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8265B1 -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265B1
KR102418265B1 KR1020190096973A KR20190096973A KR102418265B1 KR 102418265 B1 KR102418265 B1 KR 102418265B1 KR 1020190096973 A KR1020190096973 A KR 1020190096973A KR 20190096973 A KR20190096973 A KR 20190096973A KR 102418265 B1 KR102418265 B1 KR 102418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mber
battery cell
battery
cell stack
battery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548A (ko
Inventor
이종철
허근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9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265B1/ko
Priority to US17/270,756 priority patent/US20210184296A1/en
Priority to EP20841854.1A priority patent/EP3817129A4/en
Priority to PCT/KR2020/008377 priority patent/WO2021025293A1/ko
Priority to CN202080004416.4A priority patent/CN112673511B/zh
Priority to JP2020572411A priority patent/JP7237995B2/ja
Publication of KR20210017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1Resistive hea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셀 스택에서,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지셀들이 밀착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전지셀 스택(battery cell stack),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 중 세 개의 외면에 부착 배열되는 히팅(heating) 부재, 상기 전지셀들 각각에 연결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전지셀 스택, 상기 히팅 부재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전지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Battery Pack Comprising Heating Member}
본원 발명은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전지셀 스택의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전지셀 스택의 외면 중 세개의 외면에 부착 배열되는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및 디젤 차량이 주요 대기오염원으로 지적됨에 따라, 이에 대한 방안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대용량 및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다수의 전지셀들이 배열된 구조의 전지셀 어셈블리 내지 전지팩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 또는 전지팩 등은 디바이스의 다양한 운용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온도 조건에 따라 전지팩 등의 충전량과 출력에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충전용량으로 충전을 하기 위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영하의 온도에서 충전하는 경우와 영상의 온도에서 충전하는 경우를 비교할 때, 영하의 온도에서 충전하는 전지팩은 낮은 온도로 인하여 충전량에 상당한 제한이 발생하기 때문에 영상의 온도에서 충전하는 전지팩보다 긴 충전 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전지팩의 온도를 일정정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발열 패드를 전지팩 내부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의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팩(100)은 복수의 전지셀(111)들이 밀착 배열되어 형성한 전지셀 스택(110), 전지셀 스택(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히팅 부재(120), 및 전지셀 스택(110)과 히팅 부재(120)를 수용하는 전지팩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히팅 부재(120)는 전지팩 케이스(130)에 수용되는 전지셀 스택(110)의 하면에 적용되는 바, 전지셀 스택(110)의 하부측에서 전지셀 스택(110)이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팅 부재(120)가 평면 구조로 이루어져서 전지셀 스택(110)의 하면과만 접촉되기 때문에 전지셀 스택(110) 전체의 온도를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전지셀 스택(110)에서 외측에 있는 전지셀은 금속소재의 전지팩 케이스(130)에 밀착되어 방열이 잘 이루어지는 반면, 전지셀 스택(110)에서 중심부에 있는 전지셀들은 발열체 성질을 갖는 전지셀들이 밀착 배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 빠르게 온도가 올라가는 바, 개별 전지셀들 간에 온도 편차가 커지게 된다.
