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8094B1 -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94B1
KR102418094B1 KR1020210090408A KR20210090408A KR102418094B1 KR 102418094 B1 KR102418094 B1 KR 102418094B1 KR 1020210090408 A KR1020210090408 A KR 1020210090408A KR 20210090408 A KR20210090408 A KR 20210090408A KR 102418094 B1 KR102418094 B1 KR 10241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unit
remote control
moving head
ha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삼
Original Assignee
이원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삼 filed Critical 이원삼
Priority to KR102021009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무빙헤드의 일측에 OHC 행거가 연결되고, 상기 무빙헤드에는 제어컴퓨터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병렬연결되면서 작업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OHC 행거의 행거암 일측에 리모컨이 더 연결되고, 상기 리모컨은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동운동모드와 제어부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A MULTIDIRECTIONAL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MONO-RAIL SYSTEN CARRIER}
본 발명은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무빙헤드의 일측에 OHC 행거가 연결되고, 상기 무빙헤드에는 제어컴퓨터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병렬연결되면서 작업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OHC 행거의 행거암 일측에 리모컨이 더 연결되고, 상기 리모컨은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동운동모드와 제어부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공장에서는 프레임을 공정단계별로 이송하면서 부품들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 대개는 모노레일식 반송장치가 쓰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는, 시설농업용의 하우스 등에도 적용되는데, 그 구조로는 금속도체를 내장한 모노레일을 설치하고, 모노레일상에서 무빙헤드가 위치 이동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수확물 및 작업에 필요한 각종의 장비들을 운반하는 등의 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모노레일식 반송장치는,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되 복수의 지주에 의해 지면에서의 일정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모노레일과, 상기 모노레일에서 그 구동륜이 구르게 됨으로써 위치 이동되는 무빙헤드와, 상기 무빙헤드의 상기한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하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륜이 모노레일 상에서 구동되도록 하고, 이 때 무빙헤드의 하측으로 연결된 대차틀이 무빙헤드와 함께 이송되고, 상기 무빙헤드로 하여금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일체로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820427호에 EMS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천장위로 배열된 이송레일을 따라 차체(B)가 적재된 OHC 행거(3)를 조립플랫폼(4)까지 이송하는 바디이송장치와; 상기 바디이송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에 장착된 지지프레임(6)과, 상기 지지프레임(6)에서 OHC 행거(3)에 적재된 차체(B)쪽으로 배열된 이동레일(7), 컨트롤러를 통해 구동되는 이동모터에 의해 이동레일(7)을 따라 차체(B)쪽으로 이동되어 차체(B)내부로 진입해 차체(B)를 눌러 고정하는 틸팅장치(9)로 이루어진 차체유동방지장치; 상기 바디이송장치 통해 조립플랫폼(4)에 위치된 OHC 행거(3)의 일부부위를 잡아 고정하는 클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이송장치(1)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에 가이드 레일을 이용해 장착된 행거 클램핑 장치(15)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EMS시스템은, 천장위로 배열된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토록 설치되는 무빙헤드에 의해 OHC 행거(3)가 이동할 때 상기 무빙헤드에 일체로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신호가 공급되도록 하여 유지보수등을 필요로 할 때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별도의 제어판넬에서 OHC 행거(3)의 움직임을 제어토록 하여 작업부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현장에서 OHC 행거의 조작이 가능토록 하고, OHC 행거 조작용 컨트롤러의 현장 확인이 가능토록 하며, 최소의 리모콘을 통하여 다수의 OHC 행거 조작이 가능토록 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무빙헤드의 일측에 OHC 행거가 연결되고,
상기 무빙헤드에는 제어컴퓨터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병렬연결되면서 작업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OHC 행거의 행거암 일측에 리모컨이 연결되고,
상기 리모컨은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동운동모드와 제어부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리모컨은, 행거암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마그네틱접합부가 구비되어 리모컨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모컨은, 제어부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과 연동되어 무선으로 연결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는, 고유ID가 부여토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ID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리모컨은 마커를 인식하는 리더가 구비되고,
상기 리모컨에는 ID를 전송한 후 무선연결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지지부에 리모컨의 부착시 하나의 리모컨으로 각 제어부가 자동 연결토록 설치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리모컨은,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자동운전과 수동운전모드를 구현하고, 제어부에 리셋신호를 공급하며, 무빙워크의 전,후진, 알림창 등이 구비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현장에서 OHC 행거의 조작이 가능하고, OHC 행거 조작용 컨트롤러의 현장 확인이 가능하며, 최소의 리모콘을 통하여 다수의 OHC 행거 조작이 가능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EMS시스템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연결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연결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방향 제어시스템(100)은, EMS(Electrical Mono-rail System) 즉 경량물 반송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다방향 제어시스템(100)은, 이송레일(110)을 따라 이송하는 무빙헤드(130)의 일측에 OHC 