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9126B1 -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126B1
KR102429126B1 KR1020210005004A KR20210005004A KR102429126B1 KR 102429126 B1 KR102429126 B1 KR 102429126B1 KR 1020210005004 A KR1020210005004 A KR 1020210005004A KR 20210005004 A KR20210005004 A KR 20210005004A KR 102429126 B1 KR102429126 B1 KR 10242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injection
core
mold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727A (ko
Inventor
박춘현
김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엠
Priority to KR102021000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126B1/ko
Priority to PCT/KR2021/018778 priority patent/WO2022154274A1/ko
Publication of KR2022010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1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1Coating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12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사출을 통한 폴리머 애자의 코어 편심 개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금형 및 하금형에는 서로 형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의 일 부분에 코어 직경을 보강하는 보강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서로 형합하여 상기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갓(shed) 형상과 함께 수용된 1차 성형코어를 모두 감싸도록 절연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한 하우징 성형부가 포함되고,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 사이에는 주입된 절연재료가 서로 연통되는 오버플로우 라인이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은 코어의 휨 방지를 위해 코어 일부분직경이 보강될 수 있도록 보강사출물을 성형하고, 보강사출물이 성형된 1차 성형코어에 절연하우징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절연하우징 성형 시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부분이 코어를 성형공간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코어의 휨이 방지되어 폴리머 애자의 성형 불량 중 하나인 코어의 편심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Injection mould of polymer insulator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of the same }
본 발명은 폴리머 애자의 코어 편심 개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과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애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이하‘FRP’라 함)으로 형성되는 로드(rod)로 코어가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외면에 절연성능을 위한 폴리머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기계적 강도를 위한 FRP 로드에 절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폴리머가 사출성형되어 송전 및 배전 선로 구축시 기계적 고정은 물론 전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의 폴리머 애자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을 통해 이루어지며, 금형 내부에 FRP 로드가 배치된 뒤 스프루와 런너 및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 내부로 실리콘이 주입되어 성형된다.
이때, 상기 금형 내부에 배치되는 FRP 로드는 성형 시 양단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구조 없이 캐비티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따라서, FRP 로드에 과도한 사출압이 가해지는 경우 FRP 로드의 진직도(straightness)가 유지되지 못한 상태로 실리콘이 가교 및 성형되고, 이로 인해 최종 산물인 폴리머 애자에서 FRP 로드의 편심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폴리머 애자를 성형하는 경우 FRP 로드의 편심문제 발생 빈도는 더 높아진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0354호“고분자 애자의 사출 금형”에서는 상기와 같은 FRP 로드의 편심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게시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리머 애자의 사출 금형을 보인 도면으로, 지지봉(10)을 이용하여 FRP 봉(5)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금형은 단부에 금구(2)가 결합된 FRP 봉(5)을 고정부(3)를 이용하여 코어금형(6) 내부 캐비티(4) 중앙 부분에 배치시키고, 유압공급관(12)과 유압실린더(8)를 이용하여 지지봉(10)의 길이를 신장시키면서 FRP 봉(5)의 하부가“A”부분과 같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위치에는 유압실린더(8)와 유압공급관(12)이 개별적으로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FRP 봉(5)이 지지되는 상태에서 스프루(1)와 게이트(13)를 통해 고무재료가 주입되면 지지봉(10)이 직접 FRP 봉(5)을 지지함에 따라 이후 이루어지는 가교 및 성형이 완료된 폴리머 애자의 진직도가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FRP 봉(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설비가 더 요구됨에 따라 금형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금형 구조가 복잡해질 경우 성형을 위한 준비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대량 생산 시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KR 10-0140354 B1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의 이중 사출을 통해 진직도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폴리머 애자의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성형방법을 위한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의 보강을 위한 1차 사출과 1차 사출된 코어에 절연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2차 사출 성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은 상금형과 하금형이 형합하여 캐비티를 형성하되 상기 캐비티는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의 일 부분에 코어 직경을 보강하는 보강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상기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수용된 1차 성형코어에 복수의 갓(shed) 형상과 함께 보강사출물 및 나머지 코어 부분을 모두 감싸도록 절연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 성형부로 구분되고,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는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 쌍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금형 및 하금형에는 서로 형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의 일 부분에 코어 직경을 보강하는 보강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서로 형합하여 상기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갓(shed) 형상과 함께 수용된 1차 성형코어를 모두 감싸도록 절연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한 하우징 성형부가 포함되고,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 사이에는 주입된 절연재료가 서로 연통되는 오버플로우 라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는 상기 하우징 성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갓(shed)이 이루는 이격 거리 