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25B1 - A connector for the module - Google Patents
A connector for the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3125B1 KR102433125B1 KR1020170174851A KR20170174851A KR102433125B1 KR 102433125 B1 KR102433125 B1 KR 102433125B1 KR 1020170174851 A KR1020170174851 A KR 1020170174851A KR 20170174851 A KR20170174851 A KR 20170174851A KR 102433125 B1 KR102433125 B1 KR 102433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ase
- module
- cell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04N5/22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금속제의 케이스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 등의 모듈의 실드성 및 방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셀과 케이스를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는 모듈용의 제공
(해결수단) 모듈용 커넥터(1)는, 케이스의 내부와 통하게 하는 커넥터 삽입부에 삽입되는 금속제의 셀(6)과, 셀(6)의 외주와 커넥터 삽입부의 내주와의 사이를 봉쇄하는 밀봉용 수지(C)를 구비하고, 셀(6)은, 커넥터 삽입부(43)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에 삽입되는 접속용 플랜지(64)를 구비하고, 접속용 플랜지(64)는, 커넥터 삽입부(43)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 가장자리부에 압접되는 도통 고정부(642)와, 케이스내와 커넥터 삽입부내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643)를 구비하고 있다.(Project) Provision of a module for which the shielding properties and heat dissipation properties of modules such as camera modules can be improved by means of a metal case, and the cell and the case can be reliably conducted
(Solution) The module connector (1) is a metal cell (6)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ase, and a seal for sealing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ll (6)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resin (C) for use, the cell 6 has a connection flange 64 inserted into the case inner opening of 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43, and the connection flange 64 includes a connector insertion portion At 43, a conduction fixing portion 642 press-contacted to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case inner side, and a communication portion 643 for allowing the inside of the cas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ar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탑재 카메라용 카메라 모듈(車輛搭載 camera用 camera module) 등의 모듈과 케이블 등을 접속하는 모듈용 커넥터(module用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connector for connecting a module and a cable, such as a camera module for a vehicle-mounted camera.
종래에, 차량탑재 카메라용 카메라 모듈 등의 모듈은,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에 부착된 모듈용 커넥터를 통하여 동축 케이블 등과 접속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Conventionally, modules, such as a camera module for in-vehicle cameras, are connected to a coaxial cable etc. via a module connector attached to the case which accommodates a module (refer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케이스는, 서로 조립되어 중공상자모양을 이루는 수지제의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로 구성되어,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내에 모듈을 수용함과 아울러 모듈용 커넥터가 카메라 모듈의 단자와 접속되게 되어 있다.The case is composed of a resin front case and a rear case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hollow box, and by combining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the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the connector for the modul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camera module. has been
이러한 모듈용 커넥터는, 도전금속(導電金屬)제의 셀과, 셀 내부에 수용된 수지제의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지지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셀이 리어 케이스의 단판부(端板部)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부(connector 揷入部)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에 고정된다.Such a connector for modules includes a cell made of a conductive metal, an insulator made of resin accommodated inside the cell, and a contact supported by the insulator, and the cell is formed in an end plate portion of the rear case. It is fixed to the rear cas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on part.
또한 모듈용 커넥터는, 셀의 외측에 수지제의 외부커버를 구비하고 있고, 이 외부커버는, 리어 케이스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접착제(接着劑)에 의하여 리어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connector has an outer cover made of resin on the outside of the cell, and this outer cover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rear case or fixed to the rear case with an adhesive.
이러한 종류의 모듈용 커넥터에서는, 카메라 모듈 등의 모듈이 고주파(高周波)의 신호를 전송하는 고성능의 것일 경우에, 고주파는 감쇠(減衰)하기 쉽고, 전압도 높아지는 것으로부터,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수지이면, 노이즈 대책 및 방열성이 충분하지 않다. 거기에서, 최근에는 케이스를 도전성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한 실드성(shield性) 및 방열성(放熱性)의 향상이 모색되고 있다.In this type of module connector, when a module such as a camera module is a high-performance one that transmits a high-frequency signal, the high-frequency is easily attenuated and the voltage is increased, so the case for housing the module is If it is a resin, noise countermeasures and heat dissipation properties are not sufficient. From there, in recent years, improvement of the shielding property and heat dissipation property by comprising a case with a conductive metal material is sought.
