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8720B1 -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720B1
KR102428720B1 KR1020210112835A KR20210112835A KR102428720B1 KR 102428720 B1 KR102428720 B1 KR 102428720B1 KR 1020210112835 A KR1020210112835 A KR 1020210112835A KR 20210112835 A KR20210112835 A KR 20210112835A KR 102428720 B1 KR102428720 B1 KR 10242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outer cover
housing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593A (ko
Inventor
이정현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7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7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와;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마련되고,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며, 폐쇄위치에서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본체부; 및 커버본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폐쇄위치에서 용기 내부로 삽입되고, 개방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의 상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HE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비드 조리와 같은 조리를 수행하기 위한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 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
상기 복합 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바비큐요리나 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생선구이와 같이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개방형 조리기기 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한 오븐요리, 구이요리, 찜요리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조리법 외에도 여러 새로운 조리법이 새롭게 개발되거나 일부에서만 사용되던 독특한 조리법들이 일반에 점차 전파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가 수비드 조리법이다.
수비드(Sous Vide)는, 저온 진공 조리법을 통해 영양소, 질감, 맛 등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리법이다. 1799년 영국의 럼포드 백작(Benjamin Thomson, Count Rumford)에 의해 공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처음 고안되어 1960년대 미국 및 프랑스의 엔지니어에 의해 조명된 식품보존 방법으로, 1974년 조르주 프랄뤼(George Pralus)에 의해 푸아그라(Foie gras) 요리에 사용된 이후, 브루노 구솔(Bruno Coussalult)에 의해 발전된 조리법이다. 프랑스어 "Sous-vide"는 진공 저온 조리법을 뜻하며, 영어로는 "Under vacuum"이라고도 한다. 1970년 이후 유럽의 일부 고급 레스토랑에서 사용되어 오다가 최근 국내에 소개되어 레스토랑이나 호텔 등의 고급메뉴에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비드 조리법은, 밀폐된 비닐봉지에 담긴 음식물을 약 50~60를 유지하는 저온의 물속에서 장시간 가열하는 조리방법이다. 이러한 수비드 조리법은, 재료 본연의 맛을 그대로 살려 최상의 질감, 향 및 영양분들을 모두 지켜내는 것이 장점이고, 특히 식감이 우수한데, 고기는 고온에서 조리시 단백질의 변형으로 인한 질겨짐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 부드러움과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겉과 속이 골고루 가열된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수비드 조리법을 이용한 조리에서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포장하여 확실하게 밀폐하는 것 외에도 음식물을 조리하는 물의 온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비드 조리는 조리를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통상 4시간에서 최대 48시간 정도), 조리 온도 및 조리 시간 조절이 까다로우므로, 효과적인 수비드 조리를 위해서는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가 요구된다.
수비드 조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조리기기가 갖춰야 할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수비드 조리를 위해 설정된 조리 온도를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특성 상 오랜 시간 동안 열원의 사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열원의 동작 효율을 높이는 것도 상기 조리기기가 갖춰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조리 온도의 유지와 열원의 효율 향상이라는 과제의 해결 방법은, 모두 조리기기의 단열 성능과 관련되어 있다. 만약 조리기기의 단열 성능이 높지 못하여 외부의 열기나 냉기가 조리기기 내부로 침입하여 조리 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 조리기기가 조리 온도를 설정된 온도대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다. 또한 조리기기의 단열 성능이 높지 못하여 조리기기 내의 열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양이 많아지게 되면, 열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가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향상된 단열 성능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열기기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본체부; 및 상기 커버본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용기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개방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의 상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부의 후방측을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힌지부에 인접한 상기 커버본체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커버본체부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상기 커버본체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면은, 상기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후방측 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는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상기 용기를 향해 하향 경사진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제1가이드면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은, 상기 커버본체부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상기 커버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상기 커버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부는, 상기 커버의 골격을 형성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외측커버부; 및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외측커버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내측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내측커버부의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커버부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커버본체부의 후방측에 인접한 상기 내측커버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커버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커버부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커버부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커버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외측커버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밀폐공간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외측커버부와 나란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커버부와 밀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커버프레임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본체부와; 상기 프레임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커버부가 안착되기 위한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1안착면과; 상기 제1안착면의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측벽부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1안착면과 상기 관통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착면과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기 위한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2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 및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제1안착면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및 상기 제2안착면과 상기 연장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본체부와 나란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단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상단절곡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상단절곡부와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본체부와 상기 상단절곡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3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부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밀착되어 상기 용기의 전방에 차단벽을 형성하는 돌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돌출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바를 상기 하우징에 밀착시키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쿡탑케이스; 및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가열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기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본체부; 및 상기 커버본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용기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개방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의 상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쿡탑케이스에 설치되는 쿡탑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기는, 상기 쿡탑가열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쿡탑케이스의 상부에는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위치일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상판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후방측을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커버의 후방측을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 전방측에 돌출되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커버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돌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바는,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커버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커버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바는, 상기 커버의 전방 테두리로부터 후방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바의 전방측에는, 상기 커버와 상기 돌출바와 상기 하우징이 ""형상으로 둘러싸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커버의 내부에 단열공기층 형성을 위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커버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커버의 표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공간을 둘러싸는 각 결합부위가 2중 실링 구조에 의해 실링되도록 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된 커버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버의 내부에 이슬이 맺혀 투시창을 가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에 측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가이드돌기부에 의한 용기 내측 돌출 구조와 실링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커버와 용기 간의 실링 구조가 조합된 2중 차단 구조로 커버와 용기 간의 기밀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외부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수증기가 커버에 맺히는 위치를 가이드돌기부 영역 내부로 유도하여 커버 개방시 응결수가 조리기기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내측면에 맺힌 응결수가 장치 외부로 흘러 나가지 않고 용기 내부로 다시 흘러 들어가도록 응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구성을 커버의 내측면에 구비함으로써, 가열기기 주변이 오염되거나 물로 흥건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기기 및 그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전방에 돌출바를 추가함으로써, 외부 열 차단 기능, 커버의 수평 유지 기능, 히든 손잡이 형성을 통한 커버의 외관미 상승, 기밀 성능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각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의 커버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는, 쿡탑케이스(21)와 고온조리유닛(25) 및 저온가열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쿡탑부(20)는, 고온조리유닛(25)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리와 저온가열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비드 조리와 같은 저온조리를 함께 실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쿡탑부(2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쿡탑부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상판이 제거된 상태의 쿡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임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쿡탑부(20)는 쿡탑케이스(21)와 고온조리유닛(25) 및 저온가열장치(100)를 포함한다.
