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300B1 -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7300B1 KR102427300B1 KR1020200157718A KR20200157718A KR102427300B1 KR 102427300 B1 KR102427300 B1 KR 102427300B1 KR 1020200157718 A KR1020200157718 A KR 1020200157718A KR 20200157718 A KR20200157718 A KR 20200157718A KR 102427300 B1 KR102427300 B1 KR 1024273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precast
- continuous
- end surface
- b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다경간 교량의 연속지점부에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를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연속화시키되, 연속지점부에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은 교량하부구조의 연속지점부(A)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하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는 서로 연속화되도록 형성된 연속화슬래브;를 포함한다.The precast slab is made continuous by installing cast-in-place concrete or precast continuous slab at the continuous point of the multi-span bridge. Disclosed are a slab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erein the precast slab bridge includes: precast slab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of the bridge lower structure; and a continuous slab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precast slab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precast slabs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경간 교량의 연속지점부에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를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연속화시키되, 연속지점부에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slab bridge using a continuous slab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More specifically, the precast slab is made continuous by installing cast-in-place concrete or precast continuation slab at the continuous point of the multi-span bridge, but a continuous slab that can be constructed without installing expansion joints at the continuous point. It relates to the used precast slab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예시도이다.1a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precast girder.
도 1a에 의하면 교각(30)과 거더(60)가 서로 연결되는 연속지점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속지점부에 서로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거더(60)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판재 형태로 제작한 것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Figure 1a, a continuous point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이때 교각(30)은 코핑부가 상단에 형성된 기둥구조물로서, 코핑부 상면에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 되도록 거더(60)를 거치하여 연결시키기도 하지만,At this time, the
도 1a의 경우에는 교각 상부에 별도의 U형 단면의 횡방향거더(20)를 설치하고, 횡방향 거더 상면에 양 거더(60)의 연결 단부가 얹어지도록 세팅한 후, 횡방향거더(20) 상면의 연결철근(28)과 거더의 연결철근(27)이 서로 연결시키고,In the case of Figure 1a, a separate U-shaped cross-section
미 도시한 무수축 모르타르, 콘크리트와 같은 연속지점부 충진재와 연속지점부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연속지점부에서, 연결되는 부재의 연결단부가 모두 매립되어 일체화되도록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continuous point part filler such as non-shrinkable mortar and concrete and the continuous branch part formwork are used for construction so that all the connecting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s are buried and integrated in the continuous branch part.
이에 교각(30), 횡방향거더(20), 거더(60)의 연결단부는 연속지점부 충진재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거동하도록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도 1b는 종래 프리캐스트 데크의 연속화 시공방법예시도이다.Figure 1b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precast deck.
즉, 교량용 거더는 강재거더(1)를 이용하고, 강재거더 상면에 전단철근(71)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데크(70)의 연결단부가 얹어지도록 거치하고, 강재거더(1) 상면에 전단연결재(9)를 설치되어 있어 일정한 두께로 강재거더(1) 상면, 프리캐스트 데크(70) 상면에 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일체로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the bridge girder uses the steel girder 1, and the connecting end of the
즉, 종래 교량을 다경간 방식으로 시공함에 있어 거더를 교각 상면에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거치된 거더의 단부는 무수축모르타르, 콘크리트와 같은 연속지점부 충진재를 슬래브콘크리트와 함께 또는 별도로 형성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교량의 연속지점부와 슬래브를 일체화시켜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constructing a conventional bridge in a multi-span method, the end of the girder mounted to face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is formed with continuous point fillers such as non-shrinkable mortar and concrete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slab concrete. It can be seen that the continuous point of the bridge and the slab are integrated and constructed by this method.
하지만 이러한 연속지점부에는 미 도시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온도에 의한 슬래브의 수축 등을 흡수시켜 균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신축이음장치의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an expansion joint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se continuous points to absorb the shrinkage of the slab due to temperature to prevent cracks and damage. There was a limit to what could inevitably occur.
도 1c는 종래 프리캐스트 슬래브(10)의 연속지점부 시공예시도이다.Figure 1c is a construction example of a continuous point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recast slab (10).
