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003B1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Dehumidi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4003B1 KR102434003B1 KR1020150067191A KR20150067191A KR102434003B1 KR 102434003 B1 KR102434003 B1 KR 102434003B1 KR 1020150067191 A KR1020150067191 A KR 1020150067191A KR 20150067191 A KR20150067191 A KR 20150067191A KR 102434003 B1 KR102434003 B1 KR 102434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wer
- compressor
- power consumption
- lighting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제습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제습장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구동속도를 가변하여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화된 냉매가스를 기화시켜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준 소비전력 대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시의 소비전력 절감율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dehumidifier is disclosed. The dehumidifying device may include: a blower configured to form a flow of air using a blower fan and a blower motor for driving the blower fan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 compress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ompressed refrigerant gas by varying the driving speed; a condenser for liquefying the refrigerant gas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by vaporizing the refrigerant gas liquefied by the condenser;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in a selected operation mode; and a display unit providing information on a control state to a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isplay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rate when operating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compared to a referenc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본 출원은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dehumidifier.
공기 중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장치는, 일반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한다.A dehumidifier for dehumidifying moisture in air generally removes moisture from the air using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 heat exchanger.
여기서, 압축기는 고정된 회전 속도로 동작하는 고정형 압축기나, 회전 속도가 가변하는 가변형 압축기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compr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fixed compressor operating at a fixed rotation speed or a variable compressor having a variable rotation speed.
가변형 압축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습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소비전력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소비전력이 차이를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When a variable compressor is used, a large difference in power consumpti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dehumidifier, bu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power consumption.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제습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의 증감을 가시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art,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제습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습장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구동속도를 가변하여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화된 냉매가스를 기화시켜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준 소비전력 대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시의 소비전력 절감율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humidifying device. The dehumidifying device may include: a blowing unit configured to form a flow of air using a blowing fan and a blower motor driving the blowing fan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o the inside; a compress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ompressed refrigerant gas by varying the driving speed; a condenser for liquefying the refrigerant gas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by vaporizing the refrigerant gas liquefied by the condens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in a selected operation mode; and a display unit providing information on a control state to a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isplay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rate when operating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compared to a referenc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cidentally,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dvantages and effects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속도가 다단으로 가변하는 가변형 압축기를 사용하여 제습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고정형 압축기를 사용한 제습 장치에 대비한 단수별 에너지 절감율을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에너지 절감효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humid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variable compressor whose rotational speed is variable in multiple stages, the energy saving rate is displayed for each stage compared to a dehumidifying device using a fixed compressor,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n energy saving effect.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구현예에서 에너지 절감율을 표시하는 부분을 구체화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라이팅을 단계별로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unit shown in FIG. 1 .
FIG. 3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 part for displaying an energy saving rate in the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2 .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performing lighting of the display unit in st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장치(100)는 필터부(110), 송풍부(120), 제습부(130), 제어부(140), 센서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입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필터부(110)는 제습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습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방식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10)는 흡기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110)는 복수의 필터(예를 들어, 제1 필터 및 제2 필터)로 구성되어, 제습장치(110)의 흡기구와 배기구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필터부(110)는 예를 들어 전처리 필터(prefilter), 기능성 필터,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탈취 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 필터는 비교적 큰 먼지,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기능성 필터는 항균, 꽃가루, 집진드기, 세균,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헤파 필터는 미세한 먼지, 실내 곰팡이와 같은 각종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탈취 필터는 실내의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The
