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4463B1 -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463B1
KR102424463B1 KR1020200057472A KR20200057472A KR102424463B1 KR 102424463 B1 KR102424463 B1 KR 102424463B1 KR 1020200057472 A KR1020200057472 A KR 1020200057472A KR 20200057472 A KR20200057472 A KR 20200057472A KR 102424463 B1 KR102424463 B1 KR 10242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collection
skin
needle
sensing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0853A (ko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4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4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954Means for the detection of operative contact with patient, e.g. by temperature sensitive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061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0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means for indicating when used correctly or incorrectly; means for alar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A61B5/1545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vein or arterial en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장치는, 채혈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채혈시의 채혈 상태와 관련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며, 채혈시마다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채혈바늘의 혈관 침습시 및 침습 후의 적어도 하나의 채혈 순간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Blood Collection Confirm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자동채혈장치나 일반주사기채혈장치 등을 사용자가 이용시 채혈 상태를 확인하여 채혈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혈은 혈관으로부터 임상 병리실험이나 각종 검사에 필요한 혈액을 취득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채혈은 숙련된 의사 혹은 간호사가 인체에서 혈관을 찾고, 이 혈관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혈액을 취득한다. 병원에서는 취득된 혈액으로 다양한 분석 및 검사를 통해 환자(피검사자)의 질병이나 상태를 판단한다. 이러한 채혈은 특정 혈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간호사와 임상병리사 같은 숙련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므로, 비숙련자가 채혈을 수행할 경우 정확한 채혈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자동채혈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혈관을 찾은 후 혈관에 바늘(needle)이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안된 바가 없어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1421호(2016.03.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6160호(2007.07.3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1117호(2013.12.0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자동채혈장치나 일반주사기채혈장치 등을 사용자가 이용시 채혈 상태를 확인하여 채혈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장치는, 채혈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채혈시의 채혈 상태와 관련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며, 채혈시마다 상기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채혈바늘의 혈관 침습시 및 침습 후의 적어도 하나의 채혈 순간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압력센서 및 진동센서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채혈바늘이 피부 및 혈관을 통과할 때의 압력 및 진동 상태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혈시 상기 피부와 상기 혈관의 구성 성분의 차이에 따른 전류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혈관의 관통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혈 상태로서 상기 채혈장치의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여 채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채혈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채혈시의 채혈 상태와 관련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며, 채혈시마다 상기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채혈바늘의 혈관 침습시 및 침습 후의 적어도 하나의 채혈 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압력센서 및 진동센서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채혈바늘이 피부 및 혈관를 통과할 때의 압력 및 진동 상태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채혈시 상기 피부와 상기 혈관의 구성 성분의 차이에 따른 전류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혈관의 관통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채혈 상태로서 상기 채혈장치의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여 채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채혈장치의 바늘이 혈관 침습시와 침습 후 채혈 순간을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채혈이 되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숙련자가 자동채혈장치를 이용해 채혈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채혈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채혈확인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채혈확인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채혈확인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시스템(90)은 채혈장치(100), 열화상감지장치(110) 및 채혈확인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열화상감지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열화상감지장치(110)와 같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채혈장치(100)와 같은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채혈장치(100)는 투약도 고려하여 주사기장치라 명명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채혈장치(100)로 기술하기로 한다.
