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793B1 -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6793B1 KR102436793B1 KR1020200119084A KR20200119084A KR102436793B1 KR 102436793 B1 KR102436793 B1 KR 102436793B1 KR 1020200119084 A KR1020200119084 A KR 1020200119084A KR 20200119084 A KR20200119084 A KR 20200119084A KR 102436793 B1 KR102436793 B1 KR 102436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lat
- vehicle
- flat plate
- bo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60P3/38—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60P3/39—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expansible, collapsible or repositionable elements adapted to support a bed, e.g. wall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60N2/3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by add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룸과 실내 공간을 일체로 평평하도록 하기 위한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플랫부재가 의자의 등받이에 걸쳐지도록 펼쳐지므로, 지지박스 및 플랫부재가 차량의 트렁크룸과 실내 공간을 일체로 평평해지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넓은 공간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awning for making the trunk room and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ntegrally flat. Since the flat member is spread over the backrest of a chair, the support box and the flat member are connected to the trunk room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s flattened integrally, so that a large space can be formed flat with a simple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룸과 실내 공간을 일체로 평평하도록 형성하여, 넓은 공간을 평평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in which a trunk room and an interior space of a vehicle are integrally formed to be flat, so that a wide space can be flattened.
소득 증가 및 여가시간 확대 등으로 인해 국내의 여행행태가 변화되면서, 가족 단위 관광객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자연 친화적 휴양에 대한 국민의 욕구 증가와 여가 시간 활용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으로 인해 캠핑 관련 상품 및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 캠핑은 가족 중심의 아웃도어 활동으로, 일상에서 벗어나 가족의 가치를 일깨워 주며, 가족 간의 유대감을 형성해준다. As domestic travel behavior has changed due to increased income and expanded leisure time, the demand for family-based tourists is increasing. In addition, camping-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public's desire for nature-friendly recreation and a shift in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leisure time. Camping is a family-oriented outdoor activity that breaks away from daily life and awakens the value of family and forms a bond between family members.
이러한 캠핑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본인의 차량을 취침 공간이나 여러 사람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차박이 인기를 끌고 있다. 차박은 차만 있으면 어디서나 캠핑을 할 수 있고, 거창하게 장비를 마련하는 대신 최소한의 장비로 부담 없이 캠핑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this camping culture spreads, a car park that wants to use one's vehicle as a sleeping space or a space for several people to rest is gaining popularity. The Chabak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mp anywhere as long as there is a car, and you can enjoy camping without burden with minimal equipment instead of large equipment.
차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 안에 누울 수 있는 평평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차량 실내를 침대처럼 평평하게 만드는 것을 '평탄화 작업'이라 하는데, 경차나 승합차, RV(Recreational Vehicle) 차량은 후방 좌석의 등받이를 앞으로 접을 수 있어 수월하게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평탄화 작업은 좌석과 트렁크룸의 높낮이 차이로 인한 경사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핵심으로, 에어매트 등을 설치하거나 따로 구조체를 만들어 보강하는 방법이 있다.It is important to first create a flat space where you can lie down in the car. Mak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flat like a bed is called 'flattening work', and in light cars, vans, and recreational vehicle (RV) vehicles, the backrest of the rear seat can be folded forward to easily secure space. The key to leveling is to reduce the inclin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seat and the trunk room as much as possible.