송풍부(120)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제습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송풍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송풍팬은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송풍모터의 구동속도(즉, 분당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RPM))는 제어부(1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The blower fan may be rotated by a blower motor to form a flow of air, and a driving speed (ie, revolutions per minute (RPM)) of the blower motor may be adjusted by the
제습부(130)는 송풍부(120)에 의해 제습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131), 응축기(132) 및 열교환기(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습부(130)는 냉매가스의 상변화를 유도하고 냉매가스의 상변화에 따른 흡열반응을 이용하여 제습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축기(131)는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응축기(132)는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며, 액화된 냉매가스는 열교환기(133)에서 기화 및 팽창되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물로 응결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냉매가스는 다시 압축기(131)로 유입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압축기(131)는 인버터 리니어 압축기(Inverter Linear Compressor)로 구현되어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인버터 리니어 압축기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사항인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압축기(13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구동속도를 다단으로 가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제습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제어부(140)는 제습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습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선택된 동작 모드로 제습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습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자동 모드, 수동 모드 및 파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자동 모드의 경우, 제어부(140)는 후술하는 센서부(15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습도값을 기초로 복수의 자동 단계 중 현재 습도값에 상응하는 자동 단계의 설정값, 즉 압축기(131)의 구동속도 및 송풍부(120)의 송풍모터의 구동속도로 압축기(131) 및 송풍부(120)를 동작시킨다.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mode, the
표 1은 자동 모드의 경우 현재 습도값에 따른 복수의 자동 단계의 설정값과 해당 단계로 작동시의 소비전력 및 기준 소비전력(예를 들어, 고정형 압축기를 사용하는 제습장치의 소비전력)에 대비한 소비전력 절감율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소비전력의 기준은 KS 성능기준인 온도 27℃, 습도 60%의 조건에서 소비전력을 계산한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습장치(100)의 동작시 해당 단계에서의 에너지 절감율을 표시하기 위해, 각 자동 단계별 소비전력 및 소비전력 절감율이 미리 계산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제습장치(100)의 동작시 실시간으로 소비전력을 산출하고 메모리에 기 저장된 고정형 압축기를 사용하는 제습장치의 소비전력 대비한 절감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Table 1 shows the set values of a plurality of automatic steps according to the current humidity value in the case of automatic mode, and the power consumption and reference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power consumption of a dehumidifier using a fixed compressor) when operating in the corresponding step. An example of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rate is shown. Here, the standard of power consumptio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power consumption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7°C and a humidity of 60%, which are the KS performance standard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display the energy saving rate at the corresponding stag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풍량blower fan
air volume
또한, 표 1에서는 자동 모드의 경우 현재 습도값에 따라 8개의 자동 단계로 구분하여 압축기(131) 및 송풍부(120)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단계의 수 및 각 단계에서의 설정값은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Table 1 show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한편, 수동 모드의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희망습도 및 풍량 단계를 기초로 압축기(131) 및 송풍부(120)를 동작시킨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anual mode, the
예를 들어, 수동 모드의 경우, 사용자는 후술하는 입력부(170)를 통해 희망습도(예를 들어, 연속 또는 40% ~ 80% 사이에서 10% 간격으로 선택) 및 풍량 단계(예를 들어, 절전, 풍량 1 ~ 3 단)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을 기초로, 제어부(140)는 희망습도와 센서부(15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습도값에 따라 압축기(131)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고, 선택된 풍량 단계에 따라 송풍부(120)의 송풍모터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manual mode,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humidity (for example, continuous or at 10% intervals between 40% to 80%) and the air volume level (for example, power saving) through the
한편, 파워 모드는 제습장치(100)에 대해 인증기관에서 받은 정격 모드의 성능보다 더 높은 성능(예를 들어, 정격 모드의 성능 대비 10~20% 향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압축기(131) 및 송풍부(120)의 송풍모터의 구동속도를 높혀서 일정 시간 동작하는 것으로, 제습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청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청정 파워모드와, 제습 및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습 파워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mode for the
청정 파워모드의 경우, 제어부(140)는 송풍부(120)의 송풍모터의 구동속도를 정격 풍량보다 기 정해진 정도(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만큼 높혀서 기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30분)동안 동작시킨 후 자동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lean power mode, the
또한, 제습 파워모드의 경우, 제어부(140)는 압축기(131)의 구동속도를 정격 속도보다 기 정해진 정도(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만큼 높혀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4시간)동안 동작시킨 후 자동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부(120)의 송풍모터의 구동속도는 정격 풍량보다 기 정해진 정도(예를 들어, 기 설정된 비율)만큼 낮추어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ehumidification power mode, the
상술한 수동 모드 및 파워 모드의 경우에도 자동 모드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단계별 소비전력과 소비전력 절감율이 미리 계산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제습장치(100)의 동작시 실시간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Even in the case of the manual mode and the power mode, as described above for the automatic mode, the power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rate for each step may be calculat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memory, or may be calculated in real time when the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제습장치(100)의 동작시에 현재 동작 모드 및 해당 단계에서의 소비전력 절감율(즉, 에너지 절감율)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40)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0)의 라이팅(lighting)을 단계별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센서부(150)는 제습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151) 및 제습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센서부(150)는 측정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하여, 제어부(140)가 상술한 바에 따라 제습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소비전력 절감율을 포함하는 제습장치(100)의 제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0 is for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control state of the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제습장치(100)의 동작모드 선택, 수동 단계 선택, 기능 선택 등과 같은 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터치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구현예에서 에너지 절감율을 표시하는 부분을 구체화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unit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for displaying an energy saving rate in the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2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제습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60)는 에너지 절감율을 표시하는 부분(161), 제습장치의 기능(예를 들어, 청정 또는 제습)을 표시하는 부분(162), 동작모드(예를 들어, 자동모드, 절전모드, 파워모드)를 표시하는 부분(163), 수동 모드 동작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희망습도를 표시하는 부분(164), 제습장치의 풍량 단계를 표시하는 부분(165), 꺼짐예약 시간을 표시하는 부분(166), 기타 동작에 필요한 특정 정보(예를 들어, 에러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167), 그리고 오염도를 표시하는 부분(16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isplay unit 160 of the
