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22855B1 -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 Google Patents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855B1
KR102422855B1 KR1020200125970A KR20200125970A KR102422855B1 KR 102422855 B1 KR102422855 B1 KR 102422855B1 KR 1020200125970 A KR1020200125970 A KR 1020200125970A KR 20200125970 A KR20200125970 A KR 20200125970A KR 102422855 B1 KR102422855 B1 KR 10242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layer
pearl pattern
transfer paper
pear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752A (ko
Inventor
이정옥
Original Assignee
(주)두리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리가온 filed Critical (주)두리가온
Priority to KR102020012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8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8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2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e.g. decalcoman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9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thermal means, e.g. infrared radiation, he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 대지; 바인더를 포함하고, 소정의 패턴 또는 문양을 가지며,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층 위에 형성되는 입체구현층; 상기 입체구현층 위에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자개무늬층; 상기 자개무늬층 위에 형성되는 보호층; 및 상기 전사 대지 위에, 상기 베이스층, 상기 입체구현층, 상기 자개무늬층 및 상기 보호층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이고, 자개 무늬가 피도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선명하면서도 우수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제조 방법 및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Artificial mother-of-pearl pattern transfer pap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고온 가열 공정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자개무늬층의 자개 무늬가 선명하게 표현되므로 홀로그램 필름을 적용하여 우수한 입체감 또는 두께감을 가질 수 있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사시 피도체의 특성에 따라 고온 가열 또는 소성 과정을 생략하거나 저온 가열 공정을 통해서도 자개 무늬가 피도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선명하고 입체감 또는 두께감 있게 나타날 수 있어서, 인조 자개 무늬의 품질은 향상시키면서 전체 전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고온에 취약한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재질로 된 피도체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전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 장식 부재 중의 하나로 자개가 있는데, 이러한 자개는 진주 조개 또는 전복 등과 같은 패류의 껍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열 전사지(10)는 전사 대지(1), 전사 대지(1)의 일면에 실크 스크린 등에 의해 형성되는 무늬층(2), 무늬층(2)을 보호하기 위해 무늬층(2)의 일면에 오일 또는 플럭스(Flux)를 이용하여 실크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보호층(3) 및 전사 대지(1) 위에 무늬층(2)과 보호층(3)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코팅부(4)를 포함한다.
이때, 무늬층(2)은 예를 들어 돌 가루와 같은 무기 안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 안료에는 인체에 해로운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포함될 수 있고, 무기 안료의 특성상 피도체에 전사지를 부착한 후 굽는 공정을 거쳐야만 무늬층(2)의 무늬가 선명하게 발색되는 특징을 가진다.
피도체의 가열 온도는 피도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은 약 400℃에서 굽게 되고, 유리는 약 450℃에서 굽게 되고, 피도체가 도자기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약 850℃에서 굽게 된다.
그리고, 시트에 부착하여 시트가 입체감을 가지도록 하는 필름으로 홀로그램 필름이 있다. 무늬층(2)의 무늬를 자개와 비슷한 효과를 내기 위해 자개 무늬로 형성하고, 전사지에 홀로그램 필름을 적용하면 자개의 특성 중 각도에 따른 색감 변화를 무늬층(2)의 인조 자개 무늬로도 구현해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 전사지는 무늬층(2)의 발색을 위해 가열하여 굽는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종래의 열 전사지에 홀로그램 필름을 적용하는 경우, 고온 조건의 가열 공정에서 홀로그램 필름이 발색 온도를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기 때문에, 종래의 열 전사지에는 홀로그램 필름을 사용하기 곤란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열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사 대지, 무늬층, 보호층 및 코팅부를 포함하는 전사지를 물에 넣어 전사 대지와 무늬층 사이에 묻어 있는 풀을 제거하여 전사 대지를 전사지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전사 대지가 분리된 전사지를 물에서 건져 내어 예를 들어 유리와 같은 피도체의 일면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노에 전사지가 부착된 피도체를 넣고 소성하면, 전사지의 코팅부가 타서 소실되면서 무늬층의 무늬만 선명하게 발색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사 방법은, 무늬층의 발색을 위해, 노에서 소성하는 과정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하므로, 피도체가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고온에 취약한 재질인 경우 적용이 어렵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사지에 홀로그램 필름을 사용하기 어려워 무늬층을 자개 무늬로 형성하더라도 입체감이 없기 때문에 열 전사지가 부착된 최종 제품의 인조 자개 