires an excessive amount of extra space, and has an open top, so there is a risk of noise and leakage. And, it is known that aerobic filtration generates a lot of secondary filtered sludge due to digestion.

여과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수주에서 수개월 운영 후에는 여과조를 청소해 주어야 한다. 여과조의 청소는 번잡할 뿐만 아니라 여과박테리아가 서식하는 여과생태계를 파괴하며 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주 정도의 시일이요구된다.Depending on the type of filter, the filter tank should be cleaned after several weeks to several months of operation. The cleaning of the filter tank is not only complicated, but it also destroys the filtering ecosystem where the filter bacteria inhabit, and it takes at least one week to restore it.

또한, 청소 시기를 놓쳐 여과조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 여과조 내부가 부패하여 수족관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수족관의 필요 여과능력은 수조에 구성된 환경 즉 수초의 유무, 물고기의 개체수 등에 따라 다르다.In addition, if the cleaning period is missed and oxygen is not supplied to the filtration tank,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will decay and the ecosystem of the aquarium may be destroyed. The required filtration capacity of an aquarium differ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tank, name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quatic plants and the number of fish.

적은 수조라도 물고기가 많으면 큰 여과능력이 필요하고 큰 수조라도 수초 등 내부 환경이 좋은 경우 적은 여과능력으로도 관리가 가능하다. 때문에 실질적인 오염원의 발생정도에 따라 적합한 여과용량을 선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출수량 문제로 인하여 수조의 크기에 따라 여과용량을 선정하고 부족한 경우는 다른 형태의 여과기로 보충해야 해서 많은 소비자들이 불편해하고 있다.Even in a small tank, if there are many fish, large filtration capacity is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ppropriate filtra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actual occurrence of pollutants. Due to the problem of water output, the filtration capacity must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ank, and if insufficient, it must be supplemented with another type of filt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족관 관리는 사실상 수족관 여과장치 선전과 관리에 의해 좌우된다. 수족관 여과장치는 기능적으로 여과를 위한 장비이나, 수조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여과능력 이외도 규모, 소음, 출수량, 관리의 편의성, 외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한다. 수족관용 여과장치는 충분한 여과능력을 보유하면서도 수조 내부의 수류 관리와 여과조의 청소 등이 용이하고 가급적 설치공간은 적고 소음은 없고 외관이 수려해야 하는 요구가 있다.As discussed above, aquarium management is effectively governed by the advertising and management of aquarium filters. Aquarium filtration equipment is functionally used for filtration, but since it is used in a special environment such as a water tank, it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ize, noise, water output, ease of management, and appearance in addition to filtration capacity. There is a demand for a filter device for an aquarium to have sufficient filtration ability, but to manage the water flow inside the tank and clean the filter tank, and to have a small installation space as much as possible, no noise, and a beautiful appearance.

이러한 수족관 여과장치에 관한 기술들이 도 2 및 도 3 등에 공지된 바 있지만, 도 1을 포함한 종래기술의 경우,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기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에 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Although the techniques related to such an aquarium filtering device have been known in FIGS. 2 and 3, etc.,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cluding FIG. 1, the technical development is required in that the functionality is inevitably deteriorated due to its structural limitation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16297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1995-0016297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64683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6-0064683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18765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20-2003-0018765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3458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20-2005-0033458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 물에 대한 여과 효율은 더욱 우수하면서도 종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 탈부착 방식이라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for water tank water is better, while the functionality can be expanded beyond the conventional simple structure, an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much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one because the top surface is detachabl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수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여과기 본체; 상기 여과기 본체의 하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여과기 본체의 상면 개구를 개폐하되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탑 커버; 상기 여과기 본체 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레일; 및 상기 레일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과재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the filter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 base plat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t least one top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ilter body and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a plurality of rails disposed on the base plate within the filter body; and a plurality of partition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ail and form a space in which the filter medium is individually accommodated.