도 1은 종래 차박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박용 구조체는 일정한 면적으로 되는 판 형상의 매트(10)와, 매트(10)의 전방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바(12)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치바(12)를 문짝에 형성된 팔걸이와 차량의 콘솔박스 사이에 걸은 후, 매트(10) 후방을 접혀진 의자에 얹어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차박용 구조체는 팔걸이와 콘솔박스 사이에 걸도록 거치바(12)를 구비해야 하므로, 설치가 제한적이며, 넓은 공간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Referring to FIG. 1 , the conventional structure for vehicle foil includes a plat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차량의 트렁크룸과 실내 공간을 일체로 평평하도록 형성하여, 넓은 공간을 평평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that can be implemented to flatten a large space by integrally flattening the trunk room and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with a simple structure.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실내와 연통되는 트렁크룸에 설치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에 있어서, 차량 실내의 최후방에 위치되는 의자의 등받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트렁크룸에 안착되는 지지박스; 및 상기 지지박스에 상호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랫판을 갖는 플랫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펼쳐지면,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의 상면과 상기 지지박스의 상면은 상호 평평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stalled in a trunk room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interior,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of a chair position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vehicle interior is folded, a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rest ; a support box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being seated in the trunk room; and a fla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lat plates positioned to be superimposed on the support box and hinged in a zigzag form, and when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are sprea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are seated on the support portion ,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x provides a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 characterized in that mutually flat posi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vides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rest.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호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면,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박스의 상면 전측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지지박스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는 제 1 플랫판과, 상기 제 1 플랫판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 1 플랫판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는 제 2 플랫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펼쳐지면,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상기 제 2 플랫판의 후측이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상기 제 1 플랫판의 전측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are positioned to be superimposed on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includes a first flat plate having one end hinge-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x and positioned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support box, and the first flat plate a second flat plat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plate and positioned to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flat plate, and when a plurality of the flat plates are sprea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lat plate in front of the support part This is seated, and provides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lat plate is seated on the rear of the support.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의 양측 전후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부에 우물 정(井) 형태로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플랫판 또는 상기 제 2 플랫판을 반으로 자른 폭보다 큰 폭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제 1 플랫판과 상기 제 2 플랫판 사이의 힌지구조가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and a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s installed to be erected, and a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s are fitted on top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s in a well-fixed shape.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parts that become It provides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o guide the hinge structure between the first flat plate and the second flat plate.
또한, 상기 지지부는,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안내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rovides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guide bar that is integrally fitted to one end of the pair of the first support.
또한, 상기 지지박스는 차량 실내의 최후방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의자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랫부재는 각각의 상기 지지박스에 결합되고, 트렁크룸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박스가 안착되도록 수평플랫판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플랫판은 트렁크룸의 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수평플랫판의 하부에 트렁크룸의 저면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기 수평플랫판을 지지하도록 수평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ox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side by si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irs 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rearmost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the flat member is coupled to each of the support boxes, and a plurality of A horizontal flat plate is installed so that the support box is seated, the horizontal flat plate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unk room, and the horizontal flat plate spac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trunk room is placed under the horizontal flat plate. It provides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bar is mounted to support.
또한, 트렁크룸의 저면 후측에 위치한 수납함의 상부를 커버하는 확장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판의 전측은 상기 지지박스의 상측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plat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room, the front side of the extension plate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upper rear of the support box.
또한, 상기 확장판의 하측에는 수납함의 상부로 이격된 상기 확장판을 지지하도록 지지레그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레그는 복수 개가 상기 확장판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장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병렬로 위치되고, 상기 확장판이 수납함을 커버하지 않도록 위치되면,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확장판 방향으로 회전되되, 상기 지지레그와 상기 확장판은 상호 자성 결합되고, 상기 확장판이 수납함을 커버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지지레그는 수납함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함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레그가 수납함 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상기 지지레그를 고정시키도록 복수 개의 상기 지지레그의 일측에 결합바가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support leg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extension plate to support the extension pl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and a plurality of the support legs are configured to be hinged to the extension plate and ar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 When the extension plate is positioned so as not to cover the housing box, the support leg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the support leg and the extension plate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extension plate is positioned to cover the housing box, the support leg is accommodated Flattening for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ar is integrally fitt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to fix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when the support legs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box and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box provide a structure.
본 발명은 플랫부재가 의자의 등받이에 걸쳐지도록 펼쳐지므로, 지지박스 및 플랫부재가 차량의 트렁크룸과 실내 공간을 일체로 평평해지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넓은 공간을 평평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at member spreads over the backrest of the chair, the support box and the flat member make the trunk room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flat, so that a large space can be realized flat with a simple structure. have.
또한,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가 상호 끼움 결합되므로,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의 상측은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의 상측은 동시에 플랫부재의 넓은 면적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fitted to each other,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firmly secured to a large area of the flat member at the same time. It has a supportive effect.
또한, 한 쌍의 제 1 지지부에 결합안내부가 일체로 결합되므로, 한 쌍의 제 1 지지부는 세워진 상태 및 상호 이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guide portion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s, the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s has an effect of firmly maintaining an erected state and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지지부는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사용할 때마다 지지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res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install the support part every time it is used.