무늬가 실제 자개와 같이 표현되지 못하고 품질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41348호 국내공개특허 제1999-0079879호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2-0004979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이고, 홀로그램 필름을 사용하여 자개 무늬가 선명하면서도 우수한 입체감 또는 두께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색을 위한 고온 가열 공정 또는 소성 과정을 생략하거나 저온 가열 공정을 통해서도 자개 무늬가 피도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선명하고 입체감 또는 두께감 있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인조 자개 무늬의 품질은 향상시키면서 전체 전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고온에 취약한 재질의 피도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사 대지; 바인더를 포함하고,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체구현층; 상기 입체구현층의 일면에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자개무늬층; 상기 자개무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 및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층, 상기 입체구현층, 상기 자개무늬층 및 상기 보호층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팅부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사 대지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바인더를 실크 스크린 인쇄하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중 하나를 로울러 압착하여 입체구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입체구현층의 일면에 잉크로 자개 무늬를 인쇄하여 자개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개무늬층 위에 탑코트바인더(top coat binder)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 대지 위에 상기 베이스층, 상기 입체구현층, 상기 자개무늬층 및 상기 보호층을 커버하도록 수지를 도포하여 코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물에 넣어 전사 대지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녹도록 하여 상기 전사 대지를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전사하려는 피도체 위에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올려 놓고 상기 전사 대지를 제거하며, 상기 베이스층을 상기 피도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가 부착된 피도체를 상온에서 3 내지 5시간 건조하거나 또는 40 내지 50℃에서 열풍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에서 코팅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도체가 가연성 재료이고, 상기 코팅부가 제거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인조 자개 무늬를 상기 피도체에 고정하기 위해 스프레잉 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물에 넣어 전사 대지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녹도록 하여 상기 전사 대지를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전사하려는 피도체 위에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올려 놓고 상기 전사 대지를 제거하며, 상기 베이스층을 상기 피도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가 부착된 피도체를 상온에서 3 내지 5시간 건조하거나 또는 40 내지 50℃에서 열풍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에서 코팅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도체가 불가연성 재료이고, 상기 코팅부가 제거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인조 자개 무늬를 상기 피도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도체를 130 내지 180℃의 터널식 가마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는,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고온 가열 공정 또는 소성 과정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무늬층의 자개 무늬가 피도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선명하게 표현되므로 홀로그램 필름을 적용하여 우수한 입체감 또는 두께감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사시 피도체의 특성에 따라 고온 가열 또는 소성 공정을 생략하거나 저온 가열 공정을 통해서도 자개 무늬가 선명하고 입체감 또는 두께감 있게 나타날 수 있어서, 인조 자개 무늬의 품질은 향상시키면서 전체 전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고온에 취약한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재질로 된 피도체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 전사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홀로그램 필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자개 무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자개 무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가 전사된 피도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20)는, 전사 대지(21)와, 전사 대지(21) 위에 차례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베이스층(22), 입체구현층(23), 자개무늬층(24) 및 보호층(25)과, 코팅부(26)를 포함한다.
전사 대지(21)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PVA(polyvinyl acetate; 초산비닐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PVA는 바람직하게 전사 대지(21)의 전체 대비 5 내지 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사 대지(21)의 일면에는 걸쭉한 정도의 점도로 된 점착제가 도포된다. 전사 대지(21)는 베이스층(22), 입체구현층(23), 자개무늬층(24), 보호층(25) 및 코팅부(26)를 적층하여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피도체에 전사할 때는 제거한 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사 대지(21)의 일면에는 베이스층(22)을 부착하기 위해 점착제가 도포된다.