채혈장치(100)는 (진공)자동채혈장치 또는 일반주사기채혈장치 등을 포함한다. 가령, 사람이 채혈하는 진공채혈기나 로봇채혈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채혈장치는 간호사 또는 임상병리사가 직접 혈관에 바늘을 꽂고 진공으로 채혈하는 주사기, 그리고 인공 로봇이 사람의 혈관에 바늘을 꽂고 채혈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채혈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바늘 연결부(예: 루어록 팁)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5)는 이 채혈바늘 연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센서부(105)는 채혈바늘 연결부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사람의 피부(97)에, 물론 동물의 경우도 가능하겠지만, 채혈이 이루어질 때 이를 관찰할 수 있으면 좋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용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센서, 가령 압력센서나 진동센서를 부착하여 이용하지만, 소형 카메라를 탑재하여 채혈 상태를 관찰하거나 피부(97)나 혈관에 채혈이 이루어질 때의 상태를 센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의 채택 여부 및 사용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센서부(105)는 채혈바늘 연결부에 체결되어 동작하지만,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예를 들어, 센서를 피부(97)에 삽입되는 부위를 제외한 상단에 체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채혈 상태의 확인이 더욱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센서가 어느 부위에 부착되는지에 대하여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센서부(105)의 센서는 어느 부위에 부착 또는 결합되든 채혈될 때의 채혈 상태를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채혈확인장치(120)로 전송한다. 또한, 센서부(105)의 센서들은 피부(97)나 혈관 내 성분에 따른 전류 세기 변화를 센싱하여 이를 센싱 데이터로 채혈확인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피부는 지방으로 구성되고, 혈액은 모두 이온 성분이므로, 이러한 피부와 혈관 내 성분 즉 혈액의 구성 성분에 따라 채혈시 전류 세기의 차이가 나므로 이를 센싱할 수 있다. 압력은 채혈이 이루어질 때 피부(97)나 혈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다시 말해 그때 센서 내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나 전압의 변화를 센싱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이다. 물론 진동센서의 경우에도 압력센서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진동센서는 진동을 통해 변위(Displacement), 속도, 가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변위는 움직임량 또는 이동량이 된다. 또한 압력센서는 피에조 센서와 같은 압전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열화상감지장치(110)는 채혈이 이루어지는 주변에 설치되어 채혈되는 부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열화상감지장치(110)는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어 가령 카메라와 같은 형태로 스탠드에 거치되어 열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열화상감지장치(110)의 경우 채혈바늘, 채혈바늘 연결부, 또는 채혈통 등의 온도변화를 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감지하는 위해 해당 부위에 열화상감지센서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물론, 열화상감지장치(110)는 위의 센서부(105)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열화상 감지센서는 센서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열화상감지장치(110)의 경우 열화상감지카메라도 함께 고려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열화상감지장치(110)는 채혈 시작시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또한 채혈확인장치(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채혈 시작시"란 바늘이 혈관을 관통하여 채혈장치(100)에 의해 혈액이 뽑히는 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늘이 피부를 관통하고, 혈관을 관통하여 혈관을 관통한 바늘에 의해 혈액이 뽑히는 과정을 확인한다고 볼 수 있다. 혈액이 뽑히는 순간은 위의 피부와 혈액(또는 혈관)의 구성성분의 차이에 따른 전류세기의 변화, 그리고 채혈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는 채혈통 등의 온도변화 감지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채혈확인장치(12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별도로 제작된 전용 장치일 수도 있다. 나아가, 국내 S사의 갤럭*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채혈확인장치(120)는 센서부(105)나 열화상감지장치(110)와 유무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유선의 경우 잭(jack)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지만, 무선의 경우 적외선 통신,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비콘 통신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앱(App.)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앱이 실행될 때, 센서부(105)와 열화상감지장치(110)가 채혈장치(100)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채혈확인장치(120)는 1차적으로 바늘이 피부(97) 및 혈관 침습에 따른 상이한 압력 및 진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바늘에 장착된 각각의 센서를 통해 미세한 변화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여 바늘이 정확하게 혈관에 침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채혈확인장치(120)는 2차적으로 바늘과 실린지 연결부 내로 혈액이 채혈되었을 때의 온도변화를 열화상감지장치(110)로 확인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 채혈장치(100)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채혈확인장치(120)는 채혈장치(100)에 바늘의 혈관 침습시와 침습 후 채혈 순간을 가령 채혈시마다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인공지능(AI)의 딥러닝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여 정확한 채혈이 되었는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혈확인장치(120)로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이 활용되는 경우 화면을 통해 분석 데이터를 사용자가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혈관에 바늘을 삽입하든지 아니면 로봇이 바늘을 삽입하든지 혈관에 바늘이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할 때 이를 개선함으로써 자동채혈장치의 사용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채혈확인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채혈확인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채혈점검부(220) 및 저장부(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채혈점검부(2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210)와 같은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장치(100), 더 정확하게는 채혈바늘 연결부에 결합(또는 부착)되어 있는 센서부(105) 및 열화상감지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센서부(105)나 