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896B1 - Apparatus For Mixing Ingredients For Confectione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ixing Ingredients For Confection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5896B1 KR102425896B1 KR1020210176797A KR20210176797A KR102425896B1 KR 102425896 B1 KR102425896 B1 KR 102425896B1 KR 1020210176797 A KR1020210176797 A KR 1020210176797A KR 20210176797 A KR20210176797 A KR 20210176797A KR 102425896 B1 KR102425896 B1 KR 102425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gar solution
- raw material
- port
- unit
- po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15—Mixing, knead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26—Apparatus for conditioning, e.g. tempering, cooking, heating, cooling, boiling down, evaporating, degassing, liquefying mass before shap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과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땅콩, 아몬드와 같은 견과류에 설탕, 과당, 색소 기타 혼합물을 배합하여 고르게 코팅해주기 위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ection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fectionery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for uniformly coating nuts such as peanuts and almonds by mixing sugar, fructose, coloring and other mixtures.
곡물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부수재료를 섞은 다음 굽거나 튀김으로써 완성되는 제과의 종류가 다양하다. 땅콩이나 아몬드와 같은 견과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nfectionery made by mixing grains as the main ingredient and then baking or frying them. The same is true for nuts such as peanuts and almonds.
이런 제과의 제조를 위해서는 일련의 자치로 구성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원료를 준비하는 과정, 원료를 배합하는 과정, 배합된 원료를 조리하는 과정, 및 완성된 제과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각각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The manufacture of such confectionery requires a system consisting of a series of autonomous unit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raw material, the process of mixing the raw material, the process of cooking the blended raw material, and the process of packaging the finished confectionery, an apparatus is required, respectively.
본 발명은 견과류를 주원료로 하는 제과로서 견과류의 표면에 다양한 맛을 가진 당액을 코팅함으로써 제조되는 제과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ectionery manufacturing system made by coating nuts with various flavors on the surface of a confectionery made from nuts as a main raw material.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2091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중심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심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이를 관통시켜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된 혼합조와, 상기 혼합조 내에서 그 중심회전축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 다수의 교반날개와, 상기 혼합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공 완료된 식품을 담아두기 위한 수납용기와, 상기 교반날개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혼합조 내부에 투입된 튀김재료와 양념류를 고르게 혼합할 수 있도록 구동시켜주는 교반기구부와, 상기 중심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혼합조가 일측으로 반전될 수 있도록 구동시켜주는 반전기구부와, 스위칭 조작시 상기 각 장치부가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52091 can be cited as an example. It has a frame and a central rotation shaft provided so that both ends are rotatable to the frame, and a mixing tank installed in the frame through the central rotation shaft as a medium, and a mixing tank installed in the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entral rotation shaft in the mixing tank.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a storage container disposed under the mixing tank to store processed food, and rotating the stirring blade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evenly mix the frying materials and seasonings put into the mixing tank It includes a stirring mechanism unit for driving so as to be rotated, a reversing mechanism unit for driving the mixing tank to be inverted to one side with the central rotating shaft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device units to be sequentially operated during a switching operation it has been done
이러한 혼합장치는 혼합조가 단독으로 제공된다. 그래서 연속적 작업이 불가능하여 작업생산성이 좋지 못하다. 그리고 다른 원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혼합조 기타 부속 장치를 깨끗이 소제하여야 하는데, 이 소제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어 다품종 생산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Such a mix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mixing tank alone. Therefore, continuous work is impossible, so work productivity is not good.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other raw materials, the mixing tank and other accessory devices must be cleaned thoroughly, which consum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in the cleaning process,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o a multi-variety production system.
이러한 문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77371호의 분립체 혼합장치도 동일하게 가지는 문제이다. This problem is the same problem with the powder mixing devic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7371.
이처럼 종래에는 하나의 교반탱크(또는 혼합조)를 구비하는 시스템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시스템은 언급한 문제를 동일하게 안고 있다. As such, in the prior art, a system having one stirring tank (or mixing tank) is common, and such a system has the same problems as mentioned above.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과류의 표면에 당액을 코팅함으로써 생산되는 제과류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속적 시스템으로서 작업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produced by coating sugar solution on the surface of nuts. 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which can maximize work productivity as a continuous system.
