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9755B1 -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 Google Patents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755B1
KR102419755B1 KR1020187033304A KR20187033304A KR102419755B1 KR 102419755 B1 KR102419755 B1 KR 102419755B1 KR 1020187033304 A KR1020187033304 A KR 1020187033304A KR 20187033304 A KR20187033304 A KR 20187033304A KR 102419755 B1 KR102419755 B1 KR 10241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main body
fusion
optical
respe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431A (ko
Inventor
료스케 메오
류이치로 사토
히로시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8Reinforcement of splice j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20)는, 본체부(22)와, 본체부(22)에 마련되며, 융착 접속부에 씌운 열 수축성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24)와, 히터(24)의 양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 또는 광 커넥터(C)를 각각 보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부(26)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클램프부(26)는, 본체부(22)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 또는 광 커넥터(C)가 수용되는 수용부(32)와, 본체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본체부(22)에 대하여 개방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32)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본체부(22)에 대하여 폐쇄되는 것에 의해 수용부(32)에 수용된 광 파이버 또는 광 커넥터(C)를 협지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한 클램퍼(28)를 갖고 있다. 클램프부(26) 중 적어도 한쪽의 클램프부(26B)는, 수용부(32B)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부(50)를 갖고, 슬라이드부(50)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되는 것에 의해, 수용부(32B)에서 광 파이버 또는 광 커넥터(C)가 탑재되는 탑재면(52, 65)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다.

Description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본 발명은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5월 19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 2016-100437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전체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는 보강 부재와 보강 슬리브인 열 수축성 튜브로 보강된다. 융착 접속부에 열 수축성 튜브를 장착하려면, 열 수축성 튜브가 씌워진 융착 접속부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가열기의 양측에 배치되며 광 파이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과, 가이드 홈의 근방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를 클램프하기 위한 클램퍼를 구비한 보강기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평2-193106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82257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92810 호 공보
그런데, 광 파이버끼리를 융착 접속하여 상기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처리는, 단심(單心)의 광 파이버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단심의 광 파이버와 광 커넥터로부터 노출된 단척(短尺)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 경우, 특허문헌 1의 클램퍼에서는 단심의 광 파이버와 융착 접속된 광 커넥터를 클램프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기판에 광 커넥터를 탑재한 경우에는, 융착 접속처인 단심의 광 파이버보다 광 커넥터로부터 노출된 단척 광 파이버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융착 접속부나 상기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열 수축성 튜브가 가열기 내에서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가열기를 발열시키면, 열 수축성 튜브를 적절히 가열하지 못하여, 융착 접속부를 양호하게 보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클램퍼를 대신하여,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광 파이버 홀더에 광 커넥터를 수용하고, 상기 광 파이버 홀더를 특허문헌 1의 보강기에 장착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클램프되어야 하는 광 파이버 제품(예를 들면, 단심의 광 파이버나 광 커넥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클램퍼를 교환해야 한다고 하면 그 작업이 번거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되어야 하는 광 파이버 제품에 대응하여 클램프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이종(異種)의 광 파이버 제품을 양호하게 보지 가능한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는,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융착 접속부에 씌운 열 수축성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양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파이버가 노출된 광 커넥터를 보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를 협지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한 클램퍼를 갖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탑재되는 탑재면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융착 접속기는 상기의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되어야 하는 광 파이버 제품에 대응하여 클램프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이종의 광 파이버 제품을 양호하게 보지 가능한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접속기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융착 접속기가 구비하는 보강 장치이며, 보강 장치의 클램퍼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강 장치가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부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5는 융착 접속기에 장착된 상태의 보강 장치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보강 장치의 수용부에 형성된 홈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클램퍼를 분리한 상태의 보강 장치이며, 슬라이드부를 제 1 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광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보강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부를 제 2 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보강 장치에 있어서, 도 8의 광 커넥터를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최초에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나열 기재하여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는,
(1)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융착 접속부에 씌운 열 수축성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양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파이버가 노출된 광 커넥터를 보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를 협지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한 클램프를 갖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탑재되는 탑재면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클램프되어야 하는 광 파이버 제품에 대응하여 클램프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이종의 광 파이버 제품을 양호하게 보지 가능한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2)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각 광 파이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제 1 홈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 1 홈부에 결합 가능한 제 1 돌기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슬라이드부를 소망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미끄럼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2)나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의 「직교」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직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직교로 간주되는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폭을 갖는 의미이다.
