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5950B1 -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 - Google Patents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950B1
KR102425950B1 KR1020190039569A KR20190039569A KR102425950B1 KR 102425950 B1 KR102425950 B1 KR 102425950B1 KR 1020190039569 A KR1020190039569 A KR 1020190039569A KR 20190039569 A KR20190039569 A KR 20190039569A KR 102425950 B1 KR102425950 B1 KR 10242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pace
needles
case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105A (ko
Inventor
신용균
Original Assignee
신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균 filed Critical 신용균
Publication of KR2019011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流動)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엠보 수지 유동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영구화장 눈썹 문신에 사용되는 도구로써, 침의 유동적인 탄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엠보 수지 니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Embo resin needle}
본 발명은 유동(流動)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엠보 수지 유동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영구화장 눈썹 문신에 사용되는 도구로써, 침의 유동적인 탄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엠보 수지 니들에 관한 것이다.
반영구화장의 기술중 눈썹을 만드는 기술에는 점(點), 선(線). 면(面)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여러가지 기법 중에서 엠보 기법은 선을 만들기 위한 기술로 이에 사용되는 엠보 니들은 주로 사선형의 니들과 라운드형로 사용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의 특허등록번호 제10-1312696, 특허등록번호 제10-0968884, 특허등록번호 제10-1236525 에서 특허를 취득한 경우가 있으나, 니들의 역할과 기능적 차이, 시술 후 결과, 케이스부의 역할이 전혀 상이한 경우이다.
이렇게 전혀 다른 기능으로 다른 기법과 침법에 사용되는 부분으로 기존의 엠보 니들은 주로 침의 규칙적 배열과 곡율에 의한 한올 한올의 선(線)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제작되어 왔으며, 니들의 갯수와 상관없이 니들과 니들 사이(침과 침사이)가 빈틈이 없이 제작되어 긴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짧아지게 제작되어 선(線)의 긋기 기법이나 그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엠보침으로 선(線) 기법이 아닌 점 기법으로 표현하여 만들기에는 침과 침사이가 너무 조밀하여 엠보 수지 기법의 기술을 구사하기에는 매우 부적합한 시술결과를 보이고 있어, 기본의 엠보 니들을 개선하여 긋기 기법이 아닌 점 기법, 튕기기 기법, 뜯기 기법 등에 전문적으로 사용되도록 고안하여 빠르게 시술할 수 있는 특별한 개선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126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게 3~4가지의 문제를 해결하여 기존의 선을 긋기 위한 엠보침의 역할에서 벗어나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은,
첫째, 엠보침의 간격 즉, 니들과 니들사이를 일정간격 이상을 띄어지게 만들어야 한다. 즉, 긋기 기법으로 선을 만들고자 하는 목적일 경우에는 니들과 니들사이가 공간이 전혀 없이(일명: 공간이 없는 니들) 만들어야 곡율에 의한 선을 만드는 작업이 용이 하지만, 점으로 표현하려는 기법에서는 니들과 니들의 사이가 적당한 간격으로 띄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일명: 공간이 있는 니들).
둘째, 니들의 케이스 끝단 부분이 니들의 침부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지게 되면 전체의 침부를고르게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니들의 끝단부로부터 적당한 이격거리를 두어 만들게 되면 필요이상 과도한 깊이로 시술되는 것을 인위적으로 막아주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셋째, 점 기법의 특성상, 시술자가 빠른 손놀림으로 연속하여 같은 동작(피부를 찍어서 뜯는 동작, 또는 찔러서 튕기는 동작 등)을 수 백번 반복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니들과 니들 사이에 공간부를 설치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넷째, 침의 배열이 1열로 만들어지면 색소의 쏠림현상을 나타나고, 시술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시술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2열 또는 3열로 배열하게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점 기법에서 벌어진 니들(일정한 공간, 간격이 있는 니들)로 만들어야 하는 이유이다. 즉, 점으로 만드는 기법에서는 피부를 찍거나, 찍어서 들어올리는 기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공간이 없는 니들을 사용하게 되면 점으로 만드는 기법을 만들어 낼 수 없고, 침과 침 사이가 너무 조밀하여 점 기법에 효과를 거둘 수 없고 선 기법으로 만들어지는 결과가 나타난다.
반면, 니들과 니들 사이가 공간이 있는 니들은 피부를 찍거나, 찍어서 들어올리거나, 또는 찍어서 튕기거나 하게 되면 점으로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 본 발명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공간이 없는 니들로 찍어서 들어올리게 되면 니들과 니들 사이가 너무 조밀하여 선으로 만들어지는 큰 단점이 있고 피부 데미지도 크다.