위와 같은 목적은, 당액을 혼합 및 가열하여 요구되는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당액을 후속 공정에 공급하는 당액가공부; 상기 당액가공부에서 공급받은 당액을 원료와 혼합 및 교반한 뒤 완성된 제품을 배출하는 원료배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The above object is,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for supplying the sugar solution to the subsequent process in a state where the sugar solution is mixed and heated and maintained at a required temperature; As including a; raw material mixing unit for discharging the finished product after mixing and stirring the sugar solution supplied from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with the raw material,
상기 당액가공부는,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당액포트(pot); 상기 당액포트를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당액포트 회전구동부; 당액포트를 가열하기 위하여 당액포트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 상기 당액포트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당액배출부;를 포함하며;A plurality of sugar solution pot (pot) arranged in a circle; a sugar solution port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ugar solution port around a vertical axis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all or part of the sugar solution pot to heat the sugar solution pot; a sugar solution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sugar solution port;
상기 원료배합부는,The raw material mixing unit,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원료포트(pot); 상기 원료포트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원료포트 회전구동부; 원료포트를 가열하기 위하여 원료포트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2가열부; 상기 원료포트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품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a plurality of raw material pots arranged in a circle; a raw material pot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aw material pot around a vertical axis; a second heating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all or part of the raw material pot to heat the raw material pot; It is achieved by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comprising a; product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por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당액가공부와 원료배합부는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 설치되며; 상기 당액가공부에서 배출되는 당액은 슈터장치에 의해 상기 원료배합부의 원료포트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and the raw material mixing unit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The sugar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raw material port of the raw material mixing unit by a shooter devic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슈터장치는 상기 원료포트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슈터; 상기 슈터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슈터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oter device is a shooter install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aw material port; It may include a; shooter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the shoot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당액포트는 제1위치(P1)에서 당액(W)을 공급받으며; 제2위치(P2) 내지 제6위치(P6)까지는 제1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되며; 제7위치(P7)에서는 당액을 배출하여 상기 원료배합부(200)에 공급하며; 제8위치(P8) 내지 제9위치(P9)에서는 청소를 위한 온수를 투입받아 세척을 시작하며; 제10위치(P10)에서는 청소용 온수를 배출하여 다시금 당액을 공급받을 준비를 하며; 상기 당액포트(100)는 다단계로 구성되는 하나의 사이클을 통해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gar solution port receives the sugar solution (W)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position (P2) to the sixth position (P6) are heated by the first heating unit; At the seventh position (P7), the sugar solution is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raw
본 발명에 따르면, 당액제조부와 원료배합부가 작업평면상에 나란히 설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작동하며 마치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듯 작동하면서 당액을 주고 받는 구성을 가지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which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ugar solution manufacturing unit and a raw material mixing unit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a working plane, and the sugar solution is exchanged while operating as if gears are engaged. do.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원료를 배합할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기타 효과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which enables continuous operation, thus increasing productivity, and improving product quality by mixing raw materials under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s. Other effects will be further specified through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의 전체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중 당액가공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중 당액가공부의 개략 정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중 당액가공부의 교반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중 당액가공부의 반전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중 당액가공부의 교반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중 당액가공부의 교반장치와 반전장치 구성도이다. 1 is an overall plan configuration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i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front configuration view of a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tirring device of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the inversion device of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irring device of a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in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irring device and a reversing device of a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i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필요한 곳에서는 특정 도면을 인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pecific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pecific drawings will be cited where necessary.
