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4149B1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149B1
KR102424149B1 KR1020200000620A KR20200000620A KR102424149B1 KR 102424149 B1 KR102424149 B1 KR 102424149B1 KR 1020200000620 A KR1020200000620 A KR 1020200000620A KR 20200000620 A KR20200000620 A KR 20200000620A KR 102424149 B1 KR102424149 B1 KR 10242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sk
filter unit
nose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7644A (en
Inventor
김회율
Original Assignee
김회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율 filed Critical 김회율
Priority to KR102020000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149B1/en
Publication of KR2021008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14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 및 코의 하부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코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코하우징에는, 날숨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 및 들숨 시 개방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and a nose housing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nose and into which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is sucked, wherein the nose housing includes an exhaust valve that is opened during exhalation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that is opened during inhalation,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is sucked.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코에 착용되어 정화된 공기가 코를 통해서 흡입 및 배기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in which purified air worn on the nose of a human body is inhaled and exhausted through the nose.

마스크는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인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입과 코를 가리는 천에 귀걸이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 다양한 산업 시설 및 차량의 급증 물론, 온난화에 따른 지구의 사막화 가속에 의해 환경이 변함에 따라 먼지는 다양한 종류의 유해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화되어 단순히 천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만으로는 이러한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Masks are widely used as a means of filtering external air and supplying it to the human body. These masks were often made by installing earrings on the cloth that covers the mouth and nose, but recently, as the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and vehicles, as well as the acceleration of desertification of the earth due to global warming, dust can become harmful to various kinds of harmful substances. As well as containing ingredient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possible to filter out such fine dust only with a mask made of a fine cloth.

일반적인 마스크는 코와 입을 통해서 나온 호흡이 마스크 내부에서 높은 습도로 인해 시간이 지나갈수록 마스크 필터의 특성 상 습도와 결합하게 되면 필터링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날씨가 매우 추운 경우 습기가 많은 호흡이 코부근으로 배출이 되어 안경 착용자에게는 많은 불편을 초래했다. 뿐만 아니라 높은 습도로 인해 사용 시 혹은 사용 후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문제도 있었다. In a general mask, when breathing from the nose and mouth is combined with humidity due to the high humidity inside the mask as time goes by, the filtering function deteriorates. In addition, when the weather is very cold, humid breathing is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nose, causing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wearer of glasses. In addition, due to high humidity, there was a problem that bacteria were easy to multiply during or after us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5492호(2018.08.2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5492 (2018.08.27)

본 발명은 마스크의 착용 시 들숨 및 날숨이 분리되어 필터에 호흡으로 인한 습기가 배제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that can exclude moisture due to breathing in the filter by separat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when wearing the mask.

또한, 마스크가 코의 하부와 볼의 일부 부분에만 장착되어 입을 가로막지 않도록 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ask in which the mask is mounted only on the lower part of the nose and part of the cheek so as not to block the mouth.

또한, 멀리서 사용자를 보았을 때는 마스크 미착용상태로 보이도록 하고 화장이 손상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ask that makes it appear that the user is not wearing a mask when looking at the user from a distance and can minimize the area where the makeup is dama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 및 코의 하부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코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코하우징에는, 날숨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 및 들숨 시 개방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for purifying external air; and a nose housing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nose and into which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is sucked, wherein the nose housing includes an exhaust valve that is opened during exhalation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that is opened during inhalation,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is sucked.

상기 코하우징에는 콧구멍과 연통하는 콧구멍 연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콧구멍 연통부에는 사용자의 콧구멍과 연결되는 콧구멍 연결막이 구비될 수 있다.A nostril communicat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nostrils may be formed in the nose housing, and a nostril connecting membrane connected to the user's nostrils may be provided in the nostril communicating part.

상기 콧구멍 연결막은 얇은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nostril connecting membrane may be made of a thin silicon material.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콧구멍 연통부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밸브는 상기 코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exhaust valve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stril communication part, and the intake valve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nose housing, respectively.

상기 필터부에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 filter for purifying external air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ilter unit.