그 때에, 실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셀과 케이스가 도통되어 있을 필요가 있지만, 종래의 모듈용 커넥터에서는, 금속제의 케이스와 금속제의 셀의 도통(導通)을 확실하게 확보하면서 고정하는 구조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In that case, in order to secure the shielding property, the cell and the case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for a module, a structure in which the metallic case and the metallic cell are securely connected while being secured is established. it wasn't done
또한 모듈용 커넥터는, 금속제의 리어 케이스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접착제가 고화(固化)할 때까지 금속제의 리어 케이스와 모듈용 커넥터가 고정되지 않아, 치구 등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지 않으면, 접착제의 압력에 의하여 리어 케이스보다 모듈용 커넥터가 부상(浮上)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dule connector is fixed to the metal rear case with an adhesive, the metal rear case and the module connector are not fixed until the adhesive is solidifi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adhesive, the module connector may float above the rear case and not be fix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거기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을 감안하여, 금속제의 케이스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 등의 모듈의 실드성 및 방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셀과 케이스를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는 모듈용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module capable of reliably conducting a cell and a case while improving the shielding properties and heat dissipation properties of a module such as a camera module by means of a metal case This was don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connector.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모듈이 수용되는 도전성 금속제의 케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된 모듈과 접속되도록 한 모듈용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통하게 하는 커넥터 삽입부에 삽입되는 금속제의 셀과, 상기 셀의 외주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내주와의 사이를 봉쇄하는 밀봉용 수지를 구비하고, 상기 셀은,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에 삽입되는 접속용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접속용 플랜지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 가장자리부에 압접되는 도통 고정부와, 상기 케이스내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를 구비한 것에 있다.The featur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a connector for a module that is attached to a conductive metal case in which a module is accommodated and is connected to the module accommodated in the case, wherein the case a metal cell inserted into a connector inserting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a connection flange inserted into the opening, wherein the connection flange includes a conduction fixing part press-contacted to the opening edge of the case inner side of the connector insertion part, and a communication part for allowing the inside of the cas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or insertion it is in
제2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접속용 플랜지는, 외주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측 개구 내측면에서 돌출시킨 고정용 리브와 포개지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리브가 상기 도통 고정부와 상기 협지부에 협지되도록 한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제3항의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1 또는 2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수지제의 외부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의 상기 외부커버의 단부와 상기 접속용 플랜지 사이에 상기 밀봉용 수지가 충전되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invention of
제4항의 발명의 특징은, 모듈이 수용되는 도전성 금속제의 케이스에 모듈용 커넥터를 부착하고,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되는 모듈과 모듈용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하는 모듈용 커넥터의 부착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통하게 하는 커넥터 삽입부에 금속제의 셀을 삽입하고, 상기 셀의 외주보다 돌출시킨 접속용 플랜지를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에 삽입한 후에, 상기 접속용 플랜지를 코킹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압접시키고, 그런 뒤에, 상기 케이스 내부측에서 연통부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에 밀봉용 수지를 충전하고, 상기 셀의 외주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내주 사이를 봉쇄하는 것에 있다.The feature of the invention of
제5항의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4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셀의 외측에 배치된 수지제의 외부커버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의 상기 외부커버의 단부와 상기 접속용 플랜지 사이에 상기 밀봉용 수지가 충전되는 공극부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invention of
청구항6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4 또는 5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측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각 공정을 실시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is tha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본 발명에 관한 모듈용 커넥터는, 청구항1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금속제의 케이스에 모듈을 수용하고, 높은 실드성과 방열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제의 케이스와 금속제의 셀을 도통 고정부에 의하여 도통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셀을 조립한 상태에서 밀봉용 수지를 주입할 수 있고, 케이스에 대한 커넥터 본체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or for 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of claim 1, so that the module can be accommodated in a metal case, and high shielding properties and heat dissipation can be ensured, and the metal case and the metal cell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on fixing part. It can be securely fixed in the conduction st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ject the sealing resin in the state where the case and the cell are assembl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y of the connector body to the cas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2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케이스와 셀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configuration of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3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공극부에 밀봉용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케이스와 커넥터 본체 사이의 간격이 실링(sealing, 밀봉(密封))되어, 기밀성 및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configuration of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4 내지 6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도통 고정부에 의하여 금속제 케이스와 셀과의 도통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용 수지의 충전전에 케이스와 커넥터 본체가 1차 고정되므로, 고정치구를 사용하지 않고 밀봉용 수지의 충전에 따르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지가 경화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적으로 조립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configuration of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모듈용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모듈용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모듈용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2에서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a)는 본 발명에 관한 모듈용 커넥터의 일례의 도통 고정부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상기 도통 고정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a)는 본 발명에 관한 모듈용 커넥터의 일례의 도통 고정부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상기 도통 고정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onnector for modu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or for 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or for 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5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nector for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nduction fixing portion is formed,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onduction fixing portion is formed.