또한, 수납부의 외측에 결합날개부가 장착되고, 결합날개부는 트렁크룸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므로, 수납부는 외부 압력에도 흔들림 없이 트렁크룸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wing part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coupling wing part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of the trunk room, the accommodating part has an effect of being firmly coupled to the trunk room without shaking even by external pressure.
또한, 수평플랫판은 트렁크룸의 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므로, 트렁크룸의 저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수평플랫판에 안착되는 제 1, 2 지지박스를 일체로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rizontal flat plate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room to the top, eve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room is unev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oxes seated on the horizontal flat plate can be integrally and flatly supported. It works.
또한, 제 1 지지부에는 제 1 플랫판과 제 2 플랫판 사이의 힌지구조가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어, 제 1 지지부에 지지되는 제 1 플랫판과 제 2 플랫판 사이는 평평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art to guide the hinge structure between the first flat plate and the second flat plate, so that the first flat plate and the second flat plat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are maintained flat. there is
또한, 수납함을 별도로 커버하도록 확장판이 구비되어, 수납함의 뚜껑을 오픈시키는 경우, 확장판이 상부로 이동되어, 수납함의 뚜껑을 용이하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late is provided to separately cover the storage box, and when the lid of the storage box is opened, the expansion plate is moved to the upper part,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easily opening the lid of the storage box.
또한, 확장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레그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결합바가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지지레그가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coupling bar is provided to integrally fix the support legs that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extension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nfolded stat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is firmly maintained.
도 1은 종래 차박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지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2 지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지지박스, 제 2 지지박스 및 수평플랫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플랫부재 및 제 2 플랫부재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플랫부재 및 제 2 플랫부재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확장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확장판에 지지레그와 결합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Figure 3 (a) is a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planarization structure is disassembled.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support box, a second support box, and a horizontal flat plate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unfolded state of the first flat member and the second flat member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lat member and the second flat member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are completely unfold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late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is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leg and the coupling bar are coupled to the extension plate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narization structure for a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지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2 지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and FIG. 3 (b) is a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1000)는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는 트렁크룸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지지부(100), 제 2 지지부(110), 제 1 지지박스(200), 제 2 지지박스(210), 제 1 플랫부재(400) 및 제 2 플랫부재(410)를 포함하고, 확장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and 3 , the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은 트렁크룸이 별도로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트렁크룸이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RV 차량, SUV 차량 또는 해치백 차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차량에는 차량 실내의 최후방에 복수 개의 의자, 예를 들면 제 1 의자(S1) 및 제 2 의자(S2)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제 1, 2 의자(S1, S2)의 후방에 트렁크룸이 위치된다. 제 1, 2 의자(S1, S2)는 5인승 차량의 경우, 2열 의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7인승 차량의 경우 기존의 3열 의자는 미리 탈거된 상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5인승 차량의 경우, 트렁크룸의 저면에 있던 기존의 스티로품 박스는 미리 제거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 1, 2 의자(S1, S2)는 각각 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 2 의자(S1, S2) 이외에 별도의 의자가 한 개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전방 또는 전측이라 함은 차량의 윈드실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 또는 후측이라 함은 차량의 윈드실드와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는다.In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trunk room is not formed as a separate independent space, and the trunk room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vehicle, for example, an RV vehicle, an SUV vehicle, or a hatchback vehicle. . In such a vehicle, a plurality of chairs, for example, a first chair (S1) and a second chair (S2)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rearmost par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 trunk room is provided behind the first and second chairs (S1, S2). This is located The first and second chairs S1 and S2 may be configured as second-row chairs in the case of a five-seater vehicle, and in the case of a seven-seater vehicle, the existing third-row chairs may be previously removed. And in the case of a 5-seater vehicle, the existing Styrofoam box on the bottom of the trunk room has been remov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hairs S1 and S2 may be formed separately or integrally. In addition, one or more separate chair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chairs S1 and S2. Meanwhi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r front side refers to a direction approaching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the rear or rear side refers to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windshield.