(3)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며, 제 1 절결부와 상기 제 1 절결부와 이격된 제 2 절결부를 구비한 제 2 홈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 2 홈부에 삽입되는 제 2 돌기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제 1 절결부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위치결정되며, 상기 제 2 절결부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로 위치결정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부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간편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이나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의 「평행」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평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평행으로 간주되는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폭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기는,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보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클램프되어야 하는 광 파이버 제품에 대응하여 클램프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이종의 광 파이버 제품을 양호하게 보지 가능한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를 구비한 융착 접속기를 제공할 수 있다.
(5) 상기 (4)에 기재된 융착 접속기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로부터 슬라이드부가 빠져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융착 접속기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는, 예를 들면, 광 파이버 설비의 공사가 실행되는 현지에서 광 파이버(F)끼리를 융착 접속하며, 또한 그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장치이다. 이 융착 접속기(10)는 광 파이버(F)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처리부(12)와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보강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융착 처리부(12)는 개폐 커버(14)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이 개폐 커버(14)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폐 커버(14)의 내측에 탑재된 광 파이버 홀더로부터 연장되는 광 파이버(F)의 단부면이 융착 위치에 배치된다. 융착 처리부(12)에서는, 한쌍의 전극(도시 생략)이 대향하여 배치된 융착 위치에서, 광 파이버(F)의 단부면끼리가 한쌍의 전극의 방전에 의해 융착 접속된다.
또한, 융착 접속기(10)에는, 그 전면측에, 모니터(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모니터(16)는, 예를 들면,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현미경으로 촬영된 광 파이버(F)의 융착 개소의 영상을 비추는 것이다. 작업자는 이 모니터(16)의 영상을 보면서 융착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니터(16)는 융착 처리부(12) 및 보강 장치(20)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겸하고 있으며, 모니터(16)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각종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16)의 상방의 좌우에는, 전원 스위치 등을 구비한 조작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장치(20)는 본체부(22)와, 히터(24)와, 클램프부(26)를 구비하고 있다. 히터(24)는 본체부(22)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F)끼리의 융착 접속부 및 융착 접속부의 외주에 씌워지는 열 수축성 튜브(도시 생략)를 수용한다. 히터(24)가 발열하는 것에 의해, 열 수축성 튜브가 가열 수축한다. 또한, 히터(24)에는, 열 수축성 튜브의 중앙부를 고온으로 가열 수축시키고, 그 후에 열 수축성 튜브의 단부가 수축하도록, 가열 온도 분포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열 시에 열 수축성 튜브 내에 발생한 기포가 양 단부로부터 빠지기 쉽게 되어 있다.
히터(24)의 양측에는, 광 파이버(F)를 보지하는 클램퍼(28)를 각각 구비한 한쌍의 클램프부(2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클램프부(26)에 의해 광 파이버(F)를 클램프함으로써,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가 히터(24) 내에 위치결정되어 배치된다.
각 클램프부(26)에는, 본체부(22)측에, 광 파이버(F)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가이드 홈(30)과 히터(24) 사이를 수용부(32)라 칭한다. 그리고, 가이드 홈(30)에 관통 삽입되며 수용부(32) 상에 배치된 각 광 파이버(F)가 클램퍼(28)에 의해 각각 클램프된다.