본 발명의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이하, '제과 제조장치'라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액을 혼합 및 가열하여 요구되는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당액을 후속 공정에 공급하는 당액가공부(100)와, 당액가공부(100)에서 공급받은 당액을 원료와 혼합 및 교반한 뒤 완성된 제품을 배출하는 원료배합부(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fectionery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xes and heats the sugar solution to maintain it at a required temperature, It includes a sugar
상기 당액가공부(100)는,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당액포트(101, pot)와; 당액포트(101)를 수직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당액포트 회전구동부와, 당액포트(101)를 가열하기 위하여 당액포트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와, 당액포트(101)에 담긴 내용물, 즉 당액(W)을 배출하기 위한 당액배출부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는 당액포트의 저부에서 엘피 가스(LPG)를 점화 및 연소시키는 버너일 수 있다. The sugar
당액포트(101)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10개로 구성되며 당액포트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목마와 같이 회전구동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당액포트는 시계방향으로 회전(revolving)된다. As shown, the
당액포트(101)는 제1위치(P1)에서 당액(W)을 공급받는다. 제2위치(P2) 내지 제6위치(P6)까지는 제1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된다. 제7위치(P7)에서는 당액을 배출하여 원료배합부(200)에 공급한다. 제8위치(P8)에서는 청소를 위한 온수를 투입받아 세척을 시작하며, 제9위치(P9)에서도 여전히 세척이 이루어진다. 제10위치(P10)에서는 청소용 온수를 배출하여 다시금 당액을 공급받을 준비를 한다. 물론 이들 각 위치에서의 구체적인 작업은 다르게 운영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것은 예시에 불과하다. The
이와 같이, 당액포트(100)는 다단계로 구성되는 하나의 사이클을 통해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As such, the
그리고 원료배합부(200)는,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원료포트(201, pot)와, 원료포트(201)를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원료포트 회전구동부와, 원료포트(201)를 가열하기 위하여 원료포트(201)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2가열부와, 원료포트(201)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품배출부를 포함한다. And the raw
원료포트(201)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6개로 구성되며 원료포트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목마와 같이 회전구동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료포트는 시계방향으로 회전(revolving)된다. As shown in FIG. 1, the
원료포트(201)는 제1위치(P'1)에서 원료를 공급받는다. 제2위치(P'2)에서는 당액가공부로부터 당액을 공급받는다. 제3위치(P'3)에서는 이형류를 투입받는다. 이형류는 점성을 가진 당액에 의해 제품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제4위치(P'4)에서는 당액이 코팅된 원료, 즉 완성된 제품을 배출한다. 제5위치(P'5)에서는 세척을 위한 온수가 투입되고 세척이 이루어진다. 제6위치(P'6)에서는 온수가 배출되고 예열된다. At the fourth position (P'4), the raw material coated with the sugar solution, that is, the finished product is discharged. In the fifth position (P'5), hot water for washing is input and washing is performed. At the sixth position P'6, hot water is discharged and preheated.
원료포트(201)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2가열부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The
제2가열부는 원료포트의 저부에서 엘피 가스를 점화 및 연소시키는 버너일 수 있다. The second heating unit may be a burner that ignites and burns the LPI gas at the bottom of the raw material port.
이와 같이 원료포트(201) 역시 다단계로 구성되는 하나의 사이클을 통해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As such,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당액가공부(100)와 원료배합부(200)는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 설치된다. 당액가공부(100)에서 배출되는 당액은 슈터장치(300)에 의해 상기 원료배합부의 원료포트(201)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gar
상기 슈터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원료포트(20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레인(lane)을 제공하는 슈터(301)와, 슈터(30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슈터승강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슈터승강부(303)는 당액 배출시 당액포트(101)의 저부에 위치하여 당액을 받아내고, 당액은 자중에 흘러서 원료포트(201) 내부로 낙하된다. 슈터(201)는 별도의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당액가공부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
지면에 설치되는 입체적 형태의 메인프레임(103)에 각 장치가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03)은 다리체(105)와, 다리체(105)의 상부에 설치되는 포트설치대(107)와, 당액포트(101)를 기울이기 위한 반전장치(131) 등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지지대(109)를 포함한다. Each device is installed on the three-dimensional
메인포스트(111)가 메인프레임(103)의 중앙에 지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 설치된다. 메인포스트(111)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포트설치대(107)는 메인포스트(111)에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메인포스트(111)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수직축을 축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The
당액포트(101)는 복수 개가 포트설치대(107)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이격 각도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10개의 당액포트(101)가 설치된다. 당액포트(101)는 포트설치대(107)에 마련되어 있는 포트안착공(113)에 안착된다. 당액포트(101)에는 가마솥의 주연부를 따라 돌출된 림과 같은 림(101a)이 설치된다. 당액포트(101)는 위로부터 포트안착공(113)에 끼워지면서 포트설치대(107)의 상면에 걸쳐지게 된다.