즉, 교각(12)과 교대(11) 사이에 프리캐스트 슬래브(10) 단부 저면이 지지되도록 거치되어 있고, That is, the
프리캐스트 슬래브(10)의 단부면에는 연결강재(13)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서로 수평으로 접착제(14)를 이용하여 접하도록 상태에서 프리캐스트 슬래브(10) 단부가 긴장재(15,16)장치를 이용하여 압착되도록 세팅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The end surface of the
프리캐스트 슬래브(10) 단부면 전체가 서로 일체화 되도록 무수축 모르타르, 콘크리트와 같은 연속지점부 충진재(C)를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즉, 도 1a 내지 도 1c에 의하면, 종래 거더, 데크 및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연속지점부에서 서로 단부가 이격되도록 배치시키고, 단부 전체를 서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Figures 1a to 1c, 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tional girder, deck and precast slab are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e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continuous point part, and the entire ends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이에 연속지점부에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차량 주행성의 저하와 소음 발생의 문제는 물론,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신축이음장치 시공 부위의 누수로 인해 교량 받침이 열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어 특히 프리캐스트 슬래브 교량에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다경간 교량의 연속지점부를 시공 가능하도록 하는 공법은 달리 구체적으로 소개된 바 없었다.Therefore, expansion joints need to be installed at continuation points. In this cas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vehicle drivability and noise generation, as well a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bridge bearings due to leakage at the construction site of expansion joints due to poor management Since there is a limit that can occur, in particular, a construction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continuous junctions of multi-span bridges without installing expansion joints in precast slab bridges has not been specifically introduced otherwise.
이에 본 발명은 다경간교량이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연속지점부에서 서로 이격된 단부를 연속지점부 충진재로 서로 일체화시킴에 있어, 신축이음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서로 연속화될 수 있도록 하여, 신축이음장치 설치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span bridge in which the e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ontinuous branch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s a filler in the continuous branch, so that they can be continuous without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It is a technical task to solve the provision of a precast slab bridge using a continuous slab that can solve problems caused by installation of the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슬래브 교량의 단면 전체를 서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연속지점부 단면의 상부에 균열 집중되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강성의 보강재(연결강재)의 설치가 필요 없도록 슬래브 단면 상부의 일부만을 일정 길이 이상 연결하여, 단면 상부에 발생하는 균열을 분포시킴으로써 균열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slab bridg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stallation of high rigidity reinforcement (connecting steel) is not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cracks are concent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inuous point part. It is a technical task to solve the provision of a precast slab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tinuous slab that does not deteriorate durability due to cracks by distributing cracks that occur on the upper part of the cross section by connecting only a part of it over a certain length.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은, 교량하부구조의 연속지점부(A)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하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는 서로 연속화되도록 형성된 연속화슬래브;를 포함하여, 상기 연속지점부(A)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종방향 신축이 연속화된 교량의 시,종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에서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단부면이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단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의하여 형성된 상부단부면; 및 상기 블록아웃부(S)의 하부로서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단부면으로서 형성된 하부단부면;을 포함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단부면 사이의 블록아웃부(S)에, 상부단부면 상면에 형성된 전단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단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가 삽입 설치되어 일체화됨으로서, 서로 이격된 프리캐스트 슬래브에 의하여 상부단부면과 하부단부면은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되도록 하되, 하부는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상부에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되도록 하고, 상기 전단홈은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전단홈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노출된 전단홈철근에 전단철근이 서로 교차되도록 세팅 한 후, 마감그라우팅을 통해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가 프리캐스트 슬래브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The precast slab bridge using the continuous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precast slab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of the bridge lower structure; and a continuous slab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precast sla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portions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including, without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cast slab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re absorbed at the expansion joints installed at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continuous bridge, and the precast slab is a reinforced concrete horizontal plate member with an end face formed by blocking out from the upper end face down to a blockout part (S) ) formed by the upper end surface; and a lower end surface formed as an end surface of the precast slab as a lower portion of the block-out portion (S), wherein the precast slab includes a block-out portion (S) between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precast slab facing each other ), a precast continuation slab having a shear groove formed therein is inserted and integrated to accommodate the shear reinforcemen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surface,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and the lower end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paced apart precast slab However, the lower part is not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the block-out part (S) formed on the upper part is made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y a precast continuation slab, and the shear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and thus, the shear groove After setting the shear reinforcing bars to cross each other in the exposed shear grooved reinforcing bars to cross the inside horizontally, the precast continuous slab is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finishing grouting.