Fig. 6 (a)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nector for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ntinuity fixing part is formed, and (b)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ontinuity fixing part is formed.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모듈용 커넥터의 실시태양을 도1∼도6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면 중의 부호 A는 카메라 모듈 등의 모듈, 부호 1은 모듈용 커넥터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mera modu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reference numeral A in the drawing denotes a module such as a camera module, and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onnector for a module.
모듈용 커넥터(1)는, 모듈(A)이 수용되는 도전성 금속제의 케이스(2)에 부착되어, 케이스(2)내에 수용된 모듈(A)과 접속되게 되어 있다.The module connector 1 is attached to a
케이스(2)는, 서로 조립되어서 중공상자모양을 이루는 도전성 금속제의 프론트 케이스(3) 및 리어 케이스(4)로 구성되고, 리어 케이스(4)에 커넥터 본체(5)가 고정되어 있다.The
리어 케이스(4)는, 도전성 금속재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모듈(A)의 외측을 덮는 주벽부(41)와, 주벽부(41)의 일단을 폐쇄하는 단판부(42)를 구비하고, 단판부(42)에 커넥터 본체(5)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43)가 형성되어 있다.The
커넥터 삽입부(43)는, 단판부(42)를 판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케이스(2) 내부측 단부 내연에 접속용 리브(44)가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접속용 리브(44)는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개구(441)를 통하여 커넥터 본체(5)의 선단부가 케이스(2)내로 뚫고 나오도록 되어 있다.The connecting
커넥터 본체(5)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의 셀(6)과, 셀(6)의 내측에 동심모양으로 배치된 콘택트(7)와, 셀(6)과 콘택트(7) 사이에 삽입된 인슐레이터(8)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커넥터 본체(5)에는, 셀(6)의 외측에 일체성형에 의하여 절연수지제의 외부커버(9)가 일체화되어, 외부커버(9)내에 셀(6)의 후단부 및 동축 케이블(B)의 선단부가 서로 기밀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외부커버(9)는, 그 단부가 커넥터 삽입부(43)의 외부측 개구와 결합하여, 커넥터 삽입부(43)의 외부측 개구를 폐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91은 위치결정용 오목부로서, 이 위치결정용 오목부(91)와 커넥터 삽입부(43)의 외부측 개구 가장자리부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볼록부(431)가 결합함으로써 축 둘레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The
셀(6)은, 원통모양의 외부셀(61)과, 외부셀(61)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심 통모양의 외부 콘택트 부재(62)와, 외부셀(61)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B)과의 접속측에 결합되는 케이블 홀딩부재(63)를 구비하고, 외부셀(61), 외부 콘택트 부재(62) 및 케이블 홀딩부재(63)가 서로 도통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65은, 외부셀(61)과 케이블 홀딩부재(63) 사이에 삽입되는 O링 등의 방수재이다.The cell (6) has a cylindrical outer shell (61), a concentric cylindrical outer contact member (62) disposed inside the outer shell (61), and a coaxial cable (B) in the outer shell (61). It has a
외부셀(61)은, 도전성 금속재에 의하여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동축 케이블(B) 접속측에 내경을 넓힌 확경부(611)를 구비하고, 이 확경부(611)내에 케이블 홀딩부재(63)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The