클램퍼(28)는 히터(24)를 따라서 마련된 회동축(3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클램퍼(28)는 회동축(34) 주위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2)에 대하여 개방된 개방 상태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2)에 중첩되어 히터(24)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하게 된다. 클램퍼(28)는, 폐색 상태일 때에 본체부(22)의 수용부(32)와 대향하는 대향면(28a)에, 클램프면(36)을 갖고 있다. 또한, 클램퍼(28)에는, 대향면(28a)에 자석(38)이 마련되어 있다. 자석(38)은 클램퍼(28)의 대향면(28a)에서 클램프면(36)보다 회동축(34)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퍼(28)는 폐색 상태일 때에, 클램프면(36)이 수용부(3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 때, 클램퍼(28)에 마련된 자석(38)이 본체부(22)에 마련된 자석(40)과 흡착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32)에 광 파이버(F)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클램퍼(28)를 폐색 상태로 하면, 광 파이버(F)가 수용부(32)를 구성하는 본체부(22)의 상면과 클램퍼(28)의 클램프면(36)에서 협지되어서 보지된다. 또한, 이 때, 클램퍼(28)의 자석(38)과 본체부(22)의 자석(40)이 흡착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F)가, 수용부(32)를 구성하는 본체부(22)의 상면과 클램프면(36)에서 협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쌍의 클램프부(26) 중, 도 2에서 히터(24)의 좌측에 마련된 제 1 클램프부(26A)의 수용부(32A)에는, 광 파이버(F)가 탑재되는 탑재면(32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스위치(42)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42)는, 도시하지 않은 도선을 통하여 히터(24)의 제어부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32A)의 탑재면(32a) 상에 광 파이버(F)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클램퍼(28)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탑재면(32a)과 클램프면(36)에서 협지된 광 파이버(F)에 의해 스위치(42)가 압압된다. 스위치(42)가 압압되면, 광 파이버(F)가 탑재면(32a)과 클램프면(36)에서 적절히 협지되었다고 판정되고, 히터(24)에 의한 가열 처리가 개시된다.
한편, 한쌍의 클램프부(26) 중, 도 2에 있어서 히터(24)의 우측에 마련된 제 2 클램프부(26B)의 수용부(32B)에는, 슬라이드부(50)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50)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히터(24)에 수용되는 광 파이버(F)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2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0)는, 광 파이버(F)가 탑재되는 탑재면(52)과, 탑재면(52)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결합 돌기(54)(제 1 돌기부의 일 예)와, 한쌍의 결합 돌기(54)의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결정용의 래치부(56)(제 2 돌기부의 일 예)를 구비하고 있다. 탑재면(52)은, 슬라이드부(50)가 수용부(32B)에 장착된 상태(도 2 참조)에 있어서, 제 1 클램프부(26A)의 탑재면(32a)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높이」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동일한 높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높이로 간주되는 범위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폭을 갖는 의미이다. 한쌍의 결합 돌기(54)는, 그 선단부(55)가 각각 래치부(56)측으로 절곡되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 돌기(54)의 외면에는, 수용부(32B)에 대한 슬라이드부(50)의 미끄럼운동 방향(도 2의 화살표(A)의 방향)을 따라서 2개의 돌조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56)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한쌍의 슬릿(56a)이 마련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클램프부(26B)의 수용부(32B)에는, 슬라이드부(50)의 각 결합 돌기(54)와 결합 가능한 한쌍의 제 1 홈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홈부(60)는 수용부(32B)에 보지되는 광 파이버(F)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2의 화살표(A)의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며, 광 파이버(F)의 길이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각 결합 돌기(54)의 선단부(55)의 형상에 맞추어 L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제 1 홈부(6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부(50)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제 2 홈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홈부(60) 및 제 2 홈부(62)의 상면(탑재면(65))은 제 1 클램프부(26A)의 탑재면(32a)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홈부(62)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가장 안쪽부에서 원형상으로 확경된 제 1 절결부(64)와, 제 1 절결부(64)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절결부(64)와 마찬가지로 원형상으로 확경된 제 2 절결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홈부(62)의 폭은 슬라이드부(50)의 래치부(56)의 통상시의 직경보다 약간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절결부(64) 및 제 2 절결부(66)의 직경은 래치부(56)의 통상시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홈부(60)와 제 2 홈부(62) 사이에는, 이들 홈부(60, 6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복수의 돌조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의 융착 접속기(10)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F)끼리를 융착 접속하고, 그 후, 그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 도 5, 도 7 및 도 8에서는 보강 처리되는 광 파이버(F)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융착 접속 처리)
우선, 서로 접속하는 각각의 광 파이버(F) 중, 어느 한쪽의 광 파이버(F)에, 열 수축성 튜브를 통과시켜 둔다. 그리고, 개폐 커버(14)를 개방한 상태에서, 융착 처리부(12)의 광 파이버 홀더에 광 파이버(F)를 보지시킨다. 이에 의해, 한쌍의 광 파이버(F)가 융착 처리부(12)의 융착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맞대어진다. 이 상태에서, 모니터(16)에서 융착 처리부(12)를 조작하여 방전시키고, 광 파이버(F)의 단부면끼리를 융착 접속시킨다. 광 파이버(F)끼리를 융착 접속시키면, 각 융착 처리부(12)의 광 파이버 홀더로부터 광 파이버(F)를 분리한다.