제 1 지지부(100)는 후술하는 제 1 플랫부재(400)를 평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목 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제 1 의자(S1)의 제 1 등받이(S1a)가 전방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등받이(S1a)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 1 지지부(100)의 세부구조를 보면, 제 1 등받이(S1a)의 양측 전후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와,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의 상부에 우물 정(井) 형태로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2 지지부(104)를 포함하고, 제 1 결합안내바(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지지부(102)와 제 1-2 지지부(104)가 상호 끼움 결합되므로, 제 1-1 지지부(102)와 제 1-2 지지부(104)의 상측은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제 1-1 지지부(102)와 제 1-2 지지부(104)의 상측은 후술하는 제 1 플랫부재(400)의 넓은 면적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제 1 결합안내바(106)는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의 일단부, 예를 들면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의 후단부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결합안내부가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에 일체로 결합되므로, 제 1 등받이(S1a)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 중 어느 한 제 1-1 지지부(102)에 외부 충격이 강하게 전달된다 하더라도,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는 세워진 상태 및 상호 이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그리고 차량 구조상 제 1 등받이(S1a)의 상면은 전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 1 지지부(100) 또한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 1-1 지지부(10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부 차량의 경우, 제 1 등받이(S1a)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모델도 있으며, 이 경우, 제 1-1 지지부(102)는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제 1-1 지지부(102)의 상측 및 후술하는 제 2-1 지지부(112)의 상측에는 각각 제 1 안내홈(102a) 및 제 2 안내홈(112a)이 형성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S1a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sid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한편, 제 1-1 지지부(102)는 제 1 등받이(S1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1 지지부(102)의 하측과 제 1 등받이(S1a)는 암수 구조의 벨크로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 1-1 지지부(102)를 제 1 등받이(S1a)에 부착시킨 후 후술하는 제 1 플랫부재(400)를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할 때마다 제 1 지지부(10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등받이(S1a)에 부착된 제 1-1 지지부(102)는 임의로 이동될 수 없어, 제 1-1 지지부(102)는 정 위치에서 제 1 플랫부재(4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일, 제 1 지지부(100)를 장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 1 지지부(100)를 제 1 등받이(S1a)에서 탈거하여 후술하는 제 1 지지박스(200) 등에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1-1
제 2 지지부(110)는 후술하는 제 2 플랫부재(4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의자(S2)의 제 2 등받이(S2a)가 전방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제 2 등받이(S2a)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지지부(110)는 제 2 등받이(S2a)의 양측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1 지지부(112)와, 한 쌍의 제 2-1 지지부(112)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2 지지부(114)와, 한 쌍의 제 2-1 지지부(112)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안내바(116)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부(110)는 제 1 지지부(100)와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지지박스, 제 2 지지박스 및 수평플랫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support box, a second support box, and a horizontal flat plate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지지박스(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트렁크룸의 일측에 안착되고, 제 2 지지박스(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트렁크룸의 타측에 안착된다. 제 1 지지박스(200)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는 제 1 수납부(202)와, 제 1 수납부(20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제 1 수납부(20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제 1 개폐부(204)를 포함한다. 제 1 개폐부(204)는 제 1 수납부(202)에 조립식으로 안착될 수도 있고, 힌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2 and 4, the
제 1 수납부(202)에는 캠핑 용품, 배터리 등의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1, 2 지지부(100, 110)와 같은 부품을 분해하여 수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제 1 수납부(202) 내부에 다양한 용품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비좁은 차량 내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수납부(20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제 1 개폐부(204)는 2개로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rst
제 2 지지박스(210)는 제 1 지지박스(200)와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제 1 수납부(202)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 2 수납부(212)와, 제 2 수납부(21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제 2 개폐부(214)를 포함한다. The
그리고 제 1 수납부(202)의 하부는 경우에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 2 수납부(212)의 하부 또한 경우에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2 수납부(202, 212)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면, 트렁크룸의 저면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트렁크룸의 저면에 구비되는 스페어타이어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제 1 수납부(202)와 제 2 수납부(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1 수납부(202)와 제 2 수납부(212)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수납부(202)와 제 2 수납부(212)는 6:4로 분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제 1 의자(S1)와 제 2 의자(S2)가 6:4 폴딩의자로 구현됨에 따른 것으로, 예를 들어, 제 1 의자(S1)와 제 2 의자(S2)의 크기가 변경되면, 제 1 수납부(202)와 제 2 수납부(212)는 다른 비율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 수납부(202)와 제 2 수납부(212)는 경우에 따라 제 1 의자(S1)와 제 2 의자(S2)의 크기와 상관 없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And in some cases, the first