여기서, 에너지 절감율을 표시하는 부분(1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장치(100)의 현재 동작 모드 및 단계에서의 에너지 절감율을 도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절감율을 표시하는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색상 변화, 바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에너지 절감율을 수치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제습장치(100)의 입력부(170)는 전원버튼(171), 제습장치의 기능 선택 버튼(172), 제습장치의 동작모드 선택 버튼(173), 희망습도 선택 버튼(174), 풍량 선택 버튼(175), 꺼짐예약 선택 버튼(176),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의 라이팅 단계 선택 버튼(17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라이팅을 단계별로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라이팅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160)의 라이팅 영역을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performing the lighting of the display unit in st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lighting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by dividing the lighting stage into three stages show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라이팅 1단계 내지 라이팅 3단계의 라이팅 영역의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각 도면에서 굵은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이 해당 단계에서 라이팅되는 부분이다.Specifically, FIGS. 4A to 4C show examples of the lighting area of each of the writing steps 1 to 3, and the area indicated by the thick dotted line in each figure is the part to be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step.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팅 1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의 라이팅을 ON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A , in the first lighting step, lighting of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is turned on.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팅 2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라이팅을 ON으로 한다. 여기서, 라이팅을 ON으로 하는 영역은 제습장치의 최소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습장치의 기능을 표시하는 부분(162), 동작모드를 표시하는 부분(163), 제습장치의 풍량 단계를 표시하는 부분(165), 기타 동작에 필요한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167)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 in the second stage of lighting, lighting is turned ON for only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Here, the area in which the lighting is turned ON may be information for indicating the minimum operating state of the dehumidifier, for example, a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팅 3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의 라이팅을 OFF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 in the third step of lighting, lighting of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제어부(140)는 센서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조도값 또는 입력부(170)의 입력값을 기초로 상술한 라이팅 단계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입력부(170)의 라이팅 단계 선택 버튼(177)의 입력이 감지되면 라이팅 단계를 1 단계 -> 2 단계 -> 3 단계 -> 1 단계의 순서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of the writing
또한, 제어부(140)는 제습장치(100)가 자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센서부(150)로부터 전달받은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라이팅 단계를 1단계 -> 2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제어부(140)는 라이팅 2 단계 수행 중에 입력부(170)의 특정 버튼(예를 들어, 희망습도 선택 버튼(174), 꺼짐예약 선택 버튼(176))의 입력이 감지되면 라이팅 단계를 2 단계 -> 1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제어부(140)는 라이팅 3단계 수행 중에 입력부(170)의 임의의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라이팅 단계를 3 단계 -> 1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input of an arbitrary button of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습장치
110: 필터부
120: 송풍부
130: 제습부
131: 압축기
132: 응축기
133: 열교환기
140: 제어부
150: 센서부
151: 습도 센서
152: 조도 센서
160: 디스플레이부
170: 입력부100: dehumidifier
110: filter unit
120: blower
130: dehumidifying unit
131: compressor
132: condenser
133: heat exchanger
140: control unit
150: sensor unit
151: humidity sensor
152: light sensor
160: display unit
170: input unit
Claims (12)
구동속도를 가변하여 압축되는 냉매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화된 냉매가스를 기화시켜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준 소비전력 대비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시의 소비전력 절감율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복수의 라이팅(lighting) 단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라이팅 영역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라이팅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의 라이팅을 온(ON)하는 라이팅 1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의 라이팅을 온(ON)하는 라이팅 2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의 라이팅을 오프(OFF)하는 라이팅 3단계를 포함하는,는 제습장치.
a blower which forms a flow of air using a blower fan and a blower motor driving the blower fan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a compress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ompressed refrigerant gas by varying the driving speed;
a condenser for liquefying the refrigerant gas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by vaporizing the refrigerant gas liquefied by the condens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in a selected operation mod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 state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rate when operating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compared to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controls the lighting area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lighting steps, ,
The plurality of writing steps,
A lighting step 1 of turning on lighting of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a lighting step 2 of turning on lighting of a predetermined partial area in the display unit, a lighting step of turning off lighting of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 including three stages of writing, the dehumidifier.
