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01B1 - Rowing exercise apparatus - Google Patents
Rowing exercis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4901B1 KR102434901B1 KR1020210143384A KR20210143384A KR102434901B1 KR 102434901 B1 KR102434901 B1 KR 102434901B1 KR 1020210143384 A KR1020210143384 A KR 1020210143384A KR 20210143384 A KR20210143384 A KR 20210143384A KR 102434901 B1 KR102434901 B1 KR 102434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rest
- frame
- rowing
- frame unit
- body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76—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76—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3B2022/0082—Rowing machines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with pivoting handleba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젓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등에 설치되며, 노젓는 동작에 의해 운동자 자신의 몸을 들어올리면서 운동하는 노젓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owing, and more particularly, to rowing installed outdoors, etc., and exercising while lifting the body of an athlete by rowing motion.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 설치하여 손 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가 널리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exercise equipment has been widely developed so as to be easily exercised by installing it outdoors, such as in a park or a playground, where people often find it.
종래,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는 노젓기용 운동기구, 자전거타기 운동기구, 상체 운동기구, 파도타기 운동기구, 런닝 운동기구 등 여러 가지의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으며, 특히 노젓기용 운동기구는 베이스부재의 중앙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지주부재를 고정 설치하며, 좌대에 장치된 노가 전후로 작동되는 노젓기운동구를 지주부재의 좌우 측에 각각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Conventionally, various exercise equipment such as exercise equipment for rowing, bicycle riding equipment,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surfing exercise equipment, and running equipment are known as exercise equipment installed outdoors. In particular, the exercise equipment for rowing is a base member The holding member is fixedly installed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the rowing mechanism in which the oars mounted on the pedestal are operated forward and backward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ding member.
이러한, 노젓기용 운동기구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02169호에 제안된 바 있다.The technology related to such an exercise device for rowing has been prop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02169.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강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여성이나 노인 등이 운동하기엔 무리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intensity, so it is impossible for women or the elderly to exerci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반복적인 노젖기 운동 과정에서 운동 강도 조절이 가능한 노젓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wing in which the intensity of exercise can be controlled in the process of repeated paddle exerci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젓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며, 일단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과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 일,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발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사이인 상기 기초 프레임부 상에 위치된 회전 기점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노젖는 동작이 구현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Ro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bas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footrest at one end; a body frame part movab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part by a link, a second footrest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chair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one and the other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part and the main body frame part, and an operation of paddling by rotation around a rotation origin located on the base frame part that is between the first footrest and the chair. It may include a; handle frame portion that raises the body frame portion while being implemented.
상기 기초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이웃한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비될 수 있다.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base frame part and the other adjacent ends of the body frame part may be provided.
상기 기초 프레임부는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과,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연결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정지프레임이 경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젓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며, 일단부에 제1 발받침대(118)가 구비되는 기초 프레임부(110); 상기 기초 프레임부(110)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12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130)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120);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110)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120)에 일,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발받침대(118)와 상기 의자(130)의 사이인 상기 기초 프레임부(110) 상에 위치된 회전 기점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노젓는 동작이 구현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120)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의 당김에 따른 힘이 전달되도록 핸들 프레임부(140)가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힌지축(1140-1)을 통하여 기초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가 고정된 일단과 상기 제1힌지축(1140-1)을 연결한 연장선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2힌지축(1140-2)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를 당김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부(12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부(120)가 연장프레임(13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편(1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발받침대(118)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의 당김 작동에 따른 이동이 없도록 설치면에 연결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발받침대(122)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는 상기 본체 프레임부(1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rizontal fram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spaced apart from the base frame and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and a stop frame may be inclined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to limit a descending height of the connecting rod.