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시공 방법은, In addition, the precast slab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tinuous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교량하부구조로서 양 교대 사이에 교각이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시공되어 연속지점부(A)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b) 연속지점부(A)에 서로 프리캐스트 슬래브가 이격되어 거치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서로 마주보는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블록아웃부(S)에 연속화슬래브가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교량하부구조의 연속지점부(A)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속화슬래브는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하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는 서로 연속화되도록 형성시켜, 상기 연속지점부(A)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종방향 신축이 연속화된 교량의 시, 종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에서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c) 단계의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단부면이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단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의하여 형성된 상부단부면; 및 상기 블록아웃부(S)의 하부로서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단부면으로서 형성된 하부단부면;을 포함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단부면 사이의 블록아웃부(S)에, 상부단부면 상면에 형성된 전단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단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가 삽입 설치되어 일체화됨으로서, 서로 이격된 프리캐스트 슬래브에 의하여 상부단부면과 하부단부면은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되도록 하되, 하부는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상부에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되도록 하고, 상기 전단홈은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전단홈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노출된 전단홈철근에 전단철근이 서로 교차되도록 세팅 한 후, 마감그라우팅을 통해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가 프리캐스트 슬래브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a) as a bridge substructure, the pier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two abutments to form a continuous point portion (A); (b) allowing the precast slabs to be moun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and (c) installing the continuous slab to be inserted into the block-out part (S) of the precast slab facing each other; The continuous slab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ntinuous slab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slab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part is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without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at the continuous point part (A) , so that the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recast slab is absorbed at the expansion joint install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ontinuous bridge,
The precast slab of step (c) is a reinforced concrete horizontal plate member having an end surface formed therein, and includes an upper end surface formed by a block-out portion (S) formed by blocking out from the upper end surface downward; and a lower end surface formed as an end surface of the precast slab as a lower portion of the block-out portion (S), wherein the precast slab includes a block-out portion (S) between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precast slab facing each other ), a precast continuation slab having a shear groove formed therein is inserted and integrated to accommodate the shear reinforcemen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surface,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and the lower end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paced apart precast slab However, the lower part is not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the block-out part (S) formed on the upper part is made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y a precast continuation slab, and the shear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and thus, the shear groove After setting the shear reinforcement bars to cross each other in the shear groove reinforcement exposed so as to cross the inside horizontally,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is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finishing grouting.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지점부에서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단부 하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단부 상부만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속화시킴으로서, 연속지점부에서 프리캐스트 슬래브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양 단부 단순지지 형태로 거동하여 종방향 신축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상부는 연속화되어 있어 신축이음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로 인한 교량 하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precast slab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continuous point, only the upper end of the end is made continuous using the continuous slab. It behaves as a simple support type to absorb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since the upper part is continuou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need for a separate expansion joint devic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bridge defects.
또한, 슬래브 교량의 단면 전체를 서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연속지점부 단면의 상부에 균열 집중되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강성의 보강재(연결강재)의 설치가 필요 없도록 슬래브 단면 상부의 일부만을 일정 길이 이상 연결하여, 단면 상부에 발생하는 균열을 분포시킴으로써 균열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slab bridge is integrated with each other, only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lab is fixed so that the installation of high rigidity reinforcement (connecting steel) is not required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racks concentr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inuous point. By distributing cracks gene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cross-section by connecting more than the length,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durability due to cracks.
또한, 상기 연속화슬래브는 현장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를 각각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현장에 따라 효과적으로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inuous slab can use cast-in-place or precast continuous slab,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struct a precast slab bridge using the continuous slab depending on the site.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예시도
도 1b는 종래 프리캐스트 데크의 연속화 시공방법예시도
도 1c는 종래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연속지점부 시공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의 연속지점부 시공예시도,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는 본 발명의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의 연속지점부 시공순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의 연속지점부 시공순서도이다.1a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precast girder
Figure 1b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precast deck
1c is a construction example of a continuous point part of a conventional precast slab;
