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194B1 -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1194B1 KR102421194B1 KR1020210138816A KR20210138816A KR102421194B1 KR 102421194 B1 KR102421194 B1 KR 102421194B1 KR 1020210138816 A KR1020210138816 A KR 1020210138816A KR 20210138816 A KR20210138816 A KR 20210138816A KR 102421194 B1 KR102421194 B1 KR 1024211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stopper
- fire
- branch pipe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신축관이 하방으로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경고부에서 A-A 구간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경고부에서 A-A 구간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구성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경보기 구동을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발전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발전부의 압전로를 따라 회전체가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경고부와 발전부가 결합해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211 : 격실 212, 212' : 입구 213, 213' : 출구
220 : 진동체 230, 230' : 가이드패널 300 : 스프링클러
310 : 헤드관 320 : 마개 330 : 디플렉터
400 : 발전부 410 : 제2의 함체 411 : 플랜지
420 : 압전로 421 : 래치기어 422 : 압전소자
430 : 회전체 431 : 임펠러 432 : 환체
433 : 바퀴 500 : 안내등 600 : 신축관
610 : 제1의 관 611 : 제1의 걸림턱 620 : 제2의 관
621 : 제1의 스토퍼 622 : 제2의 걸림턱 630 : 제3의 관
631 : 제2의 스토퍼 640 : 가열기 641 : 배터리
642 : 제1스위치 643 : 전열기 650 : 접착체
660 : 제2스위치 661 : 제1의 단자 662 : 제2의 단자
700 : 경보기 P : 급수관 T : 연결관
TP : 일지점
Claims (1)
- 소화수의 급수관(P)과 연통하는 지관(10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격실(211)을 이루고, 격실(2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지관(100)과의 연통을 위한 입구(212)와 출구(213)가 형성된 다수의 제1의 함체(210)와; 입구(212)와 출구(213)를 통해 지관(100)에서 격실(211)로 불규칙하게 출입하는 소화수의 유력을 받아 격실(211)에서 운동하며 제1의 함체(210)와 충돌하는 진동체(220)와; 지관(100)의 중공을 따라 이동하는 소화수가 입구(212)를 통해 격실(211)에 유입되어 출구(213)로 배출되도록 입구(212)와 출구(213)에 설치된 가이드패널(230)을; 구성한 경고부(200),
상단이 경고부(200)를 경유한 지관(100)과 연통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제1의 걸림턱(611)이 돌출된 제1의 관(610)과; 제1의 관(610)을 길이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단에 제1의 걸림턱(611)에 걸려 연결되도록 돌출된 제1의 스토퍼(621)와, 하단에 제2의 걸림턱(622)이 돌출된 제2의 관(620)과; 제2의 관(620)을 길이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단에 제2의 걸림턱(622)에 걸려 연결되도록 돌출된 제2의 스토퍼(631)를 갖춘 제3의 관(630)과; 입구(212)와 출구(213)가 미형성된 제1의 함체(210)에 내설되는 배터리(641)와, 축전기(440)의 축전을 감지해서 배터리(641)의 통전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642)와, 배터리(641)의 통전에 의한 저항열로 발열을 일으키며 제1의 관(610)에 내설되는 전열기(643)를 갖춘 가열기(640)와; 제1 내지 제2의 관(610, 620)이 제3의 관(630)에 인입되어 3중으로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내지 제3의 관(620, 630)의 상단이 제1의 관(610)의 외면에 납땜을 이루어 부착되되, 제1의 관(610)에 내설된 전열기(643)에 가열되도록 된 접착체(650)와; 제1의 걸림턱(611)과 제1의 스토퍼(621)에 각각 마주하게 부착되어서 제1의 걸림턱(611)에 대한 제2의 스토퍼(621)의 걸림 시 서로 접촉하여 배터리(641)의 전류를 인가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1의 단자(661)와, 제2의 걸림턱(622)과 제2의 스토퍼(631)에 각각 마주하게 부착되어서 제2의 걸림턱(622)에 대한 제2의 스토퍼(631)의 걸림 시 서로 접촉하여 배터리(641)의 전류를 인가하도록 제1의 단자(661)와 직렬로 연결된 전도성 재질의 제2의 단자(662)로 된 제2스위치(660)를; 구성한 신축관(600),
제3의 관(630)과 연통하게 연결되며 내경이 확장된 원형의 관 형태를 이루고, 내주면을 따라 플랜지(411)가 형성된 제2의 함체(410)와; 플랜지(411)를 따라 설치되는 링 형상이고, 상면에 다수의 래치기어(421)가 일렬로 형성되며, 래치기어(421)의 경사면에는 다수 개의 압전소자(422)가 일렬로 부착된 압전로(420)와; 제2의 함체(410)에서 소화수의 유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431)와, 임펠러(431)의 둘레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압전로(420)와 마주하는 환체(432)와, 상기 경사면 상의 압전소자(422)를 가압하도록 딛고 구르며 환체(432)의 저면을 따라 다수 개가 일렬로 부착된 바퀴(433)를 갖춘 회전체(430)와; 다수 개의 압전소자(422)의 발생 전기를 수신해 축전하며, 입구(212)와 출구(213)가 미형성된 제1의 함체(210)에 내설되는 축전기(440)를; 구성한 발전부(400),
제2의 함체(410)를 통해 공급된 소화수를 발수하는 스프링클러(300), 및
