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30924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924B1
KR102430924B1 KR1020170113809A KR20170113809A KR102430924B1 KR 102430924 B1 KR102430924 B1 KR 102430924B1 KR 1020170113809 A KR1020170113809 A KR 1020170113809A KR 20170113809 A KR20170113809 A KR 20170113809A KR 102430924 B1 KR102430924 B1 KR 10243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ubstrates
connector
printed circuit
ground
signal tra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137A (ko
Inventor
금봉환
김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to KR102017011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9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9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된다. 상기 커넥터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절연 기판들과, 상기 절연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과, 상기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접지 패드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들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신호 케이블 또는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을 이용하는 커넥터 조립체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반도체 패키지들에 대한 번인 테스트를 위해 사용되는 테스트 보드와 번인 보드 사이는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을 갖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들은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이 장착되는 복수의 절연 기판들과 상기 절연 기판들이 적층 형태로 수납되는 하우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에 의한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들에 대한 번인 테스트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637호 (등록일자 2014년 07월 25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절연 기판들과, 상기 절연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과, 상기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접지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접지 패드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접지 패드를 관통하는 정렬 샤프트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들 각각의 제1 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이 삽입되는 제1 그루브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들 각각의 일측에는 다른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플러그들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플러그들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들 각각의 일측에는 다른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소켓홈들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소켓홈들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소켓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신호 트레이스들은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들 각각의 제2 측면에는 상기 접지 패드가 삽입되는 제1 리세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접지 패드들은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접지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접지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통 접지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절연 기판들 각각은 인접하는 절연 기판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제1 절연 기판들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 커넥터 사이에서의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 접지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제2 절연 기판들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 커넥터 사이에서의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 접지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1 접지 패드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1 접지 패드를 관통하는 제1 정렬 샤프트에 의해 정렬되며,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2 접지 패드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2 접지 패드를 관통하는 제2 정렬 샤프트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플러그들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플러그들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플러그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소켓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소켓홈들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소켓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단자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지 패드들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접지 단자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지 패드들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접지 단자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접지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공통 접지 영역이 구비되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2 접지 패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공통 접지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중 최외측 제1 절연 기판에 장착된 제1 접지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제2 접지 패드들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중 최외측 제2 절연 기판에 장착된 제2 접지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결합되는 제2 연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 중 하나는 소켓 또는 포고 핀을 구비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소켓에 대응하는 플러그 또는 상기 포고 핀에 대응하는 접촉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커넥터는 제1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장착되는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을 구비하며, 제2 커넥터는 제2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장착되는 제2 신호 트레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는 제1 접지 패드가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는 제2 접지 패드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에서의 신호 간섭이 상기 제1 접지 패드들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은 상기 제2 접지 패드들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지 패드들은 제1 인쇄회로기판의 제1 공통 접지 영역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지 패드들은 제2 인쇄회로기판의 제2 공통 접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지 패드들 중 최외측 제1 접지 패드는 연결 부재들에 의해 상기 제2 접지 패드들 중 최외측 제2 접지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접지 패드들과 상기 제2 접지 패드들이 모두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접지 용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신호 간섭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커넥터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과 제1 접지 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신호 트레이스들과 제1 접지 패드를 제1 절연 기판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절연 기판의 제1 측면 상에 장착된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절연 