상기 필터는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힌 형태의 절곡형 필터일 수 있다.The filter may be a bent type filter that is repeatedly fol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절곡형 필터는 전후방으로 눌린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bendable filter may be used in a form that is pressed back and forth.

상기 필터부에는 하얀 색상을 가진 오염도 확인부가 부착되어, 상기 필터부가 오염될수록 상대적으로 하얗게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A contamination level confirmation unit having a white color may be attached to the filter unit, and as the filter unit becomes contaminated, the filter unit may be displayed relatively white.

상기 필터부에는 일방으로 갈수록 밝은 색상에서 어두운 색상을 가지는 오염도 비교부가 부착되어, 상기 필터부의 오염 정도를 외부로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A contamination level comparator having a light color to a dark color is attached to the filter unit toward one side, so that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filter unit can be compared to the outside and display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 하부 및 양 볼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커버판; 상기 커버판의 후면에 부착되고,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 및 상기 커버판의 후면에 부착되고, 코의 하부에 밀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코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코하우징에는, 날숨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 및 들숨 시 개방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late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user's lower nose and both cheeks; a filter unit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purifying external air; and a nose housing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lat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nose, into which air purified from the filter part is sucked, wherein the nose housing is opened upon exhalation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exhaust valve;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that is opened during inhalation,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is sucked.

상기 커버판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입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커버판이 부착될 수 있다.An auxiliary cover plate formed to cover the user's mouth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의 착용 시 들숨 및 날숨이 분리되어 필터에 호흡으로 인한 습기가 배제되므로 필터의 성능유지의 효과는 물론 세균증식의 기회가 차단되므로 위생적으로 장시간 착용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sk is worn, inhalation and exhalation are separated, so that moisture due to respiration is excluded in the filter, so it is possible to hygienically wear for a long time becaus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as well as the chance of bacterial growth is blocked.

또한, 마스크가 코의 하부와 볼의 일부 부분에만 장착되어 입을 가로막는 마스크는 불필요하므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로운 대화는 물론 커피 등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sk is mounted only on the lower part of the nose and part of the cheeks, a mask that blocks the mouth is unnecessary, so you can drink beverages such as coffee as well as free conversation while wearing the mask.

또한, 정화 및 흡배기를 담당하는 장치를 가리는 커버판을 사용자의 얼굴 색상과 유사한 색깔로 선택함으로써 멀리서 사용자를 보았을 때는 마스크 미착용상태로 보이는 것은 물론 여성들에게는 입 주위가 노출되어 화장이 손상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lecting the cover plate that covers the device in charge of purification and intake and exhaust in a color similar to the color of the user's face, when the user is seen from a distance, the mask is not worn as well as the area around the mouth is exposed to women to minimize the damage to makeup.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필터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필터부에 구비된 필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평면도.
도 5는 필터부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필터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마스크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마스크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provided in the filter unit;
Fig. 4 is a plan view of the filter shown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lter unit.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er unit.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shown i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shown in FIG. 1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is to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필터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필터부에 구비된 필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sk is w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er uni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provided in the filter unit, and FIG. 4 is FIG. 3 is a plan view of the filter,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10); 및 코의 하부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10)에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는 코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하우징(20)에는, 날숨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28); 및 들숨 시 개방되어 상기 필터부(10)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밸브(32)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10 for purifying external air; and a nose housing 20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nose and supplied with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10 . In addition, the co-housing 20 has an exhaust valve 28 that is opened during exhalation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32) that is opened during inhalation to suck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코와 입을 전체적으로 가리는 형태가 아니라 코만 커버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람은 호흡량의 90~95% 이상이 코로 호흡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콧구멍 바로 밑에 코하우징(20)을 장착하고 이를 통해 코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화장을 하는 여성들에게는 입 주위가 노출되기 때문에 립스틱이 마스크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장이 손상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cover only the nose, not the shape of covering the nose and mouth as a whole. Since 90-95% of human breathing volume is often breathed through the nose, a nose housing (20) is installed just below the nostrils to allow breathing through the nose. In addition, since the periphery of the mouth is exposed to women who wear makeup, it is possible to prevent lipstick from sticking to the mask and to minimize the damaged area of the makeup.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필터부(10)는 외부에서 코로 전달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10)는 좌/우 2개로 구성이 되고 사용자의 양 볼 부분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필터부(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10)는 기능적으로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마스크의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 the filter unit 10 serves to purify air delivered from the outside to the nose.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unit 10 is composed of two left and right, and may be located on both cheeks of the user. The shape of the filter unit 10 may be made in various ways, and may be made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is figure, or may be made in a shape such as a circle or a polygon. As such, the filter unit 10 functions to purify the air, but may also play a role in forming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mask by being made in various shapes.

