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7873B1 -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 Google Patents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873B1
KR102417873B1 KR1020220007003A KR20220007003A KR102417873B1 KR 102417873 B1 KR102417873 B1 KR 102417873B1 KR 1020220007003 A KR1020220007003 A KR 1020220007003A KR 20220007003 A KR20220007003 A KR 20220007003A KR 102417873 B1 KR102417873 B1 KR 10241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entilation
air supply
opening
a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진
권우현
Original Assignee
권형진
권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진, 권우현 filed Critical 권형진
Priority to KR102022000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8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정 등지에 배치되어 전열 교환기의 외기 급기관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는 외부공기와, 전열 교환기의 내기 배출관을 통해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배기경로를 제공하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Bidirectional ventilation port for electric heat exchanger with integrated supply and exhaust adjust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정 등지에 배치되어 전열 교환기의 외기 급기관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는 외부공기와, 전열 교환기의 내기 배기관을 통해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배기경로를 제공하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열은 빼앗기지 않으면서 환기가 가능하게 하는 전열교환기는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낮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이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므로 복잡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산소가 풍부한 청정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환기로 인해 발생하는 실내 에너지손실을 전열교환 메카니즘에 의해 에너지를 회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전달하므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은, 외기 급기관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외부공기를 강제 급기하고, 내기 배기관을 통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전열 교환기와; 상기 환기를 요하는 실내공간의 천정부에 배치되는 급기용 환기구와, 배기용 환기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기용 환기구에는 전열 교환기의 외기 급기관이 연통되게 이음되어 실내공간에 외부공기를 강제 급기하고, 상기 배기용 환기구에는 전열 교환기의 내기 배기관이 연통되게 이음되어 실내공간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여서, 상기 실내공간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순환 배출하여 실내공간의 환기를 도모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외부공기의 급기경로를 제공하는 급기용 환기구와 실내공기의 배기경로를 제공하는 배기용 환기구가 분리 구성된 관계로, 구성요소의 증가에 의해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특히 시공시 급기용 환기구와 배기용 환기구를 천정에 분리하여 시공하여야 하므로 천정의 미관이 훼손될 뿐 아니라 시공에 따른 번거로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종래의 상기 급기용 환기구와 배기용 환기구에는 급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미비한 관계로, 실내공간에 접합한 급기량과 배기량의 설정이 어려워 최적의 순환 환기상태를 형성하기 어려워, 급기되는 외부공기나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급기나 배기에 따른 소음이 야기되기도 하고, 또 급기되는 외부공기가 실내공간의 일지점에 국부적으로 송풍되는 현상이 야기되기도 하였다.
KR 10-2009-0077179 KR 20-0474888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천정 등지에 배치되어 전열 교환기의 외기 유입관을 통해 실내에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경로와, 전열 교환기의 내기 배출관을 통해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배기경로를 각각 제공하고, 특히 급기경로와 배기경로의 개폐량의 비례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외부공기와 실내공기가 항시 일정한 비율로 급배기되도록 하는 급배기량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환기 케이스의 환기공간 내에 구획관부재를 배치하여, 구획관부재에 의해 환기공간 내에 급기포트와 연통하는 급기로와 배기포트와 연통하는 배기로가 동심구조로 형성된 환기구 본체와,