(보강 처리)
보강 장치(20)의 클램퍼(28)를 회동시켜, 클램프부(26)를 개방 상태로 해둔다(도 2 참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0)는, 한쌍의 결합 돌기(54)(도 3, 도 4 참조)가 제 2 클램프부(26B)의 수용부(32B)에 형성된 제 1 홈부(60)에 각각 결합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F)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7의 화살표(A)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해진다. 이 때, 슬라이드부(50)의 래치부(56)는 수용부(32B)에 형성된 제 2 홈부(62)에 관통 삽입된다. 래치부(56)에는 한쌍의 슬릿(56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홈부(62)를 통과할 때에는 래치부(56)는 그 직경이 좁아지도록 변형된다. 이에 의해, 래치부(56)의 통상시의 직경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 2 홈부(62) 내에 래치부(56)를 삽입할 수 있다. 제 2 홈부(62)에 삽입된 래치부(56)가 화살표(A)의 방향을 향하여 제 1 절결부(64)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래치부(56)가 통상시의 직경으로 되기 위한 직경방향으로 되돌아오는 것에 의해, 래치부(56)는 제 1 절결부(64)의 위치에 보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부(50)는 도 7에 도시하는 제 1 위치로 위치결정 가능해진다.
다음에,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에 보강 부재(도시 생략)를 따르게 하여 열 수축성 튜브를 씌운다. 그 후, 열 수축성 튜브를 씌운 융착 접속부를 히터(24)의 상방에 배치시키는 동시에, 광 파이버(F)를 가이드 홈(30)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제 1 클램프부(26A)에서는, 광 파이버(F)가 탑재면(32a) 상에 배치되는 한편, 제 2 클램프부(26B)에서는, 광 파이버(F)가 도 7에 도시하는 제 1 위치로 위치결정된 슬라이드부(50)의 탑재면(52) 상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클램퍼(28)(도 2 참조)를 폐쇄하면, 클램퍼(28)의 자석(38)과 본체부(22)의 자석(40)이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제 1 클램프부(26A)측에 배치된 광 파이버(F)가 탑재면(32a)과 클램퍼(28)의 클램프면(36)에서 협지되어서 보지된다. 한편, 제 2 클램프부(26B)측에 배치된 광 파이버(F)는, 슬라이드부(50)의 탑재면(52)과 클램퍼(28)의 클램프면(36)에서 협지되어서 보지된다. 이에 의해, 열 수축성 튜브를 씌운 광 파이버(F)끼리의 융착 접속부가 히터(24) 내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서 위치결정되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히터(24)를 발열시켜, 히터(24)에 의해 열 수축성 튜브를 열 수축시킨다. 이에 의해, 광 파이버(F)끼리의 융착 접속부는, 보강 부재가 따르게 되고, 또한, 밀착된 열 수축성 튜브에 의해 덮여 일체화되어 보강된다. 그 후는, 클램프부(26)의 클램퍼(28)를 회동시켜 개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융착 접속부가 보강된 광 파이버(F)가 취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보강 장치(20)로 융착 접속부를 보강할 때에는, 단심의 광 파이버(F)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심의 광 파이버(F)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광 커넥터(C) 등의 커넥터 제품으로부터 노출된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만일, 광 커넥터(C)의 본체부(C1)를 슬라이드부(50)의 탑재면(52) 상에 배치하려고 하면, 광 커넥터(C)로부터 노출된 광 파이버(F)가 융착 접속처인 단심의 광 파이버(F)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이 경우는, 히터(24) 내에서 융착 접속부나 융착 접속부에 씌워진 열 수축성 튜브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버린다. 이 상태에서 히터(24)를 발열시키면, 열 수축성 튜브를 소망의 가열 온도 분포로 가열하지 못하여, 가열시에 열 수축성 튜브 내에 발생한 기포가 양 단부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고, 양호한 보강 처리가 저해되어 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강 장치(20)에서는, 광 커넥터(C)로부터 노출된 광 파이버(F)의 보강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즉, 광 커넥터(C)의 본체부(C1)를 수용부(32B)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0)를 자석(40)과는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켜, 래치부(56)를 제 2 절결부(6)와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부(50)는 제 1 위치와 이격된 제 2 위치로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50)를 제 2 위치까지 미끄럼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 2 클램프부(26B)의 수용부(32B)에서는, 제 1 홈부(60) 및 제 2 홈부(62)의 상면인 탑재면(65)이 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탑재면(65)은 제 1 클램프부(26A)의 탑재면(32a)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0)를 제 2 위치로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제 2 클램프부(26B)의 탑재면(65)에 광 커넥터(C)의 본체부(C1)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탑재면(65)에 탑재된 광 커넥터(C)의 본체부(C1)로부터 노출된 광 파이버(F)와 제 1 클램프부(26A)의 탑재면(32a)에 탑재된 단심의 광 파이버(F)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심의 광 파이버(F)와 광 커넥터(C)로부터 노출된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 및 열 수축성 튜브를 히터(24)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심의 광 파이버(F)와 광 커넥터(C)로부터 노출된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 처리하는 경우라도, 히터(24)에서의 열 수축성 튜브의 가열을 원활히 실행시킬 수 있어서, 융착 접속부를 양호하게 보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강 장치(20)는 본체부(22)와, 본체부(22)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에 