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306B1 - conveyor system - Google Patents
conveyor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6306B1 KR102436306B1 KR1020200058816A KR20200058816A KR102436306B1 KR 102436306 B1 KR102436306 B1 KR 102436306B1 KR 1020200058816 A KR1020200058816 A KR 1020200058816A KR 20200058816 A KR20200058816 A KR 20200058816A KR 102436306 B1 KR102436306 B1 KR 102436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actuator
- belt
- control unit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3)와;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7)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9)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 등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belt of the conveyor can be easily adjust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various goods transport operations and to speed the delivery of goods. To a conveyor system to hel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member (3) mov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a control unit 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3; A first actuator (7)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 A second actuator (9)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ctuator (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 Wow; a rail 1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ctuator 7 or the second actuator 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onveyor 15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1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veyor 15 so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can be adjuste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7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7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9 It includes a first conveyor 13 and the like, the inclination angl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actuator (9).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he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is easy to adjust, and the belt of the conveyor is easy to control, so that various goods transport operations are convenient. It is also about a conveyor system that helps to speed up the delivery of goods.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system that can easily utilize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veyor.
컨베이어 장치는 무한궤도의 이송벨트를 순환시켜서 물건을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구조에 따라 각종 제조설비의 이송장치 또는 화물 승하차 작업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장치의 한 종류로 신축적으로 이송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가 있다.A conveyor device is a device for continuously transporting goods by circulating a conveyor belt of an endless track, and is widely used for transport devices of various manufacturing facilities or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according to its structure. As one type of such a conveyor device, there is a telescopic conveyor that can flexibly control the transport distance.
종래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2084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길이조절을 위한 보조이송대가 다단으로 구성되는데, 구조가 복잡하여 내구성 문제가 수반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lescopic conveyor devi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702084 is disclosed. According to this, the auxiliary transport table for length adjustment is composed of multiple stages,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which causes durability problems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종래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보조이송대 하부에 버팀목과 같은 지지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운반작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lescopic conveyor device is structurally weak,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upport member such as a strut must be installed under the auxiliary transport table.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prepare the transport operation.
아울러, 종래의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화물의 승하차 작업을 하는 경우 화물차 적재함의 높이에 맞추어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이는 운반작업의 준비시간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nventional telescopic conveyor device, when loading and unloading cargo, the conveyor device needs to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which further increases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transport operation.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04월 11일자 출원번호 제10-2011-0033316호(발명의 명칭 :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 베이스프레임(100); 길이방향 후단부와 선단부에 구동풀리(220)와 제1 종동풀리(2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된 가이드프레임(200); 길이방향 선단부와 후단부에 제2 종동풀리(320)와 제3 종동풀리(330)가 각각 구비되며, 양 측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지지 및 안내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동프레임(300); 상기 가동프레임(300)을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으로부터 출입시키는 가동수단(400); 상기 구동풀리(220)로부터 상기 제2 종동풀리(320), 상기 제3 종동풀리(330) 및 상기 제1 종동풀리(230)를 차례로 거쳐 다시 상기 구동풀리(220)로 귀환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벨트(500); 및 상기 구동풀리(220)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600); 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수단(4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선단부에 구비된 제2 모터(410)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선단부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모터(41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 축(420)과, 상기 가동프레임(30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 축(420)과 치합되는 랙(4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 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pplication has been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s Application No. 10-2011-0033316 (Title of the Invention: Telescopic Conveyor Device) dated April 11, 2011, and looking at the claims with reference to FIG. 1, "
그러나,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 못하여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각종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telescopic conveyor device, the conveyor is not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There was an impossible problem.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는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elescopic conveyor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veyor cannot be easily utiliz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고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mproved and invent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nveyor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can be easily adjusted as well a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yor system that not only provides convenience for transporting various goods by adjusting the belt of the conveyor, but also helps to deliver goods quickly, and can easily utilize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veyo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3)와;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7)와;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9)를 포함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와;
상기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벨트(17)와;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과;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과;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벨트회전부(23)와;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3엑츄에이터(25)와;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는 아이들롤러(27)와;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엑츄에이터와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의 장력을 조절해 준다.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upport member (3) mov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a control unit 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
a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
a first conveyor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between the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A
an
It further includes a belt
Here, the third actuator and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지지부재와 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conveyor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veyor can be utilized. .
그리고,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elping to speed up the delivery of goods as well as providing convenience for various goods transport operations by easy belt control of the conveyor.