이내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성형부에는 상기 1차 성형코어에 형성된 보강사출물의 파팅라인 씹힘방지를 위한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배는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하우징 성형부와 각각 외접하는 2개의 원이 서로 접하는 지점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금형에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금형 분리를 보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젝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는 상기 보강사출물의 직경보다 확장된 갓(shed) 형상이 포함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버플로우라인은 상기 하우징 성형부에 주입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절연재료를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성형 방법은 상금형 및 하금형이 형합하여 형성되는 캐비티가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로 구분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하금형이 형성하는 보강사출물 성형부에 보강사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를 배치하고, 상기 하금형이 형성하는 하우징 성형부에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를 배치하는 성형준비단계와, 상기 코어 및 1차 성형코어가 배치된 하금형에 상금형을 형합하는 형합단계와, 상기 형합단계를 통해 상금형과 하금형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성형부로 절연재료가 주입되어 1차 성형코어를 복수의 갓(shed) 형상과 함께 모두 감싸는 절연하우징 성형단계 및 상기 절연하우징 성형단계에서 주입되는 절연재료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로 이송되고, 이송된 절연재료가 보강사출물을 성형하는 보강사출물 성형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은 코어의 휨 방지를 위해 코어 일부분직경이 보강될 수 있도록 보강사출물을 성형하고, 보강사출물이 성형된 1차 성형코어에 절연하우징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절연하우징 성형 시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부분이 코어를 성형공간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코어의 휨이 방지되어 폴리머 애자의 진직도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사출물의 성형을 위한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절연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하우징 성형부가 오버플로우 라인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절연하우징으로 주입된 절연재료가 보강사출물 성형부로 오버플로우되어 보강사출물의 성형과 절연하우징의 성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은 보강사출물과 절연하우징의 성형이 하나의 금형 내부에서 함께 이루어지고, 탈형 시 제조완료된 폴리머 애자는 분리 보관된다. 그리고, 보강사출물이 성형된 1차 성형코어는 다시 동 금형의 하우징 성형부 내로 재배치 가능하며,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에는 보강사출물의 성형을 위한 코어를 추가 배치하여 성형작업이 연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성형작업이 복수로 이루어짐에 따라 코어의 휨 현상을 방지하면서 폴리머 애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리머 애자의 사출 금형을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 금형을 구성하는 상금형과 하금형의 일실시 형태를 보인 사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의 실리콘 주입 경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하우징 성형부와 보강사출물 성형부를 연결하는 오버플로우 라인의 일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애자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절연하우징과 보강사출물이 동시 성형된 모습을 보인 사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사출물의 다른 실시 형태를 하우징 성형부에 배치한 모습을 보인 사진.
도 7 은 보강사출물 성형 시 파팅부 불량 방지를 위한 하우징 성형부 구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의 탈형을 위한 이젝터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9 는 도 8 에 도시된 이젝터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구비”,“연결”되거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형성”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적으로 구비 또는 연결되거나 언급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구비”또는“연결”되거나, 또 다른 구성과 함께“형성”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은 상금형과 하금형이 서로 형합하여 캐비티를 형성하되, 상기 캐비티 내부에서 폴리머 애자의 단계별 제조과정 중 일부를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 금형을 구성하는 상금형과 하금형의 일실시 형태를 보인 사진이 도시되고,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의 절연재료 주입경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금형(200)과 하금형(400)에는 서로 형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의 일 부분에 코어 직경 보강을 위한 보강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보강사출물 성형부(60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는 코어가 배치되는 코어 수용부(210, 410)를 따라 형성되며, 코어의 길이를 고려하여 절연재료의 주입압력 및 무게에 의한 변형 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실시 예에서는 코어 수용부(210, 410) 중앙 부분에 보강사출물 성형부(600)가 형성되나, 코어의 길이가 증가할 경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의 형성위치 및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코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1차 성형코어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의 일측에는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와 오버플로우 유로(540)로 연결되어 서로 쌍을 이루는 하우징 성형부(8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금형(200) 측 하우징 성형부(800)에는 이젝터 설치부(240)가 더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이젝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젝터 및 이젝터 설치부의 형성위치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 성형부(800)는 상기 상금형(200)과 하금형(400)이 서로 형합하여 상기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갓(shed) 형상과 함께 수용된 1차 성형코어를 모두 감싸도록 절연하우징을 성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성형공간은 1차 성형코어를 성형하기 위한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와 절연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 성형부(800)가 서로 연접하여 쌍을 이룬다. 그리고, 오버플로우 유로(540)를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한번의 절연재료 주입 시 보강사출물의 성형과 절연하우징의 성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쌍을 이루는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와 하우징 성형부(800)는 복수의 쌍으로 형성되어 한번의 절연재료 주입으로 한번에 복수개가 성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에는 절연재료의 주입경로가 복수의 분지유로를 통해 구분 주입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사출물과 절연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재료는 메인투입구(510)를 통해 주입이 시작된다.