필터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실질적으로 공기 정화 역할을 수행하는 필터(12)가 부착된다. 필터(12)는 필터부(10)의 전면에 탈부착됨으로써 수명을 다하면 교체가 가능하거나 필터부(10) 전체를 교체할 수도 있다. 필터(12)는 다중필터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헤파필터, 이온필터, 탄소필터의 3중필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는 필터(12)가 필터부(10)의 전면에 탈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부(10)의 측면, 후면 등에 탈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필터(12)가 필터부(10)에 탈부착될 경우 사용 후 교체도 가능하다. A filter 12 that substantially performs an air purification role is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0 . The filter 1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unit 10 so that when its life is over, it can be replaced or the entire filter unit 10 can be replaced. The filter 12 may be made of a multi-filter,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triple filter of a HEPA filter, an ion filter, and a carbon filter. Although the figure shows that the filter 1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unit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0 . Alternatively, when the filter 1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ter unit 10, it can be replaced after us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12)는 공기의 양을 미세먼지용 필터의 등급에 따라 통과할 때 그 양이 급격히 줄어들므로 (a)와 같이 필터(12)의 접촉면적을 늘이기 위해서 절곡 형태(접이식 커튼과 유사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터부(10)의 전후면에는 헤파필터와 같은 미세먼지용 필터가 장착되는 바, 통과되는 미세먼지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필터를 구성하는 소재를 촘촘하게 해야하므로 그만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도 자력으로 호흡하기 위해서 필터(12)의 접촉면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힌 형태의 절곡형 필터(1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when the amount of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12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filter for fine dust, the amount of the filter 12 is sharply reduced, so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filter 12 as shown in (a). Bending forms (similar to folding curtains) can be used. Additionally, a filter for fine dust, such as a HEPA filter,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lter unit 10. As the size of the fine dust passing through is reduce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lter must be made denser, so the area through which air can pass is increased. Since it becomes narrow, it is preferable to use the bent type filter 12 in the form of being repeatedly fol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maximize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lter 12 in order to breathe by magnetic force in this embodiment.

절곡형 필터(12)를 구성할 때 필터(12)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b)와 같이 전후방으로 눌린 형태의 필터(12)를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a similar effect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ilter 12 when constructing the bent filter 12, the filter 12 in the form of being pressed back and forth as shown in (b) may be used.

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터부(10)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가득찰 때 온도 조절이 가능한 소형의 히터 또는 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폰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필터부(10)에는 필터(12)가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부(10) 자체가 하나의 필터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is drawing, a small heater capable of temperature control when the outside air is full inside the filter unit 10 or a device that measures the quality of air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a mobile phone possessed by the user is mounted. can be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lter 12 is attached to the filter unit 10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lter unit 10 itself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filter bag.

필터부(10)의 일측에는 귀에 마스크를 걸기 위한 걸이끈(14)이 구비된다. 걸이끈(14)은 필터부(10)의 일측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어짐으로써 마스크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필터부(10)의 타측에는 필터 연결 부재(16)가 연장되고, 필터 연결 부재(16)의 사이에는 코하우징(20)이 연결된다. 필터 연결 부재(16)는 이하에서 설명할 코하우징(20)의 하우징 연결 부재(34)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필터 연결 부재(16)가 하우징 연결 부재(34)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 연결 부재(16)가 하우징 연결 부재(34)의 내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One side of the filter unit 10 is provided with a hook 14 for hanging the mask on the ear. The hanging strap 14 is extended from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lter unit 10, and is hung on the user's ear so that the mask can be worn stably. Next, the filter connecting member 16 is exte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unit 10 , and the co-housing 20 is connected between the filter connecting members 16 . The filter connecting member 16 may be coupled to a housing connecting member 34 of the co-housing 20 to be described below. In FIG. 1 , the filter connecting member 16 is shown to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connecting member 34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lter connecting member 16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connecting member 34 . .