씌운 열 수축성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24)와, 히터(24)의 양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F) 또는 광 커넥터(C)를 각각 보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부(26)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클램프부(26)는, 본체부(22)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F) 또는 광 커넥터(C)가 수용되는 수용부(32)와, 본체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본체부(22)에 대하여 개방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32)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본체부(22)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32)에 수용된 광 파이버(F) 또는 광 커넥터(C)를 협지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한 클램퍼(28)를 갖고 있다. 한쌍의 클램프부(26) 중 제 2 클램프부(26B)는 수용부(32B)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부(50)를 갖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5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되는 것에 의해, 수용부(32B)에 대하여 광 파이버(F) 또는 광 커넥터(C)가 탑재되는 탑재면(52, 65)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강 장치(20)는, 단심의 광 파이버(F)끼리의 융착 접속부만이 아닌, 단심의 광 파이버(F)와 광 커넥터(C)로부터 노출된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를 양호하게 보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강 장치(20)는, 클램프되는 광 파이버 제품에 대응하여 클램프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 파이버(F)의 융착 접속부의 보강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부(32B)는, 수용부(32B)에 수용되는 광 파이버(F)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제 1 홈부(60)를 갖고, 슬라이드부(50)는, 수용부(32B)측으로 돌출되며 제 1 홈부(60)에 결합 가능한 결합 돌기(54)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슬라이드부(50)를 소망의 방향으로 원활히 미끄럼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부(32B)는, 제 1 홈부(60)와 평행하게 마련되며, 제 1 절결부(64)와, 상기 제 1 절결부(64)와 이격된 제 2 절결부(66)를 구비한 제 2 홈부(62)를 추가로 갖고, 슬라이드부(50)는, 수용부(32B)측으로 돌출되며 제 2 홈부(62)에 삽입되는 래치부(56)를 추가로 갖고 있다. 그리고, 래치부(56)는, 제 1 절결부(64)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제 1 위치로 위치결정되며, 제 2 절결부(66)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제 2 위치로 위치결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슬라이드부(50)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적절히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에는, 보강 장치(20)의 슬라이드부(50)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70)가 마련되어 있다. 보강 장치(20)를 융착 접속기(1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볼록부(70)에 의해, 수용부(32B)의 배면측의 일부, 및 슬라이드부(50)의 단부가 폐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부(50)를 미끄럼운동시킬 때에, 수용부(32B)의 배면측으로부터 슬라이드부(50)가 빠져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50)의 각 결합 돌기(54)의 외면에는, 슬라이드부(50)의 미끄럼운동 방향(도 2의 화살표(A)의 방향)을 따라서 2개의 돌조부(58)가 형성되고, 제 1 홈부(60)와 제 2 홈부(62) 사이에는, 이들 홈부(60, 6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복수의 돌조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부(50)를 수용부(32B)에 대하여 매끄럽게 미끄럼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 부재의 개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개수, 위치,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10: 융착 접속기 12: 융착 처리부
14: 개폐 커버 16: 모니터
20: 보강 장치 22: 본체부
24: 히터 26: 한쌍의 클램프부
26A: 제 1 클램프부 26B: 제 2 클램프부
28: 클램퍼 30: 가이드 홈
32, 32A, 32B: 수용부 32a: 탑재면
34: 회동축 36: 클램프면
38, 40: 자석 42: 스위치
50: 슬라이드부 52: 탑재면
54: 한쌍의 결합 돌기(제 1 돌기부의 일 예)
56: 래치부(제 2 돌기부의 일 예)
60: 제 1 홈부 62: 제 2 홈부
64: 제 1 절결부 65: 탑재면
66: 제 2 절결부 70: 볼록부
F: 광 파이버 C: 광 커넥터

Claims (5)

  1.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융착 접속부에 씌운 열 수축성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양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파이버가 노출된 광 커넥터를 보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를 협지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한 클램퍼를 갖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탑재되는 탑재면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이 상기 탑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장착된 수용부의 일면이 상기 탑재면을 형성하는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2.