한편, 5인승 차량의 경우, 트렁크룸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트렁크룸의 저면에 위치된 스티로폼 박스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스티로폼 박스는 미리 제거된 상태이므로, 끼움홈에는 아무 것도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기 위하여 제 2 수납부(21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수납부(202)의 외측에는 제 1 결합날개부(220)가 장착되고, 제 1 수납부(20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수납부(212)의 외측에는 제 2 결합날개부(23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결합날개부(220)의 하측에는 트렁크룸의 일측에 위치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1 끼움돌부(222)가 돌출 형성된다. 제 2 결합날개부(230)의 하측에는 트렁크룸의 타측에 위치되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끼움돌부(23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2 끼움돌부(222, 232)가 끼움홈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제 1, 2 수납부(202, 212)는 외부 압력에도 흔들림 없이 트렁크룸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ive-seater vehicle, concave fitting groov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unk room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Styrofoam box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room is coupled. Since the Styrofoam box has been previously removed, nothing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The first
수평플랫판(300)은 제 1 지지박스(200) 및 제 2 지지박스(210)가 일체로 안착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플랫판(300)은 트렁크룸의 저면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수평플랫판(300)의 상부에 제 1 지지박스(200) 및 제 2 지지박스(210)가 안착된다. 그리고 수평플랫판(300)의 하부에는 수평플랫판(300)이 트렁크룸의 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지지하는 제 1 수평바(310) 및 제 2 수평바(312)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제 1 수평바(310)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플랫판(300)의 하부 전측에 위치된다. 제 2 수평바(312)는 수평플랫판(300)의 하부 후측에 한 쌍이 위치되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수평바(312)는 세워지도록 위치되며, 이때, 제 2 수평바(312)는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평플랫판(300)을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수평플랫판(300)은 트렁크룸의 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므로, 트렁크룸의 저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수평플랫판(300)에 안착되는 제 1, 2 지지박스(200, 210)를 일체로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orizontal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플랫부재 및 제 2 플랫부재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제 1 플랫부재 및 제 2 플랫부재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ially unfolded state of the first flat member and the second flat member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arization for vehicle fo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lat member and the second flat member of the structure are fully unfolded.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플랫부재(400)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플랫판, 예를 들면 제 1-1 플랫판(402)과 제 1-2 플랫판(404)을 포함한다. 제 1-1, 1-2 플랫판(402, 404)은 제 1 지지박스(200)에 상호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힌지 결합된다. 제 1-1, 1-2 플랫판(402, 404)이 상호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제 1-1 플랫판(402)은 일단부가 제 1 지지박스(200)의 상면 전측에 힌지 결합되되 제 1 지지박스(200)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고, 제 1-2 플랫판(404)은 제 1-1 플랫판(402)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제 1-1 플랫판(402)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된다. 2, 5 and 6 , the first
그리고 제 1-1, 1-2 플랫판(402, 404)이 제 1 지지부(100) 방향으로 펼쳐지면, 제 1 지지부(100)의 전방에 제 1-2 플랫판(404)의 후측이 안착되고, 제 1 지지부(100)의 후방에 제 1-1 플랫판(402)의 전측이 안착된다. 이때, 제 1 지지부(100)의 상측에 제 1-1 플랫판(402)과 제 1-2 플랫판(404) 사이의 힌지구조가 안내되도록 제 1 안내홈(10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안내홈(102a)에 제 1-1, 1-2 플랫판(402, 404)의 힌지구조가 안내되므로, 제 1 지지부(100)에 지지되는 제 1-1 플랫판(402)과 제 1-2 플랫판(404) 사이는 평평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1 플랫판(402)은 지지박스의 제 1 수납부(202)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므로, 제 1-1 플랫판(402)의 상면과 제 1 개폐부(204)의 상면은 상호 평평하게 유지된다. 또한,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는 제 1-1 플랫판(402) 및 제 1-2 플랫판(404)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므로, 제 1-1 플랫판(402) 및 제 1-2 플랫판(404)은 좌우로 흔들림 없이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에 안전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 1-1 지지부(102)는 제 1-1 플랫판(402)을 반으로 자른 폭보다 큰 폭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And when the 1-1 and 1-2
제 2 플랫부재(410)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플랫판, 예를 들면 제 2 지지박스(210)에 힌지 결합되는 제 2-1 플랫판(412)과, 제 2-1 플랫판(412)에 힌지 결합되는 제 2-2 플랫판(4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플랫부재(410)는 제 1 플랫부재(400)와 유사한 형상 및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2 안내홈(112a)에 제 2-1, 2-2 플랫판(412, 414)의 힌지구조가 안내된다. 그리고 사용 과정에서, 제 1 플랫부재(400) 및 제 2 플랫부재(410) 중 어느 한 플랫부재만 펼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2 플랫부재(400, 410)가 제 1, 2 등받이(S1a, S2a)에 걸쳐지도록 펼쳐지므로, 제 1, 2 지지박스(200, 210) 및 제 1, 2 플랫부재(400, 410)가 차량의 트렁크룸과 실내 공간을 일체로 평평해지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넓은 공간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second