열화상감지장치(110)로 센싱을 시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에 따라 센서부(105) 및 열화상감지장치(110)는 피부(97)나 혈관의 채혈 상태를 센싱하여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채혈확인장치(120)가 스마트폰이나 랩탑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때 센서부(105) 및 열화상감지장치(110)로 측정을 시작하도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채혈점검부(220) 및 저장부(2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하여 채혈장치(100)의 센서부(105)로부터 제1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며, 열화상감지장치(110)로부터 제2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열화상감지장치(110)가 감지센서인 경우 센서에서 생성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열화상감지카메라인 경우에는 센싱 데이터로서 촬영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센서부(105) 및 열화상감지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부(230)에 임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저장한 데이터를 다시 불러내어 채혈점검부(220)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채혈점검부(220)의 요청에 따라 지정 포맷(format) 내에 분석 결과를 포함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의 화면에 분석 결과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채혈점검부(220)는 제어부(210)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 1의 채혈장치(100)를 이용해 이루어진 채혈 상태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채혈점검부(220)는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채혈의 정확도를 측정한다. 채혈점검부(220)는 특정 사용자가 자동채혈장치를 사용하여 채혈을 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채혈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채혈점검부(220)는 예를 들어 인공지능의 딥러닝 등을 통해 채혈이 있을 때마다 지속적으로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특정 사용자의 채혈 패턴을 감지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채혈점검부(220)는 가령, 채혈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행동 패턴이나 문제점을 제시하여 채혈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채혈점검부(220)는 센서부(105)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적으로 피부(97)의 관통시 압력 및 진동 수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진동을 통해 변위나 속도를 측정하는 경우, 해당 속도에 따라 얼마의 압력이 피부에 가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변위는 이동량 즉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거리를 미분 연산하면 속도값을 얻을 수 있고, 속도를 또 다시 미분 연산하면 가속도값을 얻을 수 있다. 압력은 압전센서인 피에조 센서 등을 통해 바늘이 피부(97)의 관통시 피부(97)에 발생한 압력을 측정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혈관의 관통시에도 압력 및 진동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바늘이 피부를 관통할 때와 혈관을 관통할 때의 속도나 압력은 다를 수 있으며, 이를 센싱 데이터를 통해 분석해 낼 수 있다.
또한, 채혈점검부(220)는 혈관을 통해 피를 뽑을 때도 그때의 상태를 한번 더 점검할 수도 있다. 채혈점검부(220)는 피부 및 혈관 내 성분(예: 혈액)에 따른 전류 세기 변화를 통해 관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성분에 따른"이란 피부는 지방으로 구성되고, 혈관 내 혈액은 모두 이온 성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부와 혈관 내 혈액의 구성성분의 차이에 따른 전류세기의 변화를 채혈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혈점검부(220)는 혈관에 제대로 채혈바늘이 삽입된 경우 채혈바늘 연결부로 압력에 의해 혈액이 밀려들어오게 될 때의 변화를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05)는 센서를 통해 이러한 변화를 감지 즉 센싱하여 전류나 전압의 세기를 센싱 데이터로서 생성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전류나 전압이 세기는 곧 전기에너지에 해당된다. 압력센서의 경우 발생된 압력은 전기에너지인 전류나 전압의 세기로 변환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전류나 전압의 세기는 2진 비트로 디지털화하여 센싱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채혈점검부(220)는 채혈 시작시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센싱(또는 감지, 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혈바늘이 혈관을 제대로 관통하여 채혈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혈점검부(220)는 최종적으로 채혈 진행시 채혈바늘 및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통해 채혈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센싱 데이터 등을 임시 저장한 후 제어부(210)의 요청이 있을 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230)는 램(RAM)이나 HDD(Hard Disk Drive) 등의 롬(ROM)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저장부(230)는 채혈점검부(22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룩업테이블(LUT)상에 저장하여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주사기를 통해 투약을 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투약 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주사기를 이용한 채혈 상태, 투약 상태는 채혈 및 투약 상태, 또는 주사기 투입시의 피부 상태 등의 용어가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의 제어부(2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를,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입력된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동작의 수행에 관련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은 룩업테이블(LUT)상의 좌측과 우측에 데이터를 매칭한 후 제어회로가 좌측 데이터를 근거로 우측의 데이터를 찾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채혈확인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채혈점검부(22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채혈확인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혈확인장치(120)는 채혈장치(100)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채혈시의 채혈 상태와 관련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S300). 이의 과정에서 채혈확인장치(120)는 열화상감지장치(110)에서 제공하는 채혈장치(100)의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와 관련한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채혈확인장치(120)는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며, 채혈시마다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채혈바늘의 혈관 침습시 및 침습 후의 적어도 하나의 채혈 수간을 모니터링한다(S310).