또한 당액포트(101)는 당액배출부에 의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뒤집어지게끔 구성된다. 이하, 당액배출부를 설명한다.
포트설치대(107)에는 브래킷(115)이 설치되어 있으며 당액포트회전축(117)이 이 브래킷(115)에 설치된다. 당액포트(101)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아암(119)이 연결된다. 아암(119)의 일단이 당액포트(101)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당액포트회전축(117)에 연결되어 있다. 당액포트(101)는 가마솥과 유사하게 바닥면이 구형으로 되어 있다. A plurality of
In addition, the
A
브래킷(115)의 일측에는 "" 형상의 당김레버(121, 도 5 참조)가 연결되어 있다. 당김레버(121)의 상단에는 걸이봉(123)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회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감속기어열(125)이 설치되어 있다. 당김레버의 걸이봉(123)을 위에서 누를 경우에 감속기어열(125)이 구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 당액포트회전축(117)이 회전하면서 당액포트(101)가 당액(W)을 쏟아낼 수 있는 정도까지 뒤집어지게 된다. On one side of the
여기서, 포트설치대(107)의 저부에는 당액포트(101)를 밑에서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가 설치되는데, 이 가열부는 버너(127)가 될 수 있다. 버너(127)는 엘피지(LPG)를 연소시킴으로써 당액포트(101)를 가열한다. 버너(127)는 코팅하기에 적당한 온도가 되도록 당액포트에 담긴 당액(W)을 가열 또는 온도를 유지한다. 불꽃 및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수단으로서의 불꽃가림통(129)이 포트설치대(107)의 저부에 설치된다. Her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당액포트(101)를 뒤집기 위한 반전장치(131)가 상부지지대(109) 상에 설치된다. 반전장치(131)는 후단은 상부지지대(10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은 포트설치대(107)를 향해 연장되는 반전실린더(133)와, 반전실린더(133)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걸이봉(123)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C" 형상의 걸고리(135)와, 걸고리(135)가 걸이봉(123)에 잘 걸리도록 반전실린더(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137)를 포함한다. 반전실린더(133)와 회전실린더(137)의 사이에는 기구학적 필요에 의한 연결링크(139)가 매개되어 있다. 회전실린더(137)는 후단은 상부지지대(109)에 연결되고 선단은 반전실린더(133)의 몸체에 연결된다. A revers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실린더(137)의 길이가 늘어날 때는 걸고리(135)가 걸이봉(123)에서 빠지고, 축소할 때는 걸이봉(123)이 결합된다. 회전실린더(137)가 축소할 때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단은 상부지지대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링크(139)에 연결되는 회복스프링(141)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반전장치(131)는 정위치에 정지해 있는 당액포트를 포트설치대(107)의 외측방향을 향해 뒤집어 내용물을 바깥쪽으로 쏟는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versing
반전장치(131)는 포트설치대(107)의 원주방향을 따라 두 곳에 설치된다. 하나는 완성된 당액포트를 원료배합부(200)로 배출하는 지점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온수로 세척한 뒤 온수를 비우는 지점에 설치된다. The reversing
이하, 당액포트에 담긴 당액(W)을 가열하는 중에 교반하기 위한 교반장치(143)를 도 3,6,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교반장치(143)는 당액포트(101)와 함께 회전된다. 당액포트(101)가 이동되는 동안에도 계속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포트설치대(107)의 상면에는 교반장치설치대(145)가 고정 설치된다. 교반장치설치대(145)의 상면에는 교반장치용 서브포스트(147)가 직립 설치되고 서브포스트(147)의 상단에는 교반장치 설치대(149)가 설치된다. 교반장치(143)는, 직립 설치되는 교반축(149)과, 교반축(149)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당액포트의 내부로 인입되는 블레이드(151)와, 교반축을 지지하는 교반축지지대(153)와, 교반축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교반축회전모터(153)를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stirring
블레이드(151)는 저항을 줄이기 위한 중공형 판재로서 저면은 당액포트의 바닥면과 유사한 형태로 둥글게 만곡되어 있다. 블레이드(151)는 휘젓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좌우가 비대칭 형태로 되어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축(149)과 관련한 장치로서 교반축(149)을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교반축승강유닛(157)이 더 설치된다. 교반축승강유닛(157)은 상부지지대(109) 상에 설치된다. 교반축(149)을 들어 올리는 작업이 필요한 지점에만 교반축승강유닛(157)이 설치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irring