이는, 전지셀들 간의 충전량의 편차를 유발할 뿐 아니라, 개별 전지셀들의 수명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특허문헌 1은 전지 모듈 및/또는 외장 케이스에 탄소나노튜브 발열체를 포함하는 방열 및 발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필름은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단위 전지의 열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방열층 및 상기 제1 및 제2방열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방열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지조립체에 대한 것으로서, 방열 필름 자체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셀 모듈 조립체에 온열 패드 및 발포 단열재를 삽입 충진하고, 상기 온열 패드를 동작 제어하여 배터리 팩의 사용 환경에 대한 온도 조건이 배터리 셀의 보증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배터리 팩에 대한 것으로서, 배터리 팩의 온도 증가를 위하여 온열 패드 이외에 발포 단열재를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복수의 전지를 평행한 자세로 수납하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납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 사이에 배설되어 전지를 가온하는 시트 히터를 구비하는 팩전지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 히터는 가요성 절연 시트에 저항선을 고정한 것으로. 상기 시트 히터는 내부 케이스의 코너를 따라 저항선을 절곡하도록 절곡해 내부 케이스의 2면에 고정되고, 시트 히터는 내부 케이스의 코너에 위치하는 절곡 부분에서 저항선을 절곡 라인의 방향으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되는 만곡부로서 절연 시트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은 전지팩 내부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방열 필름, 온열 패드 및 시트 히터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셀 스택들 사이에 온도 분포가 불균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3476호 (2012.05.2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85123호 (2018.07.2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13939호 (2007.08.23)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전지셀들이 밀착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전지셀 스택에서,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의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복수의 전지셀들이 밀착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전지셀 스택(battery cell stack),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 중 세 개의 외면에 밀착 배열되는 히팅(heating) 부재 및 상기 전지셀 스택과 상기 히팅 부재를 수용하는 전지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어 발열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지셀 스택은 복수의 파우치형 전지셀들의 수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측면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제1절곡부가 형성되고, 제2면과 제3면 사이에 제2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지셀 스택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1전지셀과 제2전지셀의 외면에 상기 제1면 및 제3면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의 제2면의 면적은 마주보는 전지셀 스택의 외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의 제1면 및 제3면은 전극 탭과 인접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저항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는 절연성의 패드 내부에 저항 발열체가 수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의 패드는 전지셀 스택과 대면하는 제1면과 전지팩 케이스와 대면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은 단열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는 제1 히팅 부재이고, 상기 제1 히팅 부재와 반대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에 부착 배열되는 제2 히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들 각각에는 온도 센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개별 전지셀들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팅 부재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 스택에서 가장 온도가 높은 전지셀의 온도는 가장 온도가 낮은 전지셀의 온도의 1.5배 이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지팩을 전력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 스택의 외면을 감싸기 위하여 전지셀 스택의 세 개의 외면 상에 부착 배열되는 구조의 히팅 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지셀 스택의 외측에서 추가 발열하는 부재의 면적이 증가하는 바, 상기 전지셀 스택을 구성하는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개별 전지셀 내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전극 탭 부분에는 히팅 부재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개별 전지셀 내부에서 온도 편차가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히팅 부재의 외측에는 단열성 소재를 적용하고 내측에는 방열성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지팩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증가된 전지셀 내부 온도가 전지팩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나의 제5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서 제조된 전지팩에서 전지셀들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지팩에서 전지셀들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지팩(200)은 복수의 파우치형 전지셀(211)들이 밀착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전지셀 스택(210), 전지셀 스택(210)의 외면 중 일부 상에 부착 배열되는 히팅 부재(220), 전지셀들(211) 각각에 연결되는 온도 센서(240) 및 전지셀 스택(210), 히팅 부재(220) 및 온도 센서(240)를 수용하는 전지팩 케이스(230)를 포함한다.
전지셀 스택(210)은 전극 탭(212)이 돌출된 양측 외면을 제외하면,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210a),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210b), 전지셀 스택의 우측면(210c) 및 전지셀 스택의 상측면(210d)을 포함한다.
히팅 부재(220)는 제1면(221), 제2면(222) 및 제3면(223)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이고, 제1면(221)은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210a)의 외면에 부착 배열되고, 제2면(222)은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210b)의 외면에 부착 배열되며, 제3면(223)은 전지셀 스택의 우측면(210c)의 외면에 부착 배열된다.
