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807B1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Google Patents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1807B1 KR102421807B1 KR1020170046034A KR20170046034A KR102421807B1 KR 102421807 B1 KR102421807 B1 KR 102421807B1 KR 1020170046034 A KR1020170046034 A KR 1020170046034A KR 20170046034 A KR20170046034 A KR 20170046034A KR 102421807 B1 KR102421807 B1 KR 102421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lens unit
- housing
- light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6—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receivers alon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다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라이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일부가 노출되며,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광출력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 상기 제2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3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idar. Lida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ase; a light output module partially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irradiated with light to an area to be irradiated;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detect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area, wherein the light output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unit and the first lens a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negative unit and a thir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second lens unit; an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lens unit; and a light source disposed below the third lens unit.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라이다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lidar.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can irradiate light toward a target and detect the distance, direction, speed, temperature, mater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to the object.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되다가, 최근에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Lidar has been used for weather observation or distance measurement, but recently, it is being studied for autonomous driving and unmanned valet parking.
라이다는, 광을 물체에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과,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광출력 모듈에서는 렌즈의 형상에 따라 화각이 고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출력 모듈에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또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적용하는 경우 화각의 변위량은 소량에 그쳐 문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충격에도 약하여 문제가 된다.The lidar includes a light output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to an object,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for detecting the incident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optical output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ngle of view is fix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ens. In addition, when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 focus (AF) function or a camera modul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 is applied to the optical output module,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angle of view is only a small amount, which is a problem. In addition, in this case, it is also weak to an impact, which cause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렌즈 크기는 축소하면서 넓은 화각(FOV, field of view)의 구현이 가능한 라이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dar capable of realizing a wide field of view (FOV) while reducing a lens size.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일부가 노출되며,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광출력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 상기 제2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3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Lida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ase; a light output module partially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irradiated with light to an area to be irradiated;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detect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area, wherein the light output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unit and the first lens a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negative unit and a thir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second lens unit; an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lens unit; and a light source disposed below the third lens unit.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일부가 노출되며,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광출력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 상기 제2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3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코일 및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쌍을 이루는 상기 제1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제1마그넷이 양단에 배치되는 제1하우징; 및 쌍을 이루는 상기 제2코일 사이에 위치하는 제2마그넷이 양단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을 포함한다. Lid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ase; a light output module partially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irradiated with light to an area to be irradiated;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detect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area, wherein the light output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unit and the first lens a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negative unit and a thir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second lens unit; an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lens unit; and a light source disposed below the third lens unit, wherein the actuator includes: a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magnet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oils disposed at both ends; and a third housing in which second magnets positioned between the paired second coils are disposed at both ends.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일부가 노출되며,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광출력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광수신 모듈이 노출되는 둘레측 영역에서 돌출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 상기 제2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3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 가이드는 상호 대향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광 가이드의 상호 마주하는 면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Lid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ase; a light output module partially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irradiated with light to an area to be irradiated; a light receiving modu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area to be irradiated; and a light guide protruding from a peripheral region where the light receiving module is exposed am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wherein the light output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unit and a secon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first lens unit. and a lens unit including a third lens unit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ens unit; an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lens unit; and a light source disposed under the third lens unit, wherein a plurality of light guides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nd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light guides are formed vertical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outwardly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본 실시예를 통해 광원의 스캐닝(Scanning)이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 is an advantage that scanning of a light sourc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is embodiment.
또한, 렌즈 크기 축소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전장이 축소될 수 있으며, 넓은 화각이 구현 가능하며, X축/Y축의 화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overall length of the lens driving device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in the lens size, a wide angle of view can be realized, and the angle of view of the X-axis/Y-axis can be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액츄에이터를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