교반축승강유닛(157)은 후단이 상부지지대(10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유(U)자 형태의 포크(161)가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59)와, 상기 교반축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크(161)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블럭(163)과, 상기 포크(161)가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블럭(163)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승강실린더(159)를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회전시키기 위한 스위칭실린더(16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실린더(165)의 후단은 상부지지대(109)에 연결되고 선단은 승강실린더(159)에 연결된다. 스위칭실린더(165)에 의해 승강실린더(159)가 자신의 회전중심점(159a)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선택적으로 걸림블럭(163)에 걸리게 된다. The stirring
포크(161)가 걸림블럭(163)에 걸린 상태에서 승강실린더(159)의 길이가 축소되면 블레이드(151)가 당액포트(101)에서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들려지게 된다. When the length of the elevating
여기서 블레이드(151)에 묻어있는 당액이 원하지 않는 곳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레이유닛(167)이 더 설치된다. Here, a
트레이유닛(167)은 블레이드(151)를 들어올리는 지점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유닛은 상부지지대에 설치된다. 트레이유닛(167)은 상부지지대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트레이실린더(169)와, 트레이실린더(169)의 선단에 설치되는 트레이(171)를 포함한다. The
당액포트(101)가 연결되어 있는 메인포스트(111)는 당액포트 회전구동부(173)에 의해 수직축(X)을 중심으로 회전구동한다. 당액포트 회전구동부(173)은 상부지지대(109)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based on common technical knowledg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may b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above are possible,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당액가공부 101 : 당액포트
103 : 메인프레임 105 : 다리체
107 : 포트설치대 109 : 상부지지대
111 : 메인포스트 113 : 포트안착공
115 : 브래킷
117 : 당액포트회전축 119 : 아암
121 : 당김레버 123 : 걸이봉
125 : 감속기어열 127 : 버너
129 : 불꽃가림통 131 : 반전장치
133 : 반전실린더 135 : 걸고리
137 : 회전실린더 139 : 연결링크
141 : 회복스프링 143 : 교반장치
145 : 교반장치설치대 147 : 서브포스트
149 : 교반축 151 : 블레이드
153 : 교반축지지대 155 : 교반축회전모터
157 : 교반축승강유닛 159 : 승강실린더
161 : 포크 163 : 걸림블럭
165 : 스위칭실린더 167 : 트레이유닛
169 : 트레이실린더 171 : 트레이
173 : 당액포트 회전구동부
200 : 원료배합부 201 : 원료포트
300 : 슈터장치 301 : 슈터
302 : 슈터승강부 W : 당액100: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101: sugar solution pot
103: main frame 105: leg body
107: port installation 109: upper support
111: main post 113: port seating work
115: bracket
117: sugar solution port rotation shaft 119: arm
121: pull lever 123: hanger rod
125: reduction gear train 127: burner
129: flame shield box 131: reversing device
133: reverse cylinder 135: hook
137: rotating cylinder 139: connecting link
141: recovery spring 143: stirring device
145: agitator installation stand 147: sub-post
149: stirring shaft 151: blade
153: stirring shaft support 155: stirring shaft rotation motor
157: agitated shaft elevating unit 159: elevating cylinder
161: fork 163: jam block
165: switching cylinder 167: tray unit
169: tray cylinder 171: tray
173: Dangac port rotation drive part
200: raw material mixing unit 201: raw material port
300: shooter device 301: shooter
302: shooter lift W: sugar
Claims (8)
상기 당액가공부(100)는,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당액포트(101, pot); 상기 당액포트(101)를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당액포트 회전구동부; 상기 당액포트(101)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당액포트(101)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 상기 당액포트(101)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당액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배합부(200)는,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원료포트(201, pot); 상기 원료포트(201)를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원료포트 회전구동부; 상기 원료포트(201)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원료포트(201)의 전체 또는 일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2가열부; 상기 원료포트(201)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품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a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100 for supplying the sugar solution to a subsequent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 sugar solution at a required temperature by mixing and heating; As including a; raw material mixing unit 200 for discharging the finished product after mixing and stirring the sugar solution supplied from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100 with the raw material,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100,