한편, 제 1, 2 개폐부(204, 214)의 상면은 제 1, 2 등받이(S1a, S2a)의 상면보다 높도록 위치되므로, 제 1, 2 플랫부재(400, 410)가 제 1, 2 지지부(100, 110)에 지지되면, 제 1, 2 플랫부재(400, 410)는 제 1, 2 개폐부(204, 214)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제 1-1, 2-1 지지부(102, 112)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 1, 2 등받이(S1a, S2a)의 경사와 상관 없이, 제 1-1, 2-1 지지부(102, 112)에 안착되는 제 1, 2 플랫부재(400, 410)는 제 1, 2 개폐부(204, 214)와 동일 선상에서 상호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그리고 차량 실내의 최후방에 위치되는 의자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제 1, 2 지지부(100, 110), 제 1, 2 지지박스(200, 210) 및 제 1, 2 플랫부재(400, 410)의 크기 및 개수가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의자의 크기 및 개수와 상관없이, 제 1 지지부(100), 제 1 지지박스(200) 및 제 1 플랫부재(400)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2 플랫부재(400, 4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2 지지박스(200, 210) 및 제 1, 2 플랫부재(400, 410)의 상부에 자충매트 등의 매트(미도시)를 깔아 쿠션감을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And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chairs positioned at the rearmost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the first an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확장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의 확장판에 지지레그와 결합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late o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to b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확장판(500)은 트렁크룸의 저면 후측에 위치한 수납함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차량의 트렁크룸의 저면 구조를 보면, 트렁크룸의 저면 후측에 각종 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 부피를 갖는 수납함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판(500)은 이러한 수납함을 별도로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확장판(500)은 수납함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며, 확장판(500)의 전측은 지지박스의 상측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된다.6 to 8 , the
그리고 확장판(500)의 하측에는 수납함의 상부로 이격된 확장판(500)을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레그(510)가 결합된다. 복수 개의 지지레그(510)는 확장판(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병렬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레그(510)는 확장판(500)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납함의 뚜껑을 오픈시키는 경우, 지지레그(510)는 확장판(500)과 맞닿도록 확장판(500) 방향으로 회전되어, 확장판(500)이 수납함의 뚜껑과 맞닿은 상태에서 수납함의 뚜껑을 용이하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레그(510)에 제 1 자석부(512)가 장착되고, 확장판(500)에 제 1 자석부(512)와 자성 결합되는 제 2 자석부(514)가 장착되어, 확장판(500) 방향으로 회전된 지지레그(510)는 확장판(500)에서 임의로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And a plurality of
한편, 확장판(500)이 수납함을 커버하도록 위치되면, 지지레그(510)는 수납함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함에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레그(510)가 수납함 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지지레그(510)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결합바(5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바(52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지지레그(510)의 일측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어, 복수 개의 지지레그(510) 중 어느 한 지지레그(510)가 임의로 회전될 수 없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처럼 확장판(5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레그(510)를 일체로 고정시키도록 결합바(520)가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지지레그(510)가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결합바(52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2와 같이 제 1, 2 개페부(204, 214)와 확장판(500) 사이의 공간에 끼워질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0: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100: 제 1 지지부 102: 제 1-1 지지부
102a: 제 1 안내홈 104: 제 1-2 지지부
106: 제 1 결합안내바 110: 제 2 지지부
112: 제 2-1 지지부 112a: 제 2 안내홈
114: 제 2-2 지지부 116: 제 2 결합안내바
200: 제 1 지지박스 202: 제 1 수납부
204: 제 1 개폐부 210: 제 2 지지박스
212: 제 2 수납부 214: 제 2 개폐부
220: 제 1 결합날개부 222: 제 1 끼움돌부
230: 제 2 결합날개부 232: 제 2 끼움돌부
300: 수평플랫판 310: 제 1 수평바
312: 제 2 수평바 400: 제 1 플랫부재
402: 제 1-1 플랫판 404: 제 1-2 플랫판
410: 제 2 플랫부재 412: 제 2-1 플랫판
414: 제 2-2 플랫판 500: 확장판
510: 지지레그 510a: 레그끼움홈
512: 제 1 자석부 514: 제 2 자석부
520: 결합바1000: flattening structure for vehicle foil
100: first support 102: 1-1 support portion
102a: first guide groove 104: first 1-2 support
106: first coupling guide bar 110: second support
112: 2-1
114: second 2-2 support 116: second coupling guide bar
200: first support box 202: first receiving unit
204: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second support box
212: second accommodating part 214: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20: first coupling wing portion 222: first fitting protrusion
230: second coupling wing portion 232: second fitting protrusion
300: horizontal flat plate 310: first horizontal bar
312: second horizontal bar 400: first flat member
402: 1-1 flat plate 404: 1-2 flat plate
410: second flat member 412: 2-1 flat plate
414: 2-2 flat plate 500: extended plate
510:
512: first magnet part 514: second magnet part
520: coupling bar
Claims (8)
차량 실내의 최후방에 위치되는 의자의 등받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트렁크룸에 안착되는 지지박스; 및