이러한 외부셀(61)에는, 동축 케이블(B)접속 측단부에 내측면으로 돌출시킨 원환상의 스토퍼부(612)를 구비하고, 이 스토퍼부(612)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B) 접속측에 후술하는 외부 콘택트 부재(62)의 확경 결합부(621)가 삽입되는 콘택트용 결합부(613)가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외부셀(61)의 외주면에는, 밖으로 돌출한 접속용 플랜지(64)를 구비하고, 이 접속용 플랜지(64)가 커넥터 삽입부(43)내에 형성된 접속용 리브(44)와 결합하고, 커넥터 삽입부(43)내에 있어서 외부커버(9)의 단부와 접속용 플랜지(64) 사이에 밀봉용 수지(C)가 충전되는 공극부(43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접속용 플랜지(64)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플랜지편(641, 641…)으로 구성되고, 커넥터 삽입부(43)에 있어서 케이스(2) 내부측 개구 가장자리부에 압접되는 도통 고정부(642, 642)와, 케이스(2)내와 커넥터 삽입부(43)내(공극부(432))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643, 643…)를 구비하고 있다.The
각 플랜지편(641, 641…)은, 그 두께방향 단부 외주에 접속용 리브(44)와 포개지는 협지부(644)가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협지부(644)와 단면이 계단모양을 이루고, 접속용 리브(44)가 도통 고정부(642, 642)와 협지부(644)에 의하여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Each of the
도통 고정부(642, 642)는, 셀(6)을 커넥터 삽입부(43)에 삽입하고, 접속용 플랜지(64), 즉 각 플랜지편(641, 641…)을 접속용 리브(44)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랜지편(641, 641…)의 케이스(2) 내부측 표면을 전용치구로 가압하여 소성변형 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접속용 리브(44)에 도통한 상태에서 압접되어 있다.The
또한, 도통 고정부(642, 642)는, 셀(6)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편(641, 641…)으로 형성되고, 접속용 플랜지(64)가 접속용 리브(44)에 대하여 안정되게 고정된다.Further, the
연통부(643, 643…)는, 이웃하는 플랜지편(641, 641…)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 연통부(643, 643…)를 통하여 커넥터 삽입부(43)내의 공극부(432)에 밀봉용 수지(C)가 충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mmunicating
밀봉용 수지(C)에는, 경화전에는 높은 유동성을 구비하여 충전성이 우수하고, 경화후에는 높은 기밀성을 발휘하는 수지를 사용하고, 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For the sealing resin (C), a resin having high fluidity before curing and excellent filling properties and high airtightness after curing is used,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the like is used.
외부 콘택트 부재(62)는, 탄성을 구비하는 도전성 금속재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축방향의 양단이 개구한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외부 콘택트 부재(62)는, 외경이 외부셀(6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그 동축 케이블(B) 접속 측단부의 외주에 외부셀(61)의 내경과 대략 같은 외경의 확경 결합부(621)가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이 외부 콘택트 부재(62)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대 커넥터 접속 측단이 개구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고, 이 슬릿에 의하여 사이가 떨어진 복수의 외팔보 스프링 모양의 탄성 접촉편부(622, 62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각 탄성 접촉편부(622)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접점부(6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가 접속될 때에, 이 접점부(623)가 상대 커넥터의 상대측 셀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Each elastic
이러한 외부 콘택트 부재(62)는, 외부셀(61)내로 동축 케이블(B) 접속측에서 삽입하고, 확경 결합부(621)를 콘택트용 결합부(613)에 삽입하고, 스토퍼(612)에 닿아 정지시킨 상태에서 외부 콘택트 부재(62)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B)접속 측단부에 케이블 홀딩부재(63)를 가압함으로써 확경 결합부(621)가 고정되어, 탄성 접촉편부(622, 622)가 반경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This
케이블 홀딩부재(63)는 도전성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셀(61)의 단부에 결합되는 밑면을 구비하는 통모양의 뚜껑부(631)와, 뚜껑부(631)의 중앙에서 동축 케이블(B) 접속측을 향하여 돌출한 통모양의 케이블 접속부(632)를 구비하고 있다.The