쿡탑케이스(2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쿡탑부(2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쿡탑케이스(21)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은, 제1영역(22)과 제2영역(23)으로 구분된다. 제1영역(22)은 쿡탑케이스(21) 내에 고온조리유닛(25)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이며, 제2영역(23)은 쿡탑케이스(21) 내에 저온가열장치(100)가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22)과 제2영역(23)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1영역(22)과 제2영역(23) 사이는 쿡탑케이스(21) 내부를 구획하는 베리어(28)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온조리유닛(25)은, 쿡탑케이스(21) 내에 설치되되, 제1영역(22)에 위치하도록 쿡탑케이스(21)에 수용된다. 이러한 고온조리유닛(25)은, 상판(26) 및 쿡탑가열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26)은, 쿡탑케이스(21)의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영역(22)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온조리유닛(25)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조리를 위한 용기와 식품이 올려 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판(26)은,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판(26)의 전방부에는, 후술할 쿡탑가열부(27)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쿡탑케이스(21) 내에 마련되는 조작유닛(미도시)의 조작 부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조작부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 표시는 상판(26)의 상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상기 조작유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세라믹 글라스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외부로 표시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근처를 터치하였을 때 세라믹 글라스의 저면으로부터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조작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판(26)의 조작부 표시부위 저면은 조작유닛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판(26)이 쿡탑케이스(21) 상에 고정되었을 때, 쿡탑가열부(27)와 대응하는 상판(26) 위치에는, 해당 위치가 가열부 위치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식은, 버너의 가열부인지, 인버터 가열부인지, 또는 핫 플레이트 가열부인지 등이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판(26)의 저면에는 상기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 전면부(21b) 및 배면부(21c)와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브래킷(미도시)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을 쿡탑케이스(21)의 측면부(21a), 전면부(21b) 및 배면부(21c)에 고정함으로써 상판(26)를 쿡탑케이스(2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판(26)은, 쿡탑가열부(27)가 설치된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쿡탑가열부(27)의 일부분이 쿡탑케이스(21)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쿡탑가열부(27)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쿡탑케이스(21)의 제1영역(22)에 해당되는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는 쿡탑가열부(27)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쿡탑가열부(27)는, 자기 코일에 전류를 보내 와류전류를 발생시켜 조리용기 자체를 발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히팅 코일을 발열시켜 발생되는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라디안트 히팅 모듈(Radiant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쿡탑가열부(27)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킴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스 버너(Gas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쿡탑가열부(27)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킨 에너지를 이용하되, 직화열이 아닌 가스연료에 의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는 세라믹 균일 버너로 상판을 가열하는 히든 라디안트 버너(Hidden radiant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가열기기(100)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2영역(23)에 위치하도록 쿡탑케이스(21)에 수용된다. 이러한 가열기기(100)는, 쿡탑가열부(27)를 구비하는 고온조리유닛(25)의 주변에 배치되되, 고온조리유닛(25)에 좌우방향으로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열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열기기(100)는 하우징(110)과 용기(120)와 가열부(130)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1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부프레임부(111)와 수용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프레임부(111)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프레임부(111)의 내측에는 수용부(115)가 배치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후방측을 향한 상부프레임부(111)의 후방에는 커버(140)를 하우징(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의 설치에 필요한 지지면이 제공되며, 조리기기의 전방측을 향한 상부프레임부(111)의 전방에는 가열기기(100)의 내부를 폐쇄한 커버(140)의 전방측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제공된다.