상기 복수 개의 칸막이의 높이차가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여과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수조 내의 물이 유입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게 설치되는 물 유입관; 상기 수조 내에서 상기 물 유입관의 단부에 결합하는 수중모터; 상기 여과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여과가 완료된 물이 상기 수조로 배출되는 제2 공간부; 및 상기 제2 공간부에 연결되고 여과가 완료된 물이 상기 수조로 배출되는 라인을 이루는 복수 개의 물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pac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er body into which water in the water tank flows; a water inlet pipe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space and the water tank; an underwater motor coupled to an end of the water inlet pipe in the water tank; a second spa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body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and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pipes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and forming a line through which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모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put unit; And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조명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movable lighting means for remov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상기 착탈식 조명수단은, 복수 개의 램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 치구; 및 상기 복수 개의 램프를 일체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결합 치구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램프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ovable lighting means, a plurality of lamps; a pair of coupling fixture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ile integral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amps, it may include a lamp supporter slidingly coupled to the coupling jig.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 물에 대한 여과 효율은 더욱 우수하면서도 종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 탈부착 방식이라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efficiency for water in the tank is more excellent, and the functionality can be extended beyond the conventional simple structure, and since it is a top surface detachable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significantly simpler than conventional ones.

도 1 내지 도 3은 일반적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4의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내부 투영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착탈식 조명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내부 구조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1 to 3 are structural diagrams of a general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4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shown in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5 .
FIG. 7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FIG. 5 .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of FIG.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movable luminaire shown i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0 .
12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shown in FIG. 12 from different angle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in some cases.

(제1 실시예)(Example 1)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내부 구조도, 도 8은 도 4의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4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shown in FIG. 4,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5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and FIG.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of FIG. 4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100)는 도 4처럼 수조(10)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조(10) 물에 대한 여과 효율은 더욱 우수하면서도 종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 탈부착 방식이라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게끔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as shown in FIG. Functionality can be expanded, and since it is a detachable top surfac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much simpler than before.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100)는 수조(1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여과기 본체(110)와, 여과기 본체(110)의 하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여과기 본체(110)의 상면 개구를 개폐하되 통공(131)이 형성되는 탑 커버(130)를 포함한다.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at can provide such an effect includes a filter body 110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and a bas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10 . It includes a plate 120 and a top cover 130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ilter body 110 but has a through hole 131 formed therein.

여과기 본체(110),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탑 커버(130)의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100)는 밀폐된 박스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심플한 외관의 미를 제공할 수 있다.By the structure of the filter body 110, the base plate 120 and the top cover 130,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form a closed box struct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beauty of a simple appearance.

여과재(미도시)의 교체를 위해 탑 커버(130)는 쉽게 착탈할 수 있는 덮개식 구조를 이룬다.For replacement of the filter medium (not shown), the top cover 130 forms a cover-type structure that is easily removable.

여과재를 위치별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탑 커버(130)는 복수 개로 적용된다. 또한, 탑 커버(130)를 쉽게 들어낼 수 있게 탑 커버(130)에는 복수 개의 통공(131)이 형성된다. 통공(131)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은 한다.The top cover 130 is applied in plurality so that the filter medium can be easily replaced by loca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are formed in the top cover 130 so that the top cover 130 can be easily removed. The through hole 131 serves as a kind of handle.

한편, 여과기 본체(110) 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는 복수 개의 레일(140)이 배치되며, 레일(140) 상에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과재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칸막이(150)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rails 140 are disposed on the base plate 120 in the filter body 110, and a plurality of partitions 15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ail 140 and form a space in which the filter medium is individually accommodated. ) is provided.

칸막이(150)들 사이사이에 여과재가 교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여과재들로 수조(10) 내의 물이 잘 넘어갈 수 있게 칸막이(150)들은 그 높이차가 서로 다르게 단차 배치된다.A filter medium may be replaceably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s 150 . In addition, the partitions 150 are arranged with different height differences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can pass through the filter media.

수조(10)의 사이즈에 따라서 여과재의 사용량이 달라질 수 있는 바, 칸막이(150)의 간격과 위치, 배치 구조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칸막이(150)는 고정된 타입으로 마련되지만, 레일(140) 상에서 레일(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이동식이어도 무방하다. 이럴 경우, 칸막이(150)들 사이의 간격 조절이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amount of filter media us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ater tank 10 , the spacing, position,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rtition 150 may be varied. In addition, although the partition 150 is provided in a fixed type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of a movable type that is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40 on the rail 140 .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rtitions 150 can be easily adjusted.