베이스층(22)은, 전사 대지(21)와 입체구현층(23)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사 대지(21) 위에 입체구현층(23을 직접 부착하면, 전사가 불가능하므로, 전사 대지(21) 위에 베이스층(22)을 먼저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층(22)은 바인더를 포함하고, 전사 대지(21)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바인더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 바인더일 수 있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는 국도화학의 에폭시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층(22)은 전사 대지(21)의 일면에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스티커로서의 디자인과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을 실크 스크린 공법으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22)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바인더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20)에서 깊이감 또는 두께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입체구현층(23) 보다 1.5 내지 2배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자개무늬층(24)에 의해 표현되는 자개 무늬의 깊이감 또는 두께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층(22)은 나노 에어로졸 분말(Nano aerosol powder)를 에폭시 수지와 혼합하여 잉크(Ink)로 만들어 이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입체구현층(23)은,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등의 재료 중에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베이스층(22)의 상면에만 형성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홀로그램 필름은 랜덤하게 홀로그램 효과를 나타내면서 홀로그램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홀로그램 박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로그램 필름은 유니온상사의 film hologram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구현층(23)은 홀로그램 효과를 통해 자개무늬층(24)에 의해 표현되는 자개 무늬가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색감 변화를 통해 실제 자개와 같은 입체적 느낌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입체구현층(23)은 베이스층(22)의 일면에 로울러 압착 장치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등의 재료 중에서 하나를 밀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자개무늬층(24)은 입체구현층(23)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자개무늬층(24)은 입체구현층(23)의 상면에 잉크로 제작자가 원하는 자개 무늬를 인쇄하여 형성되고, 진주 조개 또는 전복 등과 같은 패류의 껍질로 구성되는 자개를 대신할 수 있는 인조 자개 무늬를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자개무늬층(24)은 무기 안료를 포함하지 않고 잉크로만 이루어지며, 이에 고온 가열 공정으로 굽지 않아도 자개무늬층(24)의 자개 무늬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자개무늬층(24)은 무기 안료를 포함하지 않고 중금속도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잉크는 예를 들어, 독일 fero사의 4color ink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4color ink는 4가지 칼라만으로도 옵셋 인쇄와 같은 칼라감을 표현해 낼 수 있어서 특정 색상 표현의 한계가 적다.
이러한 자개무늬층(24)은 자개무늬층(24)의 배면에 배치된 입체구현층(23)과 조합되어서 은은하고 다양한 색상을 표출하는 자개 무늬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자개 무늬는, 도 7에서와 같이 소정의 패턴이 불규칙하게 반복되는 무늬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꽃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자개 무늬가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층(25)은 자개무늬층(24)의 상면에 형성된다.
종래의 전사지의 보호층은 오일 또는 플럭스를 이용하여 실크 스크린으로 형성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보호층(25)이 종래의 전사지의 보호층과 달리 에폭시 등의 자개무늬층(24)의 성분과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자개무늬층(24)과의 호환성이 좋아 자개무늬층(24)의 인쇄 면이 단단해지면서 반영구적으로 보존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보호층(25)은 외부 마찰이나 충격으로부터 자개무늬층(24)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보호층(25)이 에폭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사지를 피도체에 전사 한 후 코팅부(26)가 보호층(2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코팅부(26)는, 전사 대지(21)의 일면에, 베이스층(22), 입체구현층(23), 자개무늬층(24) 및 보호층(25)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코팅부(26)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수지로 만경화학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코팅부(26)는 피도체에 전사 후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20)의 다른 부분과 식별이 용이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핑크색과 같이 눈에 잘 띄는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20)에서 다른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코팅부(26)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2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전사 대지(21)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전사 대지(21)의 일면에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예를 들어 에폭시계 바인더를 실크 스크린으로 인쇄하여 베이스층(22)을 형성한다(S10). 이때, 실크 스크린은 350 mesh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스크린 망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베이스층(22)의 일면에 입체구현층(23)을 형성한다(S20). 이때, 입체구현층(23)은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등의 재료 중 하나를 베이스층(22) 위에 로울러 압착 기계 등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체구현층(23)의 일면에 잉크로 실크 스크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개 무늬를 인쇄하여 자개무늬층을 형성한다(S30). 이때, 상기 잉크는 바람직하게 독일 fero사의 4color ink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자개무늬층(24)의 일면에 실크 스크린으로 탑코트바인더(top coat binder)를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 등의 재료로 보호층(25)을 형성한다(S40). 이때, 보호층(25)은 자개무늬층(24)을 외부 마찰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사 대지(21) 위에 베이스층(22), 입체구현층(23), 자개무늬층(24) 및 보호층(25)을 커버하도록 수지를 도포하여 코팅부(26)를 형성하여,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20)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부(26)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식별이 용이하게 핑크색 또는 파란색 등의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쟈폰 레드(Red) 등의 염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조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는, 고가의 진주 조개 또는 전복 등과 같은 패류의 껍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자개와 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아 친환경적인 이점을 가진다.