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융착 접속부에 씌운 열 수축성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양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파이버가 노출된 광 커넥터를 보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를 협지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한 클램퍼를 갖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탑재되는 탑재면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광 파이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제 1 홈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홈부에 결합 가능한 제 1 돌기부를 갖고 있는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며, 제 1 절결부와 상기 제 1 절결부와 이격된 제 2 절결부를 구비한 제 2 홈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용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홈부에 삽입되는 제 2 돌기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제 1 절결부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위치결정되고, 상기 제 2 절결부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로 위치결정되는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융착 접속기.
  5.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융착 접속기로서,
    상기 보강 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융착 접속부에 씌운 열 수축성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양측에 마련되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파이버가 노출된 광 커넥터를 보지하는 한쌍의 클램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를 협지하는 폐색 상태로 배치 가능한 클램퍼를 갖고,
    상기 한쌍의 클램프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광 파이버 또는 상기 광 커넥터가 탑재되는 탑재면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
KR1020187033304A 2016-05-19 2017-05-16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Active KR102419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0437A JP6628247B2 (ja) 2016-05-19 2016-05-19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JPJP-P-2016-100437 2016-05-19
PCT/JP2017/018379 WO2017199960A1 (ja) 2016-05-19 2017-05-16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431A KR20190007431A (ko) 2019-01-22
KR102419755B1 true KR102419755B1 (ko) 2022-07-11

Family

ID=6032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304A Active KR102419755B1 (ko) 2016-05-19 2017-05-16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1692B2 (ko)
EP (1) EP3460546B1 (ko)
JP (1) JP6628247B2 (ko)
KR (1) KR102419755B1 (ko)
CN (1) CN109154698B (ko)
WO (1) WO2017199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6247B2 (en) 2018-10-11 2021-05-25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Mechanical splice protective sleeve for securing a splice area formed by splicing a plural of optical fibers
US12181712B2 (en) * 2019-08-29 2024-12-31 Sumitomo Electric Optifrontier Co., Ltd. Fusion splic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fusion splicing device with electrode discharge test, evaluation, and adjustment
JP7097402B2 (ja) * 2020-03-23 2022-07-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機
AU2020437884B2 (en) * 2020-03-24 2023-07-13 Fujikura Ltd. Jig for fusion splicer, and heat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090A (ja) * 2001-12-26 2003-07-09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固定装置、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融着処理機
JP2004325623A (ja) 2003-04-23 2004-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部補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3106A (ja) 1989-01-23 1990-07-3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器
US5222171A (en) * 1991-10-21 1993-06-22 Jozef Straus Fused optical fiber splice element
JPH06130243A (ja) 1992-10-16 1994-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搬送治具
JP2795167B2 (ja) * 1994-03-29 1998-09-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KR100219710B1 (ko) * 1996-07-30 1999-09-01 윤종용 금속코팅 광섬유 접속 방법
JP3065271B2 (ja) * 1997-04-10 2000-07-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装置
JP3245850B2 (ja) * 1997-08-25 2002-01-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装置
JP3293594B2 (ja) * 1999-06-29 2002-06-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保護部材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US6438300B1 (en) * 1999-09-21 2002-08-20 Tycom (Us) Inc. Fiber retaining system
JP2001318261A (ja) * 2000-05-09 2001-11-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素子製造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素子