케이블 접속부(632)는, 내부에 외부피복(B1) 및 외부도체(B2)를 벗긴 동축 케이블(B)의 선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그 외측에 동축 케이블(B)의 외부도체(B2)이 압착 등에 의하여 접속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인슐레이터(8)는, 절연성 수지에 의하여 중앙에 콘택트 수용공(81)을 구비하고 단면(斷面)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되고, 콘택트 수용공(81)내에 콘택트(7)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콘택트 부재(62)내로 삽입되고, 외부셀(61)의 단부에 케이블 홀딩부재(63)가 결합됨으로써 셀(6)내에 지지되어 있다.The
또한, 인슐레이터(8)와 케이블 홀딩부재(63) 사이에는, 에폭시계 수지 등의 기밀용 수지(82)가 충전되어 있고, 셀(6)과 인슐레이터(8) 사이의 간격이 실링되어 있다.Further, between the
콘택트(7)는, 도전성 금속재에 의하여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방의 단부 개구로부터 삽입된 케이블(B)의 중심도체(B3)가 납땜에 의하여 접속됨과 아울러 단부 개구가 솔더링에 의하여 실링되어 있다.The
다음에 이 모듈용 커넥터(1)를 금속제의 케이스(2)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attaching this module connector 1 to the
여기에서, 금속제의 케이스(2)에 모듈용 커넥터(1)를 부착하는 각 공정은, 밀봉용 수지(C)의 주입작업을 고려하여, 리어 케이스(4)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부(43)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실시한다.Here, in each step of attaching the module connector 1 to the
모듈용 커넥터(1)의 부착은, 커넥터 본체(5)를 미리 조립해 두고, 그것을 금속제의 리어 케이스(4)에 고정한 후에, 케이스(2) 내부측에서 연통부(643, 643…)를 통하여 커넥터 삽입부(43)(공극부)내에 밀봉용 수지(C)을 충전하고, 셀(6)의 외주와 커넥터 삽입부(43)의 내주 사이를 봉쇄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module connector 1 is attached in advance by assembling the
먼저, 프론트 케이스(3)측의 개구를 위로 한 상태의 리어 케이스(4)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커넥터 삽입부(43)내로 셀(6) 본체를 삽입함과 아울러 외부커버(9)의 단부를 커넥터 삽입부(43)의 외측 개구부에 삽입하고, 그에 수반하여 도5(a),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용 플랜지(64)를 구성하는 각 플랜지편(641, 641…)이 커넥터 삽입부(43)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 즉 접속용 리브(44)내에 삽입된다.First, with respect to the
다음에 리어 케이스(4)의 개구측으로부터 전용치구에 의하여 접속용 플랜지(64)의 표면을 가압하여 코킹하여, 도5(b),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통 고정부(642, 642)를 형성하고, 접속용 리브(44)를 도통 고정부(642, 642)와 협지부(644)로 협지한다.Next, from the opening side of the
이러한 코킹작업에 의하여 셀(6)과 리어 케이스(4)가 도통함과 아울러 리어 케이스(4)와 커넥터 본체(5)가 고정(1차고정)된다.By this caulking operation, the cell 6 and the
다음에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연통부(643, 643…)를 통하여 밀봉용 수지(C)을 커넥터 삽입부(43)의 공극내에 충전하여, 리어 케이스(4)(커넥터 삽입부(43))와 커넥터 본체(5)의 간격을 실링한다.Next, using a dispenser or the like, a sealing resin (C) is filled in the voids of the
그 때에, 고정치구로부터 이탈한 상태이더라도 셀(6)과 리어 케이스(4)가 도통 고정부(642, 642)와 협지부(644)에 의하여 협지되어 1차고정이 완료하고 있으므로, 밀봉용 수지(C)을 충전하여도 그 압력에 의하여 리어 케이스(4)로부터 커넥터 본체(5)가 부상(浮上)하는 일이 없이, 케이스(2)의 소정의 위치에 커넥터 본체(5)가 고정된다.At that time, even in the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jig, the cell 6 and the
또한 셀(6)과 리어 케이스(4)가 도통 고정부(642, 642)와 협지부(644)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으므로 밀봉용 수지(C)가 경화되기 전에 리어 케이스(4)에 커넥터 본체(5)가 부착된 어셈블리를 이동시킬 수 있어, 밀봉용 수지(C)가 경화할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의 택트타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고, 다음의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ell 6 and the
마지막으로, 리어 케이스(4)내에 모듈(A)를 수용한 상태에서 프론트 케이스(3)를 리어 케이스(4)에 조립함으로써 모듈(A)과 커넥터 본체(5)가 접속됨과 아울러 그 상태에서 고정된다.Finally, by assembling the