채혈확인장치(120)는 이러한 과정을 일회성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채혈을 수행할 때마다 인공지능의 딥러닝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채혈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채혈확인장치(120)는 열화상감지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시 말해 채혈 시작시 채혈장치(100)의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변화를 탐지하여 채혈을 확인할 수 있다. 채혈바늘이 혈관을 정확히 관통하여 채혈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채혈확인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채혈확인장치의 구동 과정(혹은 채혈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채혈장치(100)에 압력센서 및 진동센서를 부착한다(S400). 채혈바늘 연결부에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연결부에서 바늘과 접촉하는 바늘 부위(예: 바늘 끼우는 구멍 부위)에 부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밀대에 부착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어, 채혈확인장치(120)는 채혈시 즉 피부 관통시 압력 및 진동 수치를 확인(혹은 판단)하고(S410), 혈관 관통시 압력 및 진동 수치를 확인한다(S420). 채혈확인장치(120)는 센서에서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상 동작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진동을 통해서는 채혈 변위나 속도를 확인한다면, 압력을 통해서는 속도에 따른 피부(97)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채혈확인장치(120)는 피부 및 혈관 관통시 각각의 압력 및 진동 수치에 따른 관통 여부를 판단한다(S430).
이와 같이 채혈확인장치(120)는 1차적으로 주사 바늘과 연결된 센서를 이용하여 피부 및 혈관 통과시 상이한 압력 및 진동 수치의 변화로 혈관 관통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채혈을 진행하고 상황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채혈확인장치(120)는 좀더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물론 장치를 설계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피부 및 혈관 관통시 전류 세기의 변화를 더 탐지하거나(S435), 채혈 시작시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더 탐지할 수 있다(S437).
이와 같이 채혈확인장치(120)는 2차적으로 피부 및 혈관 내 성분 가령 피부의 지방과 혈액의 이온성분에 따른 전류 세기 변화를 통해 혈관 관통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S435). 물론 이러한 동작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통해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채혈확인장치(120)는 채혈 시작시 채혈바늘 연결부 및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통해 채혈의 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S437),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채혈이 이루어질 수 있다(S44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채혈확인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채혈장치 105: 센서부
110: 열화상감지장치 120: 채혈확인장치
2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제어부
220: 채혈점검부 230: 저장부

Claims (10)

  1. 채혈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채혈시의 채혈 상태와 관련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며, 채혈시마다 상기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채혈바늘의 혈관 침습시 및 침습 후의 적어도 하나의 채혈 순간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혈시 상기 피부와 상기 혈관 내 구성 성분의 차이에 따른 전류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혈관의 관통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구성 성분은 상기 피부의 지방이나 상기 혈관 내 혈액의 이온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혈 상태로서 상기 채혈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열화상감지장치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채혈장치의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여 채혈 여부를 판단하는 채혈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압력센서 및 진동센서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는 채혈확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채혈바늘이 피부 및 혈관을 통과할 때의 압력 및 진동 상태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는 채혈확인장치.
