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920B1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8920B1 KR102428920B1 KR1020170136612A KR20170136612A KR102428920B1 KR 102428920 B1 KR102428920 B1 KR 102428920B1 KR 1020170136612 A KR1020170136612 A KR 1020170136612A KR 20170136612 A KR20170136612 A KR 20170136612A KR 102428920 B1 KR102428920 B1 KR 102428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s
- image
- model
- feature extraction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13145 classification model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5—Clustering; Classif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06F18/217—Valid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ctive pattern learning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 G06F18/2413—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based on distances to training or reference patterns
- G06F18/24133—Distances to prototypes
- G06F18/24143—Distances to neighbourhood prototypes, e.g. restricted Coulomb energy networks [RC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 G06N3/0454—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06V10/449—Biologically inspired filters, e.g. difference of Gaussians [DoG] or Gabor filters
- G06V10/451—Biologically inspired filters, e.g. difference of Gaussians [DoG] or Gabor filters with interaction between the filter responses, e.g. cortical complex cells
- G06V10/454—Integrating the filters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e.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4—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35—Categorising the entire scene, e.g. birthday party or wedding scen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age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상기 전자 장치는 규칙 기반 또는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딥 피쳐를 추정할 수 있다.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딥 피쳐를 추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기계 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딥 피쳐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범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을 분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업데이트된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들을 분류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시예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이 복수의 이미지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제1 프로세서 및 제2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제1 프로세서, 제2 프로세서 및 제3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제1 프로세서, 제2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제1 프로세서, 제2 프로세서 및 제3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이미지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학습부(1300)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류부(1400)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서버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21)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범용 데이터에 기초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deep features)을 추출하며,
추출된 딥 피쳐들 및 범용 데이터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소정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분류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훈련시켜 업데이트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 그룹들에 분류된 이미지들의 개수의 밸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및 상기 딥 피쳐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딥 피쳐들을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교환 이미지 파일(EXIF) 형식으로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 모델은, 제1 신경망(Neural Network)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신경망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각각을 입력하여, 상기 제1 신경망의 적어도 하나의 층(layer)에서 벡터를 추출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각각에 대한 딥 피쳐는 상기 추출된 벡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모델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 사이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소정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 신경망(Neural Network)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 사이의 유사도는, 상기 딥 피쳐들에 포함된 벡터들의 차이로 나타나고, 상기 벡터들의 차이가 클수록 유사도가 작아지고, 상기 벡터들의 차이가 작을수록 유사도가 커지며,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된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벡터들의 차이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인,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의 딥 피쳐를 추출하며, 상기 제1 이미지의 딥 피쳐에 기초하여,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이미지의 딥 피쳐와 유사한 딥 피쳐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훈련시켜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분류 모델이 업데이트 된 경우,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상기 추출된 딥 피쳐들 및 업데이트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재 분류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특징 추출 모델이 업데이트 된 경우, 업데이트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을 재 추출하고, 재 추출된 딥 피쳐들 및 상기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재 분류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이 분류된 그룹 중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재 분류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이 분류된 그룹 중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재 분류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그룹들에 대응하는 그룹명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범용 데이터에 기초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deep features)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딥 피쳐들 및 범용 데이터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소정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훈련시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그룹들에 분류된 이미지들의 개수의 밸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딥 피쳐들을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교환 이미지 파일(EXIF)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 모델은, 제1 신경망(Neural Network)을 포함하고, 상기 분류 모델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의 딥 피쳐들 사이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소정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2 신경망(Neural Network)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deep features)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경망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각각을 입력하여, 상기 제1 신경망의 적어도 하나의 층(layer)에서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소정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벡터들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의 딥 피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의 딥 피쳐에 기초하여,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이미지의 딥 피쳐와 유사한 딥 피쳐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분류 모델이 업데이트 된 경우,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상기 딥 피쳐들 및 업데이트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재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특징 추출 모델이 업데이트 된 경우,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을 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추출된 딥 피쳐들 및 상기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분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재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범용 데이터에 기초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딥 피쳐들(deep features)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딥 피쳐들 및 범용 데이터에 기초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소정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정 그룹들에 분류된 이미지들의 개수의 밸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상기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추출 모델 및 분류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훈련시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859,971 US10970605B2 (en) | 2017-01-03 | 2018-01-02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EP18735947.6A EP3545436A4 (en) | 2017-01-03 | 2018-01-03 | ELECTRONIC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