The rowing r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프레임부에 제1 발받침대가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부에 제2 발받침대가 구비되어,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 등이 노젓기 운동을 하는 경우 제1 발받침대에 발을 올려놓고 운동하고, 남성이 노젓기 운동을 하는 경우 제2 발받침대에 발을 올려놓고 운동하게 함으로써 강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otrest is provided on the base frame part and the second footres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frame part, so that when a woman, child, or the elderly is rowing, put their feet on the first footrest, When a man is rowing, he puts his foot on the second footrest to exercise, thereby controlling the intensity and allowing him to exercis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노젓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노젓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노젓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노젓기에서 연결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ro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ro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is variable in the ro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젓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ro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노젓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노젓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노젓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노젓기에서 연결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ro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ro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is variable in the ro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젓기(100)는 기초 프레임부(110), 본체 프레임부(120), 의자(130) 및 핸들 프레임부(140)를 포함한다.1 to 5 , the
이때, 기초 프레임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 구조로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부(120) 및 핸들 프레임부(140)는 원형파이프 구조로 구비 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기초 프레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립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과,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수평프레임(116) 및 수평프레임(116)에 기초 프레임부(110)와 본체 프레임부(12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112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경사지게 연결된 정지프레임(114b)을 포함한다.The
더욱이, 기초 프레임부(110)는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의 하부에 설치면에 볼트로 고정 가능하도록 제1, 2 고정구(112a, 114a)가 각각 구비되고,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프레임(112b)에 제1 발받침대(118)가 수평프레임(116)과 직교방향인 횡방향으로 설치된다.Furthermore, the
그리고 전방 수직프레임(112)은 링크 연결된 연결대(1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정지프레임(114b)과 함께 노젓기(100)의 미사용시 본체 프레임부(120)의 전방 하부가 지지되므로 하강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And the front
제1 발받침대(118)는 운동자의 체중을 다리로 받친 상태에서 팔을 이용하여 노젓는 운동을 하게 되므로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 등이 저강도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자의 발(F)이 선택적으로 놓이게 된다.The
후방 수직프레임(114)은 상단에 연결대(112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rear
수평프레임(116)에는 중앙부 상면에 제2 연장프레임(116a)이 직립 연결되어, 본체 프레임부(120) 및 핸들 프레임부(140)를 연결한 연결편(114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A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대(1120)는 전방 연결대(1130')와 후방 연결대(1140')로 분할 형성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connecting
이때, 전방 연결대(1130')는 후방 연결대(1140')와 이웃한 단부에 절개홈부(1132')가 형성되고, 절개홈부(1132')의 양측에 반복된 결속홈(1134')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connecting rod 1130' has a cut-out groove 1132' formed at an end adjacent to the rear connecting rod 1140', and repeated binding grooves 113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t-out groove 1132'. .
후방 연결대(1140')는 전방 연결대(1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단부가 삽입되며, 상면 중심부에 지지구(1142')가 구비되고, 지지구(1142')에 결속돌기(1144')가 축(114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결속돌기(1144')는 축(1146')에 권취된 부분이 결합되고 양단이 결속돌기(1144')와 지지구(1142')에 각각 지지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항시 결속홈(1134')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inding protrusion 1144' is coupled to a portion wound on the shaft 1146', and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binding protrusion 1144' and the support member 1142' by a torsion spring, respectively. It is provided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always applied toward the binding groove (1134') direction.
따라서, 연결대(1120)의 길이를 줄여 운동자의 시선이 위쪽을 향하게 하고, 연결대(1120)의 길이를 늘여 운동자의 시선이 아래쪽을 향하게 하도록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결속돌기(1144')를 후방으로 젖혀 결속돌기(1144')가 결속홈(1134')에서 이탈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 후방 연결대(1130', 114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결속돌기(1144')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결속돌기(1144')가 해당 위치의 결속홈(1134')에 결합되면서 전후방 연결대(1130', 1140')의 길이가 쉽게 고정된다.Therefore, when length adjustment is requir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본체 프레임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초 프레임부(110)에서 링크에 의해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12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130)가 구비된다.The
제2 발받침대(122)는 운동자의 체중을 오로지 팔을 이용하여 받친 상태에서 노젓는 운동을 하게 되므로 남성 등이 고강도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자의 발(F)이 선택적으로 놓이게 된다.Since the
더욱이, 본체 프레임부(120)는 하부에 경사진 제3 연장프레임(124)이 구비되어 연결편(1140)의 상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Furthermore, the
의자(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에 운동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 수평 부분에 고정되는 안장(132)과,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 단부에 경사진 부분에 고정되는 등받이(134)를 포함한다.The
