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9763B1 -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763B1
KR102419763B1 KR1020200155208A KR20200155208A KR102419763B1 KR 102419763 B1 KR102419763 B1 KR 102419763B1 KR 1020200155208 A KR1020200155208 A KR 1020200155208A KR 20200155208 A KR20200155208 A KR 20200155208A KR 102419763 B1 KR102419763 B1 KR 102419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copper
conductive paste
nanopowder
prep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139A (ko
Inventor
이재신
한형수
박성철
이문환
채주현
이상요
이용혁
김승홍
Original Assignee
파워팩 주식회사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팩 주식회사,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파워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5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rare earth metal
    • C08K2003/2213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rare earth metal of c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습식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 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습식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 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 FPD 등 디스플레이 전극용 또는 기타 전기전자 소자의 전극을 형성하는 전도성 페이스트는 크게 전도성 분말, 유기 비어클(vehicle), 무기질계 바인더의 3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전도성 분말은 전도성 페이스트가 실제적으로 전도성을 띄게 하는 역할을 하고, 주로 금 (Au), 은 (Ag), 팔라듐 (Pd) 등의 미세 귀금속 분말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비어클은 휘발성 유기 용제와 비휘발성 유기 수지상으로 구성되는데 무기 필러와 혼합되어 인쇄공정에 필요한 유변학적 특성을 부여한다. 전체적인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레벨링 특성, 인쇄성 등의 유변학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첨가제가 투여되기도 한다.
무기질계 바인더는 기재와의 부착강도를 결정하는 재료로서 전극재의 도전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재가 통상적으로 세라믹상이기 때문에 무기질계 바인더는 주로 글래스 프릿 (Glass frit), 금속 산화물 또는 글래스 프릿과 금속 산화물의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글래스 프릿의 경우 환경 규제로 인해서 납이 들어가지 않은 조성을 기본으로 하며, 전극재의 열처리시 기재를 웨팅 (wetting) 시켜 기계적인 결합력을 갖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금속 산화물의 경우 기재와 화학적인 결합을 일으켜 결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의 전도성 페이스트의 경우 전도성 분말로 금(Au), 은(Ag), 팔라듐(Pd) 등의 귀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니켈(Ni), 구리(Cu)와 같은 상대적으로 비한 금속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 소성 시 분말의 산화로 인하여 전기적 특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귀금속 중에서도 은 분말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원자재 가격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어, 은 분말의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은 분말의 사용량이 적어지면 원하는 전극의 전도특성에 부합되지 않고, 은의 대체 재료로서 니켈, 구리,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경우 제조 공정상 분말 산화에 의해 전극 특성에 결함을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가들은 전기적 특성이 감소되지 않으면서 전극 또는 센서 등에 적용 가능한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67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습식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 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나노분말을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은 상기 구리가 코어(core)를 형성하며, 상기 은이 상기 구리의 표면을 싸고 있는 쉘(shell)을 구성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은 CeO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0 ℃인 비수용성 고분자; 및 용융온도(Tm) 또는 유리전이온도(Tg)가 200 내지 300 ℃이면서 0.5 wt% 수용액 상태에서 표면장력이 10 내지 60 dyne/cm인 수용성 고분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에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혼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1A) 은(Ag, silver) 및 구리(Cu, copper)를 질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단계;
(S1B) 상기 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S1C) 상기 용액을 하기 [표 1]의 조건 하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표 1]
Figure 112020124152078-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2A)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증류수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B) 상기 분산액에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금속나노분말을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언급된 모든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습식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 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추가적인 충진제의 이용 없으도 낮은 전기저항성 및 높은 전기전도성의 페이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의 EDS(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맵핑 이미지이다.