여과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수조(10) 내의 물이 유입되는 제1 공간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공간부(111)와 수조(10)를 연결하게 물 유입관(161)이 설치된다. 물 유입관(161)의 설치를 위해 커넥터(134)가 추가될 수 있다.A first space portion 111 through which water in the water tank 10 flow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er body 110 . Then, a water inlet pipe 161 is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space 111 and the water tank 10 . A connector 134 may be added for installation of the water inlet pipe 161 .

그리고,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조(10) 내에서 물 유입관(161)의 단부에 수중모터(162)가 결합한다.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the underwater motor 16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ater inlet pipe 161 in the water tank 10 .

수중모터(162)의 가동 시 수조(10) 내의 물이 물 유입관(161)을 통해 제1 공간부(111)로 향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제1 공간부(111)로 차오르는 물이 자연적으로 칸막이(150)를 통해 넘어가면서 여과될 수 있다.When the submersible motor 162 is operate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may be directed to the first space 111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61, and thereafter, the water filling up the first space 111 will naturally flow. It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150 .

여과기 본체(110)의 타측에는 여과가 완료된 물이 수조(10)로 배출되는 제2 공간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공간부(112)에 물 배출관(163)이 배치되되 여과가 완료된 물이 수조(10)로 배출되는 라인을 이룬다.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body 110 , a second space 112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10 is formed. In addition, a water discharge pipe 163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12 to form a line through which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10 .

물 배출관(163)은 물 유입관(161)보다는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또한, 소음 감소를 위해 복수 개의 물 배출관(163)이 적용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 pipe 163 may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water inlet pipe 161 . In addition,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pipes 163 may be applied to reduce nois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100)에는 장비의 컨트롤을 위해 입력부(170)와 컨트롤러(180)가 더 탑재된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equipped with an input unit 170 and a controller 180 for controlling equipment.

입력부(17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100)의 사용을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여과기 본체(110)의 일측에 부착된 버튼의 형태여도 좋고, 혹은 휴대가 가능한 리모컨 형태여도 좋다.The input unit 170 inputs a signal for use of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in the form of a butto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lter body 110, or may be in the form of a portable remote control.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수중모터(162)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수중모터(162)가 가동하면 수조(10) 내의 물이 물 유입관(161)을 통해 제1 공간부(111)로 유입된 후, 칸막이(150)들의 단차 구조에 의해 반대편으로 흐르면서 여과재에 의해 여과되게 한 다음, 제2 공간부(112)로 이동하여 물 배출관(163)을 통해 다시 수조(10)로 배출될 수 있게끔 일련의 작용이 진행되게 한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162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70 . That is, when the submersible motor 162 operate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flows into the first space 111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61, and then flows to the opposite side by the step structure of the partitions 150 and is applied to the filter medium. After being filtered by the water, it moves to the second space 112 and causes a series of actions to be performed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back to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163 .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performing this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81 (CPU), a memory 18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수중모터(162)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may be one of various computer processors that can be industrially appli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162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70 in this embodiment.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18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he memory 182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may be install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easily available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or any digital storage form. It may be at least one memory.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o support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The support circuit 18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수중모터(16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mersible motor 162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70, such a series of control process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2. Typically, software routines may be stored in memory 182 .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a software routine,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 물에 대한 여과 효율은 더욱 우수하면서도 종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 탈부착 방식이라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acts based o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efficiency for the water in the tank is more excellent, and the functionality can be expanded beyond the conventional simple structure, an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conventional because the top surface is detachable. It can be much simpler.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내부 투영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착탈식 조명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9 is an internal projection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movable luminaire shown in FIG. 9,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200) 역시, 수조(10, 도 4 참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여과기 본체(110)와, 여과기 본체(110)의 하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여과기 본체(110)의 상면 개구를 개폐하되 통공(131)이 형성되는 탑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filter body 11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tank 10 (refer to FIG. 4 ),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10 . It includes a base plate 120 coupled to the, and a top cover 130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ilter body 110 but the through hole 131 is formed. Their structure, function, and role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is avoid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20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착탈식 조명수단(2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chable lighting means 29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

이러한 착탈식 조명수단(290)은 복수 개의 램프(291)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 치구(295)와, 복수 개의 램프(291)를 일체로 지지하는 한편, 결합 치구(295)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램프 서포터(293)를 포함할 수 있다.This detachable lighting means 290 includes a plurality of lamps 291, a pair of coupling fixtures 295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1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lamps 291 integrally supported. On the other hand, it may include a ramp supporter 293 slidingly coupled to the coupling jig (295).

