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555B1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8555B1 KR102428555B1 KR1020200072906A KR20200072906A KR102428555B1 KR 102428555 B1 KR102428555 B1 KR 102428555B1 KR 1020200072906 A KR1020200072906 A KR 1020200072906A KR 20200072906 A KR20200072906 A KR 20200072906A KR 102428555 B1 KR102428555 B1 KR 1024285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able signal
- mode
- reference voltage
- switch
- ti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고속 웨이크-업 직류-직류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연속모드 동작시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불연속 모드 동작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스위칭 모드 동작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고속 웨이크-업 직류-직류 변환기의 동작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20)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로서,
입력 DC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의 출력 DC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회로;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동작 모드일 때 제1 기준 전압을 상기 벅 컨버터 회로로 공급하는 제1 기준 전압 공급부; 및
상기 제1 기준 전압 공급부 보다 낮은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대기 모드일 때 제2 기준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제2 기준 전압 공급부;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 중 하나를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기준 전압 스위치;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대기 모드임을 지시하는 대기 모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하향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및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리텐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가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1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온 시키고,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제1 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턴-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대기 모드 신호가 턴-오프 되는 제3 타이밍으로부터 제2 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4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출력단의 전압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제1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고,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불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클락 신호의 상승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고,
상기 상승 타이밍으로부터 스위칭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회로로 입력된 입력 DC 전압 보다 낮은 레벨의 출력 DC 전압을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동작 모드일 때 제1 기준 전압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기준 전압을 상기 벅 컨버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대기 모드일 때 상기 제1 기준 전압 공급부 보다 낮은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제2 기준 전압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기준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상기 벅 컨버터로 공급하는 단계는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오프 시킴으로써 상기 제1 기준 전압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온 시킴으로써 상기 제2 기준 전압 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대기 모드임을 지시하는 대기 모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가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1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제1 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턴-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동작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대기 모드 신호가 턴-오프 되는 제3 타이밍으로부터 제2 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4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동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출력단의 전압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제1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불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동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벅 컨버터 회로의 상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클락 신호의 상승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승 타이밍으로부터 스위칭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의 동작 방법.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로서,
입력 DC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상기 전원에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된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의 단자에 연결된 인덕터;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신호 생성부;
현재 모드가 동작 모드일 때 제1 기준 전압을 상기 스위칭 신호 생성부로 공급하는 제1 기준 전압 공급부;
상기 제1 기준 전압 공급부 보다 낮은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현재 모드가 대기 모드일 때 제2 기준 전압을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제2 기준 전압 공급부;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 중 하나를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기준 전압 스위치;
상기 현재 모드가 대기 모드임을 지시하는 대기 모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하향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및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전압을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리텐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1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온 시키고,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제1 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턴-온 시키고,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대기 모드 신호가 턴-오프 되는 제3 타이밍으로부터 제2 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4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턴-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 삭제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출력단의 전압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제1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고, 상기 제1 타이밍으로부터 불연속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대기 모드로부터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클락 신호의 상승 타이밍에 상기 레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고, 상기 상승 타이밍으로부터 스위칭 모드 대기 구간 이후의 제2 타이밍에 상기 스위치 인에이블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2906A KR102428555B1 (ko) | 2020-06-16 | 2020-06-16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2906A KR102428555B1 (ko) | 2020-06-16 | 2020-06-16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5842A KR20210155842A (ko) | 2021-12-24 |
KR102428555B1 true KR102428555B1 (ko) | 2022-08-04 |
Family
ID=7917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2906A Active KR102428555B1 (ko) | 2020-06-16 | 2020-06-16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855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640A (ja) * | 2000-01-20 | 2001-08-03 | Hitachi Ltd | 電子装置と半導体集積回路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US20030211870A1 (en) * | 2002-05-10 | 2003-11-13 | Jean-Christophe Jiguet | LDO regulator with sleep mode |
JP2014042389A (ja) * | 2012-08-22 | 2014-03-06 | Renesas Electronics Corp | 電源装置、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レス通信装置 |
-
2020
- 2020-06-16 KR KR1020200072906A patent/KR1024285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640A (ja) * | 2000-01-20 | 2001-08-03 | Hitachi Ltd | 電子装置と半導体集積回路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US20030211870A1 (en) * | 2002-05-10 | 2003-11-13 | Jean-Christophe Jiguet | LDO regulator with sleep mode |
JP2014042389A (ja) * | 2012-08-22 | 2014-03-06 | Renesas Electronics Corp | 電源装置、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レス通信装置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유성목, "고효율 3중 모드 DC-DC 벅 변환기 설계", 공학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2011.12.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5842A (ko) | 2021-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09042B2 (en) | Controller for DC-DC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C-DC converter | |
US9647543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light load efficiency for power stages of multi-phase voltage regulator circuits | |
CN1929274B (zh) | 用于dc-dc转换器的控制器和控制方法 | |
US9882472B2 (en) | Techniques for power supply topologies with capacitance management to reduce power loss associated with charging and discharging when cycling between power states | |
JP4106979B2 (ja) | 電子装置 | |
US20020023235A1 (en) |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electric device, computer, and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 |
US11295787B1 (en) | Reducing SRAM leakage using scalable switched capacitor regulators | |
CN110323736A (zh) | 电源切换电路和电子设备 | |
US11336180B2 (en) | Fast mode transitions in a power converter | |
US8499181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s supplied to a processor | |
CN110391746A (zh) | 具有自动模式切换的pfm电源管理系统 | |
US6498467B1 (en) | Ultra-low-power mode for a voltage regulator | |
US20050237037A1 (en) |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 |
Huang et al. | A high-efficiency current-mode buck converter with a power-loss-aware switch-on-demand modulation technique for multifunction SoCs | |
CN107086778B (zh) | 降压调节器的低功率待机模式 | |
KR102428555B1 (ko) | 전자 기기의 고속 웨이크-업을 위한 직류-직류 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CN104038063B (zh) | 具有负载最小能耗点追踪的自适应电压调节电路 | |
US11545901B1 (en) | Control system for buck converter | |
CN112803744B (zh) | 低功耗电源启动控制装置、方法及电源设备 | |
Wang et al. | A high-light-load-efficiency hysteresis-controlled buck converter with adaptively clocked hysteresis dynamic comparator for IoT applications | |
Rahman et al. | Digital pulse-frequency/pulse-amplitude modulator for improving efficiency of SMPS operating under light loads | |
Lee et al. | A high efficiency wide-load-range asynchronous boost converter with time-based dual-mode control for SSD applications | |
CN114421765B (zh) | Dc-dc转换器的控制系统、方法及dc-dc转换器 | |
US11264900B2 (en) | PFM control method for boost converters | |
Zhang et al. | A 285-nA Quiescent Current, 94.7% Peak Efficiency Buck Converter With AOT Control for IoT Appl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