즉, 히팅 부재(220)는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210a),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210b) 및 전지셀 스택의 우측면(210c)으로 구성되는 세 개의 외면에 부착 배열되는 바, 전지셀 스택(210)과 히팅 부재(220)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전지팩(200)이 저온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전지셀 스택(210)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셀의 온도는 전지셀 스택(210)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전지셀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 분포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 뿐 아니라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도 부착 배열되는 히팅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온도가 낮은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셀들을 직접 가열하여 단위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지셀들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경우에는, 전지팩 내부에서 히팅 부재가 적용되는 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전지팩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고,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는 데 유리하며, 전지팩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팩 내부에 있는 전지셀들의 온도 분포도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 스택을 구성하는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것인 바, 전지셀 스택을 구성하는 파우치형 전지셀들은 수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측면(213)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지셀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에 히팅 부재가 배열된다.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221)과 제2면(222) 사이에 제1절곡부(227)가 형성되고, 제2면(222)과 제3면(223) 사이에 제2절곡부(228)가 형성되며, 전지셀 스택의 최외각에는 제1전지셀(211)과 제2전지셀(219)이 위치하고, 제1전지셀(211)의 외면에 히팅 부재의 제3면(223)이 위치하고 제2전지셀(219)의 외면에 히팅부재의 제1면(221)이 위치한다.
히팅 부재(220)의 제2면(222)의 면적은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210b)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팅 부재(220)의 제1면(221) 및 제3면(223)의 높이는 제1면(221) 및 제3면(223) 각각과 대면하는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210a) 및 우측면(210c)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히팅 부재(220)의 제1면(221) 및 제3면(223)의 면적이 상기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210a) 및 우측면(210c) 면적의 10%이상이 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히팅 부재(220)의 제1면(221) 및 제3면(223)의 높이는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210a) 및 우측면(210c) 면적의 5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상세하게는, 50% 내지 10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80% 내지 10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팅 부재의 제1면 및 제3면의 면적이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의 면적의 50%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를 줄이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100% 보다 큰 경우에는 히팅 부재의 크기가 전지팩 케이스 보다 커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히팅 부재의 발열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히팅 부재가 발열하여 전지팩 내부의 전지셀을 가열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어 발열하는 형태일 수 있다.
히팅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저항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저항 발열체의 소재로는 철, 니켈, 니켈크롬, 철크롬, 백금 및 백금과 로듐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온도는 진공 중 또는 수소 기류 중에서 1,200 ℃ 내지 2,500 ℃일 수 있다. 비금속 저항 발열체의 소재로는 탄화규소; 또는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열화칼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탄산나트륨 염화바륨 등이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탄소는 막대 모양 또는 관 모양으로 산화성 이외의 기체나 진공 중에서 2,500 ℃ 내지 3,000℃의 고온까지 사용될 수 있다.
전지팩(200)은 개별 전지셀들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히팅 부재(22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센서(240)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240)는 개별 전지셀들의 외면에 부착되는 바, 전지팩은 온도 센서(240)에서 측정된 개별 전지셀들의 온도에 따라 히팅 부재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 스택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셀의 온도가 중심에 위치하는 전지셀의 온도와 편차가 크게 발생하면, 상기 조절 부재는 히팅 부재의 온도를 증가시켜서 전지셀 스택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셀들의 온도를 올릴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히팅 부재(320)는 제1면(321), 제2면(322) 및 제3면(323)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로서, 히팅 부재(320)의 제1면(321) 및 제3면(323)은 양측 끝단이 내측으로 오목한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전지셀은 전극 탭 주변 온도가 나머지 부분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는 바, 개별 전지셀 내부에서도 위치에 따라 온도 편차가 발생한다.
히팅 부재(320)의 제1면(321) 및 제3면(323)은 전극 탭과 인접한 부분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개별 전지셀에서 온도 편차가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개별 전지셀의 용량 감소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팅 부재(420)는 제1면(421), 제2면(422) 및 제3면(423)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로서, 히팅 부재(420)의 제1면(421) 및 제3면(423)은 제2면(422) 보다 전지셀의 길이 방향(a) 길이가 짧은 구조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320)와 같이 히팅 부재(420)는 전극 탭과 인접한 부분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인 바, 개별 전지셀에서 온도 편차가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개별 전지셀마다 수명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히팅 부재는 2개의 분리된 형태의 제1 히팅 부재(520)와 제2 히팅 부재(530)로 구성된다.