상기 급기로와 배기로가 동심구조로 형성된 환기구 본체에 조립되어, 상기 급기로의 개폐량과 배기로의 개폐량을 동시 조절하는 급배기 일체형 환기량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배기 일체형 환기량 조절체는 상기 구획관부재에 승강구조로 중첩하여 설치되며, 구획관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구획관부재의 외벽에 형성된 배기포트의 중첩면적을 증감하여서 배기포트와 연통하는 배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배기량 조절관부와; 상기 배기량 조절관부의 개구부 외측에 전개하여 형성되어, 급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급기량 조절편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호 중첩하는 환기구 본체의 구획관부재와 환기량 조절체의 배기량 조절관부에는 대응하여 형성된 승강 회전부를 통해 회전 승강구조로 조립되어, 상기 환기량 조절체는 정역 회전에 의해 승강 회전부를 통해 회전 승강구조로 조립된 구획관부재를 따라 회전 승강하여서, 급기로의 개폐량과 배기로의 개폐량을 비례하여 증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구 본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환기공간 갖는 환기 케이스와; 상기 환기 케이스의 환기공간 내에 동심구조로 배치되어 환기공간 내에 외부공기의 급기경로인 급기로와 실내공기의 배기경로인 배기로를 동심구조로 구획하여 형성하는 구획관부재와; 상기 환기 케이스의 외벽과 급기로 사이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전열 교환기의 외기 급기관과 급기로를 연통되게 이음하는 급기포트; 및 상기 환기 케이스의 외벽와 배기로 사이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전열 교환기의 내기 흡기관과 배기로를 연통되게 이음되는 배기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관부재의 외경부에는 급기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관부재의 내경부에는 배기로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래 이원화된 급기용 환기구와 배기용 환기구를 급기로와 배기로가 일원화되게 형성된 단품체로 구성되어, 부품수의 절감과 시공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기로와 배기로가 일원화되게 형성된 양방향 환기구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급기로와 배기로의 개폐량을 비례하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독특한 비례형 환기량 조절체를 구비하여서, 상기 급기로와 배기로는 항시 일정한 개폐비율을 유지하여 개폐가 가능하므로, 실내공간에 정형화된 순환 환기류를 형성하여서 실내공기의 안정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의 시공상태와, 이를 통한 외부공기의 급기와 실내공기의 내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의 급배기량의 비례 조절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에 마련된 흡기각 조절부재와, 급기각 조절부재를 통해 흡기각과 배기각의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의 시공상태와, 이를 통한 외부공기의 급기와 실내공기의 내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의 급배기량의 비례 조절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에 마련된 흡기각 조절부재와, 급기각 조절부재를 통해 흡기각과 배기각의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1)는, 전열 교환기(100)의 외기 급기관(110)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경로와, 전열 교환기(100)의 내기 흡기관(120)을 통해 흡기하여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배기경로를 각각 제공하는 양방향 순환 급배기 구조를 갖는 환기구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구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하부에 개구부(11b)가 형성된 케이스(11)의 환기공간(11a) 내에, 급기포트(16)와 연통하는 급기로(14)와 배기포트(17)와 연통하는 배기로(15)가 동심구조로 형성된 환기 케이스(11)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케이스(11)의 개구부(11b) 외측에는 복수의 고정공(12a)이 형성된 마감편(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환기 케이스(11)를 포함하는 환기구 본체(10)는 도 3과 도 4와 같이 천정면(200)에 형성된 매립구(210)를 따라 천정에 매립하여 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환기 케이스(11)의 입구 외측에 형성된 마감편(12)은 고정공(12a)을 통해 진입하는 고정볼트(12b)에 의해 천정면(200)에 적층하여 고정되어 환기구 본체(10)를 천정(200)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하고, 또 환기구 본체(10)가 진입된 매립구(21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구 본체(10)는 상기 환기 케이스(11)의 환기공간(11a) 내에 동심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환기공간(11a) 내에 외부공기의 급기경로인 급기로(14)와 실내공기의 배기경로인 배기로(15)를 동심구조로 구획하여 형성하는 구획관부재(13)와; 상기 환기구 본체(10)의 환기 케이스(11)의 외벽과 급기로(14) 사이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전열 교환기(100)의 외기 급기관(110)과 급기로(14)를 연통되게 이음하는 급기포트(16); 및 상기 환기 케이스(11)의 외벽와 배기로(15) 사이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전열 교환기(100)의 내기 흡기관(120)과 배기로(15)를 연통되게 이음되는 배기포트(17)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관부재(13)의 외경부에는 급기포트(16)와 연통하는 급기로(14)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관부재(13)의 내경부에는 배기포트(17)와 연통하는 배기로(15)를 동심구조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배기포트(17)는 구획관부재(13)의 외벽과 환기 케이스(11)의 외벽을 관통하여 구획관부재(13)의 내경부에 형성된 배기로(15)와 연통하고, 상기 급기포트(16)는 환기 케이스(11)의 외벽을 관통하여 구획관부재(13)의 외경부에 형성된 급기로(14)와 연통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전열 교환기(100)의 내기 흡기관(120)을 통해 흡기되는 실내공기는 구획관부재(13)의 내경부에 형성된 배기로(15)와 배기포트(17)를 통해 실내공간에서 강제 배기되고, 상기 전열 교환기(100)의 외기 급기관(110)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는 급기포트(16)와 구획관부재(13)의 외경부에 형성된 급기로(14)를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순환 급기된다.