행거(15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무빙헤드(130)에는, 외부의 제어컴퓨터(300)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부(135)가 일체로 구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무빙헤드(130)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소에 위치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컴퓨터(300)와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OHC 행거(150)의 행거암(155) 일측의 리모컨(400)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더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모컨(400)은, 제어부(135)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동운동모드(410)와 제어부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430)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400)은 하나의 리모컨을 통하여 각 무빙헤드(13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어부(135)를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400)은, 행거암(155)에 구비되는 지지부(450)에서 탈,부착이 가능토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50)는, 마그네틱접합부(451)가 구비되어 리모컨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틱접합부(451)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면서 마커(452)와 연동하는 구성으로 마카의 신호에 의해 마그네틱접합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의 사용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400)은, 제어부(135)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137)과 연동되어 무선으로 연결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5)는, 고유ID가 부여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부(450)에는, ID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452)가 구비되고, 상기 리모컨은 마커를 인식하는 리더(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400)에는,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컴퓨터(300)에 연결될 때 ID를 전송한 후 무선연결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지지부에 리모컨의 부착시 하나의 리모컨으로 각 무빙헤드(130)에 설치되는 각 제어부가 자동 연결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400)은, 조작버튼(490)이 구비되어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자동운전과 수동운전모드를 구현하고, 제어부에 리셋신호를 공급하며, 무빙워크의 전,후진스위치 알림창 등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리모컨(400)의 후방에는 마그네틱접합부(451)와 연동하는 자성체판(427)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는 상기 자성체판이 수용되는 지지홀(429)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홀(429)의 중앙에 마그네틱접합부(451)가 위치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 제어시스템(100)은, 경량물 반송시스템에 적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다방향 제어시스템(100)은, 이송레일(110)을 따라 이송하는 무빙헤드(130)에 연결되는 OHC 행거(150)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무빙헤드(130)에는, 외부의 제어컴퓨터(300)에 의한 제어신호 공급시 상기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부(135)가 일체로 구비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빙헤드(130)가 이송레일(110)을 따라 이송되거나 정지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무빙헤드(130)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소에 위치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컴퓨터(300)와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OHC행거의 행거암 일측의 리모컨(400)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어컴퓨터에 의한 제어는 물론 리모컨에 의한 제어가 가능토록 하여 응급한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토록 한다.
이때, 상기 리모컨(400)은, 제어부(135)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동운동모드(410)와 제어부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430)가 일체로 구비되어 제어신호의 공급은 물론 제어컴퓨터(300)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의 출력이 가능토록 되어 현재의 작업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400)은, 행거암(155)에 구비되면서 상호 접합되는 마그네틱접합부(451)로 이루어진 지지부(450)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토록 되어 행거암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50)는, 제어부(135)와 ID일치시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네틱접합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자력이 공급됨으로써 지지부에 리모컨의 부착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리모컨(400)의 후방에는 마그네틱접합부(451)와 연동하는 자성체판(427)이 구비되어 자성체판을 수용토록 지지부에 형성되는 지지홀(429)에 밀착될 때 마커와 리더의 상호 동작에 의해 리모컨(400)의 인증이 완료되면서 마그네틱접합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자성체판을 접합토록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토록 한다.
또한, 상기 리모컨(400)은, 제어부(135)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137)과 연동되어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하거나 행거암에 고정시 케이블에 의한 간섭없이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부(450)에는, ID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452)가 구비되고, 상기 리모컨은 마커를 인식하는 리더(420)가 구비되어 마커와 리더의 상호 매칭시 마그네틱접합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자력이 공급됨으로써 부착토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리모컨(400)에는, ID를 전송한 후 무선연결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지지부에 리모컨의 부착시 하나의 리모컨으로 각 무빙헤드(130)에 구비되는 각 제어부가 자동 연결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400)은, 조작버튼(490)이 구비되어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자동운전과 수동운전모드를 구현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에는 리셋신호의 공급이 가능하며, 무빙워크의 전,후진스위치 조작을 통한 무빙워크의 전,후진 및 외부의 제어신호를 알림창을 통하여 표시토록 하는 것이다.