또한 상부프레임부(111)의 양측부에는, 가열기기(100)의 내부를 폐쇄한 커버(140)의 측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측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프레임부(111)의 측벽에는 후술할 힌지부(h)가 설치되어 커버(140)를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수용부(115)는, 상부프레임부(111)의 내측에 설치된다. 수용부(115)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금속재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115)는, 하우징(110)에서 용기(120)의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수용부(115)는, 하우징(110)에 수용된 용기(12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30) 등과 같은 구성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기도 하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115)는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5)는, 상부프레임부(111)와 별물로 제작되어 상부프레임부(111)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부프레임부(111)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작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용기(120)는, 내부에 물과 같은 유체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하우징(110)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15)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용기(1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120)는, 수용부(115)의 형상과 유사한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2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가열부(130)는, 하우징(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부(115)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열부(130)는, 용기(12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저온 가열부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130)는 수용부(115)의 내부에 장착되는 용기(120)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15)의 하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전열히터(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열히터(131)는, 용기(120)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용기(12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열부(130)는 용기(120)의 바닥면 외에 다른 부분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코일 형상의 히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전열히터가 아닌 다른 형태의 가열장치, 예를 들면 유도 가열방식으로 용기(120)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아울러 가열부(130)는, 온도측정부(133) 및 가열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다. 온도측정부(133)는 전열히터(131)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120)의 온도 또는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며, 가열온도조절부는 용기(120)의 온도 또는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열히터(13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측정부(133)가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열온도조절부가 서모스탯(Thermost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140)는, 하우징(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프레임부(111)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4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사각판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40)는, 폐쇄된 상태에서의 상부면이 상판(26)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고온조리유닛(25)과 가열기기(100)가 일체감 있게 보여지면서도 그 상면이 매끄럽게 연결된 외관미를 가질 뿐 아니라, 상면 부분의 청소가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커버(140)는, 그 전방측 단부 영역에 커버(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마련되는 히든 손잡이(140a)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40)는, 그 길이방향 후방측이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40)의 후방측 단부는 하우징(110)의 상부프레임부(111)에 설치된 힌지부(h)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140)는 이처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측 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힌지부(h)를 토크 힌지(Torque hinge) 형태로 구성하면, 커버(14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회동 각도에서 커버(140)가 정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140)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h)가 토크 힌지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러한 힌지부(h)는 커버(140)의 회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 구조물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상당한 두께를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4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커버본체부(141,142,143)는 상부프레임부(111)의 지지면으로부터 힌지부(h)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높아진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커버의 단열 구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각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기기의 커버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커버(140)는 커버본체부(141,142,143)와 가이드돌기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본체부(141,142,14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본체부(141,142,143)는, 하우징(110)에 설치된 힌지부(h)와의 결합을 매개로 하우징(110)에 설치되되,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또한 커버본체부(141,142,143)는, 상기 폐쇄위치에서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도 함께 덮어 용기(120)를 밀폐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커버본체부(141,142,143)의 설치는, 하우징(110)의 상부프레임부(111)에 설치된 힌지부(h)에 커버본체부(141,142,143)의 후방측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본체부(141,142,143)는 커버프레임(141)과 외측커버부(142) 및 내측커버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프레임(141)은, 커버(140)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힌지부(h)와 결합되어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프레임(141)은, 상부프레임부(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판재 형태로 마련되며, 외측커버부(142)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측커버부(142)를 지지한다. 커버프레임(141)의 내측에는 관통부(141c)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커버(145)에 의해 덮인 가열기기(100)의 내부 상태가 이러한 관통부(141c)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다. 즉 관통부(141c)는, 사용자가 가열기기(100)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 역할을 한다.
외측커버부(142)는, 커버프레임(141)의 외측, 즉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커버프레임(14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커버프레임(141)과 결합되어 커버(140)의 외측면(또는 상부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측커버부(142)는, 관통부(141c)를 덮을 수 있는 사각 평판 형상의 판재 형태로 마련되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커버부(143)는, 커버프레임(141)의 내측, 즉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커버프레임(14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커버프레임(141)과 결합되어 커버(140)의 내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내측커버부(143)는, 관통부(141c)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커버부(142)와 내측커버부(143) 사이에는, 외측커버부(142)와 내측커버부(143)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s)이 형성된다. 즉 커버(140)의 내부에는 그 내부에 외측커버부(142)와 내측커버부(143)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s)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밀폐공간(s)은 외측커버부(142)와 내측커버부(143) 사이에 단열공기층이 형성되기 위한 공간을 커버(140)의 내부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밀폐공간(s)에 형성된 단열공기층은, 내측커버부(143)의 열이 외측커버부(14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단열공기층은, 가열된 용기(120) 및 용기(120) 내부에서 가열된 물에 의해 전달되는 열이 내측커버부(143)를 통해 외측커버부(14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커버(140)의 표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가열기기(100)는, 커버(140)의 표면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은 온도로 가열된 커버(140) 표면에 사용자가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커버의 밀폐공간 형성 구조]
이하, 커버(140)의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커버부(143)는, 평면부(143a)와 측벽부(143b) 및 연장부(14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부(143a)는, 외측커버부(142)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평판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평면부(143a)는, 커버프레임(141)의 내측에 배치되되, 외측커버부(142)와의 사이에 밀폐공간(s)이 형성되도록 외측커버부(142)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측벽부(143b)는, 평면부(143a)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커버부(142)를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부(143b)는, 외측커버부(142)와 평면부(143a)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s)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을 형성한다.