그리하여, 상기 급기로(14)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는 외부공기와, 배기로(15)를 통해 실내공간에서 배기되는 실내공기에 의해 실내공간에 생성되는 순환 환기류(F)에 의해 실내공간의 신속한 환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배기용과 급기용으로 이원화된 환기구들을 본 실시예와 같이 급기포트(16)를 통해 전열 교환기(100)의 외기 급기관(110)과 연통하는 급기로(14)와, 배기포트(17)를 통해 전열 교환기(100)의 내기 흡기관(120)과 연통하는 배기로(15)가 일원화되게 형성된 양방향형으로 구성하면, 종래 급기용 환기구와 배기용 환기구를 실내공간의 천정의 각 지점에 분리 시공함에 따른 부품수의 증가와 시공상의 번거로움, 및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로(14)와 배기로(15)가 일체로 형성된 환기구 본체(10)에, 상기 환기구 본체(10)에 형성된 급기로(14)와 배기로(15)의 개폐량을 동시 비례하여 조절하는 환기량 조절체(20)를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환기량 조절체(20)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획관부재(13)에 중첩하여 설치되며, 구획관부재(13)를 따라 회전 승강하여 구획관부재(13)의 외벽에 형성된 배기포트(17)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서 배기포트(17)와 연통하는 배기로(15)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배기량 조절관부(21)와; 상기 배기량 조절관부(21)의 입구 외측에 배치되어, 승강을 통해 환기 케이스(11)의 개구부(11b)와의 이격공간(S)을 조절하여 급기포트(16)와 연통하는 급기로(14)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급기량 조절편(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량 조절체(20)를 구성하는 배기량 조절관부(21)에는 중첩된 구획관부재(13)에 형성된 배기포트(17)의 중첩면적을 변경하여 배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배기량 조절창(21a)을 형성하고, 상기 급기량 조절편(22)은 배기량 조절관부(21)의 입부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기량 조절관부(21)와 함께 회전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첩하여 조립된 배기량 조절관부(21)와 구획관부재(13) 사이에 나선의 승강 회전부(13a, 21b)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배기량 조절관부(21)를 포함하는 환기량 조절체(2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나선의 승강 회전부(13a, 21b)를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구획관부재(13)와의 나선 체결량의 증감을 통해 구획관부재(13)를 따라 상하로 승강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회전부(13a, 21b)는 나선의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레일을 나선 이송구조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정역 회전을 통해 환기량 조절체의 회전 승강을 도모한다.
따라서, 상기 구획관부재(13)에 나선구조로 체결된 환기량 조절체(20)는 구획관부재(13)를 따라 회전 승강하면서, 급기로(14)와 배기로(15)의 개방량을 동시에 비례하여 증감하여 급기로(14)와 배기로(15)는 항시 설정된 개폐비율을 갖도록 한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환기량 조절체(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구획관부재(13)를 따라 회전 상승하면, 상기 배기량 조절관부(21)에 형성된 배기량 조절창(21a)은 구획관부재(13)의 외벽에 형성된 배기포트(17)의 개방면적을 감소하여 배기로(15)의 개방량을 점차 감소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배기량 조절관부(21)의 입구 외측에 배치된 급기량 조절편(22)은 환기 케이스(11)의 환기공간(11a) 개구측(11b)으로 서서히 상승하여 근접하면서 급기로(14)의 개방량을 점차 감소한다.