기판의 제2 측면 상에 장착된 제1 접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절연 기판의 제1 측면 상에 장착된 제2 신호 트레이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제2 절연 기판의 제2 측면 상에 장착된 제2 접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1 하우징에 제1 절연 기판들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접지 패드들과 제2 접지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연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3 연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2)는 인쇄회로기판들(10, 2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들(10, 20) 사이에서의 신호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2)는 제1 인쇄회로기판(10)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인쇄회로기판(20)에 장착되는 제2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조립체(2)는 반도체 패키지들의 번인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보드와 번인 보드 사이에서 신호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00)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제1 절연 기판들(110)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이 수용되는 제1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의 제1 측면들(110A; 도 5 참조) 상에는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의 제2 측면들(110B; 도 6 참조) 상에는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 접지 패드들(13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200)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제2 절연 기판들(210)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이 수용되는 제2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의 제1 측면들(210A; 도 7 참조) 상에는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의 제2 측면들(210B; 도 8 참조) 상에는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접지 패드들(23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커넥터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과 제1 접지 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 신호 트레이스들과 제1 접지 패드를 제1 절연 기판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절연 기판의 제1 측면 상에 장착된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은 제1 절연 기판의 제2 측면 상에 장착된 제1 접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절연 기판의 제1 측면 상에 장착된 제2 신호 트레이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8은 제2 절연 기판의 제2 측면 상에 장착된 제2 접지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절연 기판(110)의 제1 측면(110A)에는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절연 기판(110)의 제2 측면(110B)에는 제1 접지 패드(1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기판(110)과 상기 제1 접지 패드(130)는 제1 정렬 샤프트(150)에 의해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샤프트(150)는 상기 제1 하우징(140)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 및 상기 제1 접지 패드들(130)을 상기 제1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과 상기 제1 접지 패드들(130)에는 상기 제1 정렬 샤프트(150)가 삽입되는 정렬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과 상기 제2 접지 패드들(230)은 제2 정렬 샤프트(250)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렬 샤프트(250)는 상기 제2 하우징(240)과 제2 절연 기판들(210) 및 상기 제2 접지 패드들(230)을 상기 제2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과 상기 제2 접지 패드들(230)에는 상기 제2 정렬 샤프트(250)가 삽입되는 정렬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연 기판(110)의 제1 측면(110A)에는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이 삽입되는 제1 그루브들(1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절연 기판(110)의 제2 측면(110B)에는 상기 제1 접지 패드(130)가 삽입되는 제1 리세스(114)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지 패드(130)의 가장자리 부위들에는 고정을 위한 제1 고정핀들(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리세스(114) 내에는 상기 제1 고정핀들(132)이 삽입되는 제1 고정홈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그루브들(112)과 제1 리세스(114)는 인접하는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과 제1 접지 패드(13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 각각에는 인접하는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과 제1 접지 패드(13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제1 절연 기판(110)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스페이서들(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연 기판(210)의 제1 측면(210A)에는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이 삽입되는 제2 그루브들(2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 기판(210)의 제2 측면(210B)에는 상기 제2 접지 패드(230)가 삽입되는 제2 리세스(214)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접지 패드(230)의 가장자리 부위들에는 고정을 위한 제2 고정핀들(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리세스(214) 내에는 상기 제2 고정핀들(232)이 삽입되는 제2 고정홈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루브들(212)과 제2 리세스들(214)의 경우에도 서로 인접하는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과 제2 접지 패드(23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 각각에는 인접하는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과 제2 접지 패드(23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제2 절연 기판(210)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스페이서들(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단자들(122)과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과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 단자들(124)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은 사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 단자들(122)과 상기 플러그 단자들(124)은 서로 수직하는 방향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및 측방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기판(110)의 일측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연 기판(210)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플러그들(1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단자들(124)은 상기 플러그들(116)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 단자들(222)과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과의 연결을 위한 소켓 단자들(22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은 사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단자들(222)과 상기 소켓 단자들(224)은 서로 수직하는 방향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및 측방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기판(210)의 일측에는 복수의 플러그들(116)과 대응하는 즉 상기 플러그들(116)이 삽입되는 소켓홈들(2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켓 단자들(224)은 상기 소켓홈들(216)의 내측면들에 상기 플러그 단자들(124)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켓 단자들(224)은 상기 소켓홈들(216)의 내측 상부면과 내측 하부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연 기판(110)의 제2 측면(110B)에 장착된 제1 접지 패드(130)의 하부는 상기 제1 절연 기판(110)의 제1 측면(110A)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지 