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263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638B1
KR102432638B1 KR1020200062767A KR20200062767A KR102432638B1 KR 102432638 B1 KR102432638 B1 KR 102432638B1 KR 1020200062767 A KR1020200062767 A KR 1020200062767A KR 20200062767 A KR20200062767 A KR 20200062767A KR 102432638 B1 KR102432638 B1 KR 10243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isplay
display device
processor
satisf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933A (ko
Inventor
박대건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638B1/ko
Priority to PCT/KR2020/007542 priority patent/WO2021241793A1/ko
Priority to US17/928,182 priority patent/US12234941B2/en
Publication of KR2021014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6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8Computer housing designed to operate in both desktop and tower ori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바 및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상기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헤드의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헤드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헤드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헤드가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스마트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 등과 같은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다. 반대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드를 자연스럽게 회전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기의 파손 위험이 적은 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에 있다.
본 개시가 해결과자 하는 과제는 헤드의 회전을 잠금에 따라 불필요한 기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바 및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상기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헤드의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헤드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헤드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일정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세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둘레부의 일정 파트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세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일정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둘레부의 일정 파트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헤드의 특정 파트를 잡고 회전시키라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탠드 바 또는 상기 베이스가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는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라도, 상기 해드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바 또는 상기 베이스는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헤드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관통홈, 상기 헤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스탠드 바에 연결된 커넥팅 바, 상기 헤드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넥팅 바에 의해 지지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가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기기의 파손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의 회전을 가이드하여, 사용자가 쉽게 헤드를 회전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의 회전 의도가 없을 시, 헤드의 회전을 잠금에 따라 불필요한 기기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pivot)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시에 커넥팅 바의 궤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가로 모드일 때 제1아우터 레일의 단부 및 그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제2아우터 레일의 단부 및 그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을 위해 사용되는 표시 영역의 일정 영역, 둘레부의 일정 파트를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헤드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에 대한 취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pivot)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와, 스탠드 바(20)와, 헤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베이스(1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베이스(10)와 헤드(30)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둘레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스탠드바 연결부(19)가 형성될 수 있고,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상기 스탠드바 연결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헤드(30)는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헤드(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에는 영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32)와 한 쌍의 단변(short side)(33)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 방향과 단변(33)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L1)는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헤드(30)는 장변(32)이 수평하고 단변(33)이 수직한 가로 모드(Landscape mode)(도 1 참조)와, 장변(32)이 수직하고 단변(33)이 수평한 세로 모드(Portrait mode)(도 2 참조) 사이에서 피봇(pivot)될 수 있다.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베이스(10)와 동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10)의 상측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좌우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가로 모드인 헤드(30)는 베이스(1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세로 모드인 헤드(3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와 단변의 길이(L2)를 합한 것(L1+L2)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헤드(30)의 둘레부(32)(33)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헤드(30)의 둘레부(32)(33)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가 헤드(30)의 배면이 아닌 둘레부(32)(33)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30)의 배면을 다른 용도(예를 들어, 거울)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마주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단변(33)을 마주볼 수 있다. 세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장변(32)을 마주볼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에는 관통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34)은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헤드(30)는 상기 관통홈(34)을 통해 스탠드 바(2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에는 상기 관통홈(34)을 향해 돌출된 연결핀(22)(도 10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2)은 관통홈(34)을 통해 후술할 커넥팅 바(40)에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홈(34)은, 단변(33)에 관통 형성된 제1홈(35)과, 장변(32)에 관통 형성된 제2홈(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5)은 단변(33)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홈(36)은 장변(3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홈(35)과 제2홈(36)은 연결될 수 있다. 