핸들 프레임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기초 프레임부(110)의 제2 연장프레임(116a)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평행한 연결편(1140)의 상부 일단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다.As long as the
더욱이, 핸들 프레임부(140)는 회전하기 전에는 연결편(1140)의 상부에 고정된 몸체 프레임부(120)의 제3 연장프레임(124) 연결 기점과, 연결편(1140)의 하부에 고정된 기초 프레임부(110)의 제2 연장프레임(116a) 연결 기점의 높이가 낮도록 하지만, 회전 후에는 연결편(1140)이 회전되면서 연결편(1140)의 상부에 고정된 몸체 프레임부(120)의 제3 연장프레임(124) 연결 기점과 연결편(1140)의 하부에 고정된 기초 프레임부(110)의 제2 연장프레임(116a) 연결 기점의 높이가 높아지게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부(120)의 앞쪽이 들리게 된다.Furthermo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노젓기(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looking a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먼저, 운동자가 의자(130)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1 발받침대(118) 또는 제2 발받침대(122) 중 어느 하나의 발받침대에 발(F)을 올려놓게 된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exerciser is seated on the
이때, 운동자가 제1 발받침대(118)에 발(F)을 올려놓는 경우 운동자의 체중을 다리로 받친 상태로 운동하게 되므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인 등의 대상이 운동하기에 적합하고, 운동자가 제2 발받침대(122)에 발(F)을 올려놓는 경우 운동자의 체중을 오로지 팔을 이용하여 운동하게 되므로 힘이 강한 남성 등의 대상이 운동하기에 적합하다.At this time, when the exerciser puts the foot (F) on the
다음으로, 제1 발받침대(118) 또는 제2 발받침대(122) 중 어느 하나의 발받침대에 발(F)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부(140)를 손(H)으로 잡고 운동자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본체 프레임부(120)가 제2 연장프레임(116a) 및 제3 연장프레임(124)과의 연결 기점 그리고 연결대(112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본체 프레임부(120)가 상승한다.Next, in a state where the foot (F) is placed on any one of the
이 경우, 제1 발받침대(118)에 발(F)을 놓으면 운동자의 무릎이 가슴에서 거리가 멀어진 상태로 운동하게 되고, 제2 발받침대(122)에 발(F)을 놓으면 운동자의 무릎이 가슴에서 거리가 가까워진 상태로 운동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foot (F) is placed on the first footrest (118), the exerciser's knee moves away from the chest, and when the foot (F) is placed on the second footrest (122), the athlete's knee moves You will be exercising with the distance from your chest getting closer.
다음으로, 운동 종료시 기초 프레임부(110)의 하부와 후방 수직프레임(114)을 연결한 연결대(1120)가 하향 회전되면서 전방 수직프레임(114) 및 정지프레임(114b)에 의해 하강 위치가 제한된다.Next, at the end of the move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노젓기
110: 기초 프레임부
120: 본체 프레임부
130: 의자
140: 핸들 프레임부100: rowing
110: base frame part
120: body frame portion
130: chair
140: handle frame portion
Claims (3)
상기 기초 프레임부(110)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제2 발받침대(12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의자(130)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120);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110)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120)에 일,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발받침대(118)와 상기 의자(130)의 사이인 상기 기초 프레임부(110) 상에 위치된 회전 기점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노젓는 동작이 구현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부(120)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의 당김에 따른 힘이 전달되도록 핸들 프레임부(140)가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힌지축(1140-1)을 통하여 기초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가 고정된 일단과 상기 제1힌지축(1140-1)을 연결한 연장선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2힌지축(1140-2)에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를 당김으로써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부(12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부(120)가 연장프레임(13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편(1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발받침대(118)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의 당김 작동에 따른 이동이 없도록 설치면에 연결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발받침대(122)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140)의 작동에 따라 승강하는 상기 본체 프레임부(1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젓기.
It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base frame portion 110 having a first footrest 118 at one end;
a body frame unit 120 connected to the base frame unit 110 movably by a link, having a second footrest 122 at one end and a chair 130 at the other end; and
One and the other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part 110 and the body frame part 120 , and the base frame part 110 is between the first footrest 118 and the chair 130 . and a handle frame unit 140 that raises the body frame unit 120 while the operation of rowing is implemented by rotation around the rotation origin located on the
The handle frame unit 140 is fixed to one end so that the force according to the pulling of the handle frame unit 140 is transmitted,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frame 110 through the first hinge shaft 1140-1. The handle frame part has a second hinge shaft 1140-2 that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one end to which the handle frame part 140 is fixed and the first hinge shaft 1140-1. A connection piece 1140 to which the body frame part 120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extension frame 134 is provided so that the body frame part 120 can be lif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pulling the 140,
The first footrest 118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so that there is no movement due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handle frame unit 140 , and the second footrest 122 is the handle frame unit 140 . What is connected to the body frame part 120 that elev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haracterized rowing.
