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3327B1 -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327B1
KR102423327B1 KR1020210029330A KR20210029330A KR102423327B1 KR 102423327 B1 KR102423327 B1 KR 102423327B1 KR 1020210029330 A KR1020210029330 A KR 1020210029330A KR 20210029330 A KR20210029330 A KR 20210029330A KR 102423327 B1 KR102423327 B1 KR 10242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loudspeaker
holder
cradle
sp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일용
Original Assignee
서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용 filed Critical 서일용
Priority to KR102021002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3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수단(1)의 탑승자의 앞쪽에 장착되는 고정부(5)와, 이 고정부(5)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바일기기(2)가 장착되는 거치부(7)로 이루어진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바일기기(2)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커(3)로 출력된 음향을 확성시키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4)의 거치부(7)에 장착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거치대(4)에 장착되어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의 탑승자를 향해 집중시키는 확성가이더(10); 및 상기 확성가이더(10)를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이다.

Description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Detachable loudspeaker of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운송수단에서 모바일기기를 거치시키는 운송수단용 거치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바일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확성시키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운송수단에서 휴대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내비게이션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기기를 운전자가 보기 편한 위치에 고정시켜야 하는데, 모바일기기를 위치고정시키는 거치대가 사용된다. 종래의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는 운송수단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전면에 모바일기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모바일기기는 자체의 크기와 두께가 한정되어 있어 내장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의 질이 낮고 소리가 작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스피커를 모바일기기에 연결하는 형태가 제안되었지만, 스피커를 케이블전선으로 모바일기기에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고가의 스피커를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과 같이 스피커를 올려놓거나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경우에는 스피커 자체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한편, 모바일기기로 통화를 하는 경우 특히, 핸즈프리가 없거나 핸즈프리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등의 이유로 모바일기기로 직접 통화를 해야 할 경우, 모바일기기를 들고 통화를 하면 운전에 방해가 되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오토바이나 자전가와 같이 오픈된 장소에서 통화를 해야 할 경우에는 주변의 소음으로 인해 모바일기기를 직접 들고 통화를 해야 하므로 운행을 정지하고 통화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오토바이를 타고 음식을 배달하는 경우 운행을 정지하고 통화를 할 경우 배달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00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운송수단에서 모바일기기를 거치시키는 운송수단용 거치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바일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확성시킬 수 있어 별도의 스피커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다른 운송수단에 구비된 거치대에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더욱 절감되며 스피커 장착이 요구되지 않아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에 장착되는 고정부(5)와, 이 고정부(5)의 일측에서 탑승자에게 가까운 상기 핸들(1a)의 후방에 상하로 연장되며 모바일기기(2)가 장착되는 거치부(7)로 이루어진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바일기기(2)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커(3)로 출력된 음향을 확성시키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9)로서, 전면이 개방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4)의 거치부(7)에 장착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거치대(4)에 장착되되 상기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의 탑승자를 향해 집중시키는 확성가이더(10); 상기 확성가이더(10)를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는 거치대(4)의 거치부(7)가 삽입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거치대삽입홈(1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20)는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 전후로 형성된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집게발(22,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거치대(4)의 거치부(7)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는 밴드(24)와, 이 밴드(24)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거치대(4)의 대향되는 양단에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고리(25,26)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성가이더(10)가 일측 걸림고리(26)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의 탑승자에게 집중시키는 확성가이더(10)와, 이 확성가이더(10)를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9)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거치대 및 스피커를 사용할 필요없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다양한 형태의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4)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 협소한 공간에 별도의 스피커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 등스피커를 장착하기 어려운 운송수단은 주변소음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모바일기기(2)에서 출력된 음향을 탑승자에게 집중 및 확성시킴으로써 핸즈프리 등의 기기가 배터리소진이나 