이렇게 구성된 모듈용 커넥터(1)는, 금속제의 케이스(2)(리어 케이스(4))을 사용함으로써 실드성 및 방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당해 케이스(2)와 금속제의 셀(6)의 도통을 확보한 뒤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효율적으로 커넥터 삽입부(43)과 커넥터 본체(5) 사이에 밀봉용 수지(C)을 충전할 수 있어, 기밀성 및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nector 1 for modules configured in this way is excellent in shielding properties and heat dissipation properties by using a metal case 2 (rear case 4), and conduction between the
또한 케이스(2)와 커넥터 본체(5)가 코킹에 의하여 1차고정되므로, 밀봉용 수지(C)의 충전전의 상태 및 밀봉용 수지(C)가 경화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치구에 의한 지지가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접속용 플랜지(64)를 복수의 플랜지편(641, 641…)으로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접속용 플랜지(64)는 한 장의 판자모양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그 경우에, 접속용 플랜지(64)에는, 판두께방향으로 관통한 구멍모양의 연통부(643, 64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which comprised the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도통 고정부(642)를 코킹에 의하여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외의 다른 방법, 예를 들면 레이저 가공 등으로 접속용 플랜지(64)의 표면을 소성변형시켜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동축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커넥터 본체(5)의 태양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커넥터가 인슐레이터(8)에 의하여 지지되는 다극 커넥터이더라도 좋다.Incidentally, in the above embodiment, a coaxial connector was used as an example, but the aspect of the
A 모듈(카메라 모듈)
B 동축 케이블
B1 외부피복
B2 외부도체
B3 중심도체
C 밀봉용 수지
1 모듈용 커넥터
2 케이스
3 프론트 케이스
4 리어 케이스
41 주벽부
42 단판부
43 커넥터 삽입부
431 볼록부
432 공극부
44 접속용 리브
441 개구
5 커넥터 본체
6 셀
61 외부셀
611 확경부
612 스토퍼부
613 콘택트용 결합부
62 외부 콘택트 부재
621 확경 결합부
622 탄성 접촉편부
623 접점부
63 케이블 홀딩부재
631 뚜껑부
632 케이블 접속부
64 접속용 플랜지
641 플랜지편
642 도통 고정부
643 연통부
644 협지부
7 콘택트
8 인슐레이터
81 콘택트 수용공
82 기밀용 수지
9 외부커버
91 위치결정용 오목부A module (camera module)
B coaxial cable
B1 outer covering
B2 external conductor
B3 center conductor
C sealing resin
1 Connector for module
2 cases
3 front case
4 rear case
41 main wall
42 veneer
43 connector insert
431 convex
432 void
44 rib for connection
441 opening
5 connector body
6 cells
61 foreign cells
611
612 stopper part
613 joint for contact
62 External contact member
621 enlarged diameter coupling part
622 elastic contact piece
623 contact
63 cable holding member
631 cover
632 cable connection
64 connection flange
641 flange piece
642 continuity fixing part
643 communication part
644
7 contact
8 insulator
81 contact acceptor
82 airtight resin
9 outer cover
91 Recess for positioning
Claims (6)
상기 케이스에는, 내부와 통하게 하고 커넥터 본체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측 개구 내측면에서 돌출시킨 접속용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 삽입되는 금속제의 셀과, 상기 셀의 외주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내주의 사이를 봉쇄하는 밀봉용 수지를 구비하고,
상기 셀은,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에 삽입된 접속용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플랜지는, 상기 밀봉용 수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판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케이스내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와, 상기 접속용 리브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 가장자리부에 압접된 도통 고정부와, 외주면에서 돌출시킨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용 리브가 상기 도통 고정부와 상기 협지부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용 커넥터.