a plurality of sugar solution pots (101, pots) arranged in a circle; a sugar solution port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ugar solution port 101 around a vertical axis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first heating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all or part of the sugar solution port 101 to heat the sugar solution port 101; a sugar solution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sugar solution port 101;
The raw material mixing unit 200,
a plurality of raw material pots (201, pots) arranged in a circle; a raw material port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aw material pot 201 about a vertical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second heating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all or part of the raw material pot 201 to heat the raw material pot 201;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comprising a; product discharg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port (201).
상기 당액가공부(100)와 원료배합부(200)는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 설치되며; 상기 당액가공부(100)에서 배출되는 당액은 슈터장치(300)에 의해 상기 원료배합부(200)의 원료포트(201)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100 and the raw material mixing unit 200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The sugar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sugar solution processing unit 100 is inputted into the raw material port 201 of the raw material mixing unit 200 by the shooter device 300.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상기 슈터장치(300)는 상기 원료포트(20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슈터(301); 및
상기 슈터(30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슈터승강부(3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ooter device 300 includes a shooter 301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aw material port 201;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comprising a; shooter elevating unit 302 for elevating the shooter 301.
상기 당액포트(101)는 당액포트 회전구동부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제1위치에서 제10위치까지 연속회전되되;
제1위치(P1)에서 당액(W)을 공급받으며;
제2위치(P2) 내지 제6위치(P6)까지는 제1가열부에 의하여 가열되며;
제7위치(P7)에서는 당액을 배출하여 상기 원료배합부(200)에 공급하며;
제8위치(P8) 내지 제9위치(P9)에서는 청소를 위한 온수를 공급받아 세척을 시작하며;
제10위치(P10)에서는 청소용 온수를 배출하여 다시금 당액을 공급받을 준비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gar liquid port 101 is continuously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enth position about the vertical axis by the sugar liquid port rotation driving unit;
receiving sugar solution (W)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second position (P2) to the sixth position (P6) are heated by the first heating unit;
At the seventh position (P7), the sugar solution is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mixing unit 200;
In the eighth position (P8) to the ninth position (P9), the hot water for cleaning is supplied and washing is started;
At the tenth position (P10), a device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to receive the sugar solution again by discharging the hot water for cleaning.