또한 니들과 니들의 사이를 공간이 있게 만드는 이유는 침의 유동(流動)에 있다. 즉, 피부를 찔러서 튕기는 작업을 하게 될 때 공간이 없는 니들은 니들과 니들 끼리의 간섭(干涉)작용으로 인하여 니들 한 개의 한 개의 유동작용이 없어지므로 뜯기는 기법(점 기법)이 만들어 지지 않는 단점이 있으나, 공간과 간격이 있는 니들은 침의 탄성을 이용한 유동각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간이 있는 니들은 선행작업(찌르는 동작)에서 뜯거나 튕길 때 니들 사이가 공간이 있게 됨으로써 간섭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자연스럽게 피부가 뜯기거나 튕겨지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점으로 만들어지는 기법을 완성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둘째, 케이스 부분의 끝단의 위치는 침부의 끝단보다 더 내려와야 하는 건 당연하고, 종래의 니들 케이스처럼 만들어도 니들과 니들 사이의 공간부는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스 부의 끝단 길이는 특별하게 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추가적인 기능에 있어서 케이스 부분이 니들의 끝단 부분(니들의 일정 부분만 남기고)에 니들의 끝단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점 기법은 시전시에, 피부를 찌르거나, 또는 찔러서 튕기거나, 뜯거나 할 경우에도 무조건 선행작업은 찌르는 작업을 먼저 하게 되는데, 이 케이스 부분이 니들의 끝단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찌르기(또는 찔러지는)를 방지하는 더 좋은 효과가 있다.
반영구화장의 기술자들이 가장 배우기 힘든 부분과 시술 결과에서 색소가 진하게 남아 있는 경우와 부분적으로 탈각 현상 등을 보이는 경우 등 힘 조절이라는 기능적 부분에서 각자의 기술자들의 기술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니들 케이스 부분을 니들의 끝단 부분과 적당히 이격시켜서 니들의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만들게 되면 기술자들의 수압(手壓)에 의하여 필요 이상 피부에 깊이 찌르는 현상과 크게 상관없이 피부에 침습하는 깊이가 일정하여 기술자가 시술 깊이에 대한 부담이 없이 빠르게 시술되는 큰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셋째, 이러한 니들을 2열 또는 3열로 만들어서 빠르게 시술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니들의 형상을 1열로 만들어진 니들을 사용하여 시술하여도 무방하나 시술시간이 상대적으로 오해 걸려서 피부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2열 또는 3열등으로 제작하여 빠르게 시술이 가능한 기능이 있다.
넷째, 케이스 부분에 감추어진 니들의 공간은 색소를 머금게 하는 기능이 있다.
반영구화장의 기법은 한 번 색소를 찍어서 완성 시킬 수 없고, 수 십 번의 색소를 찍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어, 케이스 부분에 감추어진 니들의 공간(공간부)은 색소를 한번 찍었을 때 이 공간부안으로 색소가 일정 부분 머금는 효과와 색소를 오래 머금고 있는 효과가 있어서 한번 찍어서 여러 번 시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엠보침 사진(라운드형 니들)이다.
도 2는 종래의 엠보침 사진(사선형 니들)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엠보침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수지 라운드형 유동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수지 사선형 유동침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엠보수지 유동침(엠보 수지 니들)이란, 종래의 공간이 없는 니들을 변형하여 좀더 기능화 된 엠보침을 뜻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침부(100), 공간지지부(200), 케이스부(300), 공간부(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침부(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침부는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기는 하나 침과 침 사이가 붙어 있지 않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침과 침 사이가 공간(空間)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침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함으로 침과 침이 간격이 존재하지 않으면 침과 침끼리 "간섭 현상"으로 침의 탄력을 이용한 기법을 시전 할 수 없게 된다.
침과 침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되면 시술 시, 뜯기나 튕기기 동작에서 각자 한 개의 침들은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서 좌, 우로 유동을 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뜯기나 튕기기 기법을 할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침부는 과도하게 굵게 만들게 되면 점 기법을 시전시에 투박한 시술이 되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비교적 가는 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공간지지부(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공간지지부는 한 개의 침, 또는 그 인접한 침과 이격(공간)시키기 만드는 방법으로, 전체 침부(100)는 순차적으로 배열이 되게 하되 침과 침 사이에 지지대를 넣어서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이 공간지지부의 넓이(크기)는 공간지지부의 길이와 갯수에 따라서 공간지지부의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다만, 침부가 침으로서의 역할(시술시 침의 유동각)만 있으면 공간지지부의 길이와 개수는 마음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공간지지부는 종래의 엠보침과 다르게 공간(空間)이 존재하여 그 기능이 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공간이 크고 작고의 문제는 중요하지 않다.