A connector for a module attached to a conductive metal case in which a module is accommodated by a sealing resin and connected to a module accommodated in the case, comprising:
The cas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insertion section through which the connector body is inserted and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and a connecting rib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inside the case in the connector insertion section
The connector body includes a metal cell inserted into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 and a sealing resin for sealing between an outer periphery of the cell and an inner periphery of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The cell includes a flange for connec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inside the case of the connector insertion part,
The connecting flange includes a communicating portion penetrating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for filling the sealing resin and allowing the inside of the case and 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to pass through, and the conducting portion press-contacted to the opening edge of the cas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rib. A fixing part and a clamping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onnector for a module, wherein the connecting rib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duction fixing part and the clamping part .
상기 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외측 개구를 폐쇄하는 수지제의 외부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의 상기 외부커버의 단부와 상기 접속용 플랜지 사이에 상기 밀봉용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모듈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
and a resin outer cover disposed outside the cell and closing the outer opening of the connector insertion unit, wherein the sealing resin is filled between the end of the outer cover in the connector insertion unit and the connecting flange. connector for the attached module.
상기 케이스에는, 내부와 통하게 하고 커넥터 본체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부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측 개구 내측면에서 돌출시킨 접속용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 상기 커넥터 본체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셀을 삽입하고, 상기 셀의 외주보다 돌출시킨 접속용 플랜지를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에 삽입한 후에 -상기 접속용 플랜지는 외주면에서 돌출시킨 협지부를 구비함-,
상기 접속용 플랜지를 코킹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압접시켜서 도통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속용 리브를 상기 도통 고정부와 상기 협지부에 협지하고,
그런 뒤에, 상기 케이스 내부측에서 상기 접속용 플랜지를 판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부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에 밀봉용 수지를 충전하고, 상기 셀의 외주와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내주의 사이를 봉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용 커넥터의 부착방법.
A method for attaching a connector for a module, wherein a connector for a module is attached to a conductive metal case in which a module is accommodated with a sealing resin, and the module accommodated in the cas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for a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The cas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insertion section through which the connector body is inserted and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and a connecting rib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inside the case in the connector insertion section
After inserting a metal cell constituting the connector body into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and inserting a connecting flang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ll into the case inner opening of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 the connecting flange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
By caulking the connection flange to press-fit the opening edge of the connector insertion part to form a continuity fixing part, the connection rib is clamped between the continuity fixing part and the clamping part ,
Then, filling the sealing resin into 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through a communication portion penetrating the connecting flang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case, and sealing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ll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A method of attaching a connector for a module characterized by its characteristics.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 상기 셀을 삽입하고, 상기 셀의 외주보다 돌출시킨 접속용 플랜지를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케이스 내부측 개구에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셀의 외측에 배치된 수지제의 외부커버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외측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커넥터 삽입부내의 상기 외부커버의 단부와 상기 접속용 플랜지 사이에 공극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상기 공극부내에 상기 밀봉용 수지를 충전하는 모듈용 커넥터의 부착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
Inserting the cell into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and inserting a connecting flang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ll into the case inner opening of the connector inserting part,