도 8은 도 7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actuator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X1 - X2 of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1 - X2 of FIG. 12;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Y1 - Y2 of FIG. 12;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uator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actuator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actuator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an actuator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describing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components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이하에서는, 제1마그넷(313), 제1코일(314), 제2마그넷(323), 제2코일(324)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하고 또 다른 하나를 '제3구동부'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4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넷(313)이 제2하우징(312)에 위치하며, 제1코일(314)이 제1하우징(311)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마그넷(323)이 제4하우징(322)에 위치하며, 제2코일(324)이 제3하우징(321)에 위치할 수 있다.Hereinafter, any one of 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lid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광을 목표물을 향하여 조사하고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rradiate light toward a target and detect a distance to an object, direction, speed, temperature, mater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라이다는 기상 관측이나 거리 측정 등의 용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라이다는 자율 주행 및 무인 발렛 파킹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Lidar can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weather observation or distance measurement. Lidar can also be used for autonomous driving and unmanned valet parking.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과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da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light output module and a light reception module. The lidar may include a light output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area to be irradiated. The lidar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module that detects light tha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and reflected from the area to be irradiated.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기판(410), 수광 센서(미도시),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은, 광출력 모듈에서 광원(420)을 수광 센서(미도시)로 대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광수신 모듈에서, 방열부재(430)는 생략될 수 있다. 광수신 모듈의 기판(41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광출력 모듈의 기판(41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광출력 모듈로부터 조사되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센서는,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ight receiving module may detect light tha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and reflected from the area to be irradiated. The light receiving module may include a
광출력 모듈은,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 모듈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light output module may irradiate light to the area to be irradiated. The light output module may include a laser diode. The light output module may irradiate infrared light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이 포함된 라이다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lidar including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이다(10)는 케이스(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라이다(10)의 구동을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하면에는 별도의 커버(29)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90)와 상기 케이스(2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케이스(20)와 상기 커버(29)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25)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 to 3 , the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에는 각각 광출력 모듈(30)과, 광수신 모듈(50)의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광출력 모듈(30)과 상기 광수신 모듈(50)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되는 영역은 상기 광출력 모듈(30)에서 조사되는 빛이 출사 또는 입사되기 위한 렌즈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들은, 표면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케이스(20)의 외면 중 상기 광수신 모듈(50)이 노출되는 영역에는, 상기 광수신 모듈(50)에 인접하여 광 가이드(60)가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0)에는 상기 광수신 모듈(50)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홀의 외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광수신 모듈(50) 주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수신 모듈(50)이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에 노출된다할 때,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0) 상면은 상기 광수신 모듈(50)과 광출력 모듈(30)이 배치되는 면을 의미한다. 즉, 광출력 모듈(30)과 광수신 모듈(50)은 케이스(20)의 상면에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 reg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또한, 광출력 모듈(30)과 광수신 모듈(50)이 배치된 케이스(20)의 상면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상면 중 광수신 모듈(50)이 형성된 영역은 광출력 모듈(30)이 형성된 영역보다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상기 광수신 모듈(50)의 끝단, 즉, 제1 광수신 렌즈(52)의 표면이 광수신 모듈(500)의 끝단, 즉 제1렌즈(111)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출력 모듈(30)과 광수신 모듈(50)의 렌즈 설계에 따라 광출력 모듈(30)의 신호가 광수신 모듈(50)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p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호 대향하는 복수의 가이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 가이드(60)의 상호 마주하는 면은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62)과, 상기 수직면(6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6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인접한 복수의 상기 광 가이드(60)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직선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면(61)은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1 내지 10도를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광출력 모듈(30)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수신 모듈(50)로 가이드되도록 한다. 이는, 반사된 광이 상기 광수신 모듈(50)의 제1 광수신 렌즈(52)로 입사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가이드(60)는 외부에서 입사는 광을 차단하여, 수광센서로 입사하는 외부광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이때, 광 가이드(60)는 제1 광수신 렌즈(52)의 두 면에 접하도록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광수신 렌즈(52)를 모두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단, 광출력 모듈(30)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광을 차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광 가이드(60)가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광 가이드(60)는 상기 광수신 모듈(50)과 상기 광출력 모듈(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출력 모듈(30)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광수신 모듈(30)에 직접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광 가이드(60)는 제1 광수신 렌즈(52)의 길이방향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광수신 렌즈(5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만, 제1 광수신 렌즈(52)를 모두 둘러싸도록 배치될 경우에는 제1 광수신 렌즈(52)의 길이방향보다 길게, 폭 방향보다는 넓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when disposed to surround all of the first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연성기판(40)을 외부로 연장시키기 위한 기판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홀(22)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성기판(40)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성기판(40)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20)의 외부에서 타 구성부품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성기판(40)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거나, 구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송신될 수 있다. Meanwhile, a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라이다(10)는 상기 광출력 모듈(30)과 상기 광수신 모듈(50)을 포함한다. 2 and 3 , the
상기 광수신 모듈(50)은 광수신 렌즈(52, 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 광수신 렌즈(52)와,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광수신 렌즈(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 가이드(6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렌즈(52, 54)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광수신 기판(5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광수신 렌즈(54)는 수광센서(53)의 상면에 공간이 없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광수신렌즈(52)와 수광센서(53)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광수신렌즈(52)는 수광센서(53)와 공간을 두고 배치되며, 광수신 기판(56)의 홀(53a)에 결합될 수 있다.The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어 광수신 렌즈(52,54)을 통해 입사된 광은 수광센서(53)로 입사되어, 수광센서(53)에 의해 신호가 광수신 기판(56)으로 입력될 수 있다.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area and incident through the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는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수신 렌즈(52)로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수신 렌즈(54)는 집광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수신 렌즈(52, 54)는 후술할 제1렌즈부(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부로 더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광수신 렌즈(52, 54) 영역은 상하 방향길이가 상기 제1렌즈부(110) 보다 높게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광수신 기판(56)의 하측에는 별도의 기판(58)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상기 별도의 기판(58)은 상호 마주하는 양측에 배치되는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수신 기판(56)과 상기 별도의 기판(58)은 상기 고정나사와 이격된 양측에 별도의 연결기판(57)이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기판(58)의 하측에는 메인기판(90)이 배치되어 상기 광수신 모듈(50)과 상기 광출력 모듈(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판(90)은 상기 라이다(10)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전달하거나, 상기 각 모듈(30, 50)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A
이하에서는 상기 광출력 모듈(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액츄에이터를 도시하는 평면도(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dule, FIG. 7 is a plan view (conceptual view) showing an actuator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X1 - X2 of FIG.