코하우징(20)의 하부에는 배기밸브(28)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흡기밸브(32)가 각각 구비되는데, 배기밸브(28)는 날숨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흡기밸브(32)는 들숨 시 개방되어 필터부(10)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기존의 마스크의 경우 들숨 및 날숨 시 습기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하우징(2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거나 배기되도록 하였다. An exhaust valve 28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housing 20 and an intake valve 32 is provid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The exhaust valve 28 is opened during exhalation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nd the intake valve 32 is provided. is opened upon inhalation so that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10 is sucke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ask, since there is a moisture problem dur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ir is sucked in or exhausted through the nose housing 20 in order to minimize this.

코하우징(20)은 좌우로 긴 중공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파이프 형상, 직사각형 형상 등 코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The nose housing 20 is shown to be made in a long hollow shape from side to 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nose, such as a pipe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will be possible.

도 5를 참조하면, 필터부(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통이나 필터주머니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filter unit 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lter container or a filter bag as described above.

필터부(10)에는 투명하거나 하얀 색상을 가진 오염도 확인부(18)가 부착될 수 있다. 오염도 확인부(18)는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엑스자 형태의 투명 테이프 혹은 투명한 코팅재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도 확인부(18)가 필터부(1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오염도 확인부(18)로는 미세먼지 등이 통과하지 못하므로 최초의 하얀색 혹은 필터의 초기 색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a)에서 (c) 방향으로 필터부(10)의 오염도가 심해지면 필터부(10)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으로 변형되는 반면 오염도 확인부(18)는 상대적으로 하얗게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교체시기를 파악하고 다른 마스크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A contamination level check unit 18 having a transparent or white color may be attached to the filter unit 10 . The contamination level check unit 18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X-shaped transparent tape or a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as shown in the drawing. As such, when the pollution level checking unit 18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0, fine dust or the like does not pass through the pollution level checking unit 18, so the initial white color or the initial color of the filter is maintained. And,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unit 10 in the direction from (a) to (c) becomes severe, the filter unit 10 is completely transformed into black while the contamination level check unit 18 is displayed relatively white.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timing and replace it with another mask.

도 6을 참조하면, 필터부(10)에는 복수개의 오염도 비교부(19)가 부착될 수 있다. 오염도 비교부(19)는 상술한 오염도 확인부(18)와는 달리 복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오염도 비교부(19)는 다른 색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오염도 비교부(19)는 도면에서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백색에서 점점 어두운 색상을 가지도록 숫자가 쓰인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의 오염정도에 따라 각 패드의 색상이 오염된 배경색상과 비슷하게 되는 오염도 비교부(19)의 위치나 숫자에 따라 오염의 정도를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교체시기를 파악하고 다른 필터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 a plurality of pollution level comparison units 19 may be attached to the filter unit 10 . The pollution level comparison unit 19 is configured in plurality, unlike the pollution level check unit 18 described above, and each pollution level comparison unit 19 has a different color. For example, in the pollution level comparator 19 , as shown in the drawing, pads with numbers written on them may be disposed so that the color gradually changes from white to dark from left to right. Depending o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filter, the color of each pad becomes similar to the contaminated background color, an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contamination lev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number of the contamination level comparator 19, so that the user can identify the replacement time and replace it with another filter. be able to

한편, 이상에서는 오염도 비교부(19)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로 구성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영역이 나뉘어서 색상이 변경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it is illustrated that the pollution level comparison unit 19 is configured and attached in plurality,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configured as one and the color is changed by dividing the area from left to right.

도 5를 참조하면, 코하우징(2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하우징(20)의 일측에는 콧구멍 연통부(24)가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콧구멍 연통부(24)는 콧구멍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n air flow path 22 is formed inside the co-housing 20 . And, the nostril communication part 24 is formed to be opened at one side of the nose housing 20, and the nostril communication part 2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ostril.