JP2001318262A (ja) * 2000-05-09 2001-11-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素子製造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素子
CA2354756C (en) * 2000-08-10 2006-05-30 Jds Uniphase Inc. Optical device package
JP2002082257A (ja) 2000-09-06 2002-03-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部品
JP3951801B2 (ja) * 2002-05-17 2007-08-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光ファイバの処理方法および搬送治具
JP4141891B2 (ja) * 2003-05-01 2008-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補強方法及び光ファイバ補強装置
US7212718B2 (en) * 2003-11-12 2007-05-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treatment of optical fiber reinforcing memb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JP2006017831A (ja) * 2004-06-30 2006-01-19 Fuji Photo Film Co Ltd 導光体の射出成形型および製造装置
BRPI0612362A2 (pt) * 2005-04-22 2010-11-03 Ilsin Tech Co Ltd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fibras ópticas portátil
CA2560225C (en) * 2005-06-09 2014-08-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plice protection heat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JP4613796B2 (ja) * 2005-11-04 2011-0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
JP4305468B2 (ja) * 2006-04-13 2009-07-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機
CA2662813C (en) * 2006-09-06 2015-08-11 Afl Telecommunications Llc Spliced-on connector system and method, splicer, and connector holder for producing the same
WO2008059843A1 (fr) * 2006-11-13 2008-05-2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upport, soudeuse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connecteur optique
US7364375B1 (en) * 2006-12-18 2008-04-2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a fiber optic cable
US7467899B2 (en) * 2007-01-31 2008-12-2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Ferrule transfer method and ferrule holder
KR20080112895A (ko) * 2007-06-22 2008-12-26 일신테크(주)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
US8454340B1 (en) * 2008-03-25 2013-06-04 Radyne Corporation Heat treated formation of tubular articles
ES2410805T3 (es) * 2009-03-26 2013-07-03 Nestec S.A. Un conjunto calentador de accesorios y un método de aplicación de un accesorio
JP2010249967A (ja) * 2009-04-14 2010-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5407540B2 (ja) 2009-05-13 2014-02-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USD652212S1 (en) * 2010-05-20 2012-01-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arrying case for a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JP5308419B2 (ja) * 2010-09-29 2013-10-09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ファイバ端部加工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端部加工装置
JP5309403B2 (ja) * 2010-12-24 2013-10-0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12137550A (ja) * 2010-12-24 2012-07-19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5272180B2 (ja) * 2010-12-24 2013-08-2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5470661B2 (ja) * 2010-12-27 2014-04-16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2012141357A (ja) * 2010-12-28 2012-07-26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5799471B2 (ja) * 2011-02-18 2015-10-2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部の補強方法及び融着接続機
AU2012244038B2 (en) * 2011-04-15 2015-07-16 Sei Optifrontier Co., Ltd. Optical fiber holder
JP5810461B2 (ja) * 2011-07-01 2015-11-11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5810463B2 (ja) * 2011-07-25 2015-11-11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機
JP5209126B1 (ja) * 2012-03-29 2013-06-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EP2700990B1 (en) * 2012-03-29 2017-09-20 Fujikura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USD709286S1 (en) * 2012-05-01 2014-07-22 SEI Optrifrontier Co., Ltd. Carrying case for a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JP5328966B1 (ja) * 2012-10-04 2013-10-3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JP2013092810A (ja) 2013-02-21 2013-05-1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ホルダ