지관(10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1의 단자(661) 및 제2의 단자(662)와 배터리(641)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제1의 단자(661) 및 제2의 단자(662)의 닫힘 시 배터리(641)의 전류 인가로 지정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보기(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816A KR102421194B1 (ko) | 2021-10-18 | 2021-10-18 |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816A KR102421194B1 (ko) | 2021-10-18 | 2021-10-18 |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1194B1 true KR102421194B1 (ko) | 2022-07-15 |
Family
ID=8240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8816A Active KR102421194B1 (ko) | 2021-10-18 | 2021-10-18 |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19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7389A (ko) * | 2012-04-17 | 2013-10-28 | 유티씨코리아 주식회사 | 램프가 구비된 소방용 스프링클러 |
KR20160050984A (ko) * | 2014-10-31 | 2016-05-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소화수 압력을 이용한 비상 발전 장치 |
KR20170068185A (ko) | 2015-12-09 | 2017-06-19 | 장승구 |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
KR102308608B1 (ko) *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
KR102308607B1 (ko) *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스프링클러 결합 소방방재장치 |
KR102311897B1 (ko) * | 2021-04-21 | 2021-10-14 | (주)배정기술단 | 스프링클러 결합형 소방방재장치 |
-
2021
- 2021-10-18 KR KR1020210138816A patent/KR10242119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7389A (ko) * | 2012-04-17 | 2013-10-28 | 유티씨코리아 주식회사 | 램프가 구비된 소방용 스프링클러 |
KR20160050984A (ko) * | 2014-10-31 | 2016-05-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소화수 압력을 이용한 비상 발전 장치 |
KR20170068185A (ko) | 2015-12-09 | 2017-06-19 | 장승구 |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
KR102308608B1 (ko) *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
KR102308607B1 (ko) *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스프링클러 결합 소방방재장치 |
KR102311897B1 (ko) * | 2021-04-21 | 2021-10-14 | (주)배정기술단 | 스프링클러 결합형 소방방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51760A (en) |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for its use | |
KR102050028B1 (ko)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
CN103077576A (zh) | 智能火灾报警及疏散指示系统 | |
KR102031859B1 (ko) | 비상대피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 |
WO2012162918A1 (zh) | 机车自动灭火装置 | |
EP4209252A1 (en) | Multifunctional sprinkler device concealed in ceiling for simultaneously removing smoke and toxic gas | |
KR102421194B1 (ko) |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 |
KR20230163316A (ko) | 소화 및 배연 장치를 갖는 방음 터널 | |
KR102421195B1 (ko) |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 |
KR102425025B1 (ko) |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확인가능 소방 방재 장치 | |
US20230330463A1 (en) | Multifunctional sprinkler device concealed in ceiling for simultaneously removing smoke and toxic gas | |
KR102413997B1 (ko) |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안전형 신속 소방방재장치 | |
KR102050539B1 (ko) |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 |
JP2017038698A (ja) | トンネル避難坑内の避難誘導装置 | |
KR102405214B1 (ko) | 안전 대피 유도를 위한 소방피난유도장치 | |
KR102485464B1 (ko) | 비상탈출 유도장치 | |
JPH09135919A (ja) | 超高感度火災検知消火システム | |
JPH05253316A (ja) | 消火設備 | |
CN211536295U (zh) | 一种火灾逃生系统 | |
CN210228970U (zh) | 一种智能消防洒水喷头 | |
RU2743692C1 (ru) |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системе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и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системе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 |
JP6406744B1 (ja) | 消火用放水ノズル | |
KR102135029B1 (ko) |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 |
CN216022878U (zh) | 消防报警联动控制器 | |
KR102719220B1 (ko) | 건축구조물 전력변환장치의 화재 소방용 자동소화용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