제1홈(35)과 제2홈(36)은 둘레부(32)(33)의 모서리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홈(35)은 한 쌍의 단변(33)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5)의 길이는 단변(33)의 길이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제2홈(36)은 한 쌍의 장변(3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6)의 길이는 장변(32)의 길이보다 짧고, 장변(32)의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의 피봇 시에 스탠드 바(20)의 연결핀(22)은 관통홈(34)을 통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는 제1홈(35)을 통해 헤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세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는 제2홈(36)을 통해 헤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수평축(axis)(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x1)은 스탠드 바(20)의 연결핀(22)(도 10 참조)과 대응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평축(x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트(tilt)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틸트는 헤드(30)의 피봇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가로 모드일때도 틸트 가능하고 세로 모드일때도 틸트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는 스탠드 바(20)와 함께 베이스(10)에 대해 수직축(axis)(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스탠드바 연결부(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수직축(x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전환되는 스위블(swivel)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스위블 동작은 헤드(30)의 피봇 및 틸트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가로 모드일때도 스위블 가능하고 세로 모드일때도 스위블 가능하며, 소정의 각도로 틸트된 상태에서도 스위블 가능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특히, 도 5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헤드(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 인터페이스(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서(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Camera, 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단말기(1)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디스플레이 장치(1)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 인터페이스(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 인터페이스(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 인터페이스(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외부 서버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시에 커넥팅 바의 궤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커넥팅 바(40)와, 아우터 레일(50)과, 이너 레일(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헤드(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관통홈(34)(도 3 참조)을 통해 스탠드 바(2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헤드(30)의 피봇 시에 헤드(3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1)의 단부에는 연결핀(22)이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21)는 관통홈(34)을 통과하지 못하는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21)는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수평 방향에 대해 스탠드 바(20)와 이격시킬 수 있다. 즉, 헤드(30)의 둘레부(32)(33)와 스탠드 바(20)의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스탠드 바(20)와 간섭하지 않고 원활하게 피봇될 수 있다.
연장핀(22)은 돌출부(21)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관통홈(34)으로 삽입될 수 있고, 커넥팅 바(4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장핀(22)은 커넥팅 바(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커넥팅 바(40)와 함께 연장핀(22)에 대해 틸트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의 길이(L0)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의 절반보다 짧고, 헤드(30)의 단변(33)의 길이(L2)의 절반보다 길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 및 이너 레일(60)은 헤드(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고, 헤드(30)의 피봇시에 헤드(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너 레일(60)은 아우터 레일(50)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레일(50)은 헤드(30)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헤드(30)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은 관통홈(34)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곡선 궤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은 제1힌지(71)로 커넥팅 바(6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제2힌지(72)로 커넥팅 바(6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바(40)의 외측 단부는 제1힌지(71)로 아우터 레일(50)과 연결될 수 있고, 커넥팅 바(40)의 내측 단부는 제2힌지(72)로 이너 레일(6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의 힌지축은 헤드(3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31)와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의 힌지축은 스탠드 바(20)의 연결핀(22)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는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구속될 수 있다. 제1힌지(71)는 아우터 레일(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구속될 수 있고, 제2힌지(72)는 이너 레일(6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의 피봇 시에,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의 커넥팅 바(40)에 대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일(50)은 제1힌지(71)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제2힌지(72)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강체이고 길이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의 피봇 궤도는 아우터 레일(50) 및 이너 레일(6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은, 헤드(30)의 단변(33)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아우터 레일(51)과, 헤드(30)의 장변(32)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아우터 레일(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은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는 헤드(3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은 제2아우터 레일(52)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는 아우터 레일(50)의 절곡부일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은 직교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의 길이(L3)는 헤드(30)의 단변(33)의 길이(L2)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L2)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제2아우터 레일(52)의 길이(L4)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고, 장변(32)의 길이(L1)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이너 레일(60)은 제1이너 레일(61)과, 제1이너 레일(61)에서 절곡된 제2이너 레일(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은 연결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은 제2이너 레일(62)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의 연결부(60b)는 이너 레일(60)의 절곡부일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 각각은 곡선 궤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너 레일(62)의 길이는 제1이너 레일(6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이 이루는 각도(r)는 90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제1힌지(71)는 아우터 레일(50)의 일 단부(50a), 즉 제1아우터 레일(51)의 단부(50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72)는 이너 레일(60)의 일 단부(60a), 즉 제1이너 레일(61)의 단부(60a)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제1이너 레일(61)은 커넥팅 바(40)에 의해 제1아우터 레일(51)과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아우터 레일(50)의 일 단부(50a)와 이너 레일(60)의 일 단부(60a)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헤드(30)의 피봇 동작 시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는 제1힌지(71)를 지날 수 있다. 