JP5702507B2 (ja) * 2013-03-25 2015-04-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部補強加熱装置
US9134480B2 (en) * 2013-07-24 2015-09-15 Dh Infotech (Weihai) Inc. Efficient heating groove for optical-fiber fusion splicer and optical-fiber fusion splicer
CN103376506A (zh) * 2013-07-24 2013-10-30 大豪信息技术(威海)有限公司 光纤熔接机用高效加热槽及光纤熔接机
US9720185B2 (en) * 2014-05-23 2017-08-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 for processing optical cable assemblies
JP5771732B1 (ja) * 2014-10-24 2015-09-0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器及びそれを備える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JP6492570B2 (ja) 2014-11-20 2019-04-03 日立化成株式会社 結晶系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67012A (ja) * 2015-03-10 2016-09-15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JP6554734B2 (ja) * 2015-03-10 2019-08-07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JP6442802B2 (ja) * 2016-03-18 2018-12-26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および当該光ファイバホルダを備えた融着接続装置
CN110191784B (zh) * 2016-09-30 2023-10-20 3Sae技术有限公司 多轴相对定位台
US11681100B2 (en) * 2016-09-30 2023-06-20 3Sae Technologies, Inc. Multi-axis positioner
US10816730B2 (en) * 2017-02-14 2020-10-27 Fujikura Lt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device, external devic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system, an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method
CN110770803B (zh) * 2017-06-23 2021-09-24 Sei光学前沿株式会社 熔接连接装置的被盗检测系统及熔接连接装置
EP3651135B1 (en) * 2017-07-07 2025-04-23 Sumitomo Electric Optifrontier Co., Ltd. Fusion splicing device, theft sensing system of fusion splicing device, and theft sensing method of fusion splicing device
EP3686859B1 (en) * 2017-09-19 2024-01-17 Sumitomo Electric Optifrontier Co., Ltd. Theft tracking system and theft tracking method for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device
JP6400820B1 (ja) * 2017-11-27 2018-10-03 株式会社石原産業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117203A1 (ja) * 2017-12-15 2020-12-03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装置の管理システム、及び、融着接続装置の管理方法
JP7220673B2 (ja) * 2017-12-22 2023-02-10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装置、無線情報端末、融着接続システム、及び融着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090A (ja) * 2001-12-26 2003-07-09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固定装置、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融着処理機
JP2004325623A (ja) 2003-04-23 2004-11-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部補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54698A (zh) 2019-01-04
WO2017199960A1 (ja) 2017-11-23
EP3460546A1 (en) 2019-03-27
JP2017207655A (ja) 2017-11-24
JP6628247B2 (ja) 2020-01-08
KR20190007431A (ko) 2019-01-22
EP3460546A4 (en) 2020-01-15
US11181692B2 (en) 2021-11-23
EP3460546B1 (en) 2021-06-23
CN109154698B (zh) 2021-05-07
US20190196105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755B1 (ko) 광 파이버 융착 접속부의 보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융착 접속기
KR101586964B1 (ko) 융착 접속기
KR101662319B1 (ko) 광 케이블 홀더, 그 홀더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및 그 홀더를 사용하는 융착 접속 방법
KR101808369B1 (ko) 광섬유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방법 및 융착 접속기
CN103229082B (zh) 光纤熔接机
US7848609B2 (en) Detachable fiber holder platform and assembly
CN204462448U (zh) 光纤熔接器以及具备该光纤熔接器的光纤熔接装置
JP5470661B2 (ja) 光ファイバホルダ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US9897756B2 (en) Fusion-splicing method and fusion splicer
JP2007286599A (ja) フェルールの搬送方法およびフェルール把持具
JP5407540B2 (ja)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CN108780191B (zh) 光纤保持架及具备该光纤保持架的熔接连接装置
CN212134992U (zh) 熔接机
US11409042B2 (en) Reinforcement device for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section and fusion splicer provided with same
JP2007065026A (ja) 熱収縮スリーブ加熱装置、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補強方法
JP2010102358A (ja) 融着接続機
JP4477526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用加熱装置および補強方法
JP2013114135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及び融着接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