상기 기준 소비전력은 구동속도가 고정된 압축기를 사용하는 제습장치의 제습 동작 수행시의 소비전력인 제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is power consumption when the dehumidifying device using a compressor having a fixed driving speed performs a dehumidifying operation.
현재 습도값을 기초로 복수의 자동 단계 중 현재 습도값에 상응하는 자동 단계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자동 모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희망습도 및 풍량 단계를 기초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수동 모드; 및
정격 성능 이상의 성능을 제공하도록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부를 동작시키는 파워 모드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ode is
an automatic mode for operating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according to a set value of an automatic step corresponding to a current humidity value among a plurality of automatic steps based on a current humidity value;
a manual mode in which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are operated based on a desired humidity and air volume level selected by a user; and
A dehumidifying device including a power mode for operating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so as to provide performance exceeding the rated performa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의 각 단계별 소비전력 절감율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dehumidification device having a memory in which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rate for each step of the operation mode is stor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동작시 실시간으로 소비전력을 산출하고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 소비전력에 대비한 소비전력 절감율을 산출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alculates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when operating in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calculates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ratio compared to a reference power consumption pre-stored in a memory.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습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illuminance; and
The dehumidify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ehumidifying device from a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라이팅 단계 선택의 입력이 감지되면 라이팅 단계를 상기 라이팅 1단계, 상기 라이팅 2단계, 상기 라이팅 3단계 및 상기 라이팅 1단계 순으로 전환하는 제습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a dehumidifier for switching the writing stage in the order of the writing stage 1, the writing stage 2, the writing stage 3, and the writing stage 1 when an input of selecting the writing stage is detected through the in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장치가 자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이면 라이팅 단계를 상기 라이팅 1단계에서 상기 라이팅 2단계로 전환하는 제습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dehumidifier operates in the automatic mode,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writing step from the first writing step to the second lighting step when the illuminance value transmitted from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standar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팅 2단계 수행 중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라이팅 1단계로 전환하는 제습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a dehumidifying device that switches to the lighting stage 1 when an input of a preset button is sensed through the input unit during the writing stage 2 execu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팅 3단계 수행 중에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라이팅 1단계로 전환하는 제습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a dehumidifying device that switches to the writing stage 1 when a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s sensed during the writing stage 3 execu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191A KR102434003B1 (en) | 2015-05-14 | 2015-05-14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191A KR102434003B1 (en) | 2015-05-14 | 2015-05-14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4959A KR20160134959A (en) | 2016-11-24 |
KR102434003B1 true KR102434003B1 (en) | 2022-08-22 |
Family
ID=5770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7191A Active KR102434003B1 (en) | 2015-05-14 | 2015-05-14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400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41540A (en) * | 1999-08-02 | 2001-02-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
JP2001141284A (en) * | 1999-11-15 | 2001-05-25 | Matsushita Seiko Co Ltd | Dehumidifi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0430B1 (en) * | 2012-10-25 | 2016-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isplay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
KR102010972B1 (en) * | 2012-11-02 | 2019-08-14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Display structure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
-
2015
- 2015-05-14 KR KR1020150067191A patent/KR1024340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41540A (en) * | 1999-08-02 | 2001-02-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
JP2001141284A (en) * | 1999-11-15 | 2001-05-25 | Matsushita Seiko Co Ltd | Dehumidif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4959A (en) | 2016-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6845B1 (en) | Air purifying system | |
CN102072548B (en) | Air conditioning time sharing temperature-humidity independ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air conditioner | |
KR20170086246A (en) | Movable 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5511717B2 (en) | Air conditioner | |
KR102043172B1 (en) | Apparatus equipped with functions of air-conditioning and duhumidify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CN103620313A (en) | Dehumidification-type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300902B1 (en) | Apparatus for dehumid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8224558B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JP2014214935A (en) | Terminal device and air conditioning unit | |
KR20170121103A (en) |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3768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eat exchanger | |
KR102434005B1 (en) | Dehumidific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434003B1 (en)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
KR102334247B1 (en) | Sleeping mode controlling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ir purifier | |
KR102473895B1 (en)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
CN106796039B (en) | Dehumidifying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 |
KR102433735B1 (en) | Dehumidific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043170B1 (en) | Overload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cleaning dehumidifier | |
KR20170026869A (en) | Air purifier capable of identifying filter and contol setting method thereof | |
KR20170057760A (en) | Control method of the inverter dehumidifier | |
KR20140076661A (en) |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26374B1 (en) | Appartus and method for air clearing and dehumidification | |
KR102494870B1 (en)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
JP2005180842A (en)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KR20160023116A (en) |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control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