2 and 3 are a construction example of a continuous point part of a precast slab bridge using a continuous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4b, 4c, 4d and 4e are construction flow charts of continuous points of a precast slab bridge using a continuous slab made of cast-in-place concret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5b and 5c are construction flow charts of continuous points of the precast slab bridge using the precast continuous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발명의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continuous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의 연속지점부 시공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2 and 3 show a construction example of a continuous point part of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상기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은 교량하부구조(130)로서 교각(131)을 먼저 시공한 상태에서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연속지점부(A)로서 교각(131) 상면에 거더를 설치하지 않고, 바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를 교량받침(133)을 이용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거치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슬래브교량이다.It is a slab bridge in which the bridge is constructed by directly mounting the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하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일체화시키지 않고, 단부 상부에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연속화슬래브(120)를 형성시켜 서로 일체화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이로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상부만 연속화 시공되지만, 하부는 달리 연속화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어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종방향 신축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교량받침, 교각의 열화, 부식 등의 하자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프리캐스트 슬래브(110) 상면을 주행하는 차량 등의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only the upper part of the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At this time, the precast slab 110,
도 2와 같이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와 As shown in FIG. 2, the
도 3과 같이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하여 현장에 따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precast
이에, 먼저 도 2에 의한 본 발명의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은 프리캐스트 슬래브(110),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 및 교량하부구조(130)를 포함하게 된다.Therefore, first,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은 도 2와 같이, 교량하부구조(130)에 시공되는데 특히 교대 사이에 시공된 교각(131) 상부를 기준으로 연속지점부(A)에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상부만 서로 일체화시켜 연결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precast slab bridge 100 is constructed in the bridge
이때 상기 연속지점부(A)는 교각(131)을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구간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may be referred to as a section from the
상기 교량하부구조(130)로서, 교각(131)은 도 2와 같이, 지반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두부에는 코핑부가 형성되어 있어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저면이 지지되도록 시공되며, 현장 타설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시공된다.As the bridge
이에 교각(131) 상면에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가 종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시공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도 2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미리 공장에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운반, 설치 가능한 범위에서 사각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특히 종방향으로 서로 연속지점부(A)의 교각 상면에 거치시키고, 연속화를 위하여 상부단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속화철근(111)이 인출되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이때 단부면은 교각(131) 상면 상부 공간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세팅되며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으로 구분된다.At this time, the end surface is set to be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이 상부단부면(112)은 도 2와 같이,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의하여 당초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아웃부(S)는 단부면의 끝단모서리를 기준으로 일정깊이와 폭을 가진 홈 형태로 형성시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하부단부면(113)은 블록아웃부(S)의 하부로서 당초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면으로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블록아웃부(S)의 상면에는 연속화철근(111) 하부에 위치되도록 전단철근(11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It can be seen that the
상부단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속화철근(111)은 서로 연속지점부철근(11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continuous reinforcing
이에 서로 이격된 양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에 의하여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은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되도록 하되, 하부는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상부에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the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단부에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종방향 신축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연속화 지점부에는 달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다음으로 상기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는 도 2와 같이 앞서 살펴본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단부면(112) 사이의 블록아웃부(S)에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로서, 도 2와 같이, 연속화철근(111), 전단철근(114), 연속지점부철근(115)이 매립되도록 형성된다.Next, the
이를 위해 서로 마주 보는 양 하부단부면(113) 상면에 걸쳐지도록 이격용거푸집(116)을 설치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o this end,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이격용거푸집(116)은 미리 서로 마주 보는 양 하부단부면(113) 상면에 거푸집수용홈(117)을 형성시켜 거푸집수용홈(117)에 이격용거푸집(116)을 삽입 설치하였을 때, 이격용거푸집(116)의 상면이 양 하부단부면(113)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세팅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고, 달리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하부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spaced
다음으로 도 3에 의한 본 발명의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은 프리캐스트 슬래브(110),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 및 교량하부구조(130)를 포함하며, 도 2와 대비하여 연속화슬래브(120)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한 것을 이용함에 차이가 있다.Next,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은 도 3과 같이, 교량하부구조(130)에 시공되는데 특히 교대 사이에 시공된 교각(131) 상부를 기준으로 연속지점부(A)에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하여 역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상부만 서로 일체화시켜 연결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precast slab bridge 100 is constructed on the bridge
이때 상기 연속지점부(A)는 교각(131)을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구간을 의미함은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is the same as meaning a section from the
상기 교량하부구조(130)로서, 역시 교각(131)은 도 3과 같이, 역시 지반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두부에는 코핑부가 형성되어 있어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저면이 지지되도록 시공되며, 현장 타설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시공되며,As the bridge