상기 메인투입구(510)로 주입되는 절연재료는 다시 메인투입유로(520)를 통해 구분된 영역으로 이송되고, 메인투입유로(520)는 다시 각 쌍의 하우징 성형부(800)로 절연재료를 안내하기 위한 분지유로(530)에 의해 구분된 영역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지유로(530)는 각 쌍의 하우징 성형부(800)와 연결된 주입구(300)로 절연재료가 이송되며, 주입구(300)를 통해 공급되는 절연재료는 하우징 성형부(800)에 먼저 충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성형부(800)에는 전술한 복수개의 갓(shed)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쉐드성형부(820)가 구비되며, 상기 쉐드성형부(820) 일측에는 오버플로우 유로(540)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로 쉐드성형부(820)를 충진하면서 오버플로우 되는 절연재료가 이송된다.
도 4 에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하우징 성형부와 보강사출물 성형부를 연결하는 오버플로우 라인의 일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된다.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성형부(800)는 1차 성형코어가 수용되는 코어성형부(840)와 상기 코어성형부(840) 외측으로 갓(shed)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쉐드 성형부(8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쉐드 성형부(820) 중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쉐드 성형부(820) 일측이 상기 오버플로우 유로(54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로(540)는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절연재료의 유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는 상기 복수의 쉐드 성형부(820)가 이루는 이격 거리 이내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사출물은 두 개의 쉐드 성형부(820) 사이의 코어성형부(84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보강사출물은 코어의 전장길이를 고려하여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해당 위치에서 코어 하중을 분산 지지함에 따라 코어의 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애자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절연하우징과 보강사출물이 함께 성형된 모습을 보인 사진이 도시된다.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와 하우징 성형부(800)에 절연재료가 주입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사출물(720)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710)와 복수의 갓(shed, 40)을 포함하는 절연하우징이 형성된 폴리머 애자가 함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폴리머 애자는 후가공을 위해 하금형(400)에서 분리되고, 상기 1차 성형코어(710)는 쌍을 이루는 하우징 성형부(800)로 재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1차 성형코어(710)가 재배치되면서 비워지는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에는 다시 보강사출물 성형을 위한 코어를 배치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1차 성형코어(710)와 폴리머 애자의 성형을 함께 연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사출물은 양 단부에 갓(shed) 형상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사출물의 다른 실시 형태를 하우징 성형부에 배치한 모습을 보인 사진이 도시되고, 도 7 에는 보강사출물의 성형 시 파팅부 불량 방지를 위한 하우징 성형부 구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코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보강사출물은 코어직경 보강을 위한 밴드바디(722)와 상기 밴드바디(722) 양단부에 형성되는 밴드쉐드(7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밴드바디(722)는 상금형 코어성형부(842) 및 하금형 코어성형부(844)의 내경(Dh) 보다 작은직경(Db)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금형의 코어성형부(842, 844)에는 파팅라인이 형성되는 부분의 불량 방지를 위해 구배가 더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밴드바디(722)의 직경(Db)이 상금형 코어성형부(842) 및 하금형 코어성형부(844)의 내경(Dh)과 대응되는 경우 성형된 밴드바디(722)의 외면에는 파팅라인을 따라 절연재료의 씹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바디(722)의 직경(Db)을 줄이고 양단에 밴드쉐드(724)를 형성하며, 파팅라인을 중심으로 구배가 형성된다.