상기 지지박스에 상호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랫판을 갖는 플랫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펼쳐지면,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의 상면과 상기 지지박스의 상면은 상호 평평하게 위치되고,
트렁크룸의 저면 후측에 위치한 수납함의 상부를 커버하는 확장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판의 전측은 상기 지지박스의 상측 후방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확장판의 하측에는 수납함의 상부로 이격된 상기 확장판을 지지하도록 지지레그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레그는 복수 개가 상기 확장판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장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병렬로 위치되고,
상기 확장판이 수납함을 커버하지 않도록 위치되면,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확장판 방향으로 회전되되, 상기 지지레그와 상기 확장판은 상호 자성 결합되고,
상기 확장판이 수납함을 커버하도록 위치되면, 상기 지지레그는 수납함 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함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레그가 수납함 방향으로 회전되면, 복수 개의 상기 지지레그를 고정시키도록 복수 개의 상기 지지레그의 일측에 결합바가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In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stalled in a trunk room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support pa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ckrest of a chair positioned at the rearmost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in a folded state;
a support box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being seated in the trunk room; and
A fla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lat plates that are positioned to be superimposed on the support box and are hinged in a zigzag form,
When a plurality of the flat plates are sprea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the plurality of the flat plates are seated on the support part,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support boxes are mutually flat,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plate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room, the front side of the extension plate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upper rear of the support box,
A support leg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plate to support the extension pl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A plurality of the support legs are configured to be hinged to the extension plate and ar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When the extension plate is positioned so as not to cover the receiving box, the support leg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late, the support leg and the extension plate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extension plate is positioned to cover the storage box, the support leg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box to be supported in the storage box,
When the support leg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box,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ar is integrally fitt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to fix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rest.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호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면,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박스의 상면 전측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지지박스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는 제 1 플랫판과, 상기 제 1 플랫판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제 1 플랫판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는 제 2 플랫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플랫판이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펼쳐지면,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상기 제 2 플랫판의 후측이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상기 제 1 플랫판의 전측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are positioned to overlap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includes a first flat plate having one end hinge-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x and positioned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support box; A second flat plate hinged to the other end and positioned to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flat plate,
When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are sprea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lat plate is seated in front of the support part, and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lat plate is seated in the rear of the support part. struct.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의 양측 전후 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부에 우물 정(井) 형태로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플랫판 또는 상기 제 2 플랫판을 반으로 자른 폭보다 큰 폭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제 1 플랫판과 상기 제 2 플랫판 사이의 힌지구조가 안내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part is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as long as a pair of first support parts installed to be erected and a pair of first support parts are fitted in the form of a well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a pair of second supports;
A pair of the first support part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flat plate or the second flat plate cut in half,
The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 to guide the hinge structure between the first flat plate and the second flat plate.