연장부(143c)는, 측벽부(143b)로부터 외측커버부(142)와 나란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장부(143c)는 측벽부(143b)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커버부(142)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면서 외측커버부(142)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측커버부(143)는, 상부가 개방된 납작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그 개방된 상부가 외측커버부(142)에 의해 덮이도록 외측커버부(142)의 내측면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내측커버부(143)의 내부에는 내측커버부(143)와 외측커버부(142)에 둘러싸인 밀폐공간(s)이 형성된다.
또한 내측커버부(143)는 연장부(143c)를 통해 외측커버부(142)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면서 외측커버부(142)와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내측커버부(143)와 외측커버부(142) 간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밀폐공간(s)을 유지하기 위한 내측커버부(143)와 외측커버부(142) 간의 결합부위의 기밀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외측커버부(142) 및 내측커버부(143)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141)은, 프레임본체부(141a)와 제1안착면(141b)과 관통부(141c) 및 제2안착면(141d)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본체부(141a)는, 커버프레임(141)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부프레임부(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판재 형태로 마련된다.
제1안착면(141b)은, 프레임본체부(141a)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외측커버부(142)가 안착되기 위한 오목한 평면을 프레임본체부(141a)에 형성한다. 이러한 제1안착면(141b)은 프레임본체부(141a)의 테두리와 관통부(141c)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커버부(142)는 제1안착면(141b)에 안착된 상태로 프레임본체부(141a)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본체부(141a)의 내측에는 관통부(141c)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부(141c)는 사용자가 가열기기(100)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 역할을 하는 한편, 내측커버부(143)의 일부분, 즉 평면부(143a) 및 측벽부(143b)가 프레임본체부(141a) 내측을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2안착면(141d)은, 프레임본체부(141a)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제1안착면(141b)과 관통부(141c)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안착면(141d)은, 제1안착면(141b)과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프레임본체부(141a)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안착면(141d)은 제1안착면(141b)보다 더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안착면(141d)에는 내측커버부(143)의 돌출된 상단 테두리, 즉 연장부(143c)가 안착되며, 내측커버부(143)는 연장부(143c)가 제2안착면(141d)에 안착된 상태로 프레임본체부(14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버프레임(141)과 외측커버부(142)와 내측커버부(143) 간의 결합 구조에 따르면, 커버프레임(141)의 상부로부터 커버프레임(141)의 하부로 평면부(143a)와 측벽부(143c)를 통과시키고 제2안착면(141d)에 연장부(143c)를 안착시키는 형태로 커버프레임(141)에 내측커버부(143)를 끼움으로써 커버프레임(141)과 내측커버부(143) 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커버프레임(141)과 내측커버부(14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안착면(141b)에 외측커버부(142)를 안착시키는 형태로 커버프레임(141)과 외측커버부(142) 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커버(140)는 제1실링부재(145) 및 제2실링부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145)는, 외측커버부(142)와 내측커버부(143) 사이 및 외측커버부(142)와 커버프레임(141) 사이에 구비되며, 외측커버부(142)와 연장부(143c) 사이 및 외측커버부(142)와 제1안착면(141b) 사이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재(145)는 외측커버부(142)와 연장부(143c) 사이 및 외측커버부(142)와 제1안착면(141b) 사이에 도포되는 실런트(Sealant)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실링부재(145)는, 외측커버부(142)와 연장부(143c) 사이를 실링하면서 외측커버부(142)와 연장부(143c)를 결합시키는 한편, 외측커버부(142)와 제1안착면(141b) 사이를 실링하면서 외측커버부(142)와 제1안착면(141b)을 결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2실링부재(146)는, 제2안착면(141d)과 연장부(143c) 사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실링부재(146)가 실리콘 고무 재질의 사각 링 형태로 제공되고, 제2안착면(141d)에는 제2실링부재(146)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1끼움리브(141e)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실링부재(146)는, 제1끼움리브(141e)에 끼움 결합되어 제2안착면(141d)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1끼움리브(141e)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제2실링부재(146)는, 연장부(143c)의 하부에서 연장부(143c)를 탄성 지지하면서 연장부(143c)와 제2안착면(141d)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제2실링부재(146)는 연장부(143c)가 외측커버부(14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부(143c)를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실링부재(146)의 작용에 의해 연장부(143c)와 외측커버부(142) 간의 밀착도가 높아짐으로써, 밀폐공간(s)을 유지하기 위한 내측커버부(143)와 외측커버부(142) 간의 결합부위의 기밀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버(140)의 밀폐공간(s) 형성 구조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납작한 박스 형태로 형성된 내측커버부(143)의 개방된 상부에 평판 형태의 외측커버부(142)가 결합되어 커버(140)의 내부에 밀폐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고, 밀폐공간(s)을 둘러싸는 각 결합부위가 제1실링부재(145)와 제2실링부재(146)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2중 실링 구조에 의해 실링되도록 한다.