도 1는 종래기술에 따른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lescopic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veyor system of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conveyor system of FIG. 2;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yor use state of the conveyor system of FIG. 2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요부 단면도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y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veyor system of FIG. 2,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conveyor system of FI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은,2 to 4, the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3)와;a support member (3) mov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5)와;a control unit 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7)와;A first actuator (7)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9)와;A second actuator (9)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ctuator (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 Wow;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a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a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와;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상기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벨트(17)와;a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과;a first conveyor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과;It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between the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벨트회전부(23)와;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3엑츄에이터(25)와;A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는 아이들롤러(27)와;an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포함한다.A belt
여기서, 상기 제3엑츄에이터와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의 장력을 조절해 주는 벨트장력조절수단이다.Here, the third actuator and the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설치과정을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먼저, 바닥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부재(3)를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부재(3)의 일측에 제어부(5)를 설치한다.First, after movably positioning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일측에 제1엑츄에이터(7)를 설치한 후, 제어부(5)에 제1엑츄에이터(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n, after installing the
그리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상면 중앙에 제2엑츄에이터(9)를 설치한 후, 제어부(5)에 제2엑츄에이터(9)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n, after installing the
그리고,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상면에 레일(11)을 설치한다.Then, the
그리고,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제2컨베이어(15)를 설치한다.Then, a
그리고,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제1컨베이어(13)를 설치한 후,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하고 제1컨베이어(13)의 저면 일측에 제2엑츄에이터(9)를 연결한다.Then, after installing the
그리고, 벨트(17)를 위치시킨 후,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에 벨트(17)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Then, after positioning the
여기서, 상기 벨트(17)는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Here, the
그리고,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를 위치시킨 후,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을 설치한다.Then, after positioning the first conveyor
여기서,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은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Here, the first conveyor
그리고,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를 위치시킨 후,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을 설치한다.And, after positioning the second conveyor
여기서, 상기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은 컨베이어 상면으로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Here, the second conveyor
그리고,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벨트회전부(23)를 설치한 후, 제어부(5)에 벨트회전부(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n, after installing the
여기서, 상기 벨트회전부(23)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제3엑츄에이터(25)를 설치한 후,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아이들롤러(27)를 설치한다.Then, after installing a
그리고, 상기 제어부(5)에 제3엑츄에이터(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n, the
여기서, 상기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설치한다.Then, a bel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설치가 완료된 컨베이어 시스템(1)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제어부(5)는 제1엑츄에이터(7) 및 제2엑츄에이터(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The control unit 5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상기 제1엑츄에이터(7)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있는 제1컨베이어(1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The
상기 제2엑츄에이터(9)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있는 제1컨베이어(13)를 상하로 움직인다.The
여기서,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및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제1컨베이어(13)가 움직이는 바, 제1컨베이어(13)의 움직임에 따라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2컨베이어(15)가 움직인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5)는 벨트회전부(23) 및 제3엑츄에이터(25)로 제어신호를 보낸다.Then, the control unit 5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상기 벨트회전부(23)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때, 벨트회전부(23)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The
상기 제3엑츄에이터(25)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아이들롤러(27)를 벨트(17) 배면에 밀착시켜 준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The
한편, 상기 제어부(5)는 벨트장력감지부(29)로 제어신호를 보낸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5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belt
상기 벨트장력감지부(29)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장력감지값을 제어부(5)로 보낸다.The belt
그리고, 상기 제어부(5)는 감지된 장력감지값과 기 설정된 장력값을 비교한 후, 감지된 장력감지값이 기 설정된 장력값 보다 작으면, 벨트회전부(23) 및 제3엑츄에이터(25)로 제어신호를 보낸다.Then, the control unit 5 compares the sensed tension value with the preset tension value, and then, if the sensed tension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set tension value, the
따라서, 상기 벨트회전부(23)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때, 벨트회전부(23)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Accordingly, the
상기 제3엑츄에이터(25)는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아이들롤러(27)를 벨트(17) 배면에 밀착시켜 준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준다.The
다른 한편,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이 설치되어 있는 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운 컨베이어 상면 및 저면에서 회전하고 있는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On the other hand, a first conveyor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이 설치되어 있는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은 컨베이어 상면 및 저면에서 회전하고 있는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A second conveyor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상면에 컨베이어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경사각도 조절이 용이함과 아울러 컨베이어의 벨트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물품 운반작업의 편의 제공할 뿐만 물품의 배송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conveyor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is easy to control, and the belt of the conveyor is easy to contro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various goods transport operations and to speed up the delivery of goods. help you to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 컨베이어 시스템
3 : 지지부재
5 : 제어부
7 : 제1엑츄에이터
9 : 제2엑츄에이터
11 : 레일
15 : 제2컨베이어
13 : 제1컨베이어
17 : 벨트
19 :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
21 :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
23 : 벨트회전부
25 : 제3엑츄에이터
27 : 아이들롤러
29 : 벨트장력감지부1: Conveyor system
3: support member
5: control unit
7: first actuator
9: second actuator
11: rail
15: second conveyor
13: first conveyor
17 : Belt
19: 1st convey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1: 2nd convey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3: belt rotating part