도 2,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30)은, 기판(410), 광원(42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에서는, 기판(410), 광원(42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방열부재(430)는, 광원(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생략되거나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2 and 4 to 8 , the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판(410)은, 상기 광원(42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의 상면에는 상기 광원(420) 및 상기 제1방열판(43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의 하면에는 상기 제2방열판(43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일례로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판(410)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기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광원(420)은, 렌즈 유닛(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제3렌즈부(1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상기 기판(4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상기 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상기 원(420)은, 상기 기판(4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일 수 있다. 상기 광원(420)은, 일례로서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 및/또는 상기 기판(41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광원(420) 및/또는 상기 기판(41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제1방열판(431) 및 상기 제2방열판(4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광원(420)이 배치된 상기 기판(4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기판(41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 및 상기 기판(410)의 사이에는, 상기 광원(42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방열판(431)은, 상기 광원(4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일부에서 상기 광원(4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판(431)은, 원판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광원(420)을 수용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나사산에는 제3렌즈배럴(133)이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의 하면과 적어도 일부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방열판(43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나사못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방열판(432)은, 상기 기판(410) 및 상기 제1방열판(431)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홀더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The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유닛(100), 홀더 유닛(200) 및 액츄에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렌즈 유닛(100), 상기 홀더 유닛(2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기판(410)에 실장된 상기 광원(42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광원(420)에서 출사된 광은 상기 렌즈 유닛(100)을 통과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광원(4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복수의 렌즈 및 복수의 렌즈를 고정하는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111, 112, 121, 122, 131, 132) 모두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The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FOV, field of view)은, 135도 내지 145도 일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킴에 따라 확보될 수 있다.A field of view (FOV) of the
상기 렌즈 유닛(100)은, 제1렌즈부(110), 제2렌즈부(120) 및 제3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렌즈 유닛(100)에서, 상기 제1렌즈부(11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3렌즈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1렌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1렌즈부(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렌즈부(11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렌즈부(130)의 하측에는 광원(420)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렌즈부(110),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3렌즈부(130)는 순서를 바꾸어 위치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렌즈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2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의 상면의 주변부는, 커버(22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제1렌즈부(110)는, 제1렌즈(111), 제2렌즈(112) 및 제1렌즈배럴(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렌즈부(110)에서, 상기 제1렌즈(111), 상기 제2렌즈(112) 및 상기 제1렌즈배럴(11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상기 제1렌즈(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110)는, 상기 제1렌즈(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렌즈(11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유닛(2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의 중심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의 중심부는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의 주변부는 상기 홀더 유닛(2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의 상면의 주변부는, 상기 커버(22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11)는, 상기 제2 내지 제6렌즈(112, 121, 122, 131, 132)와 비교하여 가장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3렌즈(1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의 직경은, 상기 제1렌즈(111)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제3렌즈(121)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렌즈(112)는, 상기 제1렌즈(111)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1렌즈(11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제2렌즈(11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상기 커버(2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2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배럴(11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상단은, 상기 제1렌즈부(1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단은, 상기 제3렌즈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한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과 수직하고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 방향은 'X축 방향'이라 칭하고, 상기 제2축 방향은 'Y축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1축 방향으로 2.8mm 내지 3.2mm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2축 방향으로 88㎛ 내지 92㎛ 만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유닛(100)의 화각은 135도 내지 145도로 확보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절홀(24, 도 1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홀(24)은, 상기 케이스(20)의 측면 중 상기 제2렌즈부(120)와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부(120)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절홀(24)에 별도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제2렌즈부(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포커싱을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an adjustment hole 24 (refer to FIG. 1 ) for exposing the
상기 제2렌즈부(120)는, 제3렌즈(121),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렌즈부(120)에서, 상기 제3렌즈(121), 상기 제4렌즈(122) 및 제2렌즈배럴(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2렌즈(112)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렌즈(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3렌즈(12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4렌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렌즈(121) 및 상기 제4렌즈(122)는, '구동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The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2렌즈(112)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4렌즈(1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는, 상기 제4렌즈(122)와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121)의 직경은, 상기 제4렌즈(122)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The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3렌즈(1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제5렌즈(13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제2렌즈배럴(1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122)는,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The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3렌즈(12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제4렌즈(12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홀더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은,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배럴(123)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렌즈배럴(1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홀더(2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2렌즈부(1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광원(4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외주면은, 상기 