그리고, 콧구멍 연통부(24)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연결되는 콧구멍 연결막(26)이 구비된다. 콧구멍 연결막(26)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콧구멍과 연결되어 필터부(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코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콧구멍 연결막(26)은 사용자가 착용 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실리콘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And, the nostril connecting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nostril connecting membrane 26 connected to the user's nostrils. The nostril connecting membrane 26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user's nostrils so that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10 can be sucked into the nose. The nostril connecting membrane 26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hen wearing it.

코하우징(20)의 양측에는 필터부(10)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밸브(32)가 각각 구비된다. 흡기밸브(32)는 들숨 시에만 열려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흡기밸브(32)는 코하우징(20)의 양측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4에서와 같이 별도의 측면 결합부재(3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측면 결합부재(30)가 코하우징(20)의 양측에 결합된다. 또한, 측면 결합부재(30)의 외측면에는 각각 하우징 연결 부재(34)가 외곽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측면 결합부재(30)는 상술한 필터 연결 부재(16)와 서로 결합된다. Intake valves 32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10 is sucked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housing 20, respectively. The intake valve 32 is opened only during inhalation so that air can be inhaled. The intake valve 32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housing 20 , but may also be provided on one side of a separate side coupling member 30 as shown in FIG. 4 . In this case, the side coupling members 3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housing 20 . In add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upling member 30, each housing connection member 34 is provided to extend outwardly. The side coupling member 30 is coupled to the filter coupling member 16 described above.

그리고, 흡기밸브(32)는 코하우징(20)의 유동단면 일부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유동단면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공기 흡입량 등에 따라 호흡에 불편이 없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intake valve 32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only on a part of the flow cross-section of the co-housing 20, it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flow cross-section. This will be appropriately designed so that there is no discomfort in breath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take of the user.

배기밸브(28)는 코하우징(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코하우징(20)에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배기밸브(28)는 사용자가 날숨 시 열려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At least one exhaust valve 28 may be provided in the co-housing 20 , and in FIG. 4 , it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housing 20 . The exhaust valve 28 is opened when the user exhales so that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흡기밸브(32) 및 배기밸브(28)가 코에 장착되는 코하우징(20)에 각각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들숨 및 날숨 시 보다 원활하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약에 흡기밸브(32)가 코에서 먼 쪽에 배치되면 들숨 시 공기가 잘 흡입되기도 어려우며 중간에 공기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고자 흡기밸브(32)가 코에서 가까운 부분에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역류 방지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 In this embodiment, the intake valve 32 and the exhaust valve 28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nose housing 20 mounted on the nose, so that the user can breathe more smoothly dur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If the intake valve 32 is disposed on the far side from the nose, it is difficult to breathe in air well, and a reverse flow of air may occur in the middle. In this embodiment, to prevent this, the intake valve 32 is located close to the nose It was configured to be placed on the part and to perform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추가적으로 상술한 구성 중에 얼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 고무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0)의 후면, 코하우징(20)의 코 접촉면 등에 천, 고무 등이 부착됨으로써, 이물감도 최소화하고 화장이 지워지는 것도 최소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cloth, rubber, etc. may be attached to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ace dur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minimiz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For example, by attaching cloth, rubber, etc.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0 and the nose contact surface of the nose housing 20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eeling of foreign substances and also minimize makeup removal.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스크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Next,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shown in FIG.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상술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에 커버판(40)의 구성이 추가되었다. 여기에서 커버판(40)이라는 것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 하부 및 양 볼을 일부 커버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코 하부부터 귀까지 연결되는 부위를 커버한다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plate 40 is added to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 the cover plate 40 may be made in a shape that partially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user's nose and both cheeks, as shown in the drawing. That is, it can be said that it covers the part connec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user's nose to the ear.

커버판(40)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필터부(10), 코하우징(20)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른 사람이 보았을 때 마스크를 착용한 것 같지 않고 깔끔한 느낌을 주기 위해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커버판(4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색상이 살색으로 형성되어 멀리서 다른 사람이 보았을 때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The cover plate 40 prev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unit 10 and the co-housing 2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when others see it, it does not look like wearing a mask and gives a neat feeling. It is a configuration prepared for Accordingly, the cover plate 40 may, for example, make the user's face color appear flesh-colored to make it appear as if the user is not wearing a mask when viewed from a distance.