교각(131) 상면에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가 종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시공되도록 하고 있음은 동일하다.It is the same that the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도 3과 같이, 역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미리 공장에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운반, 설치 가능한 범위에서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특히 종방향으로 서로 연속지점부(A)의 교각 상면에 거치시키게 되는데 도 2와는 달리 상부단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속화철근(111)이 인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이때 단부면은 교각(131) 상면 상부 공간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세팅되며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으로 구분도록 함은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end surfaces are set to be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이 상부단부면(112)은 도 3과 같이, 역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의하여 당초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아웃부(S)는 단부면의 끝단모서리를 기준으로 일정깊이와 폭을 가진 홈 형태로 형성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하부단부면(113)도 역시 블록아웃부(S)의 하부로서 당초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면으로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블록아웃부(S)의 상면에는 전단철근(11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 2와 달리 서로 마주보도록 세팅된 연속화철근(111)과 연속지점부철근(115)은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역시 도 3에 의하면 서로 이격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에 의하여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은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하부는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상부인 블록아웃부(S)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Also accord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이에 서로 마주보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하부는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있어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종방향 신축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달리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게 됨은 동일하다.Accordingly, the lower portions of the
상기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단부면(112) 사이의 블록아웃부(S)에 삽입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된 것을 인양하여 설치하게 된다. The
블록아웃부(S)에는 달리 연속화철근(111), 전단철근(114), 연속지점부철근(115)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전단철근(11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단홈(12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block-out portion (S), the continuous reinforcing
이에 상기 전단홈(121)은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전단철근(114)이 전단홈(121)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통상은 상기 전단홈(121)에 마감그라우팅을 통해 마감함으로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가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와 서로 일체화되는데,Usually, by finishing the
본 발명은 전단홈(121)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노출된 전단홈철근(122)에 전단철근(114)이 서로 교차되도록 세팅 한 후, 마감그라우팅을 통해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가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tting the
[ 본 발명의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continuous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의 시공순서도, 4a to 4e are construction flow charts of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의 연속지점부 시공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s 5a to 5c shows a construction example of a continuous point portion of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precast
먼저,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의 시공방법은 First, FIGS. 4a to 4e show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먼저 도 4a와 같이, 먼저 교량하부구조(130)로서 양 교대(132) 사이에 교각(131)이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A , it can be seen that, as the bridge
상기 교량하부구조(130)로서, 교각(131)과 교대(132)는 도 4a와 같이, 지반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두부에는 코핑부가 형성되어 있어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저면이 지지되도록 시공되며, 현장 타설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시공됨은 살펴본 바와 같으며, 교각(131)과 교대(132) 상면에는 교량받침(133)이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the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교대(132)와 교각(131) 사이사이에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를 거치하여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연속지점부(A)에서 서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가 이격되어 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b,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미리 공장에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운반, 설치 가능한 범위에서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종방향으로 서로 연속지점부(A)의 교각 상면에 거치시키고, 연속화를 위하여 상부단부면(112)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속화철근(111)이 인출되어 있으며,These
단부면은 교각(131) 상면 상부 공간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세팅되며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으로 구분되어 있고,The end surface is set to be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블록아웃부(S)의 상면에는 전단철근(11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It can be seen that the
서로 마주 보는 양 하부단부면(113) 상면에 걸쳐지도록 이격용거푸집(116)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 보는 양 하부단부면(113) 상면에 거푸집수용홈(117)을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다음으로는 도 4c와 같이, 거푸집수용홈(117)에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가 형성되도록 이격용거푸집(116)을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Next, it can be seen that, as shown in FIG. 4c , the
이로서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양 하부단부면(113) 사이의 공간 하방으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As a result, the cast-in-place concrete does not leak downward into the space between both lower end surfaces 113 .
다음으로는 도 4d와 같이, 상부단부면(112)으로부터 수평으로 인출된 연속화철근(111)을 서로 연속지점부철근(115)에 의하여 서로 연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Next, it can be seen that, as shown in FIG. 4D , the continuous reinforcing
이에 서로 종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를 서로 일체화 거동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다음으로는 도 4e와 같이, 이격용거푸집(116) 상면으로 블록아웃부(S) 내측에 형성된 연속화철근(111), 전단철근(114), 연속지점부철근(115)이 매림되도록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서로 마주보는 하부단부면(113)은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블록아웃부(S)에는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연속화슬래브(120)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되고 알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e, the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100)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Next, looking a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the precast
먼저 도 5a와 같이, 역시 교량하부구조(130)로서 양 교대(132) 사이에 교각(131)이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A , it can be seen that, as the bridge