패드(130)는 상기 절곡된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접지 단자(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 패드(130)의 하부의 절곡된 부위는 상기 제1 접지 단자(134)와 상기 제1 측면(110A)에 장착된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의 제1 연결 단자들(122)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절연 기판(210)의 제2 측면(210B)에 장착된 제2 접지 패드(230)의 하부는 상기 제1 접지 패드(130)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제2 절연 기판(210)의 제1 측면(210A)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지 패드(230)는 상기 절곡된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 접지 단자(23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제1 연결 단자들(122)과 제1 접지 단자들(134)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커넥터(200)의 제2 연결 단자들(222)과 제2 접지 단자들(234)은 제2 인쇄회로기판(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10)에는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에 장착된 제1 접지 단자들(134)을 서로 연결하는 제1 공통 접지 영역(12) 또는 제1 공통 접지 배선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20)에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에 장착된 제2 접지 단자들(234)을 서로 연결하는 제2 공통 접지 영역(22) 또는 제2 공통 접지 배선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1 하우징에 제1 절연 기판들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140)은 길게 연장하는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의 장착을 위해 인접하는 두 개의 측면들이 개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하우징(140)의 내측면들에는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제1 정렬 슬롯들(142)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하우징(240)의 경우에도 길게 연장하는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의 장착을 위해 두 개의 측면들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40)의 내측면들에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의 정렬을 위한 제2 정렬 슬롯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제1 접지 패드들(130)과 상기 제2 커넥터(200)의 제2 접지 패드들(23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접지 패드들과 제2 접지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연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2는 제3 연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는 상기 제1 접지 패드들(130)과 제2 접지 패드들(230)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들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내측면들 중 하나에는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 중 최외측 제1 절연 기판(110)의 제2 측면(110B)에 장착된 제1 접지 패드(130)와 접촉되는 제1 연결 부재(1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24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내측면들 중 하나에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 중 최외측 제2 절연 기판(210)의 제2 측면(210B)에 장착된 제2 접지 패드(230)와 접촉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160)와 대응하는 제2 연결 부재(2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160)와 제2 연결 부재(260)는 각각 소켓과 플러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결합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160)는 인접하는 제1 접지 패드(130)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돌기들(16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연결 부재(260)의 경우에도 인접하는 제2 접지 패드(260)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돌기들(26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14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내측면들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 중 다른 최외측 제1 절연 기판(110)의 제2 측면(110B)에 장착된 제1 접지 패드(130)와 접촉되는 제3 연결 부재(1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 부재(170)는 상기 제1 접지 패드(130)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단자(17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다른 최외측 제1 절연 기판(110)에는 상기 제3 연결 부재(170)의 접촉 단자(172)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하우징(24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내측면들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 연결 부재(170)와 대응하는 제4 연결 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 중 다른 최외측 제2 절연 기판(210)의 제2 측면(210B)에 장착된 제2 접지 패드(2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 부재의 경우에도 상기 제3 연결 부재(170)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제2 접지 패드(230)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4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접지 패드(230)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단자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다른 최외측 제2 절연 기판(210)에는 상기 제4 연결 부재의 접촉 단자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연결 부재(1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재(264)와의 탄성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포고 핀(16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 부재(264)는 상기 포고 핀(166)과 대응하는 접촉 단자(26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 및 소켓의 형태와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164, 264)의 내구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연결 부재(164)와 제2 연결 부재(264)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므로 상기 도시된 세부 구조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커넥터(100)는 제1 절연 기판들(110)의 제1 측면들(110A)에 장착되는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을 구비하며, 제2 커넥터(200)는 제2 절연 기판들(210)의 제1 측면들(210A)에 장착되는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기판들(110)의 제2 측면들(110B)에는 제1 접지 패드(130)가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 기판들(210)의 제2 측면들(210B)에는 제2 접지 패드(23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120) 사이에서의 신호 간섭이 상기 제1 접지 패드들(130)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220) 사이의 신호 간섭은 상기 제2 접지 패드들(230)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지 패드들(130)은 제1 인쇄회로기판(10)의 제1 공통 접지 영역(1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지 패드들(230)은 제2 인쇄회로기판(20)의 제2 공통 접지 영역(2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지 패드들(130) 중 최외측 제1 접지 패드(130)는 연결 부재들에 의해 상기 제2 접지 패드들(230) 중 최외측 제2 접지 패드(230)와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접지 패드들(130)과 상기 제2 접지 패드들(230)이 모두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 조립체(2)의 접지 용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조립체(2)의 신호 간섭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커넥터 조립체 10 : 제1 인쇄회로기판
12 : 제1 공통 접지 영역 20 : 제2 인쇄회로기판
22 : 제2 공통 접지 영역 100 : 제1 커넥터
110 : 제1 절연 기판 120 : 제1 신호 트레이스
130 : 제1 접지 패드 140 : 제1 하우징
150 : 제1 정렬 샤프트 160 : 제1 연결 부재
200 : 제2 커넥터 210 : 제2 절연 기판
220 : 제2 신호 트레이스 230 : 제2 접지 패드