램프(291)는 방수가 가능한 LED 램프(291)일 수 있다. 복수 개가 적용된다.The lamp 291 may be a waterproof LED lamp 291 . Multiple is applied.

결합 치구(295)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하는 구조물이며, 램프 서포터(293)를 지지한다. 결합 치구(295)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The coupling jig 295 is a structu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upports the lamp supporter 293 . The coupling fixture 295 is provided as a pair.

이러한 결합 치구(295)는 치구 베이스(295a)와, 치구 베이스(295a)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슬롯(295b)과, 슬롯(295b)을 기준으로 치구 베이스(295a) 상에 결합하는 한 쌍의 측벽체(295c)와, 한 쌍의 측벽체(295c)의 교차 반대편에 배치되는 후벽체(295d)를 포함한다.The coupling jig 295 includes a jig base 295a, a slot 295b formed in the center of the jig base 295a, and a pair of sides coupled to the jig base 295a based on the slot 295b. It includes a wall 295c and a rear wall 295d disposed opposite to the intersection of the pair of sidewalls 295c.

램프 서포터(293)는 복수 개의 램프(291)를 일체로 지지하는 한편, 결합 치구(295)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구조물로서, 램프 서포터(293) 역시 복수 개로 적용된다.The lamp supporter 293 is a structure that integrally supports the plurality of lamps 291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upling jig 295, and a plurality of lamp supporters 293 is also applied.

이러한 램프 서포터(293)는 복수 개의 램프(291)를 일체로 지지하되 결합 치구(295)의 슬롯(295b)에 배치되는 램프 지지대(293a)와, 램프 지지대(293a)에 교차 연결되며 결합 치구(295)의 치구 베이스(295a), 측벽체(295c) 및 후벽체(295d) 사이에서 고정되는 고정 지지대(293b)를 포함한다.The lamp supporter 293 integrally supports the plurality of lamps 291, but is cross-connected to the lamp support 293a disposed in the slot 295b of the coupling fixture 295, and the lamp support 293a, and the coupling fixture ( 295 includes a fixing support 293b fixed between the jig base 295a, the side wall 295c and the rear wall 295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수조 물에 대한 여과 효율은 더욱 우수하면서도 종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 탈부착 방식이라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water tank is more excellent, and the functionality can be expanded beyond the conventional simple structure, an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significantly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one because the top surface is detachable.

(제3 실시예)(Example 3)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의 내부 구조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2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to 15 are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shown in FIG. 12 from different angles.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300)는 제1 실시예에서 소개한 상면여과기(100) 상에 살수식 여과부(302)가 추가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ickling filter 302 is added on the top filter 100 introduced in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에서 소개한 상면여과기(100)의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에서 소개한 상면여과기(100)와 살수식 여과부(302)를 일체로 지지하기 위해 외관 커버부(301)가 마련된다.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top filter 100 introduc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 exterior cover part 301 is provided to integrally support the top filter 100 and the water spray filter 302 introduced in the first embodiment.

살수식 여과부(302)는 외벽에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 살수 배관부(390)와, 살수 배관부(39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배관 지지대(306)와, 배관 지지대(306)들을 지지하는 한편 복수 개의 홀(305)이 형성되는 타공판(304)과, 타공판(304)을 지지하는 지지대(309)와, 지지대(309)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공간부(307)와, 하부 공간부(307)의 측부에 형성되는 측면 공간부(303)를 포함한다.The watering type filtering unit 302 includes a watering pipe 39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outer wall, a plurality of pipe supports 306 supporting the watering pipe 390, and a pipe support 306 . ) while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304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305 are formed, the support 309 for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304, and the lower space 307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309, and the lower and a side space portion 303 formed on the side of the space portion 307 .