상기 교량하부구조(130)로서, 교각(131)과 교대(132)는 역시 도 5a와 같이, 지반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것으로서 두부에는 코핑부가 형성되어 있어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 저면이 지지되도록 시공되며, 현장 타설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시공됨은 동일하며, 교각(131)과 교대(132) 상면에는 역시 교량받침(133)이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the
다음으로는 도 5b와 같이, 교대(132)와 교각(131) 사이사이에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를 거치하여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연속지점부(A)에서 서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가 이격되어 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5b,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동일하게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미리 공장에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운반, 설치 가능한 범위에서 사각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종방향으로 서로 연속지점부(A)의 교각 상면에 거치시키고, 달리 연속화철근(111)이 인출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These
역시 단부면은 교각(131) 상면 상부 공간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세팅되며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으로 구분되어 있고,Also, the end surface is set to be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블록아웃부(S)의 상면에는 전단철근(11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It can be seen that the
서로 마주 보는 양 하부단부면(113) 상면에 거푸집수용홈(117)을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It can be seen that the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격용거푸집(116)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Since the precast
다음으로는 도 5c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블록아웃부(S)에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가 삽입되도록 설치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5c , the
이러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단부면(112) 사이의 블록아웃부(S)에 삽입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된 것을 인양하여 설치하게 되며, 전단철근(11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단홈(12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이에 상기 전단홈(121)은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전단철근(114)이 전단홈(121)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전단홈(121)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노출된 전단홈철근(122)에 전단철근(114)이 서로 교차 되도록 세팅한 후, 마감그라우팅을 통해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슬래브(110)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110: 프리캐스트 슬래브
111: 연속화철근 112: 상부단부면
113: 하부단부면 114: 전단철근
115: 연속지점부철근 116: 이격용거푸집
117: 거푸집수용홈
120: 연속화슬래브 121: 전단홈
122: 전단홈철근
130: 교량하부구조
131: 교각 132: 교대
133: 교량받침
A: 연속지점부 S: 블록아웃부100: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110: precast slab
111: continuous reinforcing bar 112: upper end surface
113: lower end surface 114: shear reinforcement
115: continuous point reinforcing bar 116: formwork for separation
117: form receiving groove
120: continuous slab 121: shear groove
122: shear groove reinforcement
130: bridge substructure
131: pier 132: abutment
133: bridge bearing
A: Continuous point S: Blockout
Claims (10)
교량하부구조(130)의 연속지점부(A)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 및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하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는 서로 연속화되도록 형성된 연속화슬래브(120);를 포함하여,
상기 연속지점부(A)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종방향 신축이 연속화된 교량의 시, 종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에서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단부면이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단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의하여 형성된 상부단부면(112); 및 상기 블록아웃부(S)의 하부로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면으로서 형성된 하부단부면(113);을 포함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단부면(112) 사이의 블록아웃부(S)에, 상부단부면 상면에 형성된 전단철근(11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단홈(121)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가 삽입 설치되어 일체화됨으로서, 서로 이격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에 의하여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은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되도록 하되, 하부는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상부에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되도록 하고,
상기 전단홈(121)은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전단홈(121)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노출된 전단홈철근(122)에 전단철근(114)이 서로 교차되도록 세팅 한 후, 마감그라우팅을 통해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가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In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a continuous slab in which the bridge is constructed by mounting the precast slab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sing the bridge bearing 133 without installing a girder,
Precast slabs 110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of the bridge substructure 130; and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s of the precast slab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portions of the precast slabs 110 are continuous slabs 120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including,
Without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at the continuous point part (A), the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recast slab is absorbed by the expansion joint installed at the beginning and end points of the continuous bridge,
The precast slab 110 is a reinforced concrete horizontal plate member having an end surface formed therein, and includes an upper end surface 112 formed by a block-out portion (S) formed by blocking out from the upper end surface downward; and a lower end surface 113 formed as an end surface of the precast slab 110 as a lower portion of the block-out portion (S);
The precast slab 110 can accommodate the shear reinforcemen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surface in the block-out portion S between the upper end surfaces 112 of the precast slab 110 facing each other.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120 having the shear groove 121 formed therein is inser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integrated,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112 and the lower end surface 1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recast slab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set, but the lower part is not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the block-out part (S) formed on the upper part is made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y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120,
The shear groove 121 is formed to penetrate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120, and thus, the shear reinforcement 114 in the shear groove reinforcement 122 exposed to horizontally cross the inside of the shear groove 121 is mutually Precast slab bridge using a continuous slab so that the precast continuous slab 120 and the precast slab 11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finishing grouting after setting to cross.