이때, 커버판(40)의 후면에는 상술한 실시예의 필터부(10), 코하우징(20) 등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버판(40)은 필터부(10), 코하우징(20)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고, 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만들어지면 된다.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unit 10 and the co-housing 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late 40 . That is, the cover plate 40 may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filter unit 10 and the co-housing 20 and may be made to occupy an area sufficient to cover them.

또한, 커버판(40)의 전면에는 마스크를 액세서리처럼 사용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무늬, 모양, 캐릭터, 그림 등이 인쇄됨으로써, 마스크가 전체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갖고 디자인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patterns, shapes, characters, pictures, etc. are pri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late 40 to emphasize the use of the mask as an accessory, so that the mask has a beautiful overall appearance and can be used in design.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스크의 후면을 보인 도면이다.Next,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It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shown in FIG. 9 .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판(40)이 사용자의 코 하부, 양 볼 및 입을 전부 커버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외부로 얼굴을 노출하기 꺼려할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8 ,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plate 40 may be made in a shape to cover the lower part of the user's nose, both cheeks, and the mouth of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is reluctant to expose his or her fac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ser wearing the mask, the mask of the form shown in FIG. 8 may be wor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커버판(30)을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커버하는 보조 커버판(32)을 더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상시에 입을 사용하기 위해 활동하는 때에는 커버판(30)만 착용하였다가 미세먼지 등으로 입을 가릴 필요가 있을 때에는 보조 커버판(32)을 더 부착하여 입을 가리는 것이다. 이때 보조 커버판(32)은 납작한 타원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단이 커버판(30)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user can further attach and use the auxiliary cover plate 32 to cover the mouth while wearing the cover plate 30 as shown in FIG. 6 . For example, when the user normally wears only the cover plate 30 when he or she is active to use the mouth, when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mouth with fine dust or the like, the auxiliary cover plate 32 is further attached to cover the mouth. At this time, the auxiliary cover plate 32 may be made in a flat oval shape, and the upper end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plate 30 .

이상에서 설명한 마스크는 최근 들어 심해진 미세먼지 환경 하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먼지가 많은 환경으로서, 예를 들면, 공사나 건축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먼지나 목공소 등에서의 분진은 물론 공기가 오염된 환경에서 작업 시 착용하는 분진용 마스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The mask described above can be used under the fine dust environment that has recently intensified. In addition, as a dusty environment,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dust in a construction or building environment, dust in a woodworking shop, etc., as well as a dust mask worn when working in an environment in which air is polluted, can be us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10 : 필터부 12 : 필터
14 : 걸이끈 16 : 필터 연결 부재
18 : 오염도 확인부 19 : 오염도 비교부
20 : 코하우징 22 : 공기유로
24 : 콧구멍 연통부 26 : 콧구멍 연결막
28 : 배기밸브 30 : 측면 결합부재
32 : 흡기밸브 34 : 하우징 연결 부재
40 : 커버판 42 : 보조 커버판
10: filter unit 12: filter
14: hanging strap 16: filter connection member
18: pollution level confirmation unit 19: pollution level comparison unit
20: co-housing 22: air flow path
24: nostril communicating part 26: nostril connecting membrane
28: exhaust valve 30: side coupling member
32: intake valve 34: housing connection member
40: cover plate 42: auxiliary cover plate

Claims (11)