CN201880005869.1A CN110168530B (zh) | 2017-01-03 | 2018-01-03 | 电子设备和操作该电子设备的方法 |
PCT/KR2018/000069 WO2018128362A1 (en) | 2017-01-03 | 2018-01-03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00789 | 2017-01-03 | ||
KR1020170000789 | 2017-01-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098A KR20180080098A (ko) | 2018-07-11 |
KR102428920B1 true KR102428920B1 (ko) | 2022-08-04 |
Family
ID=6291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6612A Active KR102428920B1 (ko) | 2017-01-03 | 2017-10-20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3545436A4 (ko) |
KR (1) | KR102428920B1 (ko) |
CN (1) | CN11016853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1720B1 (ko) | 2018-07-10 | 2021-09-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기화학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135477B1 (ko) | 2018-08-31 | 2020-07-17 |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 이미지 자동분류 방법 및 시스템 |
KR102712777B1 (ko) * | 2018-10-29 | 2024-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JP7225876B2 (ja) | 2019-02-08 | 2023-02-21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演算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
KR102259045B1 (ko) * | 2019-03-20 | 2021-05-31 | 박주복 | Vr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
WO2020256339A1 (ko) | 2019-06-18 | 2020-1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KR20210048896A (ko) * | 2019-10-24 | 2021-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용도에 부적합한 물품의 검출 |
KR102144975B1 (ko) * | 2019-11-08 | 2020-08-14 | 주식회사 알체라 | 머신 러닝 시스템 및 머신 러닝 시스템의 동작 방법 |
CN112906724B (zh) * | 2019-11-19 | 2024-09-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图像处理装置、方法、介质及系统 |
KR102293791B1 (ko) * | 2019-11-28 | 2021-08-25 | 광주과학기술원 | 반도체 소자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KR102476334B1 (ko) * | 2020-04-22 | 2022-12-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딥러닝 기반 일기 생성 방법 및 장치 |
KR20210155283A (ko) * | 2020-06-15 | 2021-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CN112016595A (zh) * | 2020-08-05 | 2020-12-01 | 清华大学 | 图像分类方法和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
CN112307934B (zh) * | 2020-10-27 | 2021-11-09 |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 图像检测方法及相关模型的训练方法、装置、设备、介质 |
KR102434483B1 (ko) * | 2020-12-17 | 2022-08-19 | 주식회사 알체라 | 생체인증 시스템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KR102479718B1 (ko) * | 2021-01-14 | 2022-12-21 |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 Ar 장치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인식 및 분류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688711B1 (ko) * | 2021-01-25 | 2024-07-26 |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 복수의 역량에 대한 역량평가를 수행하는 기계학습모델을 학습시키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
CN113254742B (zh) * | 2021-07-14 | 2021-11-30 | 深圳市赛野展览展示有限公司 | 一种基于5g深度学习人工智能的展示装置 |
KR102422962B1 (ko) | 2021-07-26 | 2022-07-20 |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 다중 인공지능 모델의 연속 처리 구조에 기반한 이미지 자동 분류 및 처리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69982A1 (en) | 2010-01-13 | 2011-07-14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
US20160140146A1 (en) * | 2014-11-14 | 2016-05-19 | Zorroa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Building and Using an Image Catalo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080B1 (ko) * | 2005-11-08 | 2007-07-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성별을 이용한 얼굴 인식 방법 및 장치 |
US10043112B2 (en) * | 2014-03-07 | 2018-08-07 | Qualcomm Incorporated | Photo management |
CN105335712A (zh) * | 2015-10-26 | 2016-02-17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图像识别方法、装置及终端 |
-
2017
- 2017-10-20 KR KR1020170136612A patent/KR102428920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01-03 CN CN201880005869.1A patent/CN110168530B/zh active Active
- 2018-01-03 EP EP18735947.6A patent/EP3545436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69982A1 (en) | 2010-01-13 | 2011-07-14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
US20160140146A1 (en) * | 2014-11-14 | 2016-05-19 | Zorroa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Building and Using an Image Catalo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45436A4 (en) | 2020-05-06 |
CN110168530A (zh) | 2019-08-23 |
EP3545436A1 (en) | 2019-10-02 |
CN110168530B (zh) | 2024-01-26 |
KR20180080098A (ko) | 2018-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8920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970605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11042728B2 (en) | Electronic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a us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2453169B1 (ko) |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 |
US1232719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knowledge graph | |
US11783191B2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xt-related image | |
KR102491546B1 (ko) |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20140673A (ko) |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 |
KR102530045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06287B1 (ko) | 애플리케이션의 번역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 |
KR20180055708A (ko) |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190016367A (ko) |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430567B1 (ko) | 텍스트와 연관된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
KR102628042B1 (ko) | 연락처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
KR20190053675A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00085143A (ko) | 외부 장치를 등록하는 대화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20190088406A (ko) | 영상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2449877B1 (ko) |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기 | |
KR102384878B1 (ko) | 동영상을 필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80075227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2423754B1 (ko) | 디바이스 사용 문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 |
KR102757491B1 (ko) | 동영상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
KR20200084395A (ko) |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00092742A (ko) | 보이스 어시스턴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