An outer opening of the connector insert is closed by a resin outer cover disposed outside the cell, and a gap is formed between an end of the outer cover in the connector insert and the connecting flange, and through the communicating portion A method of attaching a connector for a module in which the sealing resin is filled in the cavity .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케이스 내부측을 위로 향하게 하여 각 공정을 실시하는 모듈용 커넥터의 부착방법.5. The method of claim 3 or 4 ,
A method of attaching a connector for a module in which each process is performed with the inside of the case inside of the connector insertion part facing upw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78754 | 2017-09-19 | ||
JP2017178754A JP6617887B2 (en) | 2017-09-19 | 2017-09-19 | Modul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2154A KR20190032154A (en) | 2019-03-27 |
KR102433125B1 true KR102433125B1 (en) | 2022-08-16 |
Family
ID=6576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4851A Active KR102433125B1 (en) | 2017-09-19 | 2017-12-19 | A connector for the modul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617887B2 (en) |
KR (1) | KR102433125B1 (en) |
CN (1) | CN109524826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78672B2 (en) * | 2018-01-04 | 2021-12-08 | 山一電機株式会社 | In-vehicle camera module connector and in-vehicle camera module |
JP7280558B2 (en) | 2020-10-12 | 2023-05-24 | Smk株式会社 | Floating structure of coaxial connector |
JP2024048075A (en) | 2022-09-27 | 2024-04-08 | ホシデン株式会社 | Connector Module |
WO2024181601A1 (en) * | 2023-03-02 | 2024-09-06 |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 Industrial dome surveillance camera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26568A (en) * | 2013-07-29 | 2015-02-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Electronic modul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45633A (en) * | 1983-07-22 | 1985-10-08 | Whittaker Corporation | Weatherproof positive lock connector |
US4881912A (en) * | 1988-04-29 | 1989-11-21 | Specialty Connector Company, Inc. | High voltage coaxial connector |
JP3262694B2 (en) * | 1995-10-09 | 2002-03-0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Mounting structure of coaxial connector |
JP4369339B2 (en) * | 2004-10-08 | 2009-11-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Connector seal structure |
JP2009290527A (en) * | 2008-05-29 | 2009-12-10 | Rohm Co Ltd | Camera module |
JP5573928B2 (en) * | 2012-11-29 | 2014-08-20 | Smk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dule equipment and outside |
JP6163455B2 (en) * | 2014-05-28 | 2017-07-12 | Smk株式会社 | Airtight coaxial connector |
JP2016024863A (en) * | 2014-07-16 | 2016-02-08 | 矢崎総業株式会社 | connector |
CN205646299U (en) * | 2016-05-12 | 2016-10-12 |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 Camera and tail wire structure |
-
2017
- 2017-09-19 JP JP2017178754A patent/JP6617887B2/en active Active
- 2017-12-19 KR KR1020170174851A patent/KR102433125B1/en active Active
- 2017-12-27 CN CN201711441802.6A patent/CN109524826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26568A (en) * | 2013-07-29 | 2015-02-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Electronic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2154A (en) | 2019-03-27 |
JP6617887B2 (en) | 2019-12-11 |
CN109524826B (en) | 2021-02-02 |
CN109524826A (en) | 2019-03-26 |
JP2019053943A (en) | 2019-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76341B2 (en) |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2433125B1 (en) | A connector for the module | |
CN110710064B (en) | Connector assembly | |
US9368902B2 (en) | Connector | |
JP5757153B2 (en) | Coaxial connector device | |
KR102647718B1 (en) | A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ready-made cable | |
US9431756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JP6092237B2 (en) | Shielded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ielded plug connector | |
JP2006092779A (en) | Connector with liquid intrusion prevention structure | |
KR20150136984A (en) | Airtight coaxial connector | |
CN109428217B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8925189B2 (en) |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1656514B1 (en) | Connector Apparatus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 |
CN102742089B (en) | Socket casing | |
KR102242835B1 (en) |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80358740A1 (en) | Shield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 |
CN101588004B (en) | A connector | |
CN107230848A (en) | L-type coaxial connector | |
US20240235104A1 (en) | Connector | |
US5762524A (en) | Waterproof structure of solderless connector | |
JP2011060426A (en) | Connector | |
JP2009099410A (en) | Waterproof connector | |
CN220857140U (en) |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connector assembly | |
CN216671963U (en) | Terminal blocks,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 |
KR20190025484A (en) | Case for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