이로써, 밀폐공간(s)에 형성되는 단열공기층이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단열 성능이 효과적으로 향상된 커버(140)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를 위해 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밀폐공간(s) 내부로 침투하여 외측커버부(142)의 내측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응결수 유도 구조]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돌기부(144)는 커버본체부(141,142,143)의 내측면(또는 하부면)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돌기부(144)는 폐쇄위치에서 용기(120)와 마주보는 내측커버부(143)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부(144)는, 폐쇄위치에서는 용기(120) 내부로 삽입되고, 개방위치에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120)의 상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됨으로써, 커버(140)의 내측면에 맺힌 응결수가 용기(120) 내부로 낙하되도록 응결수의 낙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부(144)는, 힌지부(h)에 인접한 커버본체부(141,142,143)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내측커버부(143)의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내측커버부(143)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부(144)는, 제1가이드면(144a)과 제2가이드면(14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이드면(144a)은, 커버본체부(141,142,14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커버본체부(141,142,14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커버본체부(141,142,14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가이드면(144a)은, 내측커버부(14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내측커버부(14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내측커버부(143)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다고 하면, 제1가이드면(144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내측커버부(143)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면(144a)은, 폐쇄위치에서는 커버본체부(141,142,143)로부터 용기(120)의 후방측 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고, 개방위치에서는 커버본체부(141,142,143)로부터 용기(120)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는 커버본체부(141,142,143)로부터 용기(120)를 향해 하향 경사진 평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개방위치는, 커버(140)가 하우징(110)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회동되되, 하우징(110)의 상부프레임부(111)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된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가이드면(144a)은 개방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120)의 상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면(144a)은, 커버(140)의 내측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측커버부(143)에 맺혀 있다가 커버(140) 개방 과정에서 커버(14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응결수가 용기(120) 외부로 낙하되지 않고 용기(120)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응결수의 낙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열기기(100)가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커버(140)가 용기(120)의 상부를 폐쇄하고 가열부(130)가 용기(120)를 가열하면,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가열되어 수증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수증기는 커버(14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커버(14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수증기가 많아지면, 이 수증기들이 응결되어 응결수의 형태로 커버(140)의 내측면에 맺혀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140)를 개방시키게 되면, 커버(140)의 내측면에 맺혀 있던 응결수 중 일부는 커버(140)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커버(140)로부터 떨어져 용기(120)의 내부로 다시 낙하된다. 그리고 커버(140)로부터 떨어지지 않은 나머지 응결수는 개방에 의해 세워진 커버(14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흘러내리는 응결수가 용기(120) 내부로 다시 들어가지 못하고 커버(140)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면, 흘러내리는 물로 인해 가열기기(100) 주변이 오염되거나 물로 흥건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40)의 내측면에 가이드돌기부(144)가 마련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가이드돌기부(144)의 제1가이드면(144a)을 통해 응결수의 낙하 위치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0) 개방시 커버(140)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커버(14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린 응결수는, 힌지부(h)에 인접한 커버본체부(141,142,143)의 후방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144)의 제1가이드면(144a)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면(144a)에 도달되는 위치까지 흘러내린 응결수는, 더 이상 커버(14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못하고 제1가이드면(144a)을 따라 용기(120)를 향한 방향, 즉 전방측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가이드면(144a)에 의해 전방측으로 그 흐름이 유도된 응축수는, 가열기기(100) 외부로 흘러 유출되지 않고, 용기(120) 내부로 되돌아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커버(140)에 맺혀 있던 응결수로 인해 가열기기(100) 주변이 오염되거나 물로 흥건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기기 및 그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면(144a)이 개방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120)의 상부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제1가이드면(144a)의 돌출 길이가 그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140)가 완전히 개방되면 제1가이드면(144a)에 의해 흐름이 유도된 응결수 중 일부가 용기(120) 내부로 낙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도 응결수의 낙하 위치는 가열기기(100)의 내부로 한정되므로, 가열기기(100) 주변이 오염되거나 물로 흥건해지는 것만은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가이드돌기부(144)는, 제1가이드면(144a)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면(14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면(144b)은 제1가이드면(144a)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각각의 제2가이드면(144b)은 커버본체부(141,142,14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커버본체부(141,142,1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커버본체부(141,142,14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가이드면(144b)은, 내측커버부(14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내측커버부(1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내측커버부(143)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다고 하면, 제2가이드면(144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내측커버부(143)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면(144b)은, 커버(140)의 내측면에 맺힌 응결수가 커버(140)의 측방향 외측으로 흘러나가지 않고 제1가이드면(144a)에 모이도록 응결수의 흐름을 커버(140)의 측부에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와 커버 간의 기밀 구조]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용기(120)의 상단에는 상단절곡부(121)가 형성된다.
상단절곡부(121)는, 용기(120)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프레임본체부(141a)와 나란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단절곡부(121)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용기(120) 측면의 상단으로부터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며 돌출되는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커버(140)는, 제3실링부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부재(147)는, 상단절곡부(121)와 마주보는 프레임본체부(141a)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실링부재(147)가 실리콘 고무 재질의 사각 링 형태로 제공되고, 프레임본체부(141a)의 내측면에는 제3실링부재(147)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2끼움리브(141f)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3실링부재(147)는, 제2끼움리브(141f)에 끼움 결합되어 프레임본체부(141a)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제2끼움리브(141f)보다 하부, 용기(120) 측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3실링부재(147)는,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단절곡부(121)와 밀착되어 프레임본체부(141a)와 상단절곡부(121) 사이를 실링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용기(120)와 커버(140) 간의 기밀 구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가 커버(140)에 의해 덮여 하우징(110) 상부에 대한 폐쇄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용기(120) 내부의 밀폐도 커버(140)에 의해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즉 커버(1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열기기(100) 내부의 폐쇄는, 단순히 커버(140)가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가 커버(140)에 의해 덮이면서 이러한 커버(140)에 의해 용기(120) 내부의 밀폐도 함께 이루어지는 형태로 실시된다.