상기 지지부는,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안내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portion,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guide bar integrally fitted to one end of the pair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박스는 차량 실내의 최후방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의자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랫부재는 각각의 상기 지지박스에 결합되고,
트렁크룸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박스가 안착되도록 수평플랫판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플랫판은 트렁크룸의 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수평플랫판의 하부에 트렁크룸의 저면에서 상부로 이격된 상기 수평플랫판을 지지하도록 수평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박용 평탄화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ox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support boxes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irs 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rearmost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The flat member is coupled to each of the support boxes,
A horizontal flat plat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k room so that a plurality of the support boxes are seated,
The horizontal flat plate i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unk room to the top,
A flattenin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bar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lat plate to support the horizontal flat plate spac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trunk ro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084A KR102436793B1 (en) | 2020-09-16 | 2020-09-16 |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9084A KR102436793B1 (en) | 2020-09-16 | 2020-09-16 |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6633A KR20220036633A (en) | 2022-03-23 |
KR102436793B1 true KR102436793B1 (en) | 2022-08-25 |
Family
ID=8096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9084A Active KR102436793B1 (en) | 2020-09-16 | 2020-09-16 |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67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80727B1 (en) * | 2022-10-28 | 2025-03-11 | 박성우 | Tent for leisure vehicl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688B1 (en) * | 2018-07-12 | 2019-06-25 | (주)하비스 | Camp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5188B1 (en) | 2017-08-08 | 2019-02-07 | 김태원 | Board assembly |
KR20200064703A (en) | 2018-11-29 | 2020-06-08 | 이수선 | Sleeping mat to be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
-
2020
- 2020-09-16 KR KR1020200119084A patent/KR1024367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688B1 (en) * | 2018-07-12 | 2019-06-25 | (주)하비스 | Camp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6633A (en) | 2022-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5719A (en) | Convertible sitting-sleeping arrangement for recreational vehicle | |
KR101992688B1 (en) | Camping device | |
US6502900B1 (en) | Removable and vertically adjusta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seat backrest | |
US11453318B2 (en) | Vehicle sofa-bed and method of use | |
KR102436793B1 (en) | Flatting Structure for Vehicle | |
JP2003291732A (en) | Partition structure of luggage compartment for automobile | |
JP2022098230A (en) | Camping car modification kit for van type vehicle | |
JP2019142294A (en) | Seat structure for vehicle | |
JP3229901U (en) | Car bed | |
KR102193967B1 (en) | Bed combined with a chair function, and camper including it | |
JP7417786B1 (en) | Car tent and camper with it attached | |
JP7417788B1 (en) | car tent | |
JPH0755961Y2 (en) | Vehicle bed | |
KR200495474Y1 (en) | Flat plate assembly for car camping | |
CA1200262A (en) | Van layout | |
KR102567574B1 (en) | Apparatus for flattening of car camping | |
KR102379780B1 (en) | A camping car with rear sofa | |
CN221213810U (en) | Folding and expanding luggage compartment cover plate | |
KR102633258B1 (en) | Camping device | |
JPH10309973A (en) | Vehicular bed device | |
JPH09328030A (en) | Interior table for automobile | |
JP2978085B2 (en) | Vehicle seat device | |
JP2825777B2 (en) | Assembly structure of vehicle bed | |
JPH037216Y2 (en) | ||
KR20220002345U (en) | car camping b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