홀더(210)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외주면은, 상기 홀더(210)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5렌즈(131), 상기 제6렌즈(132) 및 상기 제3렌즈배럴(1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렌즈부(130)에서, 상기 제5렌즈(131), 상기 제6렌즈(132) 및 상기 제3렌즈배럴(13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4렌즈(122)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5렌즈(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5렌즈(131)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6렌즈(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부(130)는, 상기 제5렌즈(131) 및 상기 제6렌즈(132)를 수용하며 상기 홀더(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3렌즈 배럴(1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4렌즈(122)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6렌즈(132)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3렌즈배럴(13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홀더(2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상기 제1렌즈(111) 및 상기 제2렌즈(112)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131)는, 포커싱(focus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5렌즈(131)는, '포커싱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The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5렌즈(131)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광원(4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3렌즈배럴(1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홀더(2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제5렌즈(131)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컬리메이팅(collimating)을 위한 렌즈일 수 있다. 즉, 상기 제6렌즈(132)는, 상기 광원(420)에서 조사되는 광을 통해 평행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6렌즈(132)는, '컬리메이팅 렌즈'로 호칭될 수 있다.The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6렌즈(13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5렌즈(131)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6렌즈(132)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홀더(2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배럴(133)은, 상기 제1방열판(43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1렌즈부(1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3렌즈부(13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내부에 상기 제2렌즈부(120)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1렌즈부(110) 및 상기 제3렌즈부(130)는 고정하고 상기 제1렌즈부(110) 및 상기 제3렌즈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렌즈부(120)는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The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홀더 유닛(200)에서,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210) 및 상기 커버(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210)와 상기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20)의 제조 시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상기 렌즈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The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200)은, 상기 제1렌즈(111)의 상면의 주변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홀더(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면 중 상기 제1렌즈(111)의 외주측 영역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홀더(210)는, 상기 렌즈 유닛(10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내부에 상기 광원(42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기판(4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제1방열판(43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방열부재(4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기판(4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의 상단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홀더(210)의 하단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직육면체의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액츄에이터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 수용홈은, 액츄에이터 수용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최외곽 형상인 원기둥형인 상기 제3렌즈배럴(133)을 수용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렌즈배럴 수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 수용홀은, 렌즈배럴 수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최외곽 배럴이 원기둥형인 렌즈 유닛(100)을 수용하고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액츄에이터(30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하단과 상단은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더(210)는, 중간 부분은 단면에서 직사각형 형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1렌즈(111)의 상면의 주변부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홀더(2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홀더(2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10)는, 내부에 상기 제1렌즈부(11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제1렌즈(111)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중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20)는,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의 측면은, 상기 홀더(2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 및 상기 홀더(21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0) 및 상기 홀더(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상기 렌즈 유닛(1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수용될 수 있다.The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00)에 결합된 상기 렌즈 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상기 렌즈 유닛(100)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광축'은 '상하 방향', '수직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광축에 수직인 방향'은, '전후좌우 방향', '수평 방향' 및 'X축/Y축 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경사를 이루도록 만날 수 있다. 또한,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이때, 제1축은 'X축'으로 호칭되고, 제2축은 'Y축'으로 호칭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제1축 구동 유닛(310) 및 제2축 구동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액츄에이터(300)에서,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 및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상기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X축 구동 유닛'으로 호칭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제1하우징(311), 제2하우징(312), 제1마그넷(313), 제1코일(314), 제1가이드부(315) 및 제1센서(31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에서, 상기 제1하우징(311), 상기 제2하우징(312), 상기 제1마그넷(313), 상기 제1코일(314), 상기 제1가이드부(315) 및 상기 제1센서(31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2렌즈부(120)가 결합되는 상기 제1하우징(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1하우징(311)과 이격되는 상기 제2하우징(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1하우징(311)에 위치하는 상기 제1마그넷(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2하우징(312)에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313)와 대향하는 상기 제1코일(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제1가이드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제2렌즈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1)과 상기 제2하우징(312) 사이에는 제1가이드부(315)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이동은 상기 제1가이드부(315)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1)에는, 상기 제1마그넷(313)이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제1하우징(311)의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1)은, 제1축 방향으로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1)은, 제2축 방향으로 상기 제2하우징(312)과 면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312)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311)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312)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하우징(311)도 제2하우징(312)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A portion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기 제2하우징(312)은, 상기 제1하우징(31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12)은, 상기 제3하우징(32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12)과 상기 제3하우징(321) 사이에는 제2가이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하우징(312)의 이동은 제2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12)에는, 상기 제1코일(314)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하우징(311)에 상기 제1코일(314)이 위치하고 상기 제2하우징(312)에 제1마그넷(313)이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제1마그넷(313)은, 상기 제1하우징(31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넷(313)은, 상기 제1하우징(31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넷(313)은,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일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넷(313)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311)의 