(a) 교량하부구조(130)로서 양 교대(132) 사이에 교각(131)이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시공되어 연속지점부(A)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b) 연속지점부(A)에 서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가 이격되어 거치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서로 마주보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블록아웃부(S)에 연속화슬래브(120)가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교량하부구조(130)의 연속지점부(A)에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상기 연속화슬래브(120)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하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는 서로 연속화되도록 형성시켜, 상기 연속지점부(A)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종방향 신축이 상기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하부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 (c) 단계의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단부면이 형성된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부재로서, 단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의하여 형성된 상부단부면(112); 및 상기 블록아웃부(S)의 하부로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단부면으로서 형성된 하부단부면(113);을 포함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슬래브(110)는,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단부면(112) 사이의 블록아웃부(S)에, 상부단부면 상면에 형성된 전단철근(11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단홈(121)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가 삽입 설치되어 일체화됨으로서, 서로 이격된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에 의하여 상부단부면(112)과 하부단부면(113)은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되도록 하되, 하부는 서로 연속화시키지 않고, 상부에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는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에 의하여 서로 연속화되도록 하고,
상기 전단홈(121)은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전단홈(121)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노출된 전단홈철근(122)에 전단철근(114)이 서로 교차되도록 세팅 한 후, 마감그라우팅을 통해 프리캐스트 연속화슬래브(120)가 프리캐스트 슬래브(110)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시공방법.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cast slab bridge 100 using a continuous slab to construct the bridge by mounting the precast slab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sing the bridge bearing 133 without installing a girder,
(a) as the bridge substructure 130, the piers 1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two abutments 132 to form a continuous point portion (A);
(b) allowing the precast slabs 110 to be moun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and
(c) installing the continuation slab 120 to be inserted into the block-out part (S) of the precast slab 110 facing each other;
The precast slab 110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 of the bridge lower structure 130 , and the continuous slab 120 is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slab 110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parts are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recast slab 110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at the continuous point part (A). to be absorbed by the lower part of the slab 110,
The precast slab 110 of step (c) is a reinforced concrete horizontal plate member having an end surf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end surface 112 formed by a block-out portion (S) formed by blocking out from the upper end surface downward; and a lower end surface 113 formed as an end surface of the precast slab 110 as a lower portion of the block-out portion (S);
The precast slab 110 can accommodate the shear reinforcemen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surface in the block-out portion S between the upper end surfaces 112 of the precast slab 110 facing each other.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120 having the shear groove 121 formed therein is inser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integrated, so that the upper end surface 112 and the lower end surface 1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recast slab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set, but the lower part is not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the block-out part (S) formed on the upper part is made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by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120,
The shear groove 121 is formed to penetrate the precast continuation slab 120, and thus, the shear reinforcement 114 in the shear groove reinforcement 122 exposed to horizontally cross the inside of the shear groove 121 is mutually A precast slab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tinuous slab in which the precast continuous slab 120 and the precast slab 11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finishing grouting after setting to cros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718A KR102427300B1 (en) | 2020-11-23 | 2020-11-23 |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202110972687.5A CN114525720B (en) | 2020-11-23 | 2021-08-24 | Prefabricated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718A KR102427300B1 (en) | 2020-11-23 | 2020-11-23 |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0793A KR20220070793A (en) | 2022-05-31 |
KR102427300B1 true KR102427300B1 (en) | 2022-08-01 |
KR102427300B9 KR102427300B9 (en) | 2023-03-23 |
Family
ID=8161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7718A Active KR102427300B1 (en) | 2020-11-23 | 2020-11-23 |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7300B1 (en) |
CN (1) | CN114525720B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90130A (en) * | 2007-02-01 | 2008-08-21 | Kajima Corp | Continuous structure of bridge joints |
KR100862276B1 (en) | 2008-04-14 | 2008-10-09 | (주) 케이 이엔씨 |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expansion joint for bridge using seating plate |
KR101175940B1 (en) | 2010-11-22 | 2012-08-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UHPC Precast Slab Using Steel Bar at Zero Bending Moment Points |
KR101509505B1 (en) | 2014-11-21 | 2015-04-08 | 브릿지테크놀러지(주) | Slab girder bridge and the bridge thereof |
KR101585652B1 (en) | 2014-10-20 | 2016-01-14 | 주식회사 장헌산업 |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
KR101743961B1 (en) | 2016-11-14 | 2017-06-07 |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782558B1 (en) * | 2017-02-16 | 2017-09-27 | 정의호 | Expansion joint structure of road construction |