또한,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의 연결부(60b)는 제2힌지(72)를 지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제1힌지(71)는 아우터 레일(50)의 타 단부(50c), 즉 제2아우터 레일(52)의 단부(50c)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72)는 이너 레일(60)의 타 단부(60c), 즉 제2이너 레일(62)의 단부(60c)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제2이너 레일(62)은 커넥팅 바(40)에 의해 제2아우터 레일(52)과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아우터 레일(50)의 타 단부(50c)와 이너 레일(60)의 타 단부(60c)를 연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아우터 레일(50)에 포함된 복수개의 지점은 이너 레일(60)에 포함된 복수개의 지점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거리는 상기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아우터 레일(51)의 단부(50a)와 제1이너 레일(61)의 단부(60a) 사이의 거리는,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아우터 레일(52)의 단부(50c)와 제2이너 레일(62)의 단부(60c) 사이의 거리는,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부터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의 연결부(60b)까지의 거리는,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4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고도 헤드(30)의 피봇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한편, 헤드(3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래치(81)(82)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81)(82)는 커넥팅 바(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래치(81)(82)는 헤드(30)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30)에는 래치(81)(82)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에 의해 래치(81)(82)가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40)가 래치(81)(82)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81)(82)가 헤드(3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헤드(30)는 가로 모드 상태를 유지하거나 세로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가가 헤드(30)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커넥팅 바(40)가 래치(81)(82)에 걸리지 않고 헤드(30)의 피봇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래치(81)(82)는, 헤드(30)의 가로 모드시에 헤드(30)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키는 제1래치(81)와, 헤드(30)의 세로 모드시에 헤드(30)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키는 제2래치(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81)는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상측에 위치한 일 돌출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81)는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하측에 위치한 타 돌출 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81)는,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가로 모드인 헤드(30)가 하측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래치(82)는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하측에 위치한 일 돌출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82)는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상측에 위치한 타 돌출 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82)는,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세로 모드인 헤드(30)가 상측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가로 모드일 때 제1아우터 레일의 단부 및 그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제2아우터 레일의 단부 및 그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아우터 레일(50)에는 제1힌지(71)가 연결되는 슬라이딩 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53)은 아우터 레일(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슬라이딩 홈(53)은 아우터 레일(50)의 일 단부(50a)부터 타 단부(50c)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은 제1힌지(71)가 슬라이딩 홈(53)에 삽입된 상태로 제1힌지(71)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53)은 제1힌지(71)를 전후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고, 아우터 레일(5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비구속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로부터 이너 레일(60)에 형성되고 제2힌지(72)가 연결되는 슬라이딩 홈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아우터 레일(50)에는 돌기(51a)(5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51a)(52a)는 커넥팅 바(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돌기(51a)(52a)는 아우터 레일(50) 및 그와 고정된 헤드(30)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일(50)에는 돌기(51a)(52a)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아우터 레일(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넥팅 바(40)에 의해 돌기(51a)(52a)가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40)가 돌기(51a)(52a)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51a)(52a)가 아우터 레일(50)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헤드(30)는 가로 모드 상태를 유지하거나 세로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가가 헤드(30)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커넥팅 바(40)가 돌기(51a)(52a)에 걸리지 않고 헤드(30)의 피봇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돌기(51a)(52a)는, 헤드(30)의 가로 모드시에 제1아우터 레일(51)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키는 제1돌기(51a)와, 헤드(30)의 세로 모드시에 제2아우터 레일(52)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키는 제2돌기(5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51a)는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돌기(51a)는 제1아우터 레일(51)의 단부(50a)와 인접하고, 슬라이딩 홈(53)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돌기(51a)는 제1래치(81)와 함께,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가로 모드인 헤드(30)가 하측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돌기(52a)는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돌기(52a)는 제2아우터 레일(52)의 단부(50c)와 인접하고, 슬라이딩 홈(53)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돌기(52a)는 제2래치(82)와 함께,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세로 모드인 헤드(30)가 상측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에는 래치(81)(82) 및 돌기(51a)(52a)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12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1)의 회전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헤드(30)의 회전 잠금 상태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와 동일한 것으로 해석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센서(140)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S1201).