제1 히팅 부재(520)와 제2 히팅 부재(530)는 제2면(522, 532)이 서로 바라보도록 위치하면서 전지셀 스택의 외면에 부착 배열된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히팅 부재들(220, 320, 420)의 제1면 및 제3면의 높이는 전지셀 스택의 높이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과 달리, 제1 히팅 부재(520)의 제1면(521) 높이와 제2 히팅 부재(530)의 제1면(531) 높이의 합 또는 제1 히팅 부재(520)의 제3면(523) 높이와 제2 히팅 부재(530)의 제3면(533) 높이의 합은 전지셀 스택의 높이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히팅 부재(520) 및 제2 히팅 부재(530)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지셀 스택의 상측면까지 히팅 부재가 위치하기 때문에 전지셀 스택의 온도 향상 효과가 증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지팩(200)의 조립 과정에 제2 히팅 부재(530)로 전지셀 스택을 덮는 과정만을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에 어려움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제5실시예에 따른 히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히팅 부재(620)는 절연성의 패드 내부에 저항 발열체가 수용된 형태일 수 있는 바, 절연성의 패드는 전지셀 스택과 대면하는 제1면(631)과 전지팩 케이스와 대면하는 제2면(632)을 포함하고, 제1면(631)은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2면(632)은 단열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지셀 스택과 대면하는 제1면은 절연성의 패드 내부에 있는 저항 발열체(633)에서 발생한 열을 전지셀 스택에 빠르게 손실없이 전달하도록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전지팩 케이스와 대면하는 제2면은 절연성의 패드 내부에 있는 저항 발열체(633)에서 발생한 열을 전지팩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도록 단열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원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2개의 파우치형 전지셀을 준비하고 도 1의 전지셀 스택과 같이 배치한 후,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에 도 1의 히팅 패드와 같이 평면 형상의 히팅 패드를 부착하고 전지팩 케이스에 전지셀 스택과 히팅 패드를 수납하였다.
상기 12개의 파우치형 전지셀들 각각에는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개별 전지셀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예>
12개의 파우치형 전지셀을 준비하고, 도 2의 전지셀 스택과 같이 배치한 후, 도 2의 히팅 패드를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부착하여 전지팩 케이스에 수납하였다
상기 12개의 파우치형 전지셀들 각각에는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개별 전지셀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지팩을 영하 30 ℃의 챔버에 수납하고, 히팅 부재를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전지셀들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였고, 실시예의 온도 분포를 도 7에 나타내고, 비교예의 온도 분포를 도 8에 나타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로축에 있는 숫자는 전지셀 스택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에 대해 일 방향 순서대로 붙인 번호이다.
도 7의 그래프는 6번 전지셀의 온도가 가장 높고 도 8의 그래프는 7번 전지셀의 온도가 가장 높으며, 전체적으로 중심부 전지셀들의 온도가 높고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1번 전지셀과 12번 전지셀의 온도가 제일 낮은 측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7에서는 12개의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가 크지 않고, 가장 온도가 높은 6번 전지셀의 온도가 가장 온도가 낮은 3번 전지셀의 온도보다 약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도 8에서는 7번 전지셀의 온도는 1번 전지셀 온도의 약 5.5배이고 12번 전지셀 온도의 약 11배 높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전지셀들은 온도 편차가 매우 크게 발생하고 있으나, 실시예의 전지셀들은 균등한 수준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들의 수명 차이가 나는 것을 방지하여, 고효율 및 고수명의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들 간의 온도 편차를 낮출 수 있으므로, 영하의 온도인 지역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 또는 냉동고와 같은 디바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이들 디바이스의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전지팩
110, 210: 전지셀 스택
111, 211, 219: 전지셀
212: 전극 탭
120, 220, 320, 420, 520, 530, 620: 히팅 부재
130, 230: 전지팩 케이스
210a: 전지셀 스택의 좌측면
210b: 전지셀 스택의 하측면
210c: 전지셀 스택의 우측면
210d: 전지셀 스택의 상측면
213: 수납부의 측면
221, 321, 421, 521, 531: 히팅 부재의 제1면
222, 322, 422, 522, 532: 히팅 부재의 제2면
223, 323, 423, 523, 533: 히팅 부재의 제3면
227: 제1절곡부
228: 제2절곡부
240: 온도 센서
a: 전지셀의 길이 방향
631: 전지셀 스택과 대면하는 제1면
632: 전지팩 케이스와 대면하는 제2면
633: 저항 발열체

Claims (13)

  1. 복수의 전지셀들이 밀착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전지셀 스택(battery cell stack);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 중 세 개의 외면에 밀착 배열되는 히팅(heating) 부재; 및
    상기 전지셀 스택과 상기 히팅 부재를 수용하는 전지팩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이며,
    상기 히팅 부재의 제1면 및 제3면은 전극 탭과 인접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지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부재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어 발열하는 형태인 전지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스택은 복수의 파우치형 전지셀들의 수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측면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전지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제1절곡부가 형성되고, 제2면과 제3면 사이에 제2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지셀 스택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1전지셀과 제2전지셀의 외면에 상기 제1면 및 제3면이 각각 위치하는 전지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부재의 제2면의 면적은 마주보는 전지셀 스택의 외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전지팩.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전지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부재는 절연성의 패드 내부에 저항 발열체가 수용된 형태인 전지팩.