상기 기초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이웃한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젓기.
The method of claim 1,
Rowing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main frame portion is provided.
상기 기초 프레임부는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과,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연결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정지프레임이 경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젓기.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ic frame portion is a horizontal frame is connec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spaced apart and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 row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frame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inclined to limit the descending height of the connecting r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384A KR102434901B1 (en) | 2021-10-26 | 2021-10-26 | Rowing exercis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384A KR102434901B1 (en) | 2021-10-26 | 2021-10-26 | Rowing exercise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4901B1 true KR102434901B1 (en) | 2022-08-22 |
Family
ID=8310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384A Active KR102434901B1 (en) | 2021-10-26 | 2021-10-26 | Rowing exercis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490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976223A (en) * | 2023-06-08 | 2024-11-19 | 新科技健康有限公司 | Double rowing machin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42269A (en) * | 1994-01-04 | 1994-08-30 | Richard Huang | Arm oscillating exerciser |
KR100302169B1 (en) | 1998-11-14 | 2001-11-22 | 대한민국 | Vegetable binding device |
US20040009849A1 (en) * | 2002-07-09 | 2004-01-15 | Scott Galbraith | Exercise machine for performing rowing-type and other exercises |
CN211585055U (en) * | 2019-08-21 | 2020-09-29 | 安徽天珝科技有限公司 | Rowing machine with adjustable it is fixed stable |
CN112957672A (en) * | 2021-03-01 | 2021-06-15 | 何永满 | Knee joint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
2021
- 2021-10-26 KR KR1020210143384A patent/KR1024349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42269A (en) * | 1994-01-04 | 1994-08-30 | Richard Huang | Arm oscillating exerciser |
KR100302169B1 (en) | 1998-11-14 | 2001-11-22 | 대한민국 | Vegetable binding device |
US20040009849A1 (en) * | 2002-07-09 | 2004-01-15 | Scott Galbraith | Exercise machine for performing rowing-type and other exercises |
CN211585055U (en) * | 2019-08-21 | 2020-09-29 | 安徽天珝科技有限公司 | Rowing machine with adjustable it is fixed stable |
CN112957672A (en) * | 2021-03-01 | 2021-06-15 | 何永满 | Knee joint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976223A (en) * | 2023-06-08 | 2024-11-19 | 新科技健康有限公司 | Double row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5230B1 (en) | Fitness equipment | |
JP3117451B2 (en) | Exercise machine | |
US8062190B2 (en) | Stationary exercise bicycle | |
US8033967B2 (en) | Gym machine | |
CN107073310A (en) | Ou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 |
TWI693088B (en) | Climbing trainer | |
KR102071893B1 (en) | Combined fitness equipment for squat and romantic chair exercise | |
KR20130134802A (en) | Abdomen sporting goods that combine leg exercise | |
TWI632936B (en) | Squat fitness machine | |
KR102434901B1 (en) | Rowing exercise apparatus | |
US12330019B2 (en) | Upper and lower body reciprocating arcing motion exercise machine with an adjustable angle user support | |
JP3202923U (en) | Squat training machine | |
KR102434907B1 (en) | Dumbbell lifting exercise apparatus | |
KR101827253B1 (en) |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 |
KR102434911B1 (en) | Barbell down exercise apparatus | |
CN202070075U (en) | Multifunctional Seated Elliptical Track Fitness Machine | |
KR20140052148A (en) | Sit-up bench | |
KR200451925Y1 (en) | Rowing fitness equipment | |
KR101099244B1 (en) | Full body fitness equipment | |
CN114534188B (en) | Le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
KR200322633Y1 (en) | Body training apparatus | |
KR101551245B1 (en) | Sport apparatus of lower body | |
KR102434927B1 (en) | Legs stretch exercise apparatus | |
CN217886901U (en) | Le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
KR102434920B1 (en) | Stair climbing exercis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0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