일 실시 예에서, 센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31)의 표시 영역 상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 데이터일 수 있다. 터치 입력 데이터는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의 표시 영역은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센싱 데이터는 둘레부(32, 33)의 일정 영역에 구비된 접촉 센서(미도시)가 획득된 접촉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3).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은 디스플레이(31)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하나 이상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디스플에이부(31)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표시 영역 중 일정 영역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둘레부(32, 33)의 일정 영역에 접촉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레부를 구성하는 장변(32)의 제1 영역 또는 단변(33)의 제2 영역에는 접촉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장변(32)의 제1 영역 또는 단변(33)의 제2 영역 중 한 영역에 접촉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a 및 도 13b는 디스플레이(31)의 표시 영역 중 일정 영역에 터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는 예이다.
도 13a에서 디스플레이(31)는 가로 모드에 있고, 도 13b에서, 디스플레이(31)는 세로 모드에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1)는 가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31)의 회전이 잠금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의 회전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헤드(30)에 외력을 가해도, 디스플레이(31)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제1 영역(1310) 상에 터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제1 영역(1310) 상에 복수의 터치 입력들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80)는 제1 영역(1310) 상에 일정 시간 동안 터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80)는 제1 영역(131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수직 하방 방향으로 헤드(30)를 이동시키는 힘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의 제1 영역(1310)은 가로 모드 하에서, 디스플레이(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1310)의 형태는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제1 영역(1310) 내에 구비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고,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1)는 세로 모드에 있고, 디스플레이(31)의 회전이 잠금된 잠금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제2 영역(133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80)는 제2 영역(1330) 상에 복수의 터치 입력들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80)는 제2 영역(1330) 상에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80)는 제2 영역(133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헤드(30)를 수평 좌측 방향으로 미는 힘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영역(1330)은 디스플레이(31)의 세로 모드 하에서, 디스플레이(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1330)의 형태는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제2 영역(1330) 내에 구비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고,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 이상인 경우,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영역(1310) 및 제2 영역(1330)은 동일한 영역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a 및 도 14b를 설명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헤드(30)의 둘레부(32, 33)의 일정 파트 상에, 접촉이 발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에서, 디스플레이(31)는 가로 모드에 있고, 도 14b에서, 디스플레이(31)는 세로 모드에 있다.
헤드(30)는 디스플레이(31)를 감싸는 둘레부(32, 33)를 포함하고, 둘레부(32, 33)의 특정 파트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접촉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상측 장변(32)의 제1 파트(1410)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1 파트(1410)에 사용자의 접촉 또는 터치 입력이 발생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파트(1410)는 디스플레이(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세로 모드 하에서, 단변(33)의 제2 파트(1430)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2 파트(1430)에 사용자의 접촉 또는 터치 입력이 발생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디스플레이(31)의 표시 영역 중 일정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고, 둘레부(32, 33)의 일정 파트에 터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는 예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80)는 제1 영역(131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제1 파트(1410)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1 파트(1410)가 수직 하방 방향으로 가압된 경우, 디스플레이(31)를 회전축을 따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3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31)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80)는 제2 영역(133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제2 파트(1430)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15a 및 도 15b에서,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은 표시 영역 상의 터치 입력 및 둘레부(32, 33) 상의 접촉 입력이 동시에 감지된 경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기 위한 조건은 디스플레이(31)의 배치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31)의 배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영역 또는 파트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설명한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을 해제하고(S1205), 헤드(30)에 가해진 힘에 따라 디스플레이(31)를 회전축에 따라 회전시킨다(S1207).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되고, 헤드(3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헤드(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헤드(30)가 회전되는 과정은 도 6 내지 도 8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더라도,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헤드(30)는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경우, 래치(81, 82)를 가압하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모터(미도시)에 래치(81, 82)를 가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어, 래치(81, 82)가 가압되어, 디스플레이(31)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을 유지한다(S1209).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디스플레이(31)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회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6b는 디스플레이(31)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회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축(K)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31)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1)의 배치 모드는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축(K)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31)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1)의 배치 모드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을 위해 사용되는 표시 영역의 일정 영역, 둘레부의 일정 파트를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d에서는 디스플레이(31)가 가로 모드에 있음을 가정한다.
도 17a를 참조하면, 헤드(30)의 디스플레이(31)의 회전축(K)의 중심(1700)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모서리의 4개 영역들(1711, 1713, 1715, 1717)이 추출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4개 영역들(1711, 1713, 1715, 1717) 중 헤드(30)를 지지하는 스탠드 바(20)의 상단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2개의 영역(1711, 1717)이 후보 영역으로 추출될 수 있다.