  9. 복수의 전지셀들이 밀착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전지셀 스택(battery cell stack);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 중 세 개의 외면에 밀착 배열되는 히팅(heating) 부재; 및
    상기 전지셀 스택과 상기 히팅 부재를 수용하는 전지팩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이며,
    상기 히팅 부재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절연성의 패드 내부에 저항 발열체가 수용된 형태이며,
    상기 절연성의 패드는 전지셀 스택과 대면하는 제1면과 전지팩 케이스와 대면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은 단열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전지팩.
  10. 복수의 전지셀들이 밀착되도록 적층된 구조의 전지셀 스택(battery cell stack);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 중 세 개의 외면에 밀착 배열되는 히팅(heating) 부재; 및
    상기 전지셀 스택과 상기 히팅 부재를 수용하는 전지팩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 부재는 제1면, 제2면 및 제3면을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이며,
    상기 히팅 부재는 제1 히팅 부재이고, 상기 제1 히팅 부재와 반대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전지셀 스택의 외면에 부착 배열되는 제2 히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 각각에는 온도 센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개별 전지셀들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팅 부재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스택에서 가장 온도가 높은 전지셀의 온도는 가장 온도가 낮은 전지셀의 온도의 1.5배 이내인 전지팩.
  13.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력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190096973A 2019-08-08 2019-08-08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Active KR102418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73A KR102418265B1 (ko) 2019-08-08 2019-08-08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7/270,756 US20210184296A1 (en) 2019-08-08 2020-06-26 Battery Pack Including Heating Member
EP20841854.1A EP3817129A4 (en) 2019-08-08 2020-06-26 BATTERY PACK INCLUDING A HEATING ELEMENT
PCT/KR2020/008377 WO2021025293A1 (ko) 2019-08-08 2020-06-26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02080004416.4A CN112673511B (zh) 2019-08-08 2020-06-26 包括加热构件的电池组
JP2020572411A JP7237995B2 (ja) 2019-08-08 2020-06-26 ヒーティング部材を含む電池パ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73A KR102418265B1 (ko) 2019-08-08 2019-08-08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48A KR20210017548A (ko) 2021-02-17
KR102418265B1 true KR102418265B1 (ko) 2022-07-07

Family

ID=7450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973A Active KR102418265B1 (ko) 2019-08-08 2019-08-08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84296A1 (ko)
EP (1) EP3817129A4 (ko)
JP (1) JP7237995B2 (ko)
KR (1) KR102418265B1 (ko)
CN (1) CN112673511B (ko)
WO (1) WO2021025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9492A1 (de) * 2020-07-28 2022-02-0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eheiztes Batteriemodul
KR20240098557A (ko) * 2022-12-21 2024-06-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5049A (ja) * 2016-04-19 2017-10-26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設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0591A (ko) * 1967-10-14 1971-05-05
JP4925680B2 (ja) 2006-02-08 2012-05-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3131704U (ja) 2007-03-01 2007-05-17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加熱用ヒータ
JP5270326B2 (ja) 2008-12-17 2013-08-21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組電池
CN103210539B (zh) 2010-11-17 2016-01-20 乐金华奥斯有限公司 具有散热和发热功能的电池组件
JP2013073773A (ja) 2011-09-28 2013-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溶融塩組電池
WO2013065285A1 (ja) 2011-10-31 2013-05-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ユニット
KR20130104660A (ko) * 2012-03-15 2013-09-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2014183013A (ja) * 2013-03-21 2014-09-29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池パック