240 : 제2 하우징 250 : 제2 정렬 샤프트
260 : 제2 연결 부재

Claims (18)

  1. 인쇄회로기판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고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의 반대면인 제2측면을 가지는 복수의 제1 절연 기판들; 상기 제1 절연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1 하우징; 상기 제1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 커넥터 사이에서의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 및 상기 제1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되 상기 제1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1 접지 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적층된 형태로 제공되고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의 반대면인 제2측면을 가지는 복수의 제2 절연 기판들;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하우징;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의 제1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 커넥터 사이에서의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 및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의 제2 측면들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되 상기 제2 신호 트레이스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접지 패드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지 패드들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접지 단자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지 패드들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접지 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는 제1 절연 기판들에 각각 구비된 제1 접지 단자를 모두 연결하는 제1 공통 접지 배선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에 각각 구비된 제2 접지 단자를 모두 연결하는 제2 공통 접지 배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중 최외측 제1 절연 기판에 장착된 제1 접지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제2 접지 패드들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중 최외측 제2 절연 기판에 장착된 제2 접지 패드와 접촉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접속될 수 있는 제2 연결 부재가 구비되되,
    제1 접지 패드들과 상기 제2 접지 패드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접지 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1 접지 패드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1 접지 패드를 관통하는 제1 정렬 샤프트에 의해 정렬되며,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2 접지 패드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및 상기 제2 접지 패드를 관통하는 제2 정렬 샤프트에 의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기판들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플러그들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플러그들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단자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2 절연 기판들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플러그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소켓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소켓홈들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소켓 단자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 단자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신호 트레이스들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 단자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13809A 2017-09-06 2017-09-06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Active KR10243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09A KR102430924B1 (ko) 2017-09-06 2017-09-06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09A KR102430924B1 (ko) 2017-09-06 2017-09-06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37A KR20190027137A (ko) 2019-03-14
KR102430924B1 true KR102430924B1 (ko) 2022-08-10

Family

ID=6575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09A Active KR102430924B1 (ko) 2017-09-06 2017-09-06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917A1 (ko) 2019-03-08 2020-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도핑 실리콘 음극재, 그의 제조방법, 상기 음극재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29062B1 (ko) 2019-06-05 2021-03-18 주식회사 에이티이솔루션 Pcb를 이용한 번-인 백플레인 커넥터
TWM589914U (zh) * 2019-06-20 2020-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高速傳輸板對板連接器
CN112918593A (zh) * 2021-03-19 2021-06-08 深圳疆游进出口有限公司 平衡车及其连接器组件
KR102779516B1 (ko) * 2023-04-27 2025-03-12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테스트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740A (ja) 1996-03-29 2000-06-20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ドされたモジュール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2010123274A (ja) * 2008-11-17 2010-06-0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6508666A (ja) 2013-02-27 2016-03-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小型コネク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02Y1 (ko) * 2012-10-30 2014-06-25 세메스 주식회사 커넥터
KR101425637B1 (ko) 2013-01-21 2014-08-01 주식회사디아이 보드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740A (ja) 1996-03-29 2000-06-20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ルドされたモジュール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2010123274A (ja) * 2008-11-17 2010-06-0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6508666A (ja) 2013-02-27 2016-03-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小型コネク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37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92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9653848B2 (en) Connector
KR101816410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US748500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electrical element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US77758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member
TWI388098B (zh) 電連接器組件
KR101878049B1 (ko) 커넥터
USRE46475E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neighboring connectors
JP6537621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アセンブリ
US8939778B2 (en) Electrcial socket with LGA type coil contacts for IC package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US7503769B2 (en) Connector and pushing jig
US20090053913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JP2008004368A (ja) コネクタ
KR20200007554A (ko) 터미널 일체형 pcb 어셈블리
KR200473302Y1 (ko) 커넥터
KR102695676B1 (ko) 기판 커넥터
JP4104589B2 (ja) コネクタ
US20240364050A1 (en) Test connector
KR102723265B1 (ko) 커넥터
KR101444431B1 (ko)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412993B1 (ko) 커넥터
JP2015035546A (ja) プリント基板
KR102234997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