복수의 측면에 빙둘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넷(313)은, 상기 제1코일(314)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코일(3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마그넷(313)은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마그넷(313)이 고정된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제1마그넷(313)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제1마그넷(313)과 상기 제1코일(314)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제1마그넷(313)과 상기 제1코일(314)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제1하우징(311)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코일(314)은, 상기 제2하우징(31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314)은, 상기 제2하우징(31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314)은, 상기 제2하우징(312)의 일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31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하우징(312)의 복수의 측면에 빙둘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314)은, 상기 제1마그넷(313)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코일(3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코일(314)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1마그넷(313)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상기 제1하우징(311) 및 상기 제2하우징(3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가이드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볼은, 세라믹 볼(Ceramic Ball) 일 수 있다. 가이드 볼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가이드 볼은,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상기 제1하우징(311)의 제1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상기 제1하우징(311)의 X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제1센서(316)는, 상기 제1하우징(311)의 위치 및/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하우징(311)에 대한 이동의 피드백(feedback)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2하우징(31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마그넷(313)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마그넷(313)의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1마그넷(313)이 고정된 상기 제1하우징(3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홀 센서(Hall sensor)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마그넷(313)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복수의 상기 제1코일(3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변형례로서,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마그넷(313)과 별도로 배치되는 센싱 마그넷(미도시)을 감지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의 적어도 일부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의 적어도 일부를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 전체를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Y축 구동 유닛'으로 호칭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제3하우징(321), 제2마그넷(323), 제2코일(324), 제2가이드부 및 제2센서(32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에서, 상기 제3하우징(321), 상기 제2마그넷(323), 상기 제2코일(324), 상기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2센서(32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이격되는 상기 제3하우징(321)과, 상기 제2하우징(312)에 위치하는 상기 제2마그넷(323)과, 상기 제3하우징(321)에 위치하며 상기 제2마그넷(323)과 대향하는 상기 제2코일(324)과, 상기 제2하우징(3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3하우징(321)은,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하우징(321)과 별도의 제4하우징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마그넷(323) 및 상기 제2코일(324)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3하우징(321)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가 제4하우징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321)에는, 상기 제2코일(324)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321)은, 상기 홀더(2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321)은, 상기 홀더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321)과 상기 제2하우징(312) 사이에는 제2가이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하우징(312)의 이동은 제2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마그넷(323)은, 상기 제2하우징(31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넷(323)은, 상기 제2하우징(31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넷(323)은, 상기 제2하우징(312)의 일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넷(323)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하우징(312)의 복수의 측면에 빙둘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넷(323)은, 상기 제2코일(324)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코일(32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마그넷(323)은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마그넷(323)이 고정된 상기 제2하우징(312)은, 상기 제2마그넷(323)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12)은, 상기 제2마그넷(323)과 상기 제2코일(324)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12)은, 상기 제2마그넷(323)과 상기 제2코일(324)이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 및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코일(324)은, 상기 제3하우징(3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324)은, 상기 제3하우징(321)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324)은, 상기 제3하우징(321)의 일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32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3하우징(321)의 복수의 측면에 빙둘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324)은, 상기 제2마그넷(323)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코일(32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코일(324)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2마그넷(323)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312)에 제2코일(324)이 위치하고 상기 제3하우징(321)에 상기 제2마그넷(323)이 위치할 수 있다.The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하우징(312) 및 상기 제3하우징(3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하우징(31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가이드부는, 가이드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볼은, 세라믹 볼(Ceramic Ball) 일 수 있다. 가이드 볼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가이드 볼은,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하우징(312)의 제2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하우징(312)의 Y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ar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하우징(312)의 위치 및/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하우징(312)에 대한 이동의 피드백(feedback)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3하우징(3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마그넷(323)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마그넷(323)의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2마그넷(323)이 고정된 상기 제2하우징(31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홀 센서(Hall sensor)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마그넷(323)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복수의 제2코일(3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변형례로서,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마그넷(323)과 별도로 배치되는 센싱 마그넷(미도시)을 감지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참고도이다.9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렌즈부(110), 상기 제3렌즈부(130) 및 상기 광원(420)은 상기 기판(410)에 대하여 고정된다. 다만, 상기 제2렌즈부(120)는, 상기 기판(410)에 대하여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렌즈부(120)의 이동을 X축/Y축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렌즈부(120)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은, 도 9의 start로 표시된 지점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X축과 평행한 제1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도 9의 A 참조). 보다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312)에 위치하는 상기 제1코일(3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하우징(311)에 위치하는 상기 제1마그넷(313)이 상기 제1코일(314)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상기 제2렌즈부(120), 상기 제1하우징(311) 및 상기 제1마그넷(313)이 제1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12)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The light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rradiate light to a point indicated by start of FIG. 9 . Thereafter, the first
