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8113B1 - 커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113B1
KR102438113B1 KR1020200157778A KR20200157778A KR102438113B1 KR 102438113 B1 KR102438113 B1 KR 102438113B1 KR 1020200157778 A KR1020200157778 A KR 1020200157778A KR 20200157778 A KR20200157778 A KR 20200157778A KR 102438113 B1 KR102438113 B1 KR 10243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coffee
beans
steamed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820A (ko
Inventor
백용수
Original Assignee
백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수 filed Critical 백용수
Priority to KR102020015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113B1/ko
Priority to PCT/KR2021/015745 priority patent/WO2022108187A1/ko
Publication of KR2022007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1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4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커피 제조 방법은 생두를 용기에 담아 밀폐하는 생두 밀폐 단계; 상기 생두가 담겨진 용기를 찜기에 투입하여 찌는 생두 찜 단계; 및 상기 생두가 상기 용기에 담긴 상태에서 감온하는 생두 감온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제조 방법{Coffee making method}
본 발명은 커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커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이 즐겨먹는 커피 음료는 인스턴트커피와 원두커피로 구분된다. 원두커피는 생두를 로스팅하여 분쇄한 다음 뜨거운 물로 추출해서 먹는 커피이다. 여기서 커피 로스팅이란 생두에 열을 가하여 볶는 것으로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생성하는 공정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커피 로스팅이란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최대한 팽창시켜 생두가 가진 여러가지 성분(수분, 지방분, 섬유질, 당질, 카페인, 유기산, 탄닌 등)을 조화롭게 표현하는 일련의 작업을 말하며, 배전(焙煎)이라고도 한다.
생두 상태에서는 아무 맛이 없고 그저 딱딱한 씨앗에 불과하여, 음용 가능한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로스팅 단계를 거쳐야 하고, 생두의 수확시기, 수분함량, 조밀도, 종자, 가공방법 등 생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은 품종의 생두일지라도 자연환경의 변화, 보관 상태 등에 따라 조건이 달라서 최상의 커피 맛과 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을 가진 로스터(roaster, 커피 볶는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
생두에 있는 성분들이 최고의 맛과 향을 갖게 되도록 하는 로스팅의 정도를 정점 로스팅(peak-roasting)이라고 한다. 로스팅이 길어질수록 생두의 색상은 진해지고, 크기는 커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원두커피는 기본적으로 기호 식품이기 때문에 영양가나 기능성보다는 향미를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데, 원두커피의 향미는 로스팅 과정뿐만 아니라 원두의 분쇄과정에 의해서도 결정되므로 원두커피의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두커피 제조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생두를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익어가는 원두의 향이 소실되면서 원두 본연의 풍미가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15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원두 본연의 풍미가 풍부해질 수 있는 커피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은 생두를 밀폐하는 생두 밀폐 단계; 밀폐된 생두에 압력을 가하면서 찌는 생두 찜 단계; 및 생두를 밀폐시킨 상태로 감온하는 생두 감온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생두 찜 단계에서는, 생두를 2기압 내지 4기압의 압력, 120도 내지 140도의 온도 및 1 내지 3분 시간 동안 찔 수 있다.
한편, 쪄진 생두를 로스팅하거나, 쪄진 생두와 찌지 않은 생두를 1대1 비율로 혼합하여 로스팅하는 생두 로스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은 생두를 쪄서 익힐 수 있다. 또한, 생두가 밀폐된 상태에서 열이 가해지므로, 익어가는 생두에서 발생되는 향이 대기중으로 날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은 생두와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익은 원두에 수분이 과도하게 포함되어 커피의 맛이 약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은 생두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 중탕 방식으로 찜으로써, 생두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은 생두를 쪄서 1차적으로 익힌 이후, 로스팅하면서 2차적으로 익힌 다음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은 단순하게 생두를 로스팅만 해서 커피를 제조하는 종래의 커피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제조 과정에서 생두의 향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두 본연의 풍미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생두가 밀폐 용기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생두가 밀폐된 상태로 압력솥에 의해 쪄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생두 밀폐 단계(S110), 생두 찜 단계(S120) 및 생두 감온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생두 밀폐 단계(S110)는 생두(C)를 밀폐한다. 생두 밀폐 단계(S110)는 생두(C)를 밀폐 용기(10)에 넣어서 밀폐한다. 생두 밀폐 단계(S11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생두(C)와의 반응성이 다른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스테인리스 소재의 밀폐 용기(10)안에 생두(C)를 넣고 덮개를 닫아서 밀폐할 수 있다.