상기 당액포트(101)는 반전장치(131)에 의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뒤집어지게끔 설치되며;
상기 반전장치(131)는;
후단은 메인프레임(103)의 상부지지대(10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메인포스트(111)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메인포스트(111)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포트설치대(107)를 향해 연장되는 반전실린더(133);
상기 반전실린더(133)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걸이봉(123)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C" 형상의 걸고리(135);
상기 포트설치대(107)에 설치되는 브래킷(115);
상기 브래킷(115)에 설치되는 상기 당액포트(101)의 회전중심이 되는 당액포트회전축(117);
일단이 상기 당액포트(101)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당액포트회전축(117)에 연결되는 아암(119);
상기 브래킷(115)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단에는 상기 걸고리(135)가 걸리게 되는 걸이봉(123)이 설치되어 있는 "" 형상의 당김레버(121);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반전실린더(133)의 작동으로 상기 당액포트(101)가 상기 당액포트회전축(117)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뒤집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gar solution port 101 is installed so as to be turned over while rotating around the hinge axis (H) by the reversing device 131;
The inverting device 131 is;
The rea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109 of the main frame 103, and the front end is installed on the main post 111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so that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07 rotates together with the main post 111. ) extending toward the reverse cylinder 133;
a hook 135 of a "C" shape that is selectively caught on the hook rod 123 as being installed at the tip of the inverting cylinder 133;
a bracket 115 installed on the port mount 107;
a sugar solution port rotation shaft 117 that is a rotation center of the sugar solution port 101 installed on the bracket 115;
an arm 119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gar solution port 10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gar solution port rotating shaft 117;
As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115, the upper end has a hanging rod 123 on which the hook 135 is caught. By including; "-shaped pull lever 121;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operation of the inversion cylinder (133), the sugar solution port (101) can be turned over while rotating around the sugar solution port rotating shaft (117).
상기 걸고리(135)가 걸이봉(123)에 잘 걸리도록 반전실린더(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단은 상부지지대(109)에 연결되고 선단은 상기 반전실린더(133)의 몸체에 연결되는 회전실린더(1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or rotating the inverting cylinder 133 so that the hook 135 is well caught on the hook 123,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109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inverting cylinder 133.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ylinder (137).
상기 당액포트(101)가 이동되는 동안에도 계속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당액포트(101)와 함께 회전되는 교반장치(143)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교반장치(143)는;
상기 포트설치대(107)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교반장치설치대(145);
직립 설치되는 교반축(149);
상기 교반축(149)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당액포트(101)의 내부로 인입되는 블레이드(151);
상기 교반축(149)을 지지하는 교반축지지대(153);
상기 교반축(149)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교반축회전모터(153);
상기 교반축(149)을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교반축승강유닛(1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tirring device 143 rotated together with the sugar solution port 101 so that stirring can be continued even while the sugar solution port 101 is moved;
The stirring device 143 is;
Agitating device installation 145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 installation 107;
Agitation shaft 149 is installed upright;
a blade 151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shaft 149 and introduced into the sugar solution port 101;
a stirring shaft support 153 for supporting the stirring shaft 149;
a stirring shaft rotation motor 153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stirring shaft 149;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교반축승강유닛(157)은 상기 교반축(149)을 들어 올리는 작업이 필요한 지점에만 교반축승강유닛(157)이 설치되되;
후단이 상부지지대(10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유(U)자 형태의 포크(161)가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59);
상기 교반축(149)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크(161)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블럭(163);
상기 포크(161)가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블럭(163)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승강실린더(159)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단은 상기 상부지지대(109)에 연결되고 선단은 상기 승강실린더(159)에 연결되는 스위칭실린더(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를 원료로 하는 제과의 제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irring shaft elevating unit 157 is a stirring shaft lifting unit 157 is installed only at the point wher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tirring shaft 149 is required;