기기고장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한 손으로 모바일기기(2)를 파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통화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 손으로 핸들(1a)을 잡고 운전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며 음식배달을 하는 경우 정차하지 않고 통화함에 따라 배달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거치대삽입홈(11)이 형성되어, 거치대(4)에 장착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확성가이더(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음향이 확성가이더(10)에 의해 전방의 탑승자에게 효과적으로 집중, 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가 운송수단에 장착되는 고정부(5)와, 이 고정부(5)에 결합되며 모바일기기(2)가 장착되는 거치부(7)로 이루어진 상기 거치대(4)의 거치부(7)와 고정부(5)의 연결부위를 집어서 무는 형태의 한 쌍의 집게발(22,23)로 이루어져서, 거치대(4)에 보다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가 양단부에 걸림고리(25,26)가 구비된 밴드(24) 형태로 이루어져서, 거치대(4)의 거치부(7)가 모바일기기(2)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더라고 밴드(24)의 신축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모바일기기(2)에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확대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거치대에서의 분해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장착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거치대에 장착된 사용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9)는 확성가이더(10) 및 연결부재(20)를 포함한다.
우선,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4)는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에 장착되는 고정부(5)와, 이 고정부(5)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바일기기(2)가 장착되는 거치부(7)로 이루어진다. 도 1과 같이, 모바일기기 거치대(4)는 탑승자에게 좀 더 가까운 핸들(1a)의 후방에 상하로 연장된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거치대(4)의 고정부(5)는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에 고정되는 밴드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다.
도 3과 같이, 거치대(4)의 거치부(7)의 배면에는 고정부(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블록(8)이 돌출되고, 고정부(5)에는 거치부(7)의 연결블록(8)에 결합되는 회전봉(6)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주지된 바와 같이 회전봉(6)은 선단이 볼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거치부(7)가 고정부(5)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바일기기(2)는 대체로 상단, 하단 또는 측단에 스피커(3)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3)가 하단에 구비된 모바일기기(2)를 예시하였다.
상기 확성가이더(10)는 전면이 개방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거치대(4)에 거치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거치대(4)에 장착된다. 확성가이더(1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확성가이더(10)는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거치대(4)의 거치부(7)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며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위치된 하단에서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확성가이더(10)는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에서 출력된 음향을 전방의 탑승자에게 집중 및 확성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실 확성기는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 거치대(4)의 거치부(7)가 삽입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거치대삽입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성가이더(10)의 내측에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위치되도록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20)는 확성가이더(10)를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점착테이프, 벨크로, 똑딱이, 자석, 클램프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는 연결부재(20)가 집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연결부재(20)는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서 전후로 형성된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집게발(22,23)로 이루어져서, 거치대(4)의 거치부(7)의 연결블록(8) 또는 고정부(5)의 회전봉(6)을 물어서 확성가이더(1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9)의 연결부재(20)를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4)에 고정시키는데, 연결부재(20)의 한 쌍의 집게발(22,23)이 거치대(4)의 거치부(7)의 배면의 연결블록(8)을 물어서 고정시킨다. 도 2와 같이, 거치대(4)에 거치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확성가이더(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거치대(4)의 거치부(7)가 확성가이더(10)의 거치대삽입홈(11)으로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확성가이더(10)가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보다 하측에 위치되므로, 핸들(1a)의 상면에 악세사리를 설치할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며, 확성가이더(10)가 거치대(4)의 거치부(7)의 좌우 양측 및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확성가이더(10)에 의해 거치대(4)의 전방에 위치한 탑승자에게 좀 더 집중된다. 이때, 모바일기기 거치대(4)가 탑승자에게 좀 더 가까운 핸들(1a)의 후방에 장착되고, 이 거치대(4)에 확성기(9)가 장착되어 확성기(9)가 탑승자에게 좀 더 가까워지므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4)로 출력된 음향이 탑승자에게 좀 더 집중되어 더 크고 선명하게 들리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가 거치대(4)의 거치부(7)의 배면을 따라 배치되는 밴드(24)와, 이 밴드(24)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거치대(4)의 대향되는 양단부에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고리(25,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확성가이더(10)는 일측 걸림고리(26)에 결합되는데, 걸림고리(26)와 일체로 형성된 것도 포함된다.
도 6과 같이, 연결부재(20)의 한 쌍의 걸림고리(25,26)가 거치대(4)의 거치부(7)의 상단 및 하단에 걸려질 수 있는데, 모바일기기(1)의 크기에 따라 거치대(4)의 거치부(7)가 상하로 신축되는 형태이므로 이에 따라 밴드(24)가 신축되면서 걸림고리(25,26)가 거치대(4)의 거치부(7)에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 2 : 모바일기기
4 : 거치대 9 : 확성기
10 : 확성가이더 20 : 연결부재