JP2015022915A (ja) 2013-07-19 2015-0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体
CN106463488A (zh) * 2014-04-09 2017-02-22 东宾制造有限公司 电池阵列中的温度管理
JP6390549B2 (ja) * 2015-08-07 2018-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US20170117725A1 (en) * 2015-10-23 2017-04-27 Oxfordian, Llc Thermal Monitoring of Battery Packs
JPWO2017159528A1 (ja) * 2016-03-14 2019-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KR102158257B1 (ko) * 2016-09-23 2020-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 발열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1969528B2 (en) 2016-12-22 2024-04-30 Sino Medical Sciences Technology Inc. Drug eluting stent and method of use of the same for enabling restoration of functional endothelial cell layers
KR101917279B1 (ko) 2017-01-17 2018-11-14 주식회사 피플웍스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배터리 팩
JP6662324B2 (ja) * 2017-02-17 2020-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WO2018160829A1 (en) * 2017-03-03 2018-09-07 Gentherm Inc. Vehicle battery pack including structural features for reducing size and improving ease of assembly
US10664365B2 (en) * 2017-08-21 2020-05-26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back-up power supply using temperature controlled batteries
CN109428023B (zh) * 2017-08-31 2024-04-1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固定架、电池单元以及电池模组
US10601003B2 (en) * 2017-10-30 2020-03-24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KR102301195B1 (ko) * 2017-12-01 2021-09-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KR102523702B1 (ko) * 2018-07-03 2023-04-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5049A (ja) * 2016-04-19 2017-10-26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設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48A (ko) 2021-02-17
EP3817129A1 (en) 2021-05-05
US20210184296A1 (en) 2021-06-17
EP3817129A4 (en) 2021-09-29
JP2022500811A (ja) 2022-01-04
WO2021025293A1 (ko) 2021-02-11
JP7237995B2 (ja) 2023-03-13
CN112673511B (zh) 2024-08-16
CN112673511A (zh)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2129B2 (ja) 温度変換装置を備えたポリマー電池
US8163419B2 (en) Battery pack
KR101459828B1 (ko) 배터리 셀 모듈용 다기능 방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US8518574B1 (en) Heat control pouch for battery cell module and battery cell module having the same
KR100944980B1 (ko) 냉각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7048840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の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US20140363719A1 (en) Apparatus for indirectly cooling and heating battery module of vehicle
KR101470066B1 (ko) 배터리 셀 모듈용 열 제어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배터리 셀 모듈
JP2012014938A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120009455A1 (en) Battery Module
US20100151308A1 (en) Increased resistance to thermal runaway through differential heat transfer
CN111542964B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KR102418265B1 (ko) 히팅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08292789B (zh) 电池组
JPWO2020054229A1 (ja) 電源装置
KR20140016955A (ko)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전기화학 전지
WO2020137062A1 (ja) 隣接する電池セルを絶縁するための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源装置
CN105655513B (zh) 动力电池组件以及具有它的电动车辆
JP2013175360A (ja) 組電池
JP6954213B2 (ja) 充填部材、組電池及び熱伝達の制御方法
JP2019128991A (ja) 組電池
KR102527004B1 (ko) 배터리 모듈
JPWO2020054227A1 (ja) 電源装置
CN113270536A (zh) 柔性热电模块和包含柔性热电模块的热电装置
JP7493869B2 (ja) 電池セルの温度均一性が向上した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