이 공간지지부는 침을 만드는 재질과 마찬가지로 강철,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 수 있으나 간격 조절 역할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다른 재질(프라스틱, 탄성고무,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공간만 만들 수 있으면 되며 공간지지부의 끝단은 직선형 또는 침부와 같은 모양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에서, 공간지지부를 넣지 않는 방법으로 공간지지부 없이 침과 침 사이를 벌려서 용접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침과 침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적으로 제작될 경우를 주의하여야 한다.
다음은 케이스부(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 부는 기존의 엠보침(기존 엠보침 사진참조) 케이스 끝단의 위치를 종래의 엠보침과 같이 유지하여도 침과 공간지지부의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의 근본적인 취지인 공간부가 만들어지게 되고, 그 기능은 분명히 있다.
더 좋은 기능적인 면을 추가하자면, 케이스 끝단을 침부의 끝단과 같이 가까이 끌어올림으로써 시술자의 수압(手壓)이 강하거나 약하거나 하는 것이 상관없이 시술 깊이를 제어해 주는 중요한 기능이 추가된다.
반영구화장의 기술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시술자의 기법에 따라서 다르게 보이게 되고, 기술자의 기술에 따라서 시술결과의 차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이 케이스 부의 끝단을 침의 끝단과 시술 되어지는 깊이만큼만 남기고 케이스를 만들게 되면, 최소한 시술의 깊이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시술시간도 획기적으로 단축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침부의 끝단과 케이스 끝단과 차이가 1mm 정도의 차이를 두어 만들게 되면 시술자는 1mm 이상의 깊이로 시술이 되는 것을 인위적으로 막아주는 효과가 지대하다.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침부의 끝단과 케이스 끝단과 차이는 0.1mm 내지 1mm 이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시술자는 제품자체에서 시술의 깊이를 자동으로 막아주기 때문에 시술시간 단축에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음은 공간부(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공간부는 케이스부와 상관 없이 존재하며 공간(침의 유동공간, 또는 침의 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적인 역학을 담당하게 한다.
공간부의 크기는 공간지지부의 갯수, 또는 공간지지부의 길이에 따라서 공간의 넓이가 결정되어지나 공간의 넓이(크기)는 침이 유동적인 역할(침의 유동공간)만 해주면 공간부의 크기는 크게 중요한 부분이 아니다.
다만, 더 좋은 기능적인 부분을 추가 설명하자면, 케이스를 침부의 끝단에 끌어 올려서 만들게되면 침과 침사이에 더 많은 공간부가 (케이스 안의 공간부)를 생기게 되어 색소통(색소 컨테이너)역할도 함께 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엠보기법(엠보 선기법, 엠보 수지기법) 등은 최소 100번 이상의 색소찍기(색소 묻히기)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케이스로 인한 공간부가 생기게 되면 색소 찍기 작업을 많이 하지 않아도 되는 특장점이 있어 시술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특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침부(유동침)를 가지런한 배열을 하게 하여 침을 케이스부 안으로 모아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케이스부가 없는 경우에는 뜯기 기법이나 튕기기 기법을 시술시에 색소가 일정량 튀는 현상(피 시술자의 얼굴에 색소가 튀는 현상)을 보이지만 케이스부는 과도한 니들의 길이를 제어하는 효과와 함께 색소가 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다음은 침부의 배열(5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침(部)의 배열은 1열로 만들어도 무방하나, 시술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과 시술시 색소의 찍힘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2열, 또는 3열등으로 만들어서 피부에 찍히는 과정에서 좀 더 부드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1열의 배열로 만드는 것보다 피부 데미지가 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좀더 넓은 면적에 더 빠른 시술을 목적으로 한다면, 침부의 열과 열사이의 간격을 더 벌려 놓기 위하여 보조재를 사용하여 침 열(列 )의 간격을 벌려서 제작할 수 있다.
도 4a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침의 배열은 1열이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이다.
도 4b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이고, 상기 침의 배열은 1열이며,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한다.
도 4c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이고,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며,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한다. 2열은 침의 배열을 2층으로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2개의 공간지지부는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의 공간을 2배로 이격시킨다.
도 4d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이고, 상기 공간지지부를 넣지 않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를 벌려서 용접하여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과 차이가 1mm보다 길게 구성한다.
도 5a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침의 배열은 1열이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사선 형태이다.
도 5b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배열로 구성하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사선 형태이다.
도 5c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사선 형태이며,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과 차이가 1mm보다 길게 형성한다.
도 5d의 엠보 수지 니들은 상기 공간지지부를 넣지 않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를 벌려서 용접하여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과 차이가 1mm보다 길게 구성하다. 여기서, 상기 이격 공간은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한 것과 동일한 너비이다.