상기 구배는 상기 상금형 코어성형부(842)와 하금형 코어성형부(844)에 각각 외접하는 2개의 원(C)이 서로 접하는 지점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구배의 형상은 도 7의 (b)에 도시된 개략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쉐드(724)는 절연재료의 주입시 코어성형부 내측으로 과도한 절연재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오버플로우 유로(540)를 통해 보강사출물 성형부(600)로 이송되는 절연재료의 유동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밴드쉐드(724)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성형부 및 쉐드 성형부(820)에 배치되어 밴드바디(722)로 유입되는 절연재료의 흐름을 방해한다. 그리고, 쉐드 성형부(820)와 밴드쉐드(724)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되어 밴드바디(722)로 유입되지 못한 절연재료가 상기 갭(G)을 통해 오버플로우 유로(540)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연재료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성형공간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절연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성형 이후 이루어지는 금형의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8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의 탈형을 위한 이젝터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고, 도 9 에는 도 8 에 도시된 이젝터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절연재료의 주입 이후 가교 및 성형이 완료되면 탈형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금형(200)에는 이젝터(9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젝터(9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금형(200)에 형성된 이젝터 설치부(240, 도 2 참조)에 개별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젝터 설치부(240)는 상기 상금형 코어성형부(842)가 이루는 1차 성형코어(710, 도 5 참조)의 수용 공간 일부분이 제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거된 수용 공간의 일부분은 이젝터(900)가 설치되면서 제거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이젝터(900)는 상금형(200)에 설치되는 이젝터바디(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와, 상금형(200)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920) 및 상기 접촉부(920)의 선택적인 길이가변 및 탈형 시 금형 개폐력을 보조하기 위한 완충부(9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920)는 성형완료된 폴리머 애자의 애자코어(50)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상금형 코어성형부(842)와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940)는 상기 접촉부(920)의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체로, 상금형(200)과 하금형(400) 형합 시 상기 접촉부(920)가 애자코어(50)와 접하여 상금형(20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탄성압축된다.
한편, 절연재료의 가교 및 성형이 완료되어 탈형이 이루어지면, 상기와 같이 탄성압축된 완충부(940)가 탄성복원되면서 금형 개방력을 보조하여 성형 완료된 폴리머 애자로부터 상금형(200)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폴리머 애자를 성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폴리머 애자의 성형을 위한 코어 예열공정이나 접착제 도포 공정에 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애자의 성형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600)에 코어를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 성형부(800)에 상기 1차 성형코어(710)를 배치하는 성형준비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성형준비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코어 및 1차 성형코어(710)가 배치된 하금형(400)과 상금형(200)을 형합하는 형합단계와, 형합된 금형 내부 성형공간으로 절연재료를 주입하는 절연하우징 성형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절연하우징 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상금형(200)과 하금형(400)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성형부(800)와 보강사출물 성형부(600)로 절연재료의 주입이 이루어지며, 메인투입구(510)로 주입된 절연재료가 복수의 분지유로(530)와 주입구(300)를 통해 충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성형방법에서는 상기 절연하우징 성형단계가 이루어지면서 보강사출물 성형단계가 함께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단계는 상기 하우징 성형부(800)에 절연재료가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로(540)를 통해 절연재료가 보강사출물 성형부(600)로 유입되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절연하우징의 성형과 보강사출물의 성형이 한번의 절연재료 주입 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200.......... 상금형 210, 410 .... 코어수용부
240.......... 이젝터 설치부 300.......... 주입구
400.......... 하금형 510.......... 메인투입구
520.......... 메인투입유로 530.......... 분지유로
540.......... 오버플로우 유로 600.......... 보강사출물 성형부
710.......... 1차 성형코어 720.......... 보강사출물
722.......... 밴드바디 724.......... 밴드쉐드
800.......... 하우징 성형부 820.......... 쉐드성형부
840.......... 코어성형부 900.......... 이젝터
920.......... 접촉부 940.......... 완충부

Claims (9)

  1.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금형 및 하금형에는,