생두 찜 단계(S120)는 밀폐된 생두(C)를 찜기에 투입하여 찐다. 이때 압력을 가하면 찔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두 찜 단계(S120)에서는 압력솥(2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생두(C)를 밀폐 용기(10)에 넣은 상태로 압력솥(20)에 넣어서 찔 수 있다. 이때, 밀폐 용기(10)는 압력솥(20) 바닥의 열이 밀폐 용기(1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찜틀(30) 상에 안착되어 압력솥(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생두 찜 단계(S120)는 내부 용량이 10리터인 압력솥(20)에 물을 대략 2리터 정도 넣고, 밀폐 용기(10)에 생두(C) 1킬로그램을 넣은 후 찔 수 있다. 가열된 물과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밀폐 용기(10)에 열을 가해 생두(C)를 찌는 것으로, 이러한 생두 찜 단계(S120)에서는 2기압(수증기 압력 1 기압과 대기 압력 1기압를 합한 기압) 내지 4기압의 압력, 120도 내지 140도의 온도 및 20 내지 60분 동안 찔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솥(20)이 가열되고 압력솥(20)에 포함된 무게추가 움직이면서 칙칙 소리가 나면 최대 60분가량 찔 수 있다.
한편, 생두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높은 압력과 높은 온도로 장시간 쪄지면, 너무 심하게 익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생두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낮은 압력과 낮은 온도로 짧은 시간 쪄지면, 생두가 충분하게 익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에서는 생두가 밀폐된 상태에서 압력이 가해지면서 쪄지므로, 밀폐 용기(10)가 압력에 의해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익어가는 생두에서 발생되는 향이 밀폐 용기(10)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생두 감온 단계(S130)는 생두(C)를 밀폐된 상태로 감온한다. 예를 들어, 압력솥(20)을 가열하는 불을 끄고 압력솥(20)과 생두(C)가 완전히 식을때까지 밀폐 용기(10)를 개봉하지 않는다.
한편, 생두가 고온인 상태에서 밀폐 용기로부터 생두를 꺼내는 경우, 생두에서 발생된 향이 증기와 함께 외부로 소실될 수 있다. 즉, 원두를 감온하지 않고, 대기중에 노출시키면 커피의 향이 약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에서는 생두 감온 단계(S130)를 실시하여 원두의 향이 소실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생두 로스팅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생두 로스팅 단계(S140)는 쪄진 생두(C)를 로스팅하거나, 쪄진 생두(C)와 찌지 않은 생두(C)를 소정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1대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생두 로스팅 단계(S140)는 생두 감온 단계(S130)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생두 로스팅 단계(S140)는 생두 감온 단계(S130) 이후 즉시 수행할 수 있고, 달리 쪄진 생두를 일정 기간 상온에서 공기에 노출된 상태 또는 밀폐된 상태로 두었다가 필요할 때 생두 로스팅 단계(S140)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생두 찜 단계(S120)에서 우선적으로 생두(C)를 익혔으므로, 종래의 커피 제조 방법과 다르게 생두 로스팅 단계(S140)에서 오랜 시간동안 생두(C)를 로스팅하지 않아도 생두(C)가 충분히 익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생두(C)를 쪄서 익힐 수 있다. 또한, 생두(C)가 밀폐된 상태에서 열이 가해지므로, 익어가는 생두(C)에서 발생되는 향이 대기중으로 날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생두(C)와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익은 원두에 수분이 과도하게 포함되어 커피의 맛이 약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생두(C)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 중탕 방식으로 찜으로써, 생두(C)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생두(C)를 쪄서 1차적으로 익힌 이후, 로스팅하면서 2차적으로 익힌 다음 커피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제조 방법(S100)은 단순하게 생두(C)를 로스팅만 해서 커피를 제조하는 종래의 커피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제조 과정에서 생두(C)의 향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두 본연의 풍미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밀폐 용기
20: 압력솥
30: 찜틀
S100: 커피 제조 방법
S110: 생두 밀폐 단계
S120: 생두 찜 단계
S130: 생두 감온 단계
S140: 생두 로스팅 단계

Claims (3)

  1. 생두를 밀폐 용기에 담아 밀폐하는 생두 밀폐 단계;
    상기 생두가 담겨진 밀폐 용기를 물이 담겨 있는 찜기에 투입하고 상기 찜기 내부에서 가열된 물과 물이 가열되어 발생되는 수증기로 상기 밀폐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생두를 찌는 생두 찜 단계; 및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생두가 담긴 상태에서 감온하는 생두 감온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두 찜 단계에서는,
    생두를 1기압 내지 4기압의 압력, 120도 내지 140도의 온도 및 20 내지 60분 동안 찌는 커피 제조 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의해 쪄진 생두를 로스팅하거나, 쪄진 생두와 찌지 않은 생두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로스팅하는 커피 제조 방법.