25: third actuator
27: idle roller
29: belt tension sensing unit
Claims (1)
상기 제1엑츄에이터(7) 또는 제2엑츄에이터(9)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가장자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1)과;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15)와;
상기 제2컨베이어(15)의 일단에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엑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제1엑츄에이터(7)의 구동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고 제2엑츄에이터(9)에 연결되어 제2엑츄에이터(9)의 구동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되는 제1컨베이어(13)와;
상기 제1컨베이어(13) 및 제2컨베이어(15)의 상, 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놓이는 각종 물품을 운반시켜 주는 벨트(17)와;
상기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과;
상기 제1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19)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컨베이어(13)와 제2컨베이어(15) 사이의 일측 외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상면으로부터 벨트(17)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주는 제2컨베이어이탈방지브라켓(21)과;
상기 제1컨베이어(13)의 전방부 일측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벨트회전부(23)와;
상기 벨트회전부(2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의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하는 제3엑츄에이터(25)와;
상기 제3엑츄에이터(2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벨트(17) 배면에 밀착되어 벨트(17)를 회전시켜 주는 아이들롤러(27)와;
상기 아이들롤러(2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컨베이어(13)의 일측에 설치되어 벨트(17)의 장력을 감지해 주는 벨트장력감지부(29)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엑츄에이터와 아이들롤러(27)는 벨트(17)의 장력을 조절해 주는 벨트장력조절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a support member (3) mov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a control unit 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3; A first actuator (7)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 A second actuator (9)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ctuator (7),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 In a conveyor system comprising a,
a rail 1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ctuator 7 or the second actuator 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conveyor 15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1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veyor 15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7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7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9 a first conveyor 13 whose inclination angl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actuator 9;
a belt 17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onveyor 13 and the second conveyor 15 to transport various article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 first convey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19 installed on one outer surface between the first conveyor 13 and the second conveyor 15 to prevent the belt 17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between the first conveyor 13 and the second conveyor 15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onveyor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19 to prevent the belt 17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 second conveyor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21 and;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first conveyor 13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belt 17 to rotate the belt 17,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 to control the control unit (5) a belt rotating unit 23 that moves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third actuator 2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elt rotating unit 2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 and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 and ;
an idle roller 27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hird actuator 25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belt 17 to rotate the belt 17;
It further includes a belt tension sensing unit 29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veyor 1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dle roller 27 to sense the tension of the belt 17,
Here, the third actuator and the idle roller (27) is a convey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tension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elt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816A KR102436306B1 (en) | 2020-05-18 | 2020-05-18 | conveyor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8816A KR102436306B1 (en) | 2020-05-18 | 2020-05-18 | conveyor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2239A KR20210142239A (en) | 2021-11-25 |
KR102436306B1 true KR102436306B1 (en) | 2022-08-25 |
Family
ID=7874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8816A Active KR102436306B1 (en) | 2020-05-18 | 2020-05-18 | conveyor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63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63428A (en) * | 2024-02-28 | 2024-05-03 | 宝阳装备科技(淮安)有限公司 | Movable climbing conveyor and convey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176B1 (en) | 2012-02-20 | 2013-08-06 | (주)케이산업 | Mechanical 180° turning device of sandwichpanel used of minimized installation space with double position controlled conveyor |
KR101930066B1 (en) * | 2018-07-09 | 2018-12-17 | 안광일 | Conveyor belt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waste aggregate transportation |
KR101935168B1 (en) * | 2017-09-26 | 2019-04-11 | 주식회사 영신코아 | Molded core carrying ou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1337B1 (en) * | 2011-04-11 | 2013-01-11 |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 Telescopic conveyor |
-
2020
- 2020-05-18 KR KR1020200058816A patent/KR1024363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176B1 (en) | 2012-02-20 | 2013-08-06 | (주)케이산업 | Mechanical 180° turning device of sandwichpanel used of minimized installation space with double position controlled conveyor |
KR101935168B1 (en) * | 2017-09-26 | 2019-04-11 | 주식회사 영신코아 | Molded core carrying out device |
KR101930066B1 (en) * | 2018-07-09 | 2018-12-17 | 안광일 | Conveyor belt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waste aggregate transpor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2239A (en) | 2021-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51375B1 (en) | Goods transfer loading device | |
JP7388289B2 (en) | loading equipment | |
KR101677497B1 (en) | A loading device of a stacker crane | |
JP2009298223A (en) | Unmanned conveying vehicle | |
KR102436306B1 (en) | conveyor system | |
US5511487A (en) | Transport system with electric movers | |
TW202225068A (en) | Material-loading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material-loading apparatus, and warehouse system | |
US4350004A (en) | Merchandise delivery conveyor for automatic bagging apparatus | |
JP3323957B2 (en) | Load transfer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warehouse | |
KR102547863B1 (en) | Unmanned Delivery Robot | |
US3831737A (en) | Decorator loading apparatus | |
KR102622127B1 (en) | Cargo transfer apparatus | |
JP4941713B2 (en) | Article conveying device | |
WO2015187497A1 (en) | Extendable conveyors having a platform | |
JP2864350B2 (en) | Load intermittent feeder | |
JP3339261B2 (en) | Goods transport system | |
JPH0223441B2 (en) | ||
JP5267856B2 (en) | Stacker crane and article storage equipment | |
JP3455883B2 (en) | Pallet type accumulate stock conveyor | |
JPH08337303A (en) | Conveying dolly system | |
KR102654603B1 (en) | 4-way driving shuttle | |
US3424322A (en) | Automatic warehousing system and method | |
JP3407486B2 (en) | Conveyor frame support structure | |
CN219155596U (en) | Separating device for part box | |
JPH0353286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