또한, 고온 가열 공정 또는 소성 과정을 진행하지 않더라도 자개무늬층의 자개 무늬가 선명하게 표현되므로 불에 약한 홀로그램 필름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홀로그램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입체구현층에 의해 인조 자개 무늬가 우수한 입체감을 가져 저비용으로도 실제 자개와 유사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피도체에 전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물에 넣어 전사 대지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녹도록 하여 전사 대지를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시킨다(S110).
다음으로, 전사하려는 피도체 위에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올려 놓고 눌러서 부착시킨다(S120).
다음으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가 부착된 피도체를 상온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거나 또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열풍 건조한다(S130). 상기 건조 공정에서, 자연 건조는 주로 따뜻한 하절기에 하고, 열풍 건조는 추운 동절기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로부터 코팅부를 벗겨내 제거한다(S140).
다음으로, 인조 자개 무늬를 피도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때, 피도체가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고온 가열이 불가능한 가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도 4를 참조하여, 인조 자개 무늬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레잉을 진행한다(S150).
상기 스프레잉은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인조 자개 무늬의 손상을 방지하고 투명한 코팅 효과로 광을 내어 제품의 견고함을 보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프레잉에 사용되는 코팅제는 우레탄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나무 젓가락의 손잡이 부분 등에 전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피도체가 금속, 유리, 도자기 등의 불가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스프레잉 공정은 필수로 하지 않아도 되며, 이를 대신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가 부착된 피도체를 130 내지 180℃의 터널식 가마에서 소성(S160)하여 인조 자개 무늬를 피도체에 견고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0에서와 같이, 자기로 된 머그 컵의 표면 등에 전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터널식 가마에서 소성하기 전에 스프레잉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렇게 스프레잉을 소성 전에 진행하면 인조 자개 무늬를 더욱 견고하게 피도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전사 방법에 따르면, 전사시 피도체의 특성에 따라 고온 가열 또는 소정 과정을 생략하거나 저온 가열 공정을 통해서도 자개 무늬가 피도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선명하고 입체감 있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입체구현층에 의해 자개 무늬의 입체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조 자개 무늬의 품질은 향상시키면서도 전체 전사 공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에 취약한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재질로 된 피도체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0: 베이스층 형성 단계
S20: 입체구현층 형성 단계
S30: 자개무늬층 형성 단계
S40: 보호층 형성 단계
S50: 코팅부 형성 단계
S110: 전사 대지 분리 단계
S120: 전사지를 피도체에 부착하는 단계
S130: 전사지 건조 단계
S140: 코팅부 제거 단계
S150: 스프레잉 단계
S160: 피도체 소성 단계
1, 21: 전사 대지
2: 무늬층
3: 보호층
4: 코팅부
10: 전사지
20: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22: 베이스층
23: 입체구현층
24: 자개무늬층
25: 보호층
26: 코팅부

Claims (5)

  1. 전사 대지; 바인더를 포함하고,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체구현층; 상기 입체구현층의 일면에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자개무늬층; 상기 자개무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 및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층, 상기 입체구현층, 상기 자개무늬층 및 상기 보호층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물에 넣어 전사 대지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녹도록 하여 상기 전사 대지를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전사하려는 피도체 위에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올려 놓고 상기 전사 대지를 제거하며, 상기 베이스층을 상기 피도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가 부착된 피도체를 상온에서 3 내지 5시간 건조하거나 또는 40 내지 50℃에서 열풍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에서 코팅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도체가 가연성 재료이고,
    상기 코팅부가 제거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인조 자개 무늬를 상기 피도체에 고정하기 위해 스프레잉 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