사용자의 코 하부 및 양 볼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코에서 양 볼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커버판;
상기 커버판의 후면에 부착되고,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커버판의 후면에 부착되고, 코의 하부에 밀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코하우징; 및
상기 커버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입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코하우징에는,
날숨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 및
들숨 시 개방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코하우징의 상부에는 콧구멍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콧구멍 연통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코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에는 하얀 색상을 가진 오염도 확인부가 부착되어, 상기 필터부가 오염될수록 상대적으로 하얗게 외부로 표시되고,
상기 필터부에는 일방으로 갈수록 밝은 색상에서 어두운 색상을 가지는 오염도 비교부가 부착되어, 상기 필터부의 오염 정도를 외부로 비교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a cover plate that is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user's lower nose and both cheeks, and is formed to become wider from the nose toward both cheeks;
a filter unit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purifying external air;
a nose housing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lat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nose, and through which air purified from the filter unit is sucked; and
and an auxiliary cover plat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plate to cover the user's mouth,
In the co-housing,
an exhaust valve that is opened during exhalation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and
An intake valve that is opened when breathing in and the air purified from the filter part is sucked is provided,
At least one nostril communic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nostril is opened and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housing, and the exhaust valv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housing,
A contamination level confirmation unit having a white color is attached to the filter unit, and as the filter unit becomes contaminated, it is displayed relatively white outside,
A contamination level comparison unit having a light color to a dark color is attached to the filter unit toward one side, and the filter unit compares and displays the level of contamination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콧구멍 연통부에는 사용자의 콧구멍과 연결되는 콧구멍 연결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nostril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nostril connecting membrane connected to the user's nostri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콧구멍 연결막은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ostril connecting membrane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ilicone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콧구멍 연통부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밸브는 상기 코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xhaust valve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stril communication part, and the intake valv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nose housing,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A mask for purifying external air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filter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힌 형태의 절곡형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ter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bent type filter repeatedly fol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필터는 전후방으로 눌린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ending type filter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used in the form of being pressed forward and back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00620A 2020-01-03 2020-01-03 Mask Active KR102424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20A KR102424149B1 (en) 2020-01-03 2020-01-03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20A KR102424149B1 (en) 2020-01-03 2020-01-03 M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44A KR20210087644A (en) 2021-07-13
KR102424149B1 true KR102424149B1 (en) 2022-07-25

Family

ID=7685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20A Active KR102424149B1 (en) 2020-01-03 2020-01-03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14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737B1 (en) * 2016-08-18 2017-12-15 최찬 Multi Functional Mask
KR102044165B1 (en) * 2018-08-31 2019-11-13 이영욱 Pesticide-preventing mas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42B1 (en) * 2006-06-09 2008-04-10 김창금 Mask
KR20130004044U (en) * 2011-12-26 2013-07-04 박상아 Mask
CN107847824B (en) * 2015-06-30 2020-10-27 3M创新有限公司 Filter cartridge including filter media with adhesively sealed edge en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KR20190065038A (en) * 2017-12-01 2019-06-11 (주)마미버드 Cloth for sensing body temperature
KR20180095492A (en) 2018-08-20 2018-08-27 송남강 Multi-functional mas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737B1 (en) * 2016-08-18 2017-12-15 최찬 Multi Functional Mask
KR102044165B1 (en) * 2018-08-31 2019-11-13 이영욱 Pesticide-preventing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44A (en)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218B1 (en) Mask
CN108136237A (en) Filter mask retainer
US20080223370A1 (en) Dustproof mask
US20080223369A1 (en) Personal oxygen and air delivery system
JP6541649B2 (en) Breathing mask having a nasal support extension
KR102173429B1 (en) Oxygen-Enhanced Fine Dust Removal Mask
JP2007524429A (en) Biohazard mask suitable for consumer use
KR101951239B1 (en) Fine dust blocking mask goggle
KR20160111349A (en) Fine dusk filtering mask for sports with moisture vent valve
US20210316169A1 (en) Reusable Respirator Mask Apparatus
CN202682595U (en) Protective mask
US8925550B2 (en) Single sided modular oxygen cannula and gas/air delivery system
WO2009144695A1 (en) Respiratory mask
KR100610155B1 (en) Mask with Nose Attachment
KR102424149B1 (en) Mask
CN212697796U (en) Protective mask
KR102453515B1 (en) Mask
JP3124550U (en) Mask sanitary mask
US20220057829A1 (en) Wearable technology including ultra-thin led panels/screen
CN206183828U (en) Nose mask
KR100868543B1 (en) Sanitary mask
CN110680034A (en) Inner ring type large filtering gauze mask
JP2008114025A (en) Three-dimensional nose covering mask
CN212233200U (en) Transparent mask
KR102075768B1 (en) Portable air cleaning unit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