그 후, 2개의 영역(1711, 1717)들 중 회전축(K)을 기준으로,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힘이 덜 들어가는 위치인 제1 영역(1711)이 회전 잠금 상태 해제를 위한 영역으로 선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헤드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헤드(30)의 특정 위치를 잡고 회전시키라는 가이드 정보(1800)를 디스플레이(3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1800)는 헤드(30)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헤드(30)의 회전이 가능함을 나타낼 수 있다.
가이드 정보(1800)는 제1 영역(1711)의 제1 파트(1410)를 잡고 회전시킴을 가이드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는 헤드(30)의 둘레부(32)에 포함된 특정 파트(1410)를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경우, 가이드 정보(1800)를 디스플레이(3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정보(1800)를 통해 헤드(30)의 어느 부분을 잡고 돌려야하는지를 가이드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시, 기기를 파손될 위험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이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이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면서, 디스플레이(31)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회전이 시작되면, 디스플레이(31)가 회전 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거나,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가 기울어지는 경우,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되어도,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회전 잠금에 대한 취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이동을 위해,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스탠드 바(20) 또는 베이스(10)에 각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각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스탠드 바(20) 또는 베이스(1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스탠드 바(20) 또는 베이스(1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라 할지라도, 디스플레이(31)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가 이동 중에 있을지라도, 디스플레이(31)는 고정되어, 불필요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바; 및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상기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헤드의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헤드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헤드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일정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가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세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일정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둘레부의 일정 파트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헤드의 특정 파트를 잡고 회전시키라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탠드 바 또는 상기 베이스가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는 경우,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라도,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 또는 상기 베이스는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관통홈;
    상기 헤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스탠드 바에 연결된 커넥팅 바;
    상기 헤드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넥팅 바에 의해 지지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회전 잠금 해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62767A 2020-05-26 2020-05-26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43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67A KR102432638B1 (ko) 2020-05-26 2020-05-26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07542 WO2021241793A1 (ko) 2020-05-26 2020-06-10 디스플레이 장치
US17/928,182 US12234941B2 (en) 2020-05-26 2020-06-1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67A KR102432638B1 (ko) 2020-05-26 2020-05-2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33A KR20210145933A (ko) 2021-12-03
KR102432638B1 true KR102432638B1 (ko) 2022-08-16

Family

ID=7874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767A Active KR102432638B1 (ko) 2020-05-26 2020-05-2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234941B2 (ko)
KR (1) KR102432638B1 (ko)
WO (1) WO2021241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922A (ko) * 2021-12-30 202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4385B2 (ja) * 2004-09-14 2009-10-14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235084A (ja) * 2012-05-08 2013-11-21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転倒防止方法
US20180080598A1 (en) * 2016-09-20 2018-03-22 Apple Inc. Counterbalanced display stan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25385A (en) * 2005-12-27 2007-07-01 Amtran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utomatically rotated frame and method thereof
TWI321677B (en) * 2006-03-29 2010-03-11 Benq Corp Positioning device with an angle-adjustable function
KR100869563B1 (ko) * 2007-08-10 2008-11-21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기울기 잠금형 모니터 스탠드장치
TWM511577U (zh) 2015-08-21 2015-11-01 Syncmold Entpr Corp 用以支撐顯示裝置的支撐座
KR102393729B1 (ko) * 2017-08-31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8450B1 (ko) * 2020-03-31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4385B2 (ja) * 2004-09-14 2009-10-14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235084A (ja) * 2012-05-08 2013-11-21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転倒防止方法
US20180080598A1 (en) * 2016-09-20 2018-03-22 Apple Inc. Counterbalanced display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793A1 (ko) 2021-12-02
US12234941B2 (en) 2025-02-25
KR20210145933A (ko) 2021-12-03
US20230243460A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8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69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61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3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991458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308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43063A1 (en) Authent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4155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274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2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88640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4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19303B1 (ko)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601621B2 (ja) 画像形成装置、プリント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ト制御プログラム
KR101305947B1 (ko) 랩어라운드 영상을 이용한 로봇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098668A (ja) 投影制御装置、ロボットおよび投影制御装置の投影制御方法
CN113452831B (zh) 显示器装置
JP2016018448A (ja) 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入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