  2. 전사 대지; 바인더를 포함하고, 제작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홀로그램 필름, 금박 및 은박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입체구현층; 상기 입체구현층의 일면에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자개무늬층; 상기 자개무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 및 상기 전사 대지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층, 상기 입체구현층, 상기 자개무늬층 및 상기 보호층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물에 넣어 전사 대지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녹도록 하여 상기 전사 대지를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전사하려는 피도체 위에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올려 놓고 상기 전사 대지를 제거하며, 상기 베이스층을 상기 피도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가 부착된 피도체를 상온에서 3 내지 5시간 건조하거나 또는 40 내지 50℃에서 열풍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에서 코팅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도체가 불가연성 재료이고,
    상기 코팅부가 제거된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의 인조 자개 무늬를 상기 피도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도체를 130 내지 180℃의 터널식 가마에서 소성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25970A 2020-09-28 2020-09-28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Active KR10242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70A KR102422855B1 (ko) 2020-09-28 2020-09-28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970A KR102422855B1 (ko) 2020-09-28 2020-09-28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52A KR20220042752A (ko) 2022-04-05
KR102422855B1 true KR102422855B1 (ko) 2022-07-20

Family

ID=8118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970A Active KR102422855B1 (ko) 2020-09-28 2020-09-28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95200A1 (ko) * 2023-11-03 2025-05-08 (주)두리가온 인조자개무늬 전사 스티커의 제조방법, 이 전사 스티커를 이용한 전사방법 및 인조자개무늬 전사 스티커 제조 시 사용되는 스크린 인쇄용 제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17B1 (ko) * 2017-02-13 2017-09-12 (주)한국공예전승협회 자개 장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879A (ko) 1998-04-10 1999-11-05 이준희 물 전사지를 인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물전사지
KR100741348B1 (ko) 2005-11-04 2007-07-20 김지현 스티카형 물전사 가공지의 제조방법
KR100923660B1 (ko) * 2007-12-17 2009-10-28 (주) 태양기전 표면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8357216B2 (en) 2009-04-01 2013-01-22 Phillips 66 Company Two stage dry feed gasification system and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17B1 (ko) * 2017-02-13 2017-09-12 (주)한국공예전승협회 자개 장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95200A1 (ko) * 2023-11-03 2025-05-08 (주)두리가온 인조자개무늬 전사 스티커의 제조방법, 이 전사 스티커를 이용한 전사방법 및 인조자개무늬 전사 스티커 제조 시 사용되는 스크린 인쇄용 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52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4213B (zh) 智能随机特征识别防伪标识及其制备方法
CN108437675B (zh) 一种剪纸用陶瓷装饰花纸的制备方法及应用方法
KR102422855B1 (ko) 인조 자개 무늬 전사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US5803788A (en) Figurine having a sublimated image for a face
CN108274909A (zh) 低温水转印浮雕金花纸的方法
CN108274911A (zh) 低温水转印镭射花纸的方法
EP0294936A1 (en) A method and a transfer for decorating textiles
CN101649673B (zh) 采用无机热转移方法制备的陶瓷砖和制备该陶瓷砖的方法
WO2002011995A2 (en) Luminescent image-receptive sheet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KR200417890Y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금속장신구
JPS6040399B2 (ja) 部分蒸着転写シ−トの製造法
KR0171244B1 (ko) 전사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지
KR102547172B1 (ko) 유연성 소재용 자개 패치
CN205523299U (zh) 立体浮雕图案水转印纸
JP2795686B2 (ja) 転写紙および転写方法
KR20100085585A (ko) 도자기 표면의 그림 전사 방법 및 그 방법으로 그림이 전사된 도자기
KR200336433Y1 (ko) 케이크 장식용품용 메시지 스티커
KR200251219Y1 (ko) 입체장식용 열전사지
TW201507879A (zh) 數位印刷水轉印花紙
EP214965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gravestone and gravestone thus produced
KR100729504B1 (ko) 경처리된 에폭시 알맹이 및 그 제조방법
CN2753833Y (zh) 釉烧玻璃马赛克
JP3221152U (ja) 金箔貼り風ガラス容器
KR102147966B1 (ko) 칠보 분위기가 연출되는 스티커 및 그 스티커의 제조방법
WO2013125852A1 (ko) 로고, 글자 또는 문양을 갖는 휴대기기용 고경도 케이스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6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