Claims (4)

  1.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에 장착되는 고정부(5)와, 이 고정부(5)의 일측에서 탑승자에게 가까운 상기 핸들(1a)의 후방에 상하로 연장되며 모바일기기(2)가 장착되는 거치부(7)로 이루어진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바일기기(2)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커(3)로 출력된 음향을 확성시키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9)로서,
    전면이 개방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4)의 거치부(7)에 장착된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거치대(4)에 장착되되 상기 자전거, 퀵보드, 오토바이(1)의 핸들(1a)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모바일기기(2)의 스피커(3)로 출력되는 음향을 전방의 탑승자를 향해 집중시키는 확성가이더(10);
    상기 확성가이더(10)를 거치대(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는 거치대(4)의 거치부(7)가 삽입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거치대삽입홈(1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확성가이더(10)의 일측에 전후로 형성된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집게발(22,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거치대(4)의 거치부(7)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는 밴드(24)와, 이 밴드(24)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거치대(4)의 대향되는 양단에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고리(25,26)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성가이더(10)가 일측 걸림고리(26)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KR1020210029330A 2021-03-05 2021-03-05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Active KR10242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330A KR102423327B1 (ko) 2021-03-05 2021-03-05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330A KR102423327B1 (ko) 2021-03-05 2021-03-05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327B1 true KR102423327B1 (ko) 2022-07-21

Family

ID=8261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330A Active KR102423327B1 (ko) 2021-03-05 2021-03-05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3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4U (ja) * 1991-07-03 1993-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ガホン付き音声情報再生及び拡声装置
KR20140000004U (ko) 2012-06-22 2014-01-02 김재덕 확성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170088215A (ko) * 2016-01-22 2017-08-01 신지효 공명스피커를 구비한 자전거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2403Y1 (ko) * 2019-05-07 2020-10-07 이경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4U (ja) * 1991-07-03 1993-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ガホン付き音声情報再生及び拡声装置
KR20140000004U (ko) 2012-06-22 2014-01-02 김재덕 확성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170088215A (ko) * 2016-01-22 2017-08-01 신지효 공명스피커를 구비한 자전거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2403Y1 (ko) * 2019-05-07 2020-10-07 이경호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1112B (en) A car holder applie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6535606B2 (en) Mobile telephone shoulder rest
EP0238497A1 (en) Stereophonic audio equipment carrier
US20110132950A1 (en) Seat Belt Attachment
US4662547A (en) Stereophonic audio equipment carrier
KR102423327B1 (ko)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US20070223726A1 (en) Universal cassette bridge
WO2023076276A1 (en) Speaker system for personal transportation vehicles
CN209987848U (zh) 一种智能车载手机支架
US20060111076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240009110A (ko) 확성기가 구비된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240009112A (ko)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착탈식 확성기
KR101889089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JP3387884B2 (ja) 背もたれ取付け式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60104563A (ko) 차량용 핸드폰 홀더 및 제어장치
WO2020110344A1 (ja) 携帯型情報端末機器用ホルダー及び携帯型情報端末機器用ホルダーの取付け方法
JP3229177U (ja) 携帯型情報端末機器用ホルダー
CN221851824U (zh) 一种汽车手机支架
KR200233270Y1 (ko) 차량용 핸즈프리
JP3169519B2 (ja) ヘッドホン取付具
FR2905909A3 (fr) Agencement d'un dispositif d'ecoute a l'interieur d' un vehicule automobile
JP2001127864A (j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ンマイク及び携帯電話機
KR1004814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JP3109986U (ja) 音声入出力手段を備えたミラー装置
JP3045092U (ja) 自動車用ハンドフリー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