도 2는 (a) 실시예 1 및 (b)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의 전기저항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본 발명은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은 상기 구리가 코어(core)를 형성하며, 상기 은이 상기 구리의 표면을 싸고 있는 쉘(shell)을 구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은 CeO2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은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의 접합강도 및 표면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크기의 세라믹 분말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0 ℃인 비수용성 고분자; 및 용융온도(Tm) 또는 유리전이온도(Tg)가 200 내지 300 ℃이면서 0.5 wt% 수용액 상태에서 표면장력이 10 내지 60 dyne/cm인 수용성 고분자;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20 내지 60 중량%의 비수용성 고분자 및 40 내지 80 중량%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고분자 바인더일 수 있다.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는 아크릴 그룹(acrylate group)을 포함하는 고분자로서, 스티렌-아크릴릭(Styrene-Acrylics), 스티렌-부타디엔(Styrene Butadiene), 아크릴릭(Acrylics) 및 비닐 아크릴릭(Vinyl Acrylic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계 공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 술폰산계 고분자 또는 폴리비닐페놀 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에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혼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S1) 단계는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로, 하기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S1A) 은(Ag, silver) 및 구리(Cu, copper)를 질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단계;
(S1B) 상기 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S1C) 상기 용액을 하기 [표 1]의 조건 하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표 1]
Figure 112020124152078-pat0000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A) 단계는 상기 은 60 내지 90 중량% 및 구리 10 내지 40 중량%로 혼합한 후 질산 수용액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용해물을 100 내지 500 ℃에서 가열하면서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1A) 단계에 은 및 구리를 질산 수용액에 용해시킬 때, 100 내지 500 ℃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면 100 내지 300 nm의 직경을 갖는 코어쉘 현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환원제는 아스코르브산, 하이드로퀴논, 수소화불소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불소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하이드로퀴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S1B) 단계에서 환원제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은 치전물 형태로 환원되어 침정될 수 있다.
상기 (S1C) 단계는 전기-전자에너지에 의해 서 야기되는 진공분위기에서 진행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재 처리 기술로서, 고온을 가하여 재료의 표면 입자에 고에너지를 가함과 동시에 재료 자체에 셀프 ??칭(self-quenching)되어 별도의 냉각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는 공정법이다. 상기 플라즈마 후처리 공정은 재료입자의 산화를 방지하고 열-전자에너지를 이용하기 미세한 입자의 개질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즈마 후처리 조건으로 상기 초기 진공도는 4.0 × 10-6 내지 4.0 × 10-5 Torr일 수 있으며, 이는 5.33 × 10-4 내지 5.33 × 10-3 Pa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후처리 조건으로 상기 플라즈마 공정 시 진공도는 0.5 내지 0.8 mTorr일 수 있으며, 이는 0.06 내지 0.11 Pa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공정 스테이지 온도는 공정 시작 시 온도를 의미하며, 상기 플라즈마 공정 온도는 플라즈마 공정이 실질적으로 수행되는 온도를 의미하다
상기 플라즈마 후처리 조건으로 RF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RF 플라즈마는 200 내지 600 W의 용량을 출력하는 플라즈마 발생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하기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S2A)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증류수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B) 상기 분산액에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S2A) 단계는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증류수 내에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첨가하여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산 용매로 알코올, 아세톤과 같은 휘발성이 강한 용매가 적용될 경우 용매의 빠른 증발로 점성 조절이 어렵고,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 도포 시 두께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산 용매는 증류수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습식공정을 통해 제조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 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세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언급된 시약 및 용매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Sigma Aldrich Korea로부터 구입한 것이다.
실시예 1. 전도성 페이스트 제조
1.1.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 제조
70 중량% 실버 그래뉼 및 30 중량% 구리 그래뉼을 질산 수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실버-질산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은-구리 질산 용액을 265 ℃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고, 환원제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C6H8O6)을 첨가하여 은-구리 혼합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 침전물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여과하였으며, 여과된 은-구리 혼합분말은 순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고, 상온에서 3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플라즈마 후처리를 수행하여 코어-쉘 구조의 은-구리 나노분말을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20124152078-pat00003
1.2. 전도성 페이스트 제조
세라믹 나노분말(CeO2) 및 고분자 바인더를 증류수에 분산시켰다. 이때,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Tg)가 -20 ℃인 비수용성 고분자로 스티렌-아크릴릭(Styrene-Acrylics) 30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Tg)가 260 ℃이면서 0.5 wt% 수용액 상태에서 표면장력이 35 dyne/cm인 폴리비닐알콜 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70중량%로 혼합된 혼합 고분자 바인더이다. 상기 분산액에 상기 제조된 은-구리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 전도성 페이스트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모든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하되, 세라믹 나노분말을 SnO2 및 TiO2의 1:1 혼합물로 적용한 비교 전도성 페이스트 1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코어쉘(core-shell)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구리 나노분말이 코어-쉘 형태임을 확인하기 위해 EDS(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맵핑 이미지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구리 나노분말이 코어-쉘 구조로 맵핑되어 있음을 확일할 수 있다.