KR1020200157778A 2020-11-23 2020-11-23 커피 제조 방법 Active KR102438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778A KR102438113B1 (ko) 2020-11-23 2020-11-23 커피 제조 방법
PCT/KR2021/015745 WO2022108187A1 (ko) 2020-11-23 2021-11-03 커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778A KR102438113B1 (ko) 2020-11-23 2020-11-23 커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820A KR20220070820A (ko) 2022-05-31
KR102438113B1 true KR102438113B1 (ko) 2022-08-30

Family

ID=8170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778A Active KR102438113B1 (ko) 2020-11-23 2020-11-23 커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8113B1 (ko)
WO (1) WO202210818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25B1 (ko) * 2017-08-10 2018-06-07 김병훈 블랜딩 커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964A (en) * 1986-01-24 1987-06-09 General Foods Corp. Upgrading of low quality green coffee
DE3936020A1 (de) * 1989-10-28 1991-05-02 Jacobs Suchard Ag Verfahren zur qualitaetsverbesserung von robusta-kaffee
CA2118627A1 (en) * 1993-03-31 1994-10-01 Walter Albert Crawley Upgrading of robusta coffee
JP2000342182A (ja) * 1999-06-01 2000-12-12 Pokka Corp コーヒー豆の改質方法
TWI469737B (zh) * 2005-01-28 2015-01-21 Suntory Beverage & Food Ltd Can be processed into high green base of coffee beans method
KR101061557B1 (ko) 2010-11-23 2011-09-02 김춘기 기호성이 우수한 원두커피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KR20190083380A (ko) * 2018-01-03 2019-07-12 이차호 숙성 커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25B1 (ko) * 2017-08-10 2018-06-07 김병훈 블랜딩 커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820A (ko) 2022-05-31
WO2022108187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603B1 (ko) 커피 생두의 로스팅 방법
US20110183035A1 (en) Cooking method using an automatic pressure double boiler
CN102238877A (zh) 无菌速食包装湿锅巴的制造方法
CN104814399A (zh) 豆豉制品及其制作方法
JP5670314B2 (ja) 密封容器入り調理栗、栗中のマルトース生成方法、調理栗の甘味増強方法及び密封容器入り調理栗の製造方法
KR102438113B1 (ko) 커피 제조 방법
US5773065A (en) Process for roasting coffee
JP2000245411A (ja) 麦茶用麦の製造方法
CN101904381A (zh) 一种铁观音养生茶的制作方法
US11980313B2 (en) Rice cooker
JP4705936B2 (ja) 栗甘露煮の製造方法
US20030180419A1 (en)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CN113331288A (zh) 一种咖啡烘焙方法、咖啡粉末和胶囊饮料
KR950014654B1 (ko) 현미 숭늉차의 제조방법
US5238700A (en) Fruit tea process and product
KR102516232B1 (ko) 춘장 및 춘장 제조 방법
KR102309487B1 (ko) 홍삼 들깨 전복 삼계탕
KR102035745B1 (ko) 스마트 로스팅 머신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로스팅 공유 시스템
KR102432726B1 (ko) 맥문동 커피 제조방법
US2133559A (en) Process of treating coffee
TW202520998A (zh) 一種咖啡豆前處理及烘焙方法
KR20230174468A (ko)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가공방법 및 그러한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테프가 혼합된 원두커피
KR20250038576A (ko) 저온 라이트 로스팅 커피 제조 방법
JP4072034B2 (ja) 菜種の加工飲料及び加工食品
KR101843546B1 (ko) 국물용 구운 무의 제조방법 및 구운 무를 포함하여 증진된 기호성을 갖는 국물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