110...이송레일 130...무빙헤드
135...제어부 150...OHC행거
155...행거암 400...리모컨
430...출력부 450...지지부
420...리더

Claims (5)

  1.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무빙헤드의 일측에 OHC 행거가 연결되고,
    상기 무빙헤드에는 제어컴퓨터에 의한 외부의 제어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어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헤드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소에 위치하면서 제어컴퓨터와 연결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OHC 행거의 행거암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연결되는 리모컨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더 연결설치되고,
    상기 리모컨은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동운동모드와 제어부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고유ID가 부여토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ID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가 구비되고,
    상기 리모컨은 마커를 인식하는 리더가 구비되어 ID의 확인시 지지부에 리모컨이 부착토록 설치되며,
    상기 리모컨에는 ID를 전송한 후 무선연결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지지부에 리모컨의 부착시 하나의 리모컨으로 각 무빙헤드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통합 제어토록 각 제어부가 자동 연결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마그네틱접합부가 구비되어 리모컨의 탈부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제어부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과 연동되어 무선으로 연결되면서 행거암에서 탈부착토록 설치되고,
    상기 리모컨의 후방에는 마그네틱접합부와 연동하는 자성체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는 마그네틱접합부가 위치하면서 자성체판이 수용되는 지지홀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브레이크의 잠금 및 해제, 자동운전과 수동운전모드를 구현하고,
    제어부에 리셋신호를 공급하며, 무빙워크의 전,후진, 알림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KR1020210090408A 2021-07-09 2021-07-09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Active KR10241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08A KR102418094B1 (ko) 2021-07-09 2021-07-09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08A KR102418094B1 (ko) 2021-07-09 2021-07-09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094B1 true KR102418094B1 (ko) 2022-07-06

Family

ID=8240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408A Active KR102418094B1 (ko) 2021-07-09 2021-07-09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560A (ja) * 1992-09-11 1994-04-05 Hitachi Ltd 張り付け型エレベータ操作盤
JPH06185729A (ja) * 1992-12-15 199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着脱式リモコンユニット
KR960022147A (ko) * 1994-12-28 1996-07-18 한승준 물품반송장치의 조작시스템
KR20110002853U (ko) * 2009-09-15 2011-03-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스태커 크레인의 무선 수동조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560A (ja) * 1992-09-11 1994-04-05 Hitachi Ltd 張り付け型エレベータ操作盤
JPH06185729A (ja) * 1992-12-15 199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着脱式リモコンユニット
KR960022147A (ko) * 1994-12-28 1996-07-18 한승준 물품반송장치의 조작시스템
KR20110002853U (ko) * 2009-09-15 2011-03-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스태커 크레인의 무선 수동조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49592B2 (en) Wearable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KR20140012977A (ko) 자재 취급 차량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2448405B1 (ko) 주행 설비
CN204462851U (zh) 麦克纳姆轮全向移动巡检机器人
WO2005002783A1 (ja) 部品搬送・取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418094B1 (ko) Ems용 다방향 제어시스템
KR20170102809A (ko) 제어 방법, 작업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N112659146B (zh) 一种视觉巡检机器人系统及高速公路视觉巡检方法
TW201730074A (zh) 行進設備
CN111469942B (zh) 用于电网系统抢修或者维护的物件配送设备
KR102141320B1 (ko) 무인 이송 로봇의 운행을 위한 통신 방법
CN216310143U (zh) 测试系统
US20220184512A1 (en) Surface-mounted vehicle having a rail coupling system
CN112859835B (zh) 应用交管控制装置的交管方法
CN103661303A (zh) 一种可以自行移动的智能电动汽车电池系统
WO2017133347A1 (zh) 一种农业机器人牵引及供电的系统和方法
CN112407820B (zh) 一种agv运输托架、运输系统、运输控制系统及运输方法
CN108001970A (zh) 智能变轨机转向系统
EP4259298B1 (en) Surface-mounted vehicle having a rail coupling system
TWI674229B (zh) 自動搬運系統的線路引導控制裝置及其方法
KR20220033938A (ko) 크레인 장치
JPH03288704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制御装置
JPH03290599A (ja) シールド資材自動搬送方法及びシールド資材自動搬送装置
CN109871006B (zh) 自动搬运系统的线路引导控制装置及其方法
US7552527B2 (en) Non-contact interface for pick-and-place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