a lifting cylinder 159 having a rear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pport 109 and a U-shaped fork 161 installed at the front end;
a locking block 163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tirring shaft 149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161;
For rotating the elevating cylinder 159 so that the fork 161 can be selectively caught by the engaging block 163 ,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109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cylinder 159 . A device for manufacturing confectionery using nuts as 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witching cylinder to be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797A KR102425896B1 (en) | 2021-12-10 | 2021-12-10 | Apparatus For Mixing Ingredients For Confection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6797A KR102425896B1 (en) | 2021-12-10 | 2021-12-10 | Apparatus For Mixing Ingredients For Confectione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5896B1 true KR102425896B1 (en) | 2022-07-27 |
Family
ID=8270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6797A Active KR102425896B1 (en) | 2021-12-10 | 2021-12-10 | Apparatus For Mixing Ingredients For Confection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589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3949B1 (en) | 2024-12-23 | 2025-04-11 | 주식회사 금촌베이커리 | Auto roasting system for cheesecak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2091B1 (en) | 2004-07-06 | 2004-10-08 | 김준철 | Mixing machine for seasoning fried stuff |
KR200424043Y1 (en) * | 2006-05-30 | 2006-08-14 | (주)라이스코리아 | Spice Mixing Inverter |
KR101377371B1 (en) | 2006-12-27 | 2014-03-21 | 가부시키가이샤 츠카사 | Particulate Mixer |
KR20140006133U (en) * | 2013-05-28 | 2014-12-08 | 주동혁 | Mixing Machine |
KR101835579B1 (en) * | 2017-07-27 | 2018-04-19 | 신소정 | roasted apparatus for meat |
KR101931674B1 (en) * | 2018-06-05 | 2018-12-21 | 피테크주식회사 | Mixer Apparatus for Cooking |
KR20200127761A (en) * | 2019-05-03 | 2020-11-11 | 주식회사 이티 | Mixing machine for food materals |
-
2021
- 2021-12-10 KR KR1020210176797A patent/KR1024258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2091B1 (en) | 2004-07-06 | 2004-10-08 | 김준철 | Mixing machine for seasoning fried stuff |
KR200424043Y1 (en) * | 2006-05-30 | 2006-08-14 | (주)라이스코리아 | Spice Mixing Inverter |
KR101377371B1 (en) | 2006-12-27 | 2014-03-21 | 가부시키가이샤 츠카사 | Particulate Mixer |
KR20140006133U (en) * | 2013-05-28 | 2014-12-08 | 주동혁 | Mixing Machine |
KR101835579B1 (en) * | 2017-07-27 | 2018-04-19 | 신소정 | roasted apparatus for meat |
KR101931674B1 (en) * | 2018-06-05 | 2018-12-21 | 피테크주식회사 | Mixer Apparatus for Cooking |
KR20200127761A (en) * | 2019-05-03 | 2020-11-11 | 주식회사 이티 | Mixing machine for food materal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3949B1 (en) | 2024-12-23 | 2025-04-11 | 주식회사 금촌베이커리 | Auto roasting system for cheesecak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6061183A (en) | Universal agitator for various foodstuff | |
US20110027434A1 (en) | Candy popcorn cooker and mixer,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
US5469782A (en) | Food flipping assembly | |
US9943087B2 (en) | Multi-purpose kettles for producing caramel corn | |
KR102425896B1 (en) | Apparatus For Mixing Ingredients For Confectionery | |
CN209202056U (en) | A kind of rice processing line takes off loose machine | |
CN106108091A (en) | A kind of Oryza glutinosa sweet patato-filament candy slurry foam device | |
US4763570A (en) | Pasta preparation apparatus | |
JP6276541B2 (en) |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 |
JP2003135950A (en) | Food material stirring device and stirring method | |
KR101823856B1 (en) | Stirring and heating the instant salted dry laver roasting device with heat screw | |
CN210329234U (en) | Fried egg feeding device | |
CN108244167A (en) | A kind of charging, stirring and tilting device made for cake | |
JP3869832B2 (en) | Universal cooking equipment | |
JP2002504358A (en) | Methods and corresponding machines for producing cooked and semi-cooked foods | |
CN110810603A (en) | Sugar boiling device | |
CN216321482U (en) | Seasoning and mixing device | |
CN215604964U (en) | Control operation device for stir-frying food | |
KR102694035B1 (en) | Egg garnish manufacturing device | |
JPH1128155A (en) | Rice cooker, its rice cooking method and method for blending food material to cooked rice | |
JP2006166964A (en) |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type kneading stirrer | |
CN219002799U (en) | Stirring mechanism for frying pan | |
WO2003096853A1 (en) | A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edible material | |
US2311586A (en) | Stirrer for food cookers | |
CN110226882A (en) | A kind of semi-automatic dish thin pancake m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