이후,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Y축 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B). 보다 상세히, 상기 제3하우징(321)에 위치하는 상기 제2코일(32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하우징(312)에 위치하는 상기 제2마그넷(323)이 상기 제2코일(324)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하여 상기 제2렌즈부(120), 상기 제1하우징(311), 상기 제2하우징(312) 및 상기 제2마그넷(323)이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Thereafter, the second
이후,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1방향과 반대인 제3방향으로 제2거리(L2) 만큼 이동시킨다(C). 이 경우에도, 상기 제1코일(3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하우징(312)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렌즈부(120), 상기 제1하우징(311) 및 상기 제1마그넷(313)이 일체로 이동한다.Thereafter, the first
이후,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렌즈부(120)를 제2방향으로 제1거리(L1) 만큼 이동시킨다(D). 이 경우에도, 상기 제2코일(32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2렌즈부(120), 상기 제1하우징(311), 상기 제2하우징(312) 및 상기 제2마그넷(323)이 제2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Thereafter, the second
이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과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이 교대로 작동하여 상기 제2렌즈부(120)를 이동시킨다(도 9의 E, F, G 참조).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이후,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이 제2방향과 반대인 제4방향으로 제1거리(L1)의 3배만큼 이동시킨다(H). 이로써, 상기 제2렌즈부(120)는, End/Start로 표시된 지점에 도착하게 되고 1회 사이클(cycle)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렌즈부(120)의 구동 사이클은 20Hz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되는 제1거리(L1)는, 30um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Y축 변위량은 90u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거리(L2)는, 3mm 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의 X축 이동 변위량은 3mm일 수 있다.Thereafter, the secon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X1 - X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Y1 - Y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8 및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의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light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X1 - X2 of FIG. 12,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Y1 - Y2 of FIG. 12, and FIG. 1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uator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ctuator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the secon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ctuator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S. 18 and 1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actuator of the optical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은, 기판(410), 광원(420), 방열부재(430), 및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에서는, 상기 기판(410), 상기 광원(420), 상기 방열부재(430),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열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생략되거나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출력 모듈 에서, 상기 기판(410), 상기 광원(420) 및 상기 방열부재(430)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410), 광원(420) 및 방열 부재(43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In the light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유닛(100), 홀더 유닛(200) 및 액츄에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서는, 상기 렌즈 유닛(100), 상기 홀더 유닛(2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descrip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alogous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ly, hereinafter,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홀더(210)는, 상측 홀더부(211) 및 하측 홀더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홀더(210)에서, 상기 상측 홀더부(211) 및 상기 하측 홀더부(2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홀더부(211) 및 상기 하측 홀더부(21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상측 홀더부(211)는, 상기 하측 홀더부(21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더부(211)는, 하측 개방형일 수 있다. 상기 상측 홀더부(211)는, 커버(220)가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더부(211)는, 상기 렌즈 유닛(100)이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더부(211)의 측면은, 상기 하측 홀더부(212)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더부(211)의 측면은, 상기 하측 홀더부(212)의 측면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더부(211)와 상기 하측 홀더부(212)의 결합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는 볼트 또는 나사못일 수 있다.The
상기 하측 홀더부(212)는, 상기 상측 홀더부(21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홀더부(212)는, 상측 개방형일 수 있다. 상기 하측 홀더부(212)는, 제1방열판(43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홀더부(212)는, 결합부재를 통해 제2방열판(432)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홀더부(211) 및 상기 하측 홀더부(2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렌즈 유닛(100) 및 상기 액츄에이터(300)가 수용될 수 있다.The
상기 액츄에이터(300)는, 제1축 구동 유닛(310), 제2축 구동 유닛(320) 및 기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액츄에이터(300)에서,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 및 기판(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형될 수 있다.The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은, 제1하우징(311), 제2하우징(312), 제1마그넷(313), 제1코일(314), 제1가이드부(315), 제1센서(316) 및 제1센싱 마그넷(31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축 구동 유닛(310)에서, 상기 제1하우징(311), 상기 제2하우징(312), 상기 제1마그넷(313), 상기 제1코일(314), 상기 제1가이드부(315), 상기 제1센서(316) 및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1코일(314)은, 2개의 코일이 쌍을 이루어 2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쌍을 이루는 2개의 코일 사이에는 제1마그넷(313)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넷(313)은, 2개가 구비되어 2쌍의 코일 각각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314)은,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314)은, 상기 기판(330)의 제2코일 결합부(332) 및 제3코일 결합부(333)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상기 제1하우징(311)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하나씩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2개의 가이드볼과, 상기 2개의 가이드볼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가이드볼의 지름과 대응하는 형상의 홀이 3개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홀 중 2개의 홀에는 가이드볼이 수용될 수 있다.Two of the
상기 제1센서(316)는, 제1센싱 마그넷(317)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일례로서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이 고정된 상기 제1하우징(311)의 위치 및/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제3하우징(3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16)는, 제2센서 결합부(336)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은, 상기 제1하우징(31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은, 상기 제1하우징(311)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은, 상기 제1하우징(311)의 외면에 형성된 센싱 마그넷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은, 상기 제1센서(316)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은, 상기 제1마그넷(313), 상기 제1코일(31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 마그넷(317)은, 상기 제2마그넷(323), 상기 제2코일(32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제3하우징(321), 제4하우징(322), 제2마그넷(323), 제2코일(324), 제2가이드부(325), 제2센서(326) 제2센싱 마그넷(327) 및 센서 수용부(32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에서, 상기 제3하우징(321), 상기 제2마그넷(323), 상기 제2코일(324), 상기 제2가이드부(325), 상기 제2센서(326),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 및 상기 센서 수용부(328)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이격되는 제3하우징(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3하우징(321)과 이격되는 제4하우징(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3하우징(321)에 위치하는 상기 제2마그넷(32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상기 제1마그넷(313)의 배치 방향과, 복수의 상기 제2마그넷(323)의 배치 방향은 상호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4하우징(322)에 위치하며 상기 제2마그넷(323)와 대향하는 제2코일(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 구동 유닛(320)은, 상기 제2하우징(3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12) 및 상기 제4하우징(32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하우징(322)이 생략되고, 상기 제2하우징(312)에 상기 제2코일(324)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코일(324)은, 상기 제2하우징(312)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3하우징(321)은, 메인바디(3211) 및 가이드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하우징(321)에서, 상기 메인바디(3211) 및 상기 가이드부(321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3211) 및 상기 가이드부(321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메인바디(3211)는, 내측에 상기 제1하우징(311)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11)는, 상기 제1하우징(311)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바디(3211)와 상기 제1하우징(311) 사이에는 상기 제1하우징(311)의 유격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11)에는 상기 제2마그넷(323)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11)는, 2개의 이격된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21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부(3212)는, 상기 메인바디(32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12)는, 가이드볼이 이동할 수 있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12)는, 상기 제1가이드부(315)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311)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311)은, 상기 가이드부(3212) 측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상기 제1가이드부(315)는, 상기 가이드부(3212)의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3212)에 의해 제1하우징(311)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The