이때, 전술한 물 유입관(161)은 여과기 본체(110)의 제1 공간부(111)를 통과해서 살수식 여과부(302)의 측면 공간부(303)에 배치된 후, 살수 배관부(390)와 연결된다. 그리고, 측면 공간부(303)와 여과기 본체(110)의 제1 공간부(111)에는 복수 개의 물 전달관(308)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water inlet pipe 161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first space 111 of the filter body 110 and is disposed in the side space 303 of the water spray filter 302, and then the water spray pipe part ( 390) is connec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water delivery pipes 308 are formed in the side space 303 and the first space 111 of the filter body 110 .

이에, 물 유입관(161)으로 유입된 수조(10) 내의 물은 살수 배관부(390)로 이동한 후, 살수 배관부(390)의 외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배출된 후, 타공판(304)의 홀(305)을 따라 낙하해서 하부 공간부(307)에 채워지는 여과재에 의해 1차로 여과된 다음, 측면 공간부(303)로 옮겨져 물 전달관(308)을 통해 여과기 본체(110)의 제1 공간부(111)로 향한다. 이후에는 다시 여과기 본체(110) 내의 여과재에 의한 2차 여과작용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구조로써 여과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61 moves to the watering pipe 390 and then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watering pipe 390 . After being discharged, it falls along the hole 305 of the perforated plate 304 and is first filtered by the filter medium filled in the lower space 307, and then is moved to the side space 303 to pass the water delivery pipe 308 through the first space 111 of the filter body 110 . After that, the secondary filtration action by the filter medium in the filter body 110 proceeds again, and with this structure, the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수조 물에 대한 여과 효율은 더욱 우수하면서도 종래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면 탈부착 방식이라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월등히 간편해질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water tank is more excellent, and the functionality can be expanded beyond the conventional simple structure, an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significantly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one because the top surface is detachable.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수조 100 :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110 : 여과기 본체 111 : 제1 공간부
112 : 제2 공간부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30 : 탑 커버 131 : 통공
140 : 레일 150 : 칸막이
161 : 물 유입관 162 : 수중모터
163 : 물 배출관 170 : 입력부
180 : 컨트롤러
10: water tank 100: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110: filter body 111: first space portion
112: second space 120: base plate
130: top cover 131: through hole
140: rail 150: partition
161: water inlet pipe 162: underwater motor
163: water discharge pipe 170: input unit
180: controller

Claims (6)

수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여과기 본체;
상기 여과기 본체의 하면에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여과기 본체의 상면 개구를 개폐하되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탑 커버;
상기 여과기 본체 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레일; 및
상기 레일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과재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칸막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조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조명수단은,
복수 개의 램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 치구; 및
상기 복수 개의 램프를 일체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결합 치구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램프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Filter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 base plat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t least one top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filter body and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a plurality of rails disposed on the base plate within the filter body; and
a plurality of part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ail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lter media is individually accommodated;
Removable lighting means remov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removable lighting means,
a plurality of lamps;
a pair of coupling fixture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comprising a; while integral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amps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coupling ji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칸막이의 높이차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According to claim 1,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s is arranged different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수조 내의 물이 유입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게 설치되는 물 유입관;
상기 수조 내에서 상기 물 유입관의 단부에 결합하는 수중모터;
상기 여과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여과가 완료된 물이 상기 수조로 배출되는 제2 공간부; 및
상기 제2 공간부에 연결되고 여과가 완료된 물이 상기 수조로 배출되는 라인을 이루는 복수 개의 물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pac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er body into which water in the water tank flows;
a water inlet pipe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space and the water tank;
an underwater motor coupled to an end of the water inlet pipe in the water tank;
a second spac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body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and
A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ace and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pipes forming a line through which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tank.
제3항에 있어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모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4. The method of claim 3,
input unit; and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면여과기 상에 설치되는 살수식 여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수식 여과부는,
외벽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살수 배관부;
상기 살수 배관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배관 지지대;
상기 배관 지지대들을 지지하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타공판;
상기 타공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공간부;
상기 하부 공간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측면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t further comprises a trickle-type filter installed on the top filter,
The trickling filtration unit,
A watering pip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outer wall;
a plurality of pipe supports for supporting the water spray pipe;
a perforated plate supporting the pipe supports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a lower space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unctional aquarium top filter comprising a; side space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space portion.
삭제delete
KR1020210174728A 2021-12-08 2021-12-08 The filter for aquarium Active KR102438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28A KR102438266B1 (en) 2021-12-08 2021-12-08 The filter for aquar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28A KR102438266B1 (en) 2021-12-08 2021-12-08 The filter for aquar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266B1 true KR102438266B1 (en) 2022-08-30