KR101860425B1 (en) | 2017-09-19 | 2018-05-23 | (주)에이치에스드림텍 |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93032B1 (en) | 2019-12-05 | 2020-12-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ng sturcture of bridge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25106A (en) * | 1997-05-27 | 1998-12-08 | Bridgestone Corp | Joint member of road bridge |
KR100323828B1 (en) * | 1998-10-19 | 2002-06-26 | 남상국 | Precast Concrete Bottom Plate Member for Bridge End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Bottom Plate in Bridge End Using the Same |
JP3371102B2 (en) * | 2000-02-23 | 2003-01-27 | ショーボンド建設株式会社 | Bridge expansion joint |
KR100398021B1 (en) | 2000-11-15 | 2003-09-19 | 박은진 | Prestressed concrete slab reinforced by various section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mple and continuous supported slab bridge using the same |
JP3544369B2 (en) * | 2001-12-18 | 2004-07-21 | 元之助 新井 | Road bridge joint structure |
KR100788275B1 (en) * | 2005-06-29 | 2007-12-28 | 주식회사 장헌산업 | Bridge structure with half section precast deck |
KR20090066558A (en) | 2007-12-20 | 2009-06-24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Serialized Precast Panel Bottom Plate |
CN101644029B (en) * | 2008-08-04 | 2013-06-12 | 上海申继交通科技有限公司 | New construction method for elastic concrete in longitudinal spliced seams of roads and bridges |
KR20100089616A (en) * | 2009-02-04 | 2010-08-12 | (주)네오이엔지 | Expansion joint with reinforcement net |
KR101519086B1 (en) | 2014-11-24 | 2015-05-12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Bridg using t-girder with pile supporting apparatus and bridg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04594190B (en) * | 2015-02-16 | 2016-04-13 | 西安公路研究院 | A kind of bridge seamless process stretch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60127463A (en) * | 2015-04-27 | 2016-11-04 | (주)에이치에스드림텍 | Continuity method for bridge decks using rapid-hardening cement concrete composition |
CN206581145U (en) * | 2017-01-06 | 2017-10-24 | 东南大学 | A kind of concrete-bridge end deck installation structure for exempting from expansion joint |
CN108035245B (en) * | 2017-12-26 | 2019-05-10 | 福州大学 | Novel prefabricated seamless expans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00039908A (en) * | 2018-10-08 | 2020-04-17 | 김윤기 | Expansion Joints of the integral abutment bridge and the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CN209384087U (en) * | 2018-12-06 | 2019-09-13 | 福州大学 | The structure of the new bridge connecting plate |
CN109972499A (en) * | 2019-04-12 | 2019-07-05 | 浙江工业大学 | Middle seamless telescopic structure of small and medium span simply supported highwa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
2020
- 2020-11-23 KR KR1020200157718A patent/KR102427300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08-24 CN CN202110972687.5A patent/CN114525720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90130A (en) * | 2007-02-01 | 2008-08-21 | Kajima Corp | Continuous structure of bridge joints |
KR100862276B1 (en) | 2008-04-14 | 2008-10-09 | (주) 케이 이엔씨 |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expansion joint for bridge using seating plate |
KR101175940B1 (en) | 2010-11-22 | 2012-08-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UHPC Precast Slab Using Steel Bar at Zero Bending Moment Points |
KR101585652B1 (en) | 2014-10-20 | 2016-01-14 | 주식회사 장헌산업 |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
KR101509505B1 (en) | 2014-11-21 | 2015-04-08 | 브릿지테크놀러지(주) | Slab girder bridge and the bridge thereof |
KR101743961B1 (en) | 2016-11-14 | 2017-06-07 |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782558B1 (en) * | 2017-02-16 | 2017-09-27 | 정의호 | Expansion joint structure of road construction |
KR101860425B1 (en) | 2017-09-19 | 2018-05-23 | (주)에이치에스드림텍 |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93032B1 (en) | 2019-12-05 | 2020-12-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necting sturcture of b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7300B9 (en) | 2023-03-23 |
CN114525720B (en) | 2025-04-29 |
KR20220070793A (en) | 2022-05-31 |
CN114525720A (en) | 2022-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3861B1 (en) | Integral composite slab bridge without abutments, supports, and expansion join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93285B1 (en) | Fixed running track on a bridge structure | |
US20120279000A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omposition girder bridge | |
KR100991869B1 (en) | Single and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
KR100916973B1 (en) |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 |
US6988337B1 (en) | Mean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ully precast top arch overfilled system | |
KR102061224B1 (en) | Sectionally devided precast box culvert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34807B1 (en) | Structure in which expansion jointing device and futa material non-shrinkable prestressed concrete part and bridge concrete slab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and rigidly integrated togeth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203277B2 (en) | Precast floor slab panel joint | |
JP4093428B2 (en) | High-strength reinforced concrete precast plate | |
KR100548911B1 (en) | Integrated composite shift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847726B1 (en) |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427300B1 (en) | Precast slab bridge using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00044699A (en) | Method for building integrated pile bridge | |
KR100555046B1 (en) | Tunnel structure with arched seg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7247225A (en) | Continuous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simple girder bridges | |
US3295276A (en) | Bridge | |
CN209741665U (en) | Continuous structure of bridge floor shears | |
KR20220169674A (en) | Water stop rubber fixing apparatus and protective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462655B1 (en) | Prefabricated bridge for bending moment mitigation of upper slab | |
JP4010388B2 (en) | High-strength reinforced concrete precast plate | |
KR20220034325A (en) | Construction joint | |
KR20060085054A (en) | Composite structure of integral shift bridge | |
KR101650856B1 (en) | Partial slab integrated I-shaped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832098B1 (en) | A joint bridge at inner supports with a 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of PSC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3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3032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