실험예 2. 전기저항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페이스트의 전저기항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의 전기저항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a)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페이스트는 1.0 Ω의 현저히 낮은 전기저항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b)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교 전도성 페이스트의 경우 52.3 Ω의 현저히 높은 전기저항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페이스트는 전극, 센서 등에 적용 시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0 ℃인 비수용성 고분자; 및
    용융온도(Tm) 또는 유리전이온도(Tg)가 200 내지 300 ℃이면서 0.5 wt% 수용액 상태에서 표면장력이 10 내지 60 dyne/cm인 수용성 고분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은 상기 구리가 코어(core)를 형성하며, 상기 은이 상기 구리의 표면을 싸고 있는 쉘(shell)을 구성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은 Ce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4. 삭제
  5. (S1)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에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혼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0 ℃인 비수용성 고분자; 및
    용융온도(Tm) 또는 유리전이온도(Tg)가 200 내지 300 ℃이면서 0.5 wt% 수용액 상태에서 표면장력이 10 내지 60 dyne/cm인 수용성 고분자;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S1A) 은(Ag, silver) 및 구리(Cu, copper)를 질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단계;
    (S1B) 상기 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S1C) 상기 용액을 하기 [표 1]의 조건 하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코어쉘(core-shell) 형태의 은-구리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표 1]
    Figure 112020124152078-pat00004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S2A) 상기 세라믹 나노분말 및 고분자 바인더를 증류수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S2B) 상기 분산액에 상기 은-구리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155208A 2020-11-19 2020-11-19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419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08A KR102419763B1 (ko) 2020-11-19 2020-11-19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08A KR102419763B1 (ko) 2020-11-19 2020-11-19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139A KR20220069139A (ko) 2022-05-27
KR102419763B1 true KR102419763B1 (ko) 2022-07-13

Family

ID=8179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208A Active KR102419763B1 (ko) 2020-11-19 2020-11-19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0910A (ko) 2022-12-23 2024-07-02 주식회사 테라하임 코어-쉘 형태의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한 열전도성 비드,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1627A (ja) * 2015-08-17 2017-02-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電極
KR102051321B1 (ko) * 2019-07-15 2019-12-03 파워팩 주식회사 습식공정을 이용한 코어-쉘 구조의 은-구리 혼합분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2694B (zh) 2014-01-17 2019-03-01 日商納美仕有限公司 導電性糊及使用該導電性糊製造半導體裝置之方法
KR102349759B1 (ko) * 2017-08-14 2022-01-11 한국전기연구원 내부 전극을 적용한 압전 세라믹 소자 제작방법
KR101996605B1 (ko) * 2018-01-26 2019-07-04 (주)바이오니아 코어-쉘 구조의 은 코팅된 구리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에폭시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
KR102786640B1 (ko) * 2018-09-19 2025-03-25 한국전기연구원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세라믹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1627A (ja) * 2015-08-17 2017-02-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電極
KR102051321B1 (ko) * 2019-07-15 2019-12-03 파워팩 주식회사 습식공정을 이용한 코어-쉘 구조의 은-구리 혼합분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139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286B1 (ko) 전도성 페이스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극
EP3032547B2 (en)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lead-free glass frit
WO1991015018A1 (fr) Pate pour la cuisson a haute temperature
US9034417B2 (en) Photonic sintering of polymer thick film conductor compositions
EP3032544B1 (en)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lead-free glass frit
WO2003038838A1 (fr) Pate a compose ag
EP3031784A1 (en)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lead-free glass frit
EP3032545A1 (en)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lead-free glass frit
KR20150064054A (ko) 은 하이브리드 구리분과 그의 제조법, 상기 은 하이브리드 구리분을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도전성 접착제, 도전성 막 및 전기 회로
KR102419763B1 (ko)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053030A (ja) 板状酸化ルテニウム粉末と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厚膜抵抗組成物
EP3032543A1 (en)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lead-free glass frit
JP5949104B2 (ja) 金属粒子分散剤、金属粒子分散インク及び導電性パターン形成方法
CN115335163A (zh) 粘度稳定性得到提升的导电性浆料用银粉末及其制造方法
CN113257455B (zh) 一种可低温烧结的无铅导电银浆
CN104078097B (zh) 一种灌孔用印刷电路板银浆及其制备方法
TWI528385B (zh) 銀導電膠及其製造方法
US12090556B2 (en) Method for producing silver powder with adjustable shrinkage
CN106663493A (zh) 含铜导电浆料和由含铜导电浆料制成的电极
JP6626572B2 (ja) 金属接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金属接合体の製造方法
JP5942791B2 (ja) ニッケル粉末の製造方法
EP0291064A2 (en) Conductive paste composition
US8696860B1 (en) Lamination of polymer thick film conductor compositions
JP2022137855A (ja) 白金ペースト
JP7640258B2 (ja) 金属材料および該金属材料と基材とを備えた接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