상기 제4하우징(322)은, 상기 제3하우징(321)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422)에는, 상기 제2코일(324)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322)은, 상기 제2하우징(312)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322)은,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4하우징(322)은, 메인바디(3221) 및 커버부(3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하우징(322)에서, 상기 메인바디(3221) 및 상기 커버부(322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3221) 및 상기 커버부(322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메인바디(3221)에는, 상기 제2코일(324)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21)는, 상기 제2하우징(3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21)는, 상기 제3하우징(321)과 이격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부(3222)는, 상기 메인바디(322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22)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바디(32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22)는, 가이드볼이 이동할 수 있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22)는, 상기 제2가이드부(325)를 통해 상기 제3하우징(321)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하우징(321)은, 상기 커버부(3222) 측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상기 제2가이드부(325)는, 상기 커버부(3222)의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3222)에 의해 상기 제3하우징(321)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The
상기 제2코일(324)은, 2개의 코일이 쌍을 이루어 2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쌍을 이루는 2개의 코일 사이에는 상기 제2마그넷(323)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그넷(323)은, 2개가 구비되어 2쌍의 코일 각각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324)은,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324)은, 상기 기판(330)의 상기 제1코일 결합부(331) 및 상기 제4코일 결합부(334)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2가이드부(325)는, 상기 제3하우징(321)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하나씩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325)는, 2개의 가이드볼과, 상기 2개의 가이드볼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가이드볼의 지름과 대응하는 형상의 홀이 3개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홀 중 2개의 홀에는 가이드볼이 수용될 수 있다.Two of the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일례로서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이 고정된 상기 제3하우징(321)의 위치 및/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4하우징(32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1센서 결합부(335)와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은, 상기 제3하우징(3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은, 상기 제3하우징(321)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하우징(32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은, 상기 제2센서(326)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싱 마그넷(327)은, 상기 제1마그넷(313), 상기 제1코일(31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싱 마그넷(317)은, 상기 제2마그넷(323), 상기 제2코일(324)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서 수용부(328)는, 상기 제4하우징(3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 수용부(328)는, 상기 제2하우징(3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수용부(328)는, 상기 제2센서(326)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수용부(328)의 적어도 일부는, 제2센서(326)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nsor
상기 기판(330)은, 광출력 모듈을 외부 구성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기판(330)은, 일례로서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기판(330)은, 광출력 모듈 의 코일(314, 324) 및 센서(316, 3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기판(330)은, 제1코일 결합부(331), 제2코일 결합부(332), 제3코일 결합부(333), 제4코일 결합부(334), 제1센서 결합부(335), 제2센서 결합부(336) 및 연장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330)에서, 상기 제1코일 결합부(331), 상기 제2코일 결합부(332), 상기 제3코일 결합부(333), 상기 제4코일 결합부(334), 상기 제1센서 결합부(335), 상기 제2센서 결합부(336) 및 상기 연장부(337)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판(3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제1 및 제4코일 결합부(331, 334)는, 상기 제4하우징(322)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4코일 결합부(331, 334)는, 상기 제2코일(324)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4코일 결합부(331, 334)는, 상기 제2코일(32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and fourth
상기 제2 및 제3코일 결합부(332, 333)는, 상기 제1 및 제4코일 결합부(331, 334)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코일 결합부(332, 333)는,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제1코일 결합부(331) 및 상기 제4코일 결합부(33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코일 결합부(332, 333)는, 상기 제4하우징(322)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코일 결합부(332, 333)는, 상기 제1코일(314)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코일 결합부(332, 333)는, 상기 제1코일(3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and third
상기 제1센서 결합부(335)는, 상기 제4코일 결합부(334)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 결합부(335)는, 상기 제4하우징(322)에 형성된 센서 수용부(328)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 결합부(335)는, 상기 제2센서(326)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326)는, 상기 제1센서 결합부(335)에 실장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2센서 결합부(336)는, 상기 제4코일 결합부(334)로부터 복수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 결합부(335)는, 상기 제1센서(326)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326)는, 상기 제2센서 결합부(335)에 실장될 수 있다.The secon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일부가 노출되며, 피조사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광출력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광출력 모듈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조사 영역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출력 모듈은,
제1렌즈부와,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
상기 제2렌즈부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3렌즈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 중 상기 제2렌즈부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2렌즈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포커싱 조절을 위한 조절홀이 형성되는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case;
a light output module partially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irradiating light to an area to be irradiated; and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output modu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sensing light reflected from the irradiated area,
The optical output module,
a lens unit including a first lens unit, a secon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first lens unit, and a third lens unit located below the second lens unit;
an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lens unit; and
and a light source disposed below the third lens unit,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in which an adjustment hole for focusing adjustment is formed by exposing the second lens unit to the outside in an area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that overlaps the second lens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2렌즈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제1마그넷이 배치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코일 배치되며, 상기 제1코일과 이격되는 외주면에 제2마그넷이 배치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마그넷과 대향하는 영역에 제2코일이 배치되는 라이다.