100 : 침부
200 : 공간지지부
300 : 케이스부
400 : 공간부
500 : 침부의 배열

Claims (15)

  1. 인공적인 눈썹의 기법에서 점으로 된 기법을 표현하기 위한, 눈썹 문신에 사용하는 엠보 수지 니들에 있어서,
    침과 인접한 침 사이에 공간지지부를 넣어서 이격 간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침을 구비한 침부; 및
    상기 침과 상기 공간지지부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이 되어 있어서 케이스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이 되도록 한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부의 끝단 부분은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외부로 일정 부분 노출하되 그 길이를 1mm 정도로 하는 엠보수지 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침부의 끝단과 케이스 부의 끝단의 길이 차이가 2mm 이내로 하는 엠보수지 니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안의 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니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지지부의 넓이는 상기 공간지지부의 길이와 개수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니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지지부를 넣지 않고 상기침과 인접한 침 사이를 벌려서 용접하여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니들.
  6. 제1항에 있어서,
    노출되는 침부의 길이와 공간지지부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니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의 배열은 1열이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이고, 상기 침의 배열은 1열이며,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 지지부를 2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이고,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며,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이 라운드 형태이고, 상기 공간지지부를 넣지 않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를 벌려서 용접하여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과 차이가 1mm보다 길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의 배열은 1열이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사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배열로 구성하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사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에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사선 형태이며,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과 차이가 1mm보다 길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지지부를 넣지 않고 상기 침과 상기 인접한 침 사이를 벌려서 용접하여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침의 배열은 복층 구조로 2열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끝단과 차이가 1mm보다 길게 구성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일정한 너비의 공간지지부를 2개로 구성한 것과 동일한 너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지지부는 강철, 스테인레스의 금속재질과 또는 고무,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공간지지부의 끝단은 직선형 또는 상기 침과 동일한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 수지 니들.
KR1020190039569A 2018-04-04 2019-04-04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 Active KR102425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9033 2018-04-04
KR1020180039033 2018-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105A KR20190116105A (ko) 2019-10-14
KR102425950B1 true KR102425950B1 (ko) 2022-07-28

Family

ID=6817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69A Active KR102425950B1 (ko) 2018-04-04 2019-04-04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7087A (zh) * 2019-12-04 2020-04-03 深圳市纹艺绣美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红眉、蓝眉转改纹绣方法
TWI702935B (zh) * 2020-02-20 2020-09-01 國立臺灣科技大學 刺青針頭結構
CN115212445A (zh) * 2021-04-14 2022-10-21 夏婷婷 一种纹绣针头及纹绣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58B1 (ko) * 2009-01-15 2011-02-16 김향희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25B1 (ko) * 2010-09-02 2013-02-22 신용균 이형(異形)의 엠보침
KR101312696B1 (ko) 2010-12-24 2013-09-27 신용균 두피마킹기구
KR101692983B1 (ko) * 2015-04-01 2017-01-05 봄텍전자 주식회사 니들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문신장치
KR101777811B1 (ko) * 2017-02-14 2017-09-12 박보라 시술이 용이한 니들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58B1 (ko) * 2009-01-15 2011-02-16 김향희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105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950B1 (ko)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
US10500013B2 (en) Method for removing a tattoo through patterned trans-epidermal pigment release
US7621749B2 (en) Kit, injectable object, aids and a method of using them for practicing hypodermic needle insertion techniques
KR100796238B1 (ko)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 방법
KR102475052B1 (ko) 문신장치
EP2011539B1 (en) Tattoo needle
DE10056114A1 (de) Narbenfreie Entfernung von Tätowierungen
JP4499080B2 (ja) 液体を注入する中実針
MX2019004237A (es) Metodo para cambiar la apariencia de color perceptual del iris del ojo de un humano o un animal.
KR101071984B1 (ko) 반영구적인 눈썹 특수 메이크업 방법
KR100978561B1 (ko)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KR100978733B1 (ko) 눈썹화장 시술방법
KR20140094200A (ko) 연이은 점형태로 이루어진 점선긋기를 위한 반영구화장용 엠보디자인침
KR101321521B1 (ko) 엠보핀을 구비한 엠보부재
KR101693648B1 (ko) 반영구 눈썹 시술방법
US11771877B2 (en) Method for removing a tattoo through patterned trans-epidermal pigment release
CN210612690U (zh) 一种可控区间深度纹饰针
KR102730423B1 (ko) 탑 니들 카트리지
US20230347125A1 (en) Tattoo device
KR102710809B1 (ko) 모발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한 문신 디자인 결정 및 시뮬레이션 방법
DE10033278A1 (de) Chirurgische Einrichtung zur Entnahme von Gewebezellen aus einer biologischen Struktur
CN214286311U (zh) 一种应用于3d纹发的针状器具
US12076197B2 (en) Template and method for removing a tattoo through patterned trans-epidermal pigment release
KR20240125292A (ko) 눈썹 반영구 시술용 연습기구
CN102793363A (zh) 一种仿天然眉毛的眉毛纹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