이와 반대로, 도 7과 같이 상기 환기량 조절체(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구획관부재(13)를 따라 회전 하강하면 배기량 조절창(21a)은 구획관부재(13)의 외벽에 형성된 배기포트(17)의 개방면적을 증가하여 배기로(15)의 개방량을 서서히 증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배기량 조절관부(21)의 입구에 배치된 급기량 조절편(22)은 서서히 하강하여 환기 케이스(11)의 환기공간(11a)의 개구부(11b)측에서 서서히 하강하여 급기로(14)의 개방량을 서서히 증가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1)는, 환기량 조절체(20)의 정역 회전을 통한 회전 승강작용에 의해 외부공기의 급기경로인 급기로(14)와 실내공기의 배기경로인 배기로(15)의 개폐량을 비례하여 조절하여서, 상기 급기로(14)와 배기로(15)는 항시 일정한 개폐비율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급기량 조절편(22)은 배기량 조절관부(21)의 개구단 외측에 확장된 환편체로 구성되어, 급기로(14)를 통해 실내공간에 급기되는 외부공기를 실내공간의 천정면(200)과 내벽면을 따라 실내공간을 따라 확산 순환하고, 또 상기 실내공간을 확산 순환한 실내공기는 배기로(15)로 흡기하여 배출되어서, 오염된 실내공기의 신속한 순환 환기를 도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량 조절편(22)을 포함하는 열전도성이 유수한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급기로(14)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와 배기로(15)를 통해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안정적으로 열교환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1)는 시공을 요하는 실내공간의 형태나, 위치, 악취의 발생지점 등의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설치위치의 변경이 요구된다. 그런데, 현장에서 상기 양방향 환기구의 설치 가능한 위치는 한정적이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3과, 도 5와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로(15)에 흡기하여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흡기방향을 전환하는 흡기각 조절부재(30)를 환기량 조절체(20)의 개구부에 배치하여, 요하는 지점의 실내공기를 흡기하여 배기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각 조절부재(30)는, 비례형 환기량 조절체(20)의 개구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배치되는 중공 회동림(31)과; 상기 회동림(31)의 중공부에 상하 힌지구조로 배치되어, 상하 힌지 회전을 통해 실내공기의 흡기각을 조절하는 복수의 조절 블레이드(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기량 조절체(20)의 개구부에는 중공 회동림의 외경면을 감싸는 회동 가이드가 형성되어 중공 회동림(31)은 회동 가이드를 통해 수평 회전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 회동림 내에 상하 힌지구조로 배치된 조절 블레이드는 링크부재를 통해 연동하여서, 어느 하나의 조절 블레이드의 상하 힌지 회전에 의해 나머지 조절 블레이드들은 일괄하여 상하 힌지 회전하여 흡기각도의 일괄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흡기각 조절부재(30)는 중공 회동림(31)의 수평 회전을 통해 흡기방향이 전환되고, 또 조절 블레이드(32)의 상하 힌지 회전을 통해 흡기각도를 전환하여서, 요하는 흡기방향과 흡기각도로 실내공기를 흡기하여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3 및 도 5와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급기로(14)를 형성하는 급기량 조절편(22)에, 급기로(14)를 국부적으로 차폐하는 하나 이상의 급기각 조절부재(40)를 배치하여, 상기 급기각 조절부재(40)를 통해 실내공간에 급기되는 외부공기가 요하는 방향으로 급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기각 조절부재(40)는 "C"의 평면을 갖는 급기가드(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량 조절편(22)에 압입홈(23)을 동심구조로 형성하고, 외부공기의 급기의 차폐를 요하는 방향으로 급기가드(42)를 압입홈(23)을 통해 배치하여서, 상기 급기가드(42)를 통해 급기로(14) 상에 차폐구간을 국부적으로 형성하여 급기로가 부분 차폐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급기가드(42)는 고형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가드(42)를 상하로 탄성 신축되는 절첩 주름형으로 구성하여 급배기량의 조절을 위해 환기량 조절체(20)를 상하로 승강하더라도 상하 신축을 통해 급기로(14)의 부분 차폐를 안정되게 도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가드(4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압입링(41)을 형성하고, 환기구 본체(10)의 구획관부재(13)의 하단과 이와 상하 마주하는 환기량 조절체(20)의 급기량 조절편(22)에 환형의 압입홈(13b, 23)을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급기가드(42)는 압입홈(13b, 23)에 압입링(41)을 각각 압입하여 구획관부재(13)의 하단과 급기량 조절편(22) 사이에 정형화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급기가드(42)의 배치방향, 및 급기가드(42)의 배치 개수를 조절하여, 요하는 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실내공간에 급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10. 환기구 본체 11. 환기 케이스
11a. 환기공간 11b. 개구부
12. 마감편 12a. 고정공
12b. 고정볼트 13. 구획관부재
13a. 승강 회전부 13b. 압입홈
14. 급기로
15. 배기로 16. 급기포트
17. 배기포트
20. 환기량 조절체 21. 배기량 조절관부
21a. 배기량 조절창 21b. 승강 회전부
22. 급기량 조절편 23. 압입홈
30. 흡기각 조절부재 31. 중공 회동림
32. 조절 블레이드 33. 연동링크
40. 급기각 조절부재
41. 압입링 42. 급기가드
110. 외기 급기관 120. 내기 흡기관
200. 천정면 210. 매립구
S. 이격공간

Claims (5)

  1. 개구부가 형성된 환기 케이스의 환기공간 내에 구획관부재를 배치하여, 구획관부재에 의해 환기공간 내에 급기포트와 연통하는 급기로와 배기포트와 연통하는 배기로가 동심구조로 형성된 환기구 본체와,
    상기 급기로와 배기로가 동심구조로 형성된 환기구 본체에 조립되어, 상기 급기로의 개폐량과 배기로의 개폐량을 동시에 조절하는 급배기 일체형 환기량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배기 일체형 환기량 조절체는,