The method of claim 1,
The actuator is
a first housing coupled to the second lens unit and having a first magnet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housing in which a first coil is disposed in a region facing the first magnet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magnet is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il; and
A lidar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using and having a second coil disposed in an area facing the second magnet.
상기 케이스의 외면 중 상기 광수신 모듈이 노출되는 둘레측 영역에서 돌출되는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라이다.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ar further comprising a light guide protruding from the peripheral region where the light receiving module is exposed am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상기 광 가이드는 상호 대향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광 가이드의 상호 마주하는 면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라이다.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ight guide is provided in plurality to face each other,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light guides facing each other are a line including a vertical surface vertically form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from an end of the vertical surface.
상기 제2렌즈부의 직경은 상기 제1렌즈부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제3렌즈부의 직경 보다 큰 라이다.
According to claim 1,
A diameter of the second lens part is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first lens part and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third lens part.
상기 광수신 모듈 중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의 돌출 높이는, 상기 광출력 모듈 중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라이다.
The method of claim 1,
A protrusion height of a len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 receiving module is higher than a protrusion height of a len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 output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6034A KR102421807B1 (en) | 2017-04-10 | 2017-04-10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KR1020220085966A KR102625299B1 (en) | 2017-04-10 | 2022-07-12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6034A KR102421807B1 (en) | 2017-04-10 | 2017-04-10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5966A Division KR102625299B1 (en) | 2017-04-10 | 2022-07-12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4384A KR20180114384A (en) | 2018-10-18 |
KR102421807B1 true KR102421807B1 (en) | 2022-07-15 |
Family
ID=641328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6034A Active KR102421807B1 (en) | 2017-04-10 | 2017-04-10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KR1020220085966A Active KR102625299B1 (en) | 2017-04-10 | 2022-07-12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5966A Active KR102625299B1 (en) | 2017-04-10 | 2022-07-12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2180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7073B1 (en) * | 2019-05-14 | 2021-10-2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Lidar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2447A (en) * | 2006-01-11 | 2007-08-23 | Sanyo Electric Co Ltd | Lens drive unit for laser radar |
JP2009031348A (en) * | 2007-07-24 | 2009-02-12 | Olympus Imaging Corp | Optical scanner device |
JP2009281999A (en) * | 2007-08-07 | 2009-12-03 | Sanyo Electric Co Ltd | Optical mechanism member mechanism for laser rada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7796U (en) * | 1997-11-03 | 1999-06-05 | 김영환 | Optical device of car collision avoidance system |
JP4542042B2 (en) * | 2004-01-26 | 2010-09-08 | ローム株式会社 | Receiver module |
KR101095108B1 (en) * | 2010-03-23 | 2011-12-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
2017
- 2017-04-10 KR KR1020170046034A patent/KR102421807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7-12 KR KR1020220085966A patent/KR1026252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2447A (en) * | 2006-01-11 | 2007-08-23 | Sanyo Electric Co Ltd | Lens drive unit for laser radar |
JP2009031348A (en) * | 2007-07-24 | 2009-02-12 | Olympus Imaging Corp | Optical scanner device |
JP2009281999A (en) * | 2007-08-07 | 2009-12-03 | Sanyo Electric Co Ltd | Optical mechanism member mechanism for laser rad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5299B1 (en) | 2024-01-16 |
KR20180114384A (en) | 2018-10-18 |
KR20220103897A (en) | 2022-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79401B2 (en) | Light output module and lidar | |
KR102512573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LiDAR | |
KR102761114B1 (en) |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US9025034B2 (en) | Image blur correction unit, image blur compensation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 |
KR20180012150A (en) | Auto focussing apparatus for zoom lens | |
US20210041658A1 (en) | Camera module | |
KR20190087801A (en) |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 |
KR20220103897A (en) |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 |
KR102553963B1 (en) |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624097B1 (en) | LiDAR | |
KR102545310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481506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361051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817313B1 (en) |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US9638886B1 (en) | Lens assembly with a linear guide system | |
KR102463901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437691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638695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487277B1 (en) | Lens driv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LiDAR | |
KR102400657B1 (en) |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JP6331319B2 (en) | Optical equipment | |
KR20240043495A (en) |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9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4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7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