Family

ID=8311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728A Active KR102438266B1 (en) 2021-12-08 2021-12-08 The filter for aquar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266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451U (en) * 1992-10-15 1994-05-10 株式会社ニッソー Aquarium partition plate adjustment device
KR950016297A (en) 1993-11-09 1995-06-17 배순훈 Light Path Control
KR20040072236A (en) * 2003-02-10 2004-08-18 박병재 Aquarium and partition for aquarium
KR20160045245A (en) * 2014-10-17 2016-04-27 양홍종 All-in-one filter apparatus for fish tank
KR20160064683A (en) 2014-11-28 2016-06-08 (주)아모레퍼시픽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containing Acetic acid 16-hydroxy-octadeca-9,17-diene-12,14-diynyl ester
CN110999847A (en) * 2019-12-31 2020-04-14 广东潮汇水产有限公司 Categorised activity of resourceful aquatic products is supported equipment temporarily
KR20200047952A (en) * 2018-10-29 2020-05-08 김소현 Rail bookplacement
KR20210012015A (en) * 2021-01-13 2021-02-02 윤경선 Integrated control filter system for aquarium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451U (en) * 1992-10-15 1994-05-10 株式会社ニッソー Aquarium partition plate adjustment device
KR950016297A (en) 1993-11-09 1995-06-17 배순훈 Light Path Control
KR20040072236A (en) * 2003-02-10 2004-08-18 박병재 Aquarium and partition for aquarium
KR20160045245A (en) * 2014-10-17 2016-04-27 양홍종 All-in-one filter apparatus for fish tank
KR20160064683A (en) 2014-11-28 2016-06-08 (주)아모레퍼시픽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containing Acetic acid 16-hydroxy-octadeca-9,17-diene-12,14-diynyl ester
KR20200047952A (en) * 2018-10-29 2020-05-08 김소현 Rail bookplacement
CN110999847A (en) * 2019-12-31 2020-04-14 广东潮汇水产有限公司 Categorised activity of resourceful aquatic products is supported equipment temporarily
KR20210012015A (en) * 2021-01-13 2021-02-02 윤경선 Integrated control filter system for aquariu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4257B2 (en) Water filter
US8006646B2 (en)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US4098230A (en) Aquarium
US20060180532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JPH08132082A (en) Method for cleaning floating filter medium for biological filter
KR101068556B1 (en) Aquarium Purifier and Aquarium Using the Same
CN108651361A (en) Advection racetrack 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KR102140372B1 (en) Aquarium filtering equipment using moving media with air floating type
JP3840249B2 (en) Closed circulation aquaculture equipment
KR102438266B1 (en) The filter for aquarium
KR20210012015A (en) Integrated control filter system for aquariums
CN103755085B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lgal bloom and purifying algae source in branch reservoir bay of channel reservoir
KR101280529B1 (en) Bubble removal apparatus for waste water
CN208317942U (en) Block form 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KR20180012944A (en) Purifier of saltwater tank
CN214167535U (en) Circulating water filtering device and purifying device of temporary aquatic product culture equipment
KR102625426B1 (en) Portabl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KR102387473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fish tank
KR20060071854A (en) Filtr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CN109052841A (en) an artificial wetland
KR100668420B1 (en) Water cleanup device
KR102081262B1 (en) Aquaculture tank for marsh snail
KR102683427B1 (en) Filter device for aquarium
CN213427831U (en) Aquaculture pond of convenient blowdown
KR102439796B1 (en) Aquarium pur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