    서로 형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의 일 부분에 코어 직경을 보강하는 보강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서로 형합하여 상기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갓(shed) 형상과 함께 수용된 1차 성형코어를 모두 감싸도록 절연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한 하우징 성형부가 포함되고,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 사이에는 주입된 절연재료가 서로 연통되는 오버플로우 라인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는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 쌍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는 상기 하우징 성형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갓(shed)이 이루는 이격 거리 이내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성형부에는 상기 1차 성형코어에 형성된 보강사출물의 파팅라인 씹힘방지를 위한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는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하우징 성형부와 각각 외접하는 2개의 원이 서로 접하는 지점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금형에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금형 분리를 보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젝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는 상기 보강사출물 직경보다 확장된 갓(shed) 형상이 포함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라인은 상기 하우징 성형부에 주입되어 오버플로우 되는 절연재료를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9. 상금형 및 하금형이 형합하여 형성되는 캐비티가 보강사출물 성형부와 하우징 성형부로 구분되는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하금형이 형성하는 보강사출물 성형부에 보강사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를 배치하고, 상기 하금형이 형성하는 하우징 성형부에 보강사출물이 형성된 1차 성형코어를 배치하는 성형준비단계;
    상기 코어 및 1차 성형코어가 배치된 하금형에 상금형을 형합하는 형합단계;
    상기 형합단계를 통해 상금형과 하금형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성형부로 절연재료가 주입되어 1차 성형코어를 복수의 갓(shed) 형상과 함께 모두 감싸는 절연하우징 성형단계; 및
    상기 절연하우징 성형단계에서 주입되는 절연재료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보강사출물 성형부로 이송되고, 이송된 절연재료가 보강사출물을 성형하는 보강사출물 성형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KR1020210005004A 2021-01-14 2021-01-14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Active KR10242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04A KR102429126B1 (ko) 2021-01-14 2021-01-14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PCT/KR2021/018778 WO2022154274A1 (ko) 2021-01-14 2021-12-10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04A KR102429126B1 (ko) 2021-01-14 2021-01-14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727A KR20220102727A (ko) 2022-07-21
KR102429126B1 true KR102429126B1 (ko) 2022-08-04

Family

ID=8244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04A Active KR102429126B1 (ko) 2021-01-14 2021-01-14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9126B1 (ko)
WO (1) WO202215427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553A (ja) * 2000-12-26 2002-07-10 Sanwa Kako Kk 二重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354B1 (ko) 1994-09-09 1998-07-01 권문구 고분자 애자의 사출 금형
KR0130862Y1 (ko) * 1995-12-29 1999-01-15 김주용 사출금형의 가동코아 분리장치
KR19990086600A (ko) * 1998-05-29 1999-12-15 권문구 자동취출가능한 블록구조의 고분자 애자 금형
KR100382081B1 (ko) * 2000-10-06 2003-05-01 송홍준 라인포스트 애자의 성형방법 및 그 방법으로 성형된 라인포스트 애자
KR101588337B1 (ko) * 2014-06-23 2016-01-26 이태호 애자용 플라스틱 코아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635B1 (ko) * 2017-12-29 2021-10-18 에스엘 주식회사 비구면렌즈의 제조 설비 및 공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553A (ja) * 2000-12-26 2002-07-10 Sanwa Kako Kk 二重成形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274A1 (ko) 2022-07-21
KR20220102727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149A (en) Antenna rod and procedure for manufacturing same
US20170297240A1 (en) Foam body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body
KR102429126B1 (ko) 폴리머 애자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애자 성형방법
CN104802424B (zh) 用于制造纤维增强的空心型材构件的方法
US7790087B2 (en)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of a lipstick lead with two components
US5702731A (en) Lateral type mold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insulators
CN109249592A (zh) 用于制造注塑件的注塑模具和用于制造注塑件的方法
CN113146961A (zh) 一种外撑型气囊式柔性夹具的制作模具及其制作方法
JP7143745B2 (ja) 樹脂管の製造方法
CN113508022B (zh) 树脂管的制造方法
KR20170021389A (ko) 오버플로우 구조가 개선된 플라스틱 기어사출용 3단금형
CN210190380U (zh) 一种硫化和注塑同步完成的线缆模具
CN114589943A (zh) 一种树脂传递模塑用t形筋注胶模具
KR20180064590A (ko) 복합재 코일스프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20073687A (ko) 코어 변경을 통해 프리폼 인서트 및 사출 소재에 대한 유동 테스트가 가능한 금형 조립체
CN216267353U (zh) 一种波纹管成型用内模组件
KR200212771Y1 (ko) 스트레스릴리프콘의제조장치
JPH0243609B2 (ja) Shashutsuseikeiyonotsukidashipinkoteihoho
KR20190072055A (ko) 복합재용 사출금형
KR100422648B1 (ko) 파팅 라인리스 금형 및 그 제작방법
CN111834057A (zh) 一种芯棒及其制造方法
KR102196348B1 (ko) 트랙션 링크 부쉬의 다단 압축성형 방법
KR200358727Y1 (ko) 전기청소기의 손잡이 성형용 금형
JP2745830B2 (ja) 合成樹脂製中空構造体の製造方法
KR0140354B1 (ko) 고분자 애자의 사출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