용기(120) 내부의 밀폐는 커버(140)의 내측면이 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때 커버(140)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3실링부재(147)가 프레임본체부(141a)와 상단절곡부(121)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용기(120)의 내부가 커버(140)에 의해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버(140)의 내측면이 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는, 가이드돌기부(144)가 용기(1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와 같이 삽입된 가이드돌기부(144)는 용기(120)의 내부에서 수증기가 빠져나가는 통로의 폭을 좁히기 위한 구조물로 기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가열됨에 따라 발생된 수증기가 용기(12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되고, 혹시 용기(120)의 내측면과 가이드돌기부(144) 사이의 좁은 통로로 수증기가 빠져나간다고 해도 프레임본체부(141a)와 상단절곡부(121) 사이를 실링하고 있는 제3실링부재(147)가 수증기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므로, 용기(120)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용기(12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용기(120) 내부에 머물러 있게 된다.
즉 용기(120)의 내부에 측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가이드돌기부(144)에 의한 용기(120) 내측 돌출 구조와 제3실링부재(147)에 의해 형성되는 커버(140)와 용기(120) 간의 실링 구조가 조합된 2중 차단 구조로 커버(140)와 용기(120) 간의 기밀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용기(120)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외부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용기(120)의 내부에 측벽 구조물을 형성하는 가이드돌기부(144)는, 수증기의 부착이 가이드돌기부(144)의 내측 영역, 즉 응결수가 흘러내렸을 때 가이드돌기부(144)로 모일 수 있는 영역 내에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140)는 커버(140)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돌출바(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바(148)는, 커버본체부(141,142,143)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하우징(110)과 마주보는 프레임본체부(141a)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돌출바(148)는 커버본체부(141,142,14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와 커버본체부(141,142,14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커버본체부(141,142,14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다고 하면, 돌출바(148)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커버본체부(141,142,14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돌출바(148)의 폭은 상부프레임부(11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인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바(148)의 높이는 커버(140)에 폐쇄위치에 있을 때 커버(14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커버(140)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돌출바(148)는, 커버(140)와 일체로 마련되어 커버(140)와 함께 회동하며,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110)의 상부프레임부(111)와 밀착되어 용기(120)의 상부 전방에 차단벽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돌출바(148)가 커버(140)의 전방측에 마련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돌출바(148)는 용기(120)의 상부 전방에 차단벽을 형성함으로써, 가열기기(100)의 전방으로 전달된 열이 용기(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열기기(100)를 이용한 조리와 쿡탑부(30; 도 1 참조)를 이용한 조리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는, 쿡탑부(30)에서 발생되는 열이 가열기기(100)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쿡탑부(30)의 도어(32; 도 1 참조)를 개방할 경우에는, 쿡탑부(30) 내부에서 빠져 나오는 고온의 열이 상부로 올라와 가열기기(100)의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열이 용기(120) 내부로 유입된다면, 가열기기(100)를 이용한 조리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이 가해질 수 있다. 수비드 조리법을 이용한 조리의 경우, 음식물을 조리하는 물의 온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가열기기(100) 자체의 가열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열 외에 다른 열의 영향을 받게 된다면,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유입된 다른 열이 실제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지는 않으면서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만을 높이도록 작용된다면,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보다 실제 물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외부에서 유입된 다른 열이 온도측정부에 의해 감지되지는 않으면서 실제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원으로 작용된다면,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보다 실제 물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제어가 그만큼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커버(140)는 가열기기(100)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때, 그 전방에 구비된 돌출바(148)에 의해 용기(120)의 상부 전방에 차단벽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열기기(100)의 전방으로 전달된 열이 용기(120) 내부로 유입되어 물 온도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돌출바(148)는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커버(14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h)가 토크 힌지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러한 힌지부(h)는 커버(140)의 회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 구조물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상당한 두께를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40)는 상부프레임부(111)의 지지면으로부터 힌지부(h)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높아진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14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버(140)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동일한 높이로 지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커버(140)의 후방측이 힌지부(h)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만큼 커버(140)의 전방측도 동일한 높이로 지지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0)에 폐쇄위치에 있을 때 커버(14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커버(140)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돌출바(148)가 커버(140)의 전방측에 마련되며, 이러한 돌출바(148)가 커버(140)의 전방측을 커버(140)의 후방측과 동일한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140)는 전방측과 후방측의 높이가 동일한 수평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폐쇄된 상태에서의 상부면이 상판(26)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셋째, 상기 돌출바(148)는 커버(140)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부가함 없이도 사용자가 커버(14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40a)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바(148)는 커버(140)의 전방 테두리로부터 후방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돌출바(148)의 전방측에는, 커버(140)와 돌출바(148)와 하우징(110)이 "⊃" 형상으로 둘러싸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열기기(100)를 수용하는 쿡탑케이스(21)나 외부케이스와 커버(140)의 전방측 단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커버(140)가 마련되면, 상기 삽입공간이 이격공간을 통해 커버(140)의 상부로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삽입공간은 커버(140)의 전방측 단부를 파지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이 커버(140)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삽입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140)의 전방측 단부 영역은 커버(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마련되는 히든 손잡이(140a) 형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넷째, 상기 돌출바(148)는 사용자가 커버(140)를 폐쇄하는 조작이 이루어질 때, 커버(140)의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 및 커버(140)에 의한 폐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0)는 