  4. 삭제
  5. 삭제
  6.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채혈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채혈시의 채혈 상태와 관련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며, 채혈시마다 상기 센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채혈바늘의 혈관 침습시 및 침습 후의 적어도 하나의 채혈 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채혈시 상기 피부와 상기 혈관 내 구성 성분의 차이에 따른 전류세기 변화를 근거로 상기 혈관의 관통 여부를 더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채혈 상태로서 상기 채혈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열화상감지장치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채혈장치의 바늘연결부 또는 채혈통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여 채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성분은 상기 피부의 지방이나 상기 혈관 내 혈액의 이온 성분을 포함하는 채혈확인장치의 구동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압력센서 및 진동센서에서 제공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는 채혈확인장치의 구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채혈바늘이 피부 및 혈관을 통과할 때의 압력 및 진동 상태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피부 및 혈관의 관통 여부를 판단하는 채혈확인장치의 구동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57472A 2020-05-14 2020-05-14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ctive KR10242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72A KR102424463B1 (ko) 2020-05-14 2020-05-14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72A KR102424463B1 (ko) 2020-05-14 2020-05-14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853A KR20210140853A (ko) 2021-11-23
KR102424463B1 true KR102424463B1 (ko) 2022-07-22

Family

ID=7869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472A Active KR102424463B1 (ko) 2020-05-14 2020-05-14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4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975A (ja) * 2004-04-29 2005-11-10 Lifescan Inc 体液抽出装置用の作動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JP2016501635A (ja) * 2012-12-21 2016-01-21 ボルケーノ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ローセンサを有する導入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60B1 (ko) 2006-03-06 2007-08-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혈액 채취 및 약물 투입을 위한 자동 주사 장치
KR101286162B1 (ko) * 2011-07-19 2013-07-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사액 누출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357134B1 (ko) 2012-05-23 2014-02-05 주식회사 아이센스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휴대용 계측기 및 이들을 사용한 혈액시료 중 분석대상물질의 농도 측정방법
KR101601421B1 (ko) 2014-05-27 2016-03-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채혈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975A (ja) * 2004-04-29 2005-11-10 Lifescan Inc 体液抽出装置用の作動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JP2016501635A (ja) * 2012-12-21 2016-01-21 ボルケーノ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ローセンサを有する導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853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0823B (zh) 血压信息显示装置、血压信息显示系统、血压信息显示方法及存储有血压信息显示程序的存储介质
US20190087996A1 (en)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CN102171571B (zh) 血糖值测定装置及测定数据管理装置
US20220130548A1 (en) Electrocardiogram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cardi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9226217A (ja) 検体の検査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764674B2 (ja) 液体試料測定システム
US20140003676A1 (en) Providing an id-verified blood test
KR20150111696A (ko) 혈액 검사기 및 그에 따른 혈액 검사 방법
KR20140130039A (ko) 분석물 측정기의 검사 스트립 감지
US11389097B2 (en) Adjustable lancet and test cartridge for automated medical sample collection and testing
US20220330861A1 (en) Self-Contained Dermal Patch for Detection of Physiological Analytes
JP5849111B2 (ja) 医療用の測定装置、および測定システム
CN105051701B (zh) 设计工具
KR102424463B1 (ko) 채혈확인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494526B1 (ko) 검체 분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92782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edical testing
US9282921B2 (en) Measurement system for an analyte determination and a method
JP6598467B2 (ja) 測定装置、管理装置、測定スキ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測定スキル管理方法
KR20180039965A (ko) 동물 혈액 검사기 및 그 제어 방법
US8973815B2 (en) One touch data collection apparatus
JP499562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KR20230072081A (ko) 사용자 상태 진단을 위한 진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114831600A (zh) 基于病原数据识别与分析的手足口病识别与控制系统
JP2012008075A (ja) 物体の力量測定装置
US9655566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an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