    상기 구획관부재에 승강구조로 중첩 설치되며, 구획관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구획관부재의 외벽에 형성된 배기포트의 중첩면적을 증감하여서 배기포트와 연통하는 배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배기량 조절관부와;
    상기 배기량 조절관부의 개구부 외측에 전개하여 형성되어, 급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급기량 조절편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 본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환기공간 갖는 환기 케이스와;
    상기 환기 케이스의 환기공간 내에 동심구조로 배치되어 환기공간 내에 외부공기의 급기경로인 급기로와 실내공기의 배기경로인 배기로를 동심구조로 구획하여 형성하는 구획관부재와;
    상기 환기 케이스의 외벽과 급기로 사이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전열 교환기의 외기 급기관과 급기로를 연통되게 이음하는 급기포트; 및
    상기 환기 케이스의 외벽와 배기로 사이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전열 교환기의 내기 흡기관과 배기로를 연통되게 이음되는 배기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중첩하는 환기구 본체의 구획관부재와 환기량 조절체의 배기량 조절관부에는 대응하여 형성된 승강 회전부를 통해 회전 승강구조로 조립되어,
    상기 환기량 조절체는 정역 회전에 의해 승강 회전부를 통해 회전 승강구조로 조립된 구획관부재를 따라 회전 승강하여서, 급기로의 개폐량과 배기로의 개폐량을 비례하여 증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관부재의 외경부에는 급기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관부재의 내경부에는 배기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KR1020220007003A 2022-01-18 2022-01-18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Active KR10241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03A KR102417873B1 (ko) 2022-01-18 2022-01-18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03A KR102417873B1 (ko) 2022-01-18 2022-01-18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873B1 true KR102417873B1 (ko) 2022-07-05

Family

ID=8240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03A Active KR102417873B1 (ko) 2022-01-18 2022-01-18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8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74B1 (ko) * 2007-02-22 2008-06-23 조진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KR20090047772A (ko) * 2007-11-08 2009-05-13 권영현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KR20090077179A (ko) 2008-01-10 2009-07-15 에이치알브이테크 주식회사 급배기 일체형 팬 및 덕트를 이용한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KR200474888Y1 (ko) 2014-07-08 2014-10-24 권우득 다기능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74B1 (ko) * 2007-02-22 2008-06-23 조진표 냉난방장치용 급배기관
KR20090047772A (ko) * 2007-11-08 2009-05-13 권영현 일체형 급배기공급장치를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KR20090077179A (ko) 2008-01-10 2009-07-15 에이치알브이테크 주식회사 급배기 일체형 팬 및 덕트를 이용한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KR200474888Y1 (ko) 2014-07-08 2014-10-24 권우득 다기능 환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6656T3 (es) Un sistema de ventana de techo con una unidad de ventilación montada adyacente a la ventana de techo y un método para proporcionar ventilación para un edificio
EP3339641A1 (en) Tower bottom cooling device for wind power generator unit, and control method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100807273B1 (ko)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JP2001193979A (ja) 室内空気再循環装置
KR102235819B1 (ko) 편류 저감형 디퓨져
KR1023139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417873B1 (ko) 급배기 일체형 조절구조를 갖는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KR102353884B1 (ko) 자연냉각 구조를 구비한 수배전반
KR20150106135A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26434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485369B1 (ko) 전열 교환기용 양방향 환기구
US20210262679A1 (en) Convection-enhanced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29801B1 (ko) 바닥용 디퓨져
KR20080094160A (ko) 기계환기실 상부에 자연환기 풍도를 갖는 지하철 환기구
KR10228243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EP4008977A1 (en) Ventilation unit with casing
KR102353840B1 (ko) 자연냉각 구조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2353830B1 (ko) 자연냉각 구조를 구비한 수배전반
JP2006002964A (ja) 住宅換気構造
JP4936181B2 (ja) 煙制御システム
KR102462181B1 (ko)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CN217057831U (zh) 送风装置
KR102673350B1 (ko) 배기덕트장치
JP4861685B2 (ja) 換気構造及び換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