돌출바(148)의 내부에 설치되어 돌출바(148)를 하우징에 밀착시키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성부재(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돌출바(148)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자성부재(149)에 흡인될 수 있는 금속 등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바(148)의 내부에 자성부재(149)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140)를 폐쇄하는 조작이 이루어질 때 자성부재(149)가 하우징(110)을 흡인할 수 있는 범위 내 정도로만 커버(140)를 회동시키면, 자성부재(149)와 하우징(110) 간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커버(140)의 회동이 유도될 수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도 커버(140)의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출바(148)의 내부에 자성부재(149)가 설치됨으로써,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자성부재(149)와 하우징(110) 간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커버(140)의 전방측과 하우징(110) 간의 결합 상태가 공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작은 충격에 의해 커버(140)가 들썩거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140)가 용기(120)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더욱 향상된 커버(140)와 용기(120) 간의 기밀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커버(140)는 자기력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상당한 중량을 갖는 중량물이 돌출바(148)의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중량물의 중량은 토크 힌지 형태로 구성된 힌지부(h)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돌출바(148)와 하우징(110) 간의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범위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출바(148)의 내부에 중량물이 설치됨으로써 커버(140)의 전방측 중량이 증가되며, 이로써 커버(1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작은 충격에 의해 커버(140)가 들썩거리는 현상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커버(140)가 용기(120)를 좀 더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어 커버(140)와 용기(120) 간의 기밀성능이 좀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가열기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쿡탑케이스(21; 도 3 참조) 내에 고온조리유닛(25; 도 3 참조)과 함께 설치되어 하나의 조리기기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저온 진공 조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가열기기(100)가 저온 진공 조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로 제조되는 경우, 가열기기(100)는 하우징(110)을 내부에 수용하며 가열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 및 가열기기(10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쿡탑케이스
22 : 제1영역
23 : 제2영역
25 : 고온조리유닛
26 : 상판
27 : 고온가열부
28 : 베리어
30 : 전장실
100 : 가열기기
110 : 하우징
111 : 상부프레임부
115 : 수용부
120 : 용기
121 : 상단절곡부
130 : 가열부
131 : 전열히터
140 : 커버
140a : 손잡이
141 : 커버프레임
141a : 프레임본체부
141b : 제1안착면
141c : 관통부
141d : 제2안착면
141e : 제1끼움리브
141f : 제2끼움리브
142 : 외측커버부
143 : 내측커버부
143a : 평면부
143b : 측벽부
143c : 연장부
144 : 가이드돌기부
144a: 제1가이드면
144b : 제2가이드면
145 : 제1실링부재
146 : 제2실링부재
147 : 제3실링부재
148 : 돌출바
149 : 자성부재
h : 힌지부
s : 밀폐공간

Claims (11)

  1.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외측커버부; 및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외측커버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내측커버부;를 포함하는 가열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가열기기.
  3.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골격을 형성하는 커버프레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외측커버부; 및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외측커버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내측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커버부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커버부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커버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외측커버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밀폐공간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외측커버부와 나란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커버부와 면접촉되며 상기 외측커버부와 밀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가열기기.
  4.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프레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외측커버부; 및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외측커버부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에 결합되는 내측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내측커버부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커버부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커버부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커버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외측커버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밀폐공간을 측부에서 둘러싸는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외측커버부와 나란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커버부와 면접촉되며 상기 외측커버부와 밀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커버프레임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본체부;
    상기 프레임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커버부가 안착되기 위한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1안착면;
    상기 제1안착면의 내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측벽부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부; 및
    상기 제1안착면과 상기 관통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안착면과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기 위한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는 제2안착면;을 포함하는 가열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 및 상기 외측커버부와 상기 제1안착면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및
    상기 제2안착면과 상기 연장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열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본체부와 나란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단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상단절곡부와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상단절곡부와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본체부와 상기 상단절곡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3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열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열기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쿡탑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기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열기기; 및
    쿡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기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쿡탑케이스의 상부에는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위치일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상판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열기기; 및
    쿡탑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기는, 상기 쿡탑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쿡탑케이스의 상부에는 상판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위치일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상판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후방측을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커버의 후방측을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커버 전방측에 돌출되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커버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돌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바는,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커버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커버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바는, 상기 커버의 전방 테두리로부터 후방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바의 전방측에는, 상기 커버와 상기 돌출바와 상기 하우징이 "⊃"형상으로 둘러싸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210112835A 2017-08-16 2021-08-2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Active KR10242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35A KR102428720B1 (ko) 2017-08-16 2021-08-2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33A KR102297342B1 (ko) 2017-08-16 2017-08-1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210112835A KR102428720B1 (ko) 2017-08-16 2021-08-2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33A Division KR102297342B1 (ko) 2017-08-16 2017-08-1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593A KR20210107593A (ko) 2021-09-01
KR102428720B1 true KR102428720B1 (ko) 2022-08-02

Family

ID=653625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33A Active KR102297342B1 (ko) 2017-08-16 2017-08-1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210112835A Active KR102428720B1 (ko) 2017-08-16 2021-08-2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33A Active KR102297342B1 (ko) 2017-08-16 2017-08-16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2752B2 (ko)
EP (1) EP3671042B1 (ko)
KR (2) KR102297342B1 (ko)
CN (1) CN111033128B (ko)
AU (1) AU2018318597B2 (ko)
WO (1) WO2019035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342B1 (ko) * 2017-08-16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1051647B2 (en) * 2017-10-13 2021-07-0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CN208339363U (zh) * 2017-12-15 2019-01-0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炊具
KR20220004356A (ko) * 2020-07-03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제어방법
KR102344274B1 (ko) * 2020-08-28 2021-12-29 원정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BE1030510B1 (de) * 2022-05-10 2023-12-11 Miele & Cie Ga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Öffnen
BE1031057B1 (de) * 2022-11-22 2024-06-17 Miele & Cie Küchengerät
BE1031059B1 (de) * 2022-11-22 2024-06-17 Miele & Cie Küchengerät
BE1031056B1 (de) * 2022-11-22 2024-06-17 Miele & Cie Küchen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4872A1 (en) * 2012-02-23 2013-08-29 Mini Pack-Torre S.P.A. Vacuum packaging machine with removable internal and low-temperature "sous vide" cooking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942A (en) * 1948-09-13 1952-04-01 Cornelius Carroll Cooking stove
JPS599664B2 (ja) * 1975-11-08 1984-03-03 旭化成株式会社 タンソセンイヨウヒヨウメンシアゲザイ
KR0133930Y1 (ko) * 1994-12-20 1998-12-15 노자키 지로 단열 조리기
US5567458A (en) * 1995-02-02 1996-10-22 Wu;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diabatic cooking
JP3599664B2 (ja) * 2000-11-27 2004-12-08 東静電気株式会社 複合真空調理機器
KR20040071024A (ko) * 2003-02-06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릴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1626303B1 (ko) * 2009-05-0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ITTO20100301A1 (it) * 2010-04-14 2011-10-15 Indesit Co Spa Apparecchio di cottura
FR2965466B1 (fr) * 2010-10-04 2012-10-19 Seb Sa Appareil de cuisson electrique comportant un couvercle pivotant equipe d'un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s condensats
US9839230B2 (en) * 2011-03-31 2017-12-12 Raymond L. Neff Device for defrosting, warming and cooking using a circulating fluid
GB201116072D0 (en) * 2011-09-16 2011-11-02 Clyne Energy Ltd Food heating apparatus
CN102389257B (zh) * 2011-11-09 2014-03-05 东莞市盈尔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低温烹饪机
CN204318389U (zh) 2014-12-19 2015-05-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具有储液槽的烹饪器具
CN204635968U (zh) 2015-05-26 2015-09-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KR20170003237A (ko) * 2015-06-30 2017-01-09 (주)쿠첸 인덕션 레인지의 전용 용기
CN205053729U (zh) 2015-09-29 2016-03-0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冷凝水的炒菜机
CN206227510U (zh) 2016-08-31 2017-06-09 合肥富通环保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真空低温烘干设备
KR101885870B1 (ko) * 2016-12-27 2018-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온진공조리장치
KR101864514B1 (ko) * 2016-12-27 2018-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조리기기
KR102297342B1 (ko) * 2017-08-16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1051647B2 (en) * 2017-10-13 2021-07-0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EP3492816B1 (en) * 2017-12-04 2021-02-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4872A1 (en) * 2012-02-23 2013-08-29 Mini Pack-Torre S.P.A. Vacuum packaging machine with removable internal and low-temperature "sous vide" cooking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18597B2 (en) 2022-02-24
EP3671042A4 (en) 2021-05-19
EP3671042A1 (en) 2020-06-24
KR20210107593A (ko) 2021-09-01
CN111033128A (zh) 2020-04-17
KR20190018945A (ko) 2019-02-26
WO2019035570A1 (ko) 2019-02-21
US11832752B2 (en) 2023-12-05
CN111033128B (zh) 2022-12-13
EP3671042B1 (en) 2023-12-06
US20200245804A1 (en) 2020-08-06
AU2018318597A1 (en) 2020-04-02
KR102297342B1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720B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864514B1 (ko) 복합 조리기기
US10523851B2 (en) Camera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EP3680556B1 (en) Cooking appliance
US10006639B2 (en) Appliance side panel with air channel
US10443858B2 (en) Cooking appliance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JP7229797B2 (ja) 加熱調理器
KR101656571B1 (ko) 조리기기
KR101975325B1 (ko) 복합 조리기기
KR100589768B1 (ko) 발열체가 내장된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
KR101531062B1 (ko)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KR102471054B1 (ko) 복합 조리기기
KR101626622B1 (ko) 조리기기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KR101192351B1 (ko) 조리기기
KR100829622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190018944A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623590B1 (ko) 조리기기
KR20110053628A (ko) 조리기기
KR20